타고난 한계를 뛰어넘는 인간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장동선 뇌과학박사 | 과학 기술 나노 성장 | 세바시 1194회
강연자의 강연 소개 : 과학 기술의 발전은 날마다 속력을 더해갑니다. 누군가는 2045년 인류가 영생을 얻을 것이라고 까지 말합니다. 미래에는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
강연자의 강연 소개 : 과학 기술의 발전은 날마다 속력을 더해갑니다. 누군가는 2045년 인류가 영생을 얻을 것이라고 까지 말합니다. 미래에는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
@엉뚱한고양이 409
2020년 7월 12일 05:15장동선 박사님의 강연에 동의합니다. 저는 뇌수술 두 번에 항암과 방사선치료까지 받고 입원 당시 반신불수로 휠체어 신세에 왼쪽 손도 못썼고(지금은 잘 걸어다니고 양손으로 타이핑도 합니다^^), 1년 정도 살거라고 다들 예측했지만, 제가 즐겁고 제가 행복한 공부(ㅎㅎ;;;;;)를 하다보니 어느덧 20년 가까이 살고 있습니다. 남들보다 조금 느릴지 모르겠지만... 암튼 지금은 박사논문을 쓰고 있네요. 얼른 코로나 백신과 치료약이 만들어져서 유학도 갈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강연, 잘 들었습니다!!!^^
@솜사탕-j7u 282
2020년 7월 07일 00:55프리다 칼로의 삶을 들으면서 프란츠 카프카가 한 말이 생각났습니다. "휘어진 그림자를 원망하면 안 된다. 휘어진 내 몸을 펴야만 한다."
프란츠 카프카저는 고3이고, 우울증을 앓고 있기에 많은 부분이 공감되는 강연이었습니다. 우리 모두는 아픔들이 있습니다. 수 많은 아픔들이 있는 역경의 삶의 순간에 제 자신이 성장한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제 마음을 챙길 수 있는 강연을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펜대믹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코로나 블루'를 겪고 있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모두가 힘든 시기이지만, 이 강연을 보고, 삶의 위안을 얻으셨으면 좋겠습니다.@CuriousBrainLab 229
2020년 9월 09일 23:18혹시 뇌와 관련된 궁금증이 있나요? ^^ 제가 채널을 새로 열었습니다: @
@오탁구-q5b 100
2020년 7월 07일 19:03최근에 읽었던 “뇌의 스위치를 켜라” 라는 책의 내용과 연결이 되어서 반가웠습니다. 사람은 뇌의 명령을 받는 수동적 존재가 아닌 마음 먹은 대로 뇌가 성장하는 능동적인 존재라는 것을 다시 한번 생각하며 긍정의 마음, 배우는 마음을 함께 키워갔으면 좋겠습니다!
@김영식-o2p7b 98
2020년 7월 06일 20:54갑각류가 성장하지 않는 이유는 역설적이게도 외부의 위협이나 자극으로 부터 자신을 보호되는 껍질에 있다는 말에 있다는 것 그리고 자신을 보호하던 그 껍질이 제거되었을때 비로소 성장이 된다는 것이 어쩌면 지금 나를 둘러싸고 있는 무언가로 부터 실패에 대한 합리화를 더이상 하지 않는것에서 부터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하이테크 기술이 발전하더라도 인간의 타고난 한계는 스스로의 틀을 벗어나는데에 그 시초가 있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장순재-l4i 92
2020년 7월 07일 00:25Gattaca 가끔씩 마음이 약해질때 다시보곤 합니다. 가장 좋아하는 장면도 저 장면인데 다시봐도 처음봤을때의 감동이 떠오르네요.
"운명을 결정하는 유전자는 없다"
@your_harang 92
2020년 7월 06일 21:05박사님의 강의는 항상 박사님이 너무 재밌어하셔서 더 재밌어요 ㅋㅋㅋㅋ
이것좀 들어봐! 세상에 이렇다고! 너무 신기하지 재밌지! 하시는 느낌이 전달되서
뇌과학 어려운데도 박사님 덕분에 거부감이 안들고 더 궁금해져요 ♥
@kk7724 91
2020년 7월 07일 00:352020년 7.7일 12시.34분 난 이 영상을 보고 매일 같이 노력하고 매일같이 공부할것이다 그 노력의 결과 나는 정확히 3년뒤 나는 그 누구보다 훌륭한 항해사가 되 있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융디-s9g 53
2021년 8월 27일 19:42한계란 없다라는 걸 믿는 사람들이 이렇게 많다는 게 정말 감동이에요
@남멋쨍이72 29
2020년 7월 06일 21:32단단한 껍질을 깨고 위험과 한계에 맞서서 다시 성장을 할수 있는 멋진 사람이 되겠습니다
진언씨 26
2020년 7월 07일 09:01그 영화 주인공이 형이고 동생이 유전자 개조한거 아닌가요?? 형은 자연분만해서 안좋게나와서 동생은 유전자조작한거로....
@TV-ck2gj 25
2020년 7월 06일 20:20제가 좋아하는 사자성어 중에 불광불급 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미쳐야 내가 원하는 목표에 미칠수 있다라는 뜻인데 가타카 위플래시 코치카터 영화를 세개를 가장 좋아합니다.
박사님이 알려주신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뿐만아니라 자신의 뇌안에서의 상호작용으로도 자신이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얼만큼 성장 할수 있는지에 대한 강연이 정말 인상 깊었습니다.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아짱나-d9q 23
2020년 7월 10일 21:40영화 “카타카” 보면 주인공이 우주를 가기위해서 목숨 걸고 노력하죠. 진짜 목숨 걸고요. 요즘 우울증 오는 것 같았는데 “우울할 땐 뇌과학” 이란 책 읽어봐야 겠네요.
이상우 22
2020년 7월 07일 16:06가타카 설명에서 형 동생이 바뀌었어요. 내용 이해에는 지장 없지만, 다음에 강연하실 때 수정하시면 더 좋겠어요.
@yerin2da 21
2020년 7월 07일 15:10나를 보호해주는 것으로 부터 벗어나 가장 연약해져있는 순간을 맞이해야 성장할 수 있다. 알쓸신잡에서 박사님께서 말씀해주신 적 있던 말인데, 그 말을 듣고서 머리에 경종이 울리는 느낌이었어요. 나약해져있는 내 모습이 싫고 부끄러워서 회피하기만 했었는데, 진정한 성장은 그런 나의 모습도 마주하고 부끄러워하지 않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는 말이 정체되어 있던 저한테 큰 울림을 줬어요.
딱딱하게만 느껴지는 과학을 늘 감성과 적절히 조화시켜 전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장동선 박사님의 가장 큰 강점이라고 생각해요! 앞으로도 더 많은 채널에서 교수님의 생각을 공유받을 수 있길 바라요:)!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큰용사 20
2020년 7월 06일 20:57죽을때까지 계속 노력을 해야 되는군요
그래야 어제보다 더 나은 뇌를 가질수 있군요
비땅 Bttang 20
2020년 7월 10일 18:43"내가 널 이길 수 있었던 이유는 다시 돌아갈 힘을 남기지 않았기 때문이야"라는 동생의 대사가 인상깊네요.
취준 기간이 길어지면서 주변과 나를 비교하게되면서 자연스레 부정적인 생각이 들었는데, 점점 좋은 생각을 하는 방향성을 가져야겠습니다.
박사님 말씀 처럼 '모든 것을 걸고 노력할때 생기는 힘'은 남과 비교할 틈도 없이 현재 나의 노력에 온전히 집중할 때 생기는 힘인 것 같습니다.
긍정적인 태도를 선물해주셔서 감사합니다!
@eseulkang2271 19
2020년 7월 08일 22:33인간은 연결 속에서 더 성장하고, 강해지고, 자유로워 질 수 있다는 이야기, 너무 잘 봤습니다:)
@user-wt6dp8cw9s 16
2020년 7월 06일 19:08요즈음 "마음"이란 단어에 주목하고 있는데... 마음 성장 부분을 갑각류의 껍질에 접목해서 말씀해 주시는 것이 너무 인상적이었습니다!! 저 또한 단단한 껍질 속에 마음을 가두기 보단 좀 더 유연한 마음으로 삶을 살아가며 성장하고 싶네요~ 세바시를 통해 늘 좋은 강연을 들을 수 있어 감사합니다^^
@limjaejin8661 15
2020년 7월 07일 01:41후회 없이 도전하라는 것. 바로 한계를 두지 말라는 거겠죠. 그런 경우가 많이 생각나네요
I'm Stacie 아이엠 스테이시 15
2020년 7월 06일 19:22그래서 환경이 중요하죠. 성장할 수 있는 환경으로 나 자신을 능동적으로 던져야합니다. Get out of the comfort zone! 그리고 생각한 모든것은 현실이 된다는 점!
@눈꽃Snowflake 13
2020년 7월 07일 00:29그러다 번아웃오고 집안일 밀려서 더 부담으로 오는데.... 저는 그래도 항상 여력을 남겨둘게요 ㅎㅎ 최선을 다 해봤는데 학교 부당함에 당해봐서 앎ㅎㅎ
그래도 영상은 감동적입니다👍
PiSquaredOverSix 13
2020년 12월 22일 12:58"내가 널 이길 수 있었던 이유는 다시 돌아갈 힘을 남기지 않았기 때문이야" 이렇게 오직 하나에만 모든 것을 걸고 임한다면 이룰 수 있다는 것이 정말 인상깊었습니다. 갑각류가 보호할 껍질이 없을 때에만 자랄 수 있다는 것도 정말 적절한 비유라고 생각합니다. 정말 힘든 것에서 노력할 때만 우리는 자랄 수 있을 것입니다. 좋은 강연 정말 감사합니다.
@하희범TV 13
2020년 7월 09일 10:47와, 정말 갑각류에 대해서 이러한 삶의 의미를 어떻게 끌어내셨을까요, 기가막힌 은유입니다!
부모란 그 불안때문에 더 단단하게 보호막을 치려고 애를 쓰잖아요.
더군다나 안전을 붙잡지 않으면 큰일이 날 것만 같은 지금의 사회에서는 더욱이요.
성장을 위해서는 연약함이 필요하다는것, 명심할게요~
아이들을 키우는 엄마에게도, 아이들이 성장에서 멈추어 좌절하고 있을 때에도
정말 좋은 한마디가 될 것 같아요!!
@hyeeunlee3615 13
2020년 7월 07일 12:40모든것을 걸고 나의 한계를 벗고 나갈수 있도록
계속 배우는 자세로 마음의 힘을
회복 탄력성을 키워야 겠습니다 ~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zan mi 12
2020년 7월 06일 19:09영화이야기를 하실때 굉장히 인상깊었습니다. 아놀드슈왈즈네거의 강연이 생각나네요. 모든 것을 걸고 할때 인간은 한계를 부순다. 아놀드슈왈즈네거가 말했죠 플랜 b를 만들지 말라고 플랜a에 모든것을 걸라고..
Lynn Lynn 12
2020년 7월 06일 23:46닭살 돋았습니다, 마이크로 레벨의 reality 에서 나노 레벨의 실재를 추구하는,,, 역시 범상치 않은 분이셨어요^^;;
Frogman 12
2020년 7월 07일 01:48연결과 관계의 방향선. 마이크로와 매크로의 연결과 상호작용. 당연하지만 어려운 이야기 정말로 감사드립니다
@PengTakesOff 12
2020년 7월 07일 10:19마음껍질을 벗겨내는 과정,내가 연약해질때 비로소 강해질 수 있다는 얘기 매우 인상깊었습니다
맑은소리 12
2020년 7월 06일 23:16뇌는 방향성을 가지고 생각한다! Viva la vida!
@mkyoon6653 11
2020년 7월 08일 07:42돌아올 체력을 두지 않고 본인의 한계를 뛰어넘는 정신이야 말로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유전자의 한계도 넘을 수 있다는 것에 전율이..
인공지능, 과학의 끊임없는 발전이 있음에도 우리가 잘 살아가려면 어떻게 해야하나 라는 궁리를 해보게 만드는 강의였네요~
박사님의 책도 읽어보고싶어요
@j.s.5396 11
2020년 7월 07일 18:30박사님의 강연이나 설명을 들을 때마다 알게 되는 것은 과학을 뛰어넘어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따뜻함이 있습니다~ 항상 머리로 이해하는 것을 넘어 가슴에 깊이 새기게 됩니다~ 혼란과 재난 속에서 질서와 균형을 잡도록 이끌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YOOLI23S 11
2020년 7월 18일 00:14강연자분 에너지가 너무 좋아요💛
잠재력의 실현을 뇌과학적인 관점에서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뇌 루트를 어떻게 만들고 방향성 설정을 하느냐에 따라 나는 무엇이든 창조할 수 있다
즉 내 현실은 내면의 반영이다.
덕분에 나의 가능성에 대한 믿음의 힘이 실렸어요!! 이제 선순한 뇌루트를 짜보겠습니다😊
김수민 9
2020년 7월 06일 22:58박시님께서 얘기하신것중에서 게의 껍질에 대해 얘기하신부분이 정말 인상깊었습니다 게의 딱딱한 껍질은 자신을 보호해주지만 성장하지는 못하게막는것 그래서 성장하기위해 깨야하는것
저도 성장하기위해서는 계속해서 끊임없이 저의 껍질을 깨기위한노력을 하면서 살아야겠다는 그런 다짐을 할수있는시간이 되었고
저도 멕시코의 아티스트처럼 살면서 어떤고난을 겪더라도 굴복하지않고 삶이여 만세를 외칠수있는 그런삶을 만들어나가는 사람이 되야겠다고 다짐할수있는강의였습니다
이 강의를 올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Sion Choi 9
2020년 7월 11일 16:32기술이 아무리 인간을 강인하게 하더라도 그 인간 내면의 힘까지 완벽히 통제할 수는 없는 듯 합니다. 강의에서 본 바와 같이 내 능력을 개발하는 것 이상으로 파지티브 루프로 전환하는 회복 탄력성을 성장시키는 것이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삶이여 만세를 외칠 수 있는 마음의 의연함과 강인함을 기르기위해 노력하자고 다짐하는 계기가 된 뜻 깊은 강의였습니다.
@화가오세철 9
2021년 9월 29일 21:06대부분의 자기개발서 저자나 자수성가한 사람들이 나와
마냥 역경을 헤쳐나가라는 식의 그런 강의와는 차원이 다른것 같아 마음에 더 와닿습니다.
짧지만 큰 울림의 강의 감사합니다 !
@fine5696 9
2020년 7월 07일 15:18장동선 박사님 너무 좋아요.. 매체에 자주 노출되서 팬으로서 좋네요!! 세바시 감사합니드..>< 뇌과학 분야에 관심이 있어서 관련 책들 보기 시작했는데, 동선님의 영향이 큽니다. 제 지식의 바운더리를 넓혀주어서 감사해요. 언제나 따뜻하고도 정확한 시각으로 사물을 바라보고 탐구하는 과학자의 시선을 닮아가고파요.ㅎㅎㅎ 앞으로도 응원하겠습니다. 이번 강연도 참 좋네요. 인간의 한계에 대한 고찰은 늘 흥미롭고, 스스로를 되돌아보게 합니다. ^^
@조희정-i4r 9
2020년 7월 07일 06:53시간이 지나가면서 발전하는과학 기술
인간의 한계를 향해 도전 지치지 않는 노력
어떻게 보면 어려운 이야기들 이해하기 쉽게
풀어 주셔서 좋은 강연 잘 들었습니다
@roselee9552 8
2020년 7월 07일 15:01배우고 깨져보고 마음의 근육을 기르고 내안에 있는 나보다 더 나은 내가 되기 위해 매일 매일 긍정신호로 제 한계를 깨보겠습니다.
윤형준 8
2020년 7월 08일 03:18옥스퍼드 교수님이 학생들에게 수학을 계속하다보면 철학하고 연결이되고 철학을 계속하다보면 신학과 연결이된다고 말하던데. 교수님은 과학을 통해서 삶의 영성or지혜를 말씀해주시네요. 앞으로 영성의 새대가 온다고 하던데 그런것들의 중요한 포인트를 가지고 말씀해주신것을 느끼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yhy8027 8
2020년 7월 08일 10:08뇌과학이라는 어려운 분야의 개념들을 우리의 삶과 연결지어 생각해볼수 있는 시간이 무척 흥미롭고 감동적이었습니다~ 어려운 개념을 알기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력&재능부자 8
2020년 7월 07일 14:37책갈피해놓고 이따가 다시 올께요..바빠서.이만../컴백했어요ㅎㅎ/
2:19ㅋㅋㅋㅋ효과음ㅋㅋㅋ/9:43 / 10:36/
@lp1797 7
2020년 7월 07일 09:38강의 잘 들었습니다. 한계를 넘는다는 것은 역시 사람 즉 뇌를 가진 인간이기에 가능한 것 같습니다. 나노기술과 인간의 뇌 그 차이점은 바로 인간 뇌에서 외치는 가슴이 말해 준다고 생각합니다. 항상 나에게만 이런일이 생기지 하는 생각을 버리고 받아들이고 극복하는 것이 중요하고, 스스로가 자신은 만들어 간다고 생각합니다. 강의만이 아닌 책을 좋아하는 사람으로써 꼭 읽고 싶습니다.
@해적왕샹D민 6
2020년 7월 07일 10:53언제까지나 누군가에게 보호하는 받으며 지낼 수는 없죠. 제 성공을 위해서라도 세상에 나와 여러 경험을 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세상에 나와 도전과 실패, 상처와 극복의 과정등을 반복하고 언젠가는 한 번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다고 믿습니다.
블로거hangingfish 6
2020년 7월 06일 21:26나에게는 돌아갈 길이 없다.
@정마니-h4d 6
2020년 7월 11일 01:38모든 것을 걸고 한계를 깨버려라. 정말 우리는 딱딱한 껍질 속에서 걱정하며 힘들어 하며 살고있었어요. 나의 한계를 깨면서 아름다운 삶을 살아가면 좋겠어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차노바기 6
2020년 7월 13일 15:59"돌아가 힘을 남기지 않았다" 라는 말이 가슴에 와닿네요.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
자녀교육최경선 5
2020년 7월 10일 19:24인간증강-인간은 어떻게 한계를 뛰어넘을 것인가 정말 흥미로운 주제네요 영화가 현실이 되는 상황도 생기고 과학적 기술의 결합이 가져오는 상황에서 탄력적 수용과 선택적 흡수를 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배워야 겠네요 강의 감사히 들었습니다
조영화 5
2020년 7월 06일 20:13뇌는 방향성을 가지고 생각한다!
꿈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나에 능력을 늘리기 위해 도전을 해야 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좋은 강의 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kukheelee2763 5
2020년 7월 08일 22:59내가 정한 한계에 갇혀, 두려움으로 그 한계를 뛰어넘어 볼 시도조차 하지 못한 채 망설이고만 있던 것 같아요. 나의 한계와 마주하고 마음의 껍질을 깨고 나올 수 있도록 용기를 주신 따뜻하고 명료한 강의 감사해요.❤️ 나의 한계는 내가 정해. 그리고 나는 그 한계를 뛰어넘으면서 계속 성장할꺼야. 어제보다 나은 오늘의 나, 오늘보다 나은 내일의 나로! ❤️
@윤샘다락방 5
2020년 7월 08일 11:15결국 다른 사람들과 연결이 필요하다는 메세지~~~~♡
미술연구소 5
2020년 7월 06일 19:17코로나이후의 세계에서 모두 아픔을 잘 이겨내고 성장하기를 바랍니다.
뇌과학자 장동선님의 힘이 되는 강의 잘 들었습니다.
Robin Sin 4
2020년 7월 14일 08:36인생은 게임과 똑같습니다. 다양한 경험을 통해 레벨업 하는거죠. 인생에서 몇번의 레벨업을 달성했는지 자신에게 물어보세요.
@이채호-u1d 4
2020년 7월 08일 07:22학습으로 진화와 성장을 통해 한계를 뛰어넘는 인간이 만들어진다..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Sstar 4
2020년 7월 06일 20:10배우고 해볼때, macro-micro-nano level interactions, 연결되어있다. 맘을 열고 외부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viva la vida 의 활력소를 가지고 오늘도 화이팅! 감사합니다!
미술연구소 3
2020년 7월 06일 19:13뇌연구를 많이 해서 아픈 아이들이 건강해져서 모두가 좋은 관계로 잘 살 수 있기를 바랍니다.
otus mio 3
2020년 7월 08일 08:35타고난 한계를 뛰어넘는 인간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대한체육회에 의하면 맞으면 다 된다고 합니다.
@잘먹고잘살자-x6r 3
2020년 7월 08일 06:41[책이벤트] 요즘 제 자신에 대해 자신감과 확신이 감소했고 그로인해 제 가능성에 한계를 지었습니다. 슬프고 속상해서 무기력한 생활을 보내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강연영상을 보고 해결책을 얻었고 더 나아가 정신적 위로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강연을 듣고 나니 강연해주신 선생님의 저서가 더욱더 궁금해졌고 읽어보고 싶습니다🥰
@김선우-e2e 3
2020년 7월 09일 23:31나노에서 마이크로, 매크로를 각각의 구별된 방법론으로 보지 않고 연결된 과정이라는 새로운 시각 좋네요. 뇌인지는 흥미는 있지만 괜히 어렵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는데 이렇게 쉽고 흥미롭게 강연 풀어주셔서 유익했습니다. 회복탄력성이라는 단어도 자존감과 함께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던데 이런 매커니즘이 연결돼있다니 재밌게 들었습니다.
@노효현-y9r 3
2020년 7월 07일 01:13한계에 맞서는 장동선 뇌과학박사님 강연 멋집니다
인상깊고 주변에 소식도 전합니다
2020 세바시 강연 많은분들에 관심과 사랑속에 묵묵히 서로에게 힘이되어주고 따뜻한 글 한마디 가 서로를 사람으로 안아주는 그러한 시간들 앞으로 자주뵈요^^ 더한 따뜻함들에 인사를 함께 나눌수있는 시간들이되주셨음합니다 화이팅함꼐할게요!
주네스 대세그룹TV- 다이아몬드를 캐는 플랫폼 3
2020년 7월 08일 07:20어렵다고 생각한 과학을 쉽게 강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ᆢ^^
Lim Choi's Attic /림 초이의 다락방 3
2020년 7월 09일 06:21인상이 너무 좋은 교수님
스마트서포터, 연대언니의 꿀팁 2
2020년 7월 06일 19:02어려운 내용을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부분에 설명해주시는 과학기술은 필요한 것도 있어보이지만 무섭기도 하네요ㅜㅠ
이상훈 2
2020년 7월 10일 11:22나는 행복하자 라는 단어보다는 강해지자 라는 단어가 더 좋음. 강인한사람
@정우진withSaxophones 2
2021년 9월 06일 18:38와~ 말투. 목소리톤. 뇌과학이라는 새로운 세계까지.
감동입니다
@Mr.k_jun 2
2020년 7월 12일 07:49인간만이 가질 수 있는 생각의 힘을 느낄 수 있는 강의였습니다. 내부에서 일어나는 자극 상상력 , 외부로부터 시작되는 자극 환경이 우리 인간을 더 강하게 만들고 더 뛰어난 유전자를 만드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듭니다. 우리는 무엇이든 될 수 있는 갓 같아요. 주일 아침인데 강의 덕분에 행복한 상상하면서 하루를 시작합니다~
세바시 화이팅~~
KKJ 2
2021년 2월 09일 06:44유익한 좋은 강연 감사드립니다!👏👏
네티 2
2020년 7월 07일 00:47모든 건 이어져있다.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깨맘인의 2
2024년 6월 04일 07:38상황과 역경을 학습과 성장의 기회로 생각해야겠네요.
@surrealism.p3775 2
2020년 7월 12일 07:23시사하는게 굉장히 많은 강연 같아요. 한번쯤 다들 생각하는 지적 능력을 향상시켜주거나 잠을 자지 않아도 되는 약, 듣기만 했을땐 막연히 몸이 불편한 사람들을 도와주는 보조 기계처럼 좋은게 좋은거지 이랬는데 유전자 조작으로 간다면 왠지 인간으로서의 나는 어디가는걸까?는 의문이 드네요. 긍정적루프이론을 들으면서 시크릿에서 말한 내용이 진짜일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힘이 되는 뇌과학이네요
@Emma-u-l9r 2
2020년 7월 10일 10:29코로나로 인해 취업시장이 얼어붙어가고 있다는 걸 이해하고 있지만, 이게 제 얘기가 되니까 사회, 경제를 이해할 마음의 여유가 없어지더라구요:) 계속해서 떨어지니까 스스로에 대한 확신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요즘인데요. 이 영상을 보니 어디에 있을지 모르는 경쟁자를 생각하지 않고, 어떻게 해야 내가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을까에 집중해야 된다는 걸 느껴요. 망치로 한 대 맞은 느낌이랄까. “나노레벨과 매크로 레벨은 모두 연결 되어있다.” 외부의 영향에 제 자신이 어떻게 반응하고 극복하는지, 이 과정에서 뇌의 변화를 통해 성장하고 있다는 걸 ‘인지’해야겠습니다. 너무 힘든 순간이 찾아오니까 이성적인 판단보다 상황에 빠져 스스로를 가두는 부정적인 감정에 휩싸여서 하루하루를 버티게 됐는데 밝고 인간적인 제 본연의 모습을 점차 찾아가고 있습니다. 그 시점이라 그런지 이 강연이 너무나 값지게 들립니다 감사합니다🙏🏻
@권희정-i1p 2
2020년 7월 08일 20:38껍질을 깨고 나와야 한다. 삶의 뇌는 방향성을 가지고 생각한다. 배우고 질러고 해보고 깨지고... 마음의 근육 키우기 강의 듣고 힘든 하루가 다시 힘이 났어요~^^ 그리고 너무 훈남이세요~
sanghwa Bae 1
2022년 6월 08일 18:45영화의 마지막 대사처럼 아버지는 사셨지만,
암을 이기시지는 못하셨어요.
하지만 전,
영화의 마지막 대사를 상기하며 살아가겠습니다.
건강하지 못한 신체를 극복하며...
장동선 박사님께 뇌에 관해 많은 부분을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TV-qk2uh 1
2020년 7월 11일 17:13저의 능력과 한계를 생각해 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제 삶에 증강을 기대하되, 메크로보다 나노의 방향으로 제가 할 수 있는 순간을 움직이면서 무엇이든 채운다면 언젠가 저의 삶이 메크로의 방향으로도 함께 움직여 줄 것이란 생각이 드네요. 연결과 관계의 루프를 계속 굴려 보겠습니다. 공감될 때 힐링이 되는 힘이 있다는 말처럼 베프에게 강의 공유했습니다 ! 그리고 저도 힐링 되었습니다. 저도 한계의 껍질을깨고 성장하고 싶습니다. 강의 너무 감사합니다 !
배지훈 1
2020년 10월 26일 04:13감명깊은 강연 감사합니다.
지우 1
2020년 7월 11일 12:05디자인베이비가 나노레벨까지 컨트롤가능한 가정이면 그 경쟁은 어떻게 바라보실지 궁금하네요.
@유씨UC 1
2022년 3월 21일 21:41와~ 영화, 미술, 음악! 장동선 박사님 강연 예술이었습니다!!
hziny c 1
2020년 7월 06일 19:06잘 들었습니다👏
@kaya8234 1
2022년 7월 13일 23:53큰 위로와 용기 얻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장동선 박사님!
SEMY YOON 1
2020년 7월 28일 21:31가타카 저도 정말 좋아하는 영화예요👍🏻 형하고 동생이 바뀐거 같아요😅. 형이 계획 없이 자연임신된 자녀였고. 동생이 designed baby 로 기억해요! 중학교 과학시간에 영화봤었는데! 정말 좋은 영화예요❤️
@장두식-w2p 1
2023년 1월 31일 11:31강연을 너무 잘 하네요 스킬도 대단하고 멋있어요 ㅎㅎ
응원합니다 ^^
차원준
2021년 6월 13일 21:05"내가 널 이길 수 있었던 이유는 다시 돌아갈 힘을 남기지 않았기 때문이야" 이렇게 오직 하나에만 모든 것을 걸고 임한다면 이룰 수 있다는 것이 정말 인상깊었습니다.
블루 레몬
2020년 7월 12일 06:21장동선뇌과학자님을 세바시에서 처음 알게 되었고, 강연 시원시원하게 잘하셔서 재밌게 봤어요 . 엑소스켈레톤이란 용어를 처음 들었어요 히어로물 영화에서 보면 아이언맨같은 딱딱한 로봇 수트를 입고 나오는데 그걸 뭐라 부르는지 궁금하긴 했었죠.
진아람
2020년 7월 12일 12:53처음 듣는순간 개그맨 유민상님 목소리인줄 알았어요 대박
김지우
2020년 7월 14일 19:39늘 보호받지 못함에 감사합니다. ^^
서Zx00ckwldns
2020년 7월 07일 02:57뇌그림이죠?
볼때마다 호두생각이 ^^
ㅋㅋㅋㅋ
서경훈
2020년 7월 09일 07:12뇌과학을 통해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들을 고찰할 수 있는 의미있는 시간이 될 것 같습니다!
A B
2020년 7월 10일 11:37읭..동생이 인공이고 형이 자연분만인데..흑흑..동생인데 더 빨리 커서 인상적이었던..
Jessica KIM
2020년 7월 09일 00:17제목보고 가타카 영화가 생각났는데ㅎㅎ 와우 딱맞았네요
jaekyung lee
2021년 1월 25일 07:01소름끼쳤던 영화 <가타카> 고전SF 가운데 최고의 명작이었던 기억이 납니다. 감사합니다.
이정민
2020년 7월 15일 01:43박사님 가타카 말하시는 부분에서 형과 동생을 바꿔 말하셨어요~
Limu
2020년 7월 06일 23:22저만 영상 재생이 안되나요..
이선애
2020년 12월 07일 14:58유전자,신체,정신... 인상적이었어요. 말씀하신 영화(가타카)도 보고싶네요. 오늘당장 볼거예요. 좋은강연감사합니다.
@은숙이-r8p
2023년 2월 07일 14:38이야기너무잘들었습니다
너무감동적입니다~감사합니다
[자네] jane
2020년 7월 06일 21:4913:00
@mayaribbon
2022년 4월 22일 11:13제가 좋아하는 뇌과학자 장동선님👍멋진 강연 감사드립니다🙏"두려움"에 관해 어린시절에는 그것이 참 궁금했어요,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두려움이 있는사람, 없는 사람이 정해진것이 아니라 두려움이란 감정은 누구나 가질 수 있음을...그리고 그 일을 하고나면 정말 아무거도 아니었음을...깨닫게 되었쬬~너무나 와닿는 강연이었습니다~감사합니다❤️눈물날뻔~~~
부에노
2020년 7월 07일 01:50화질이.....?
브로
2020년 9월 04일 01:30맞다 진짜공감한다 국가랑부딪혀본사람들은 강하다
NanYi Jiang
2020년 8월 10일 09:59장교수님 .. 훌륭한 강연 정말 감사합니다.
좋은 에너지를 얻고 한 주를 시작합니다.
앞으로도 교수님의 좋은 강연 영상이 나오면 여러 사람들과 공유하고 싶은데
외국어,외래어를 우리말로 좀 더 바꿔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그러면 다양한 환경의 사람들이 강연 내용에 몰입하기가 좀 더 수월해지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건의드려봅니다.^^
장철환
2022년 8월 02일 04:18뇌공학을 공부하는 학도로서 강사님의 강의를 너무 공감하고 이해하며 들었습니다.
과학기술은 나날이 발전하고 이제는 영화에서나 보던 기술이 현실로 하나 둘 나오고 있습니다.
저 기술은 안되겠지 하는 것들이 하루 자고 일어나면 현실로 나와있다라고 말을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런 것들이 사람들이 한계란 없다라는 생각으로 연구했기에 나온 결과겠지요.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보밍
2020년 7월 09일 01:39가타카,,생명과학 선생님한테 이야기만 들었었던 영화인데 꼭 봐야겠어요 !! 내면의성장이 가장 어려운거같아요 ㅜㅜ 추상적인 것들이 너무어려워요 신체는 운동하면 바로 성장하는게 보이는데 내면을 가꾸는거는 정말 부지런하고 많은 고민이 필요한것 같아요
SungMin Lee
2022년 6월 23일 08:06여기저기서 읽고 듣고 어설프게 얄고있던 것들이 이해되는 강의 입니다. 감사합니다
박현주
2022년 2월 07일 17:51좋은말씀 덕분에 감사합니다.~~
초미아트 : Chomi Art
2020년 7월 08일 21:39저는 이런 믓찐 분들 덕분으로 살겠습니다
이 세상은 이렇게 훌륭한 소수의 사람의 덕분으로 다수의 사람들이 문명을 누리며 사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ise W
2020년 7월 11일 22:4910:30 우울증 15:00
김승준
2021년 2월 13일 12:04좋은 강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