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가지 궁금한게 있습니다. 공급을 안해서 집값상승한다라는게... 원론적인 수요공급측면에서 본다면 맞는 말이지만 공급한다고 가격이 하락하지는 않은것도 사실인거 같습니다. 재개발 재건축 안해서 공급부족인건 맞지만 헬리오시티 9천세대 입주할 때 송파에 대단지 입주해도...가격은 안떨어지더라구요. 오히려 신축들어오니 주변아파트까지도 가격이 상승하던데... 그리고 MB정부때 강남구 서초구 일부지역 개발해서 공급했을 때 서울집값 안정되었다고 하는 분들이 계신데 그때는 미국발 금융위기, 그리고 3년 뒤 유럽발 금융위기로 매우 경제가 매우 혹독하게 나쁜 시기였습니다. 반면 지금은 코로나 전부터 미중 무역전쟁, 중국발 경제위기등 갖가지 악재를 예상하여 전 세계적으로 금리 낮추고 유동성을 공급했다가 코로나 사태로 시중에 돈을 더 풀었죠. 공급부족외 다른 부분도 같이 설명해 주실수는 없을까요?
공급보다 더 중요한게 다주택자 중과세입니다. 공급은 그다음 2번째입니다. 부동산 가격에 가장 큰 영향은 금리인데 미국이 양적완화 이후 금리 몇번 올리다 이제는 제로금리 수준으로 가고 돈은 찍어대니 과거에 비해 부동산이 더 오르죠 금리가 저금리이고 앞으로 금리를 올리긴 힘든 상황이기 때문에 기존의 부동산이 있는 사람은 부동산 담보로 대출 받아 집을 또 사면 됩니다. 금리가 낮기에 보유비용의 부담이 적어 몇 채사고 오를때까지 안 팔고 쟁여놓으면 됩니다. 다주택자의 보유비용이 올라가 다주택자에 대한 부담으로 다주택자가 1주택외 시장에 매물만 내놓아도 집 값 지금처럼 오르기 힘듭니다. 그러나 안하는 이유 청와대도 다주택자들이 많으니까요. 공무원 월급으로 다주택 세금이 감당안 될 정도 되면 청와대 공무원들이 다주택하고 싶어도 못하죠. 그러나 자신들이 다주택자니까 안하고 다른 규제 정책만 하죠.
정말 이해할 수 없는 정부의 생각입니다. 경기를 살린답시고 금리는 0프로대로 떨어트리고 그 떨어진 금리로 대출이 상승하고, 현금의 가치는 떨어지면서 주식과 실물자산의 가치가 증가하는건 너무나도 당연한 현상 아닌가요? 거기에 2천만원 매달 양도소득세니 뭐니 주식 규제하려고 하고 부동산 세금 규제는 갈수록 심해지고, 규제가 강화되니 부동산같은 실물자산 재건축 재개발들은 분양가상한제를 시행하니 건축사들이나 조합원들의 부담이 커지기때문에 정책을 바꾸기까지 최대한 지양하려고 할것이고 월급은 같은데 경기고 나발이고 그냥 세금으로 억줴어 피말려 죽이는 수밖에라고 생각이 되지 않는데 이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폭등 이유는 수요.공급 불일치이지요. 대부분의 상식적인 인간은 경제 활동 초기에는 작은 평수의 집으로 시작해서 차근 차근 평수를 늘려갑니다. 어느 지역에서 주택수가 가구수를 넘어선다고 해도 원하는 평수의 주택이 남는다고 볼 수가 없죠. 대부분은 수요와 공급이 불일치해요. 그래서 주택수가 가구수의 2배가 된다고 해도 수요는 계속있을겁니다. 하물며 가구수가 주택수에 비해서 많은 상태에서는 초과 수요가 훨씬 많겠죠. 시장논리를 철저히 무시하는 이 정권에서는 집값은 계속 고겠죠.
항상 올려주시는 영상 감사히 잘 보고있습니다. http://naver.me/FmThQvTt 뉴스기사를 보다가 한가지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서울아파트 가격상승을 다른요인을 배제하고 공급만 봤을때 영상에서는 연도별주거용착공, 서울인허가물량으로 입주물량이 22년까지 부족할거라고 설명해주셨는데 기사에서는 더 좁게 '서울 아파트'에 한정한 인허가,착공,준공 자료를 보면 정말 '서울 아파트' 공급은 부족한게 아닌거 같은 생각이 듭니다. 이에 대한 박사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12-15년도 건설물량 공급이 3-4년후에 풀리는 공급에서 설마 가격상률 % 로만 보시는건가요?? 실가격이 얼마나 올라간건?? 공급이 낮아져서 문제다라면 공급이 늘어난 그래프 적용 받으면 가격이 내려 가야 하는게 아닌지?? 20년동안 서울에서 공급 물량 증가하면서 가격이 떨어짐?? 수요가 늘어서 그렇다면 그 사람들이 무주택자임??
지금 정부와 국토부 관계자들은 부동산 가격을 잡을 의지가 없는거 같아요. 그 많은 데이터와 자료 전문가들이 이런 정책을 편다고요? 믿기 힘듭니다. 만약 의도하지 않게 이런 결과가 나왔다면 다 그만두고 집으로 가야됩니다.. 너무나 무지한거죠..그것이 아니라면 본인들의 재산의 증식을 위해서 그게 아니라면 더 많은 조세 확보를 위해서 가격을 올리고 세금을 걷겠다는 의도된 계획인거죠.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국토불균형 성장이죠.. 중*단기 전략은 공급을 늘려야하는 것 맞습니다. 그러나 토지라는 한정된 공간에서의 공급이기에 다시 시간이 지나면 우리는 매번 똑같은 문제를 경험한다는 겁니다. 그래서 궁극적인 문제는 서울에만 집중되는 인프라 입니다. 서울에는 일자리도 있고, 각종 문화생활과 편의시설 등이 집중되어있습니다. 전국민 모든 사람들이 다 살고 싶어하죠. 그러다보니 불패신화라는 투기적 가수요와 실거주 실수요도 비탄력적으로 계속 나오기에 가격이 올라도 그걸 받쳐주는 수요가 있으니 계속 오르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자본비용이 낮아지는 금융문제도 크지요) 국토 균형발전도 계속 나오는 애기였긴 했지만, 매번 정치적인 문제로 인해 제대로 그 원안이 제대로 실현된적이 적었습니다. 그나마 세종시가 부분 성공했죠. 여튼간에 근본 문제는 균형발전입니다.
저는 영상에서 설명해주신 건축사의 공급뿐만 아니라 기존의 주택 거래에서도 공급이 줄어들었다고 봅니다 9억원 이상 주택 양도세 증가,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 소득 규제, 종부세 등으로 기존에 부동산에서 차익 실현을 통한 세금을 회피 목적 증여 물량만 증가하고 실거래 물량은 감소하고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지속되는 상승으로 영끌해서 부동산을 사는 수요증가, 작년 코스피와 나스닥을 포함한 해외주식 폭등에 수익실현을 통한 부동산 유입으로 수요증가도 가격 상승의 원인으로 봅니다 그런데 실거래 물량은 적은데 가격은 오르고 있으니 부동산 규제가 오히려 공급을 억제한 효과가 커서 서울 전체 수요 증가에 비해 서울 전체 공급이 낮아지고, 그 결과 실거래 물량(유동성)은 적은데 폭등한 것 아닐까요?
착공물량과 다주택자 증가추이를 같이 비교분석해야 할것 같습니다. 공급이 늘어도 다주택자가 더 많이 늘면 공급은 모자라게되고 반대로 공급이 줄어도 다주택자 즉 투기수요가 더 많이 줄면 집값이 내리지 않을까요? 두개의 그래프를 같이 비교해봐야 수요증가에 따른 짒값상승인지 공급부족에 따른 집값상승인지 알수있을것 같습니다.
마곡에 일자리가 대거 공급되어서 주택 수요가 늘어남. 특히, 대기업 R&D 센터 등 주택을 살 수 있는 여력이 충분한 사람들이 많음. 마곡까지 출퇴근 가능한 사정권(1~1.5시간 거리)이 거의 서울 전지역임. 마곡 입주 시작 시점이 16년부터 임. 아직까지도 마곡에 계속해서 일자리가 유입되고 있음.
부동산 문제로 고민되시고 답답한 분들을 위해 도움을 드리고자 글 올립니다. 올라도 너무 올라 매매로 내집마련이 엄두가 나지 않습니다. 앞으로의 전셋값은 올해 상승률의 두배로 예상되고 전세매물이 자취를 감출 것으로 예측 됩니다. 서울 고품질 아파트 내집마련 성공 방법 !!!! 소득, 자산, 차량가액, 무주택기간 등 까다로운 조건, 청약조건, 치열한 경쟁 없이, 추첨아닌 100% 우선 입주 성공!! 일반 전세시세보다 50-60% 저렴한 전세금 최장 20년 거주 가능(매 2년마다 재계약 방식) 현재 현행 법 상 20년 거주 후 분양전환 또는 20년 만기가 아니더라도 절반(10년)이상이 지나도 협의 하에 분양전환 될 수 있다 명시 남들보다 훨씬 저렴하게 입주하여 마음편히 안정적으로 여유롭게 사세요~~ 문의 전화 : 010-4040-1606 장기전세 특별공급 관련 정보 : https://blog.naver.com/binsookime/222141264308 SH서울주택공사 장기전세 특별공급
@ktoy-z6t 59
2020년 7월 14일 07:53정부는 알고있어요
알고있지만 세금 더 거둬야하니까 저러는거죠
@kt1293 47
2020년 7월 08일 12:47김현미 장관님이 이 영상을 보셨으면 좋겠네요.
@junghoonan2389 37
2020년 7월 07일 15:47정부가 3기 신도시니, 그린벨트 해제니 등등 얘기하는 것들이 적용되려면 거의 지금부터 5~10년 정도 뒤 일텐데
그 때까지는 집값이 계속 오르겠네요
희망 33
2020년 7월 07일 19:43정부는 절때 부동산 잡을 생각 없다
지들 집값이 올라야하니까
@papasmf1 32
2020년 7월 09일 08:52저도 집값이 계속 오른다고 봅니다. 제가 있는 고덕, 상일, 명일은 전세만 1달 사이에 1억이상 올랐습니다. ㅠㅠ
이은규 30
2020년 7월 07일 15:40저금리에 돈풀기 유동성 공급으로 자산가격이 뛰는 겁니다.
시중에 풀린 돈들이 노후화된 구도심 개발에 투자될 수 있도록 정책을 추진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요요요시 28
2020년 7월 07일 18:18민주당 : 니들 집가지면 우리 안찍을거니까ㅋㅋㅋ
@연구리-d6e 27
2020년 7월 07일 16:32큰 그림!!! 세수 확보 에이~ 홍박사님 아시면서
young j ahn 25
2020년 7월 07일 16:14'너는 다 계획이 있었구나'
표가 되는한 이 쇼는 계속됩니다.
@칼호건 22
2020년 7월 07일 16:37세금 세금 세금, 표 표 표 이거밖에 없어요. 이 정부가 잔머리 굴리는거 국민들이 다 알아요
philip park 21
2020년 7월 07일 16:31제 생각은 문정부 초기 임대사업자 정책 때문인듯 싶습니다. 소유하려는 욕구를 간과한거죠~
엔요100 19
2020년 7월 07일 16:00정부만 모르는 ? 알면서 모르는척하는 ?
hohji 18
2020년 7월 13일 02:02말씀하신대로 공급입니다. 이명박, 박근혜 시절때 공급과 지금의 공급을 비교하면 답나옵니다.
사우디 18
2020년 7월 07일 16:05홍박사님 정부 다 알고 있어요......일부러 그러는 거에요... 썸네일을 바꾸셔야.....
@puroyesgilbert9968 13
2020년 7월 08일 21:01몇 가지 궁금한게 있습니다. 공급을 안해서 집값상승한다라는게... 원론적인 수요공급측면에서 본다면 맞는 말이지만 공급한다고 가격이 하락하지는 않은것도 사실인거 같습니다. 재개발 재건축 안해서 공급부족인건 맞지만 헬리오시티 9천세대 입주할 때 송파에 대단지 입주해도...가격은 안떨어지더라구요. 오히려 신축들어오니 주변아파트까지도 가격이 상승하던데... 그리고 MB정부때 강남구 서초구 일부지역 개발해서 공급했을 때 서울집값 안정되었다고 하는 분들이 계신데 그때는 미국발 금융위기, 그리고 3년 뒤 유럽발 금융위기로 매우 경제가 매우 혹독하게 나쁜 시기였습니다. 반면 지금은 코로나 전부터 미중 무역전쟁, 중국발 경제위기등 갖가지 악재를 예상하여 전 세계적으로 금리 낮추고 유동성을 공급했다가 코로나 사태로 시중에 돈을 더 풀었죠. 공급부족외 다른 부분도 같이 설명해 주실수는 없을까요?
@ondo1030 12
2020년 7월 07일 18:20신특 자격은 터무니없이 안되고하니 그냥 매매하는거 맞아요.... 가점제나 자격요건등으로 1프로의 희망도 없어요 청약은 그러니 분양권을 사게되고 프리미엄 붙은 분양권이 신축에 반영되고 구축가격도 견인하고 ...
@성난늑대소녀 11
2020년 7월 29일 08:12집을 서너채 갖고있는자들이
부동산정책을 내고있는데 집값이 떨어질리있냐ㅋㅋㅋ
elostic k 11
2020년 7월 31일 23:45민주당이 사기꾼이다.
집값 폭등의 가장큰 원인은 문재인,김현미,홍남기이다.
다주택자들은 본질이 아니다.
이명박때 서울 아파트값이 중위값 기준 13퍼센트가 하락했는데
그건 다주택자들이 집팔아서 하락한건가?
다주택자는 본질이 아니다.
정책에 실패한 정치꾼들의 책임 회피 대상으로 지목된 희생양이다.
장담한다.
다주택자들을 옥죄일수록 서울집값은 더 오르고
서울-지방 간 양극화는 더 커질것이다.
왜냐면 어차피 한채밖에 살수 없다면
똘똘하고 비싼 한채를 선호할테니까.
만약
1가구 1주택을 시행한다면 강남,서울,경기도 순서대로 차례대로 가격이 올라갈것이고
지방-서울간 양극화는 더 벌어질것이다.
지금 집값폭등의 책임을 다주택자로 돌리는 이재명과 민주당 정치인들,
정권 어용 언론으로 전락한 mbc야말로 국민을 선동하고있다.
어느정권보다 더 교묘하고 질나쁜 사기꾼들
@Gold_King 10
2020년 7월 07일 15:50역시 홍박사님이십니다 정확하게 집값상승의 이유를 지적해주셨네요
지금 정부의 대책으로만보면
그냥 증세를 위해 부동산대책이 나오는것같아 의심이 듭니다
비브라이트 10
2020년 7월 07일 15:55하천 주변에 나무들은 하나 하나 죽어나가고 상류에선 홍수가 났는데 하류에서는 규제로 물길을 좁히고 있으니 범람은 시간 문제지 ㅎㅎ
지옥문은 선의로 포장되어 있고 그 문으로 들어간건 님들이니 불평은 제발 하지말길
평생 평범한 직장생활없이 정치병에 미쳐 산 사람들이니 그들은 그들만의 길을 갈뿐이고 당신들은 더 열심히 가라고 박수쳐 줘놓고 이제와서 불평한더는건 싸이코패스 아닌가,?
정부는 신념만 있고 국민은 염치가 없고
땡땡이 9
2020년 7월 16일 20:54공급이 없으면 집값은 계속 오를듯 한표 찍고갑니다.
@bravepanda5230 8
2020년 7월 08일 20:57공급보다 더 중요한게 다주택자 중과세입니다.
공급은 그다음 2번째입니다.
부동산 가격에 가장 큰 영향은 금리인데 미국이 양적완화 이후 금리 몇번 올리다 이제는 제로금리 수준으로 가고 돈은 찍어대니 과거에 비해 부동산이 더 오르죠
금리가 저금리이고 앞으로 금리를 올리긴 힘든 상황이기 때문에 기존의 부동산이 있는 사람은 부동산 담보로 대출 받아 집을 또 사면 됩니다. 금리가 낮기에 보유비용의 부담이 적어 몇 채사고 오를때까지 안 팔고 쟁여놓으면 됩니다.
다주택자의 보유비용이 올라가 다주택자에 대한 부담으로 다주택자가 1주택외 시장에 매물만 내놓아도 집 값 지금처럼 오르기 힘듭니다.
그러나 안하는 이유 청와대도 다주택자들이 많으니까요.
공무원 월급으로 다주택 세금이 감당안 될 정도 되면 청와대 공무원들이 다주택하고 싶어도 못하죠.
그러나 자신들이 다주택자니까 안하고 다른 규제 정책만 하죠.
@최경혜-q4r 6
2020년 7월 11일 15:12서울안에 있는 대학들을 경기도로 빼고 그부지에 아파트를 지어라 그게 해결책이라 경기도 로 빼면 여러가지 혜택을 주고
J진 6
2020년 7월 29일 11:05강남이 문젠데
강남의 공공기관등 이전 도 도움되지요.
@그레이트강-c5p 6
2020년 7월 28일 03:15공급 아무리 많이해도 1명이 10채씩 사들이면 시장이 왜곡되져..
@dokgo8240 6
2020년 7월 08일 16:16희소성이 중요하죠. 공급이 늘어나 희소성이 떨어지면 적어도 급등은 없겠죠. 신축을 늘리거나 아님 다주택자 매물이 시장에 나와야 하는데 신축은 3년 걸리고 또 다주택자들은 부동산에 대한 강력한 믿음을 바탕으로 버티겠지.
justin7 5
2020년 7월 07일 23:54부동산의 추세를 만드는핵심은 공급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어떠한 규제도 공급을 막는다면 규제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김은호 5
2020년 7월 08일 13:55기득권층을 보호하기 위한 가짜 정책들 입니다.
@유왕 5
2020년 8월 03일 18:30국회의원들이 투기해서
돈벌어야 되니깐 안내려가죠 ? ㅎ
빅토리 5
2020년 7월 30일 21:25일부러 나라를 망가뜨리려고 작정한듯 합니다
Hayek 4
2020년 7월 08일 11:112~3년의 주기르 보고 이번 정권 중 떨어질거 기다렸던 사람들이 정말 닭쫓던 개가 된 모습이네요.
이제 기다려도 돈이 많이 풀리고 인플레로 명목 가격이 높아져서 2년전 가격은 돌아올 수 없는 강이 되었네요.
@dreeeamer9887 4
2020년 7월 07일 15:46고견 잘 보았습니다. 감사드립니다!
@해바라기-j4s 4
2020년 7월 09일 17:56정말 좋은 정보입니다 왜 정부는 모르는걸까요
@we3dolphins492 3
2020년 7월 22일 02:26많은 기업과 정부기관이 지방으로 분산 되야 합니다. 서을떠나 지방으로 왔는데 집값이 서울에 10% 정도면 아파트 살수 있는곳이 너무 많아요.
@도째비-h4m 3
2020년 7월 12일 17:53엥~ 전에 라디오에서 자주듣던 이름이네요 반갑습니다ㅡ조아요 구독 갑니다^^
@morning1004ST 3
2020년 7월 08일 20:22역시~~~~~~ 정답이십니다!!
감사합니다♡
자유시장 3
2020년 7월 08일 21:37공급을 줄여서 가격이 오르는건데 양도세까지 올려서 공급의 뿌리를 뽑아버리네요. 참으로 놀라운 상황입니다.
김hy 3
2020년 7월 10일 12:47대출규제 세금 아무리 걸어봐도 여기서 오는 패널티는 결국 임차인 몫이다
@한경미-c1g 3
2021년 4월 27일 06:06주변분들 보면 투기 목적의 다주택자들이 많습니다. 3채부터 더 강한 세금정책이 필요할듯요. 늘 잘보고있어요^^
@좀비-f6r 3
2020년 7월 30일 01:582014년분양가 상한제 폐지가 집값을 올린겁니다..
부동산3법을 발의 해서 지들 이익을 챙겼지요
집값은 정책을 잘못쓰면 몆년뒤 이런결과를
가쳐 옵니다...
@coolwind5024 2
2020년 7월 30일 22:29정부가 이걸 모를리가 없다.. 그렇지만 복구대책을 제대로 실행하지 않는다.. 왜? 그 의도가 정확히 뭘까? 그리고 우리는 어떤 자세를 취해야하는가.. 국민이 똑똑하면 정부는 절대 어설프게 행동 못한다. 지금 국민들이 취하는 자세가 정부의 행동을 만든다..
레드파이프 2
2020년 7월 31일 00:48헥 니가 젤 한심하게 모르는거 같은데
고모씨 2
2020년 12월 14일 14:23저희 부모님이 민주당을 지지하시는데요, 이번 정권의 부동산 폭등은 이명박근혜가 부동산 관련 규제를 다 풀었고 금리가 낮아져 유동성이 폭증한데다 투기꾼들이 몰려서 공급은 충분한데 불가피하게 오른거라는 논리를 펼치시더라구요. 교수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ktw2347 2
2020년 7월 22일 10:46부동산에 대한 생각을 정리할수 있는 좋은 정보 입니다.
@나잘난-p3l 2
2020년 7월 10일 18:13국토부장관 부동산조사해봐야겠죠 ㅎ 궁금하내요 고위직 부동산다조사해봐야겠죠
김은미 2
2020년 7월 08일 23:15세수와.표에..마추는듯
@cherryh1954 2
2020년 7월 10일 01:25정말 이해할 수 없는 정부의 생각입니다. 경기를 살린답시고 금리는 0프로대로 떨어트리고 그 떨어진 금리로 대출이 상승하고, 현금의 가치는 떨어지면서 주식과 실물자산의 가치가 증가하는건 너무나도 당연한 현상 아닌가요? 거기에 2천만원 매달 양도소득세니 뭐니 주식 규제하려고 하고 부동산 세금 규제는 갈수록 심해지고, 규제가 강화되니 부동산같은 실물자산 재건축 재개발들은 분양가상한제를 시행하니 건축사들이나 조합원들의 부담이 커지기때문에 정책을 바꾸기까지 최대한 지양하려고 할것이고 월급은 같은데 경기고 나발이고 그냥 세금으로 억줴어 피말려 죽이는 수밖에라고 생각이 되지 않는데 이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s_tartree 2
2020년 7월 07일 21:28크흐 ,,, 역쉬 명쾌합니다 박사님!!!
이덕원 1
2020년 7월 09일 20:34폭등 이유는 수요.공급 불일치이지요.
대부분의 상식적인 인간은
경제 활동 초기에는 작은 평수의 집으로 시작해서 차근 차근 평수를 늘려갑니다.
어느 지역에서 주택수가 가구수를 넘어선다고 해도
원하는 평수의 주택이 남는다고
볼 수가 없죠.
대부분은 수요와 공급이 불일치해요.
그래서 주택수가 가구수의 2배가 된다고 해도 수요는
계속있을겁니다.
하물며 가구수가 주택수에 비해서 많은 상태에서는
초과 수요가 훨씬 많겠죠.
시장논리를 철저히 무시하는
이 정권에서는 집값은 계속 고겠죠.
신세계 1
2020년 7월 28일 21:49에라이!
Ahn Josh 1
2020년 8월 29일 22:39전 세계 돈이 일케 풀려있는데, 안 오르는게 이상하지..
수키라이프 1
2020년 7월 07일 15:41지금 사면 꼭지 잡는걸까요
cream cheese 1
2020년 7월 27일 19:27스트레이트
김은미 1
2020년 7월 08일 23:14알아도 모른척하겟죠
carpe diem 1
2020년 7월 09일 08:24모르는데 지들은 15-30채씩 가지고 있지 않겠죠 투기꾼들인데.... 알고도 일부러 저러는 겁니다
Andrew 1
2021년 3월 23일 15:08인구는 계속 줄어들고 서울인구밀도 이미 세계 탑급인데 공급 늘려서 뭐하나요.. 서울을 홍콩처럼 40~50층 아파트숲으로 만들자는건가
이도도 1
2020년 7월 23일 16:43금리예요 초저금리
유미셜 1
2020년 7월 30일 22:17좌빨들은 착한척하다가 거지되고 데모해서 끌어온다 ㅋㅋ
파파스머프 1
2020년 7월 07일 19:28숲세권, 군부대 부지, 제2 경부선, 3기 신도시, 보유세 강화, 경매 물량 증가, 갭투기 비율... 그럴듯한 말로 발톱을 숨기는 탐욕 덩어리들이 너무 많다. 그런 놈을 사기꾼이라고도 부르더군요.
김용대 1
2020년 7월 29일 23:40오르던 내리던 신경쓰지말고 참고 기다리다 경매나올때사라
exhibi1st 1
2020년 7월 07일 16:14공급을 착공단계로 보느냐 입주물량으로 보느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는 건가요? 2019년 2020년 입주물량이 많이 늘었는데도 집값이 오르는게 이상해서 질문드려요.심리가 실물보다 우선순위 인가요?
exhibi1st 1
2020년 7월 07일 16:14공급을 착공단계로 보느냐 입주물량으로 보느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는 건가요? 2019년 2020년 입주물량이 많이 늘었는데도 집값이 오르는게 이상해서 질문드려요.심리가 실물보다 우선순위 인가요?
Yun 1
2020년 7월 09일 19:56공급증가에 대한 말씀 공감하는데 서울 내의 택지는 무제한이 아니니 용적률을 높여야 한다고 보시는지요? 한편 궁금한 점이 대도시가 감내할 수 있는 인구밀도 혹은 한계 용적률은 어느 정도 되는지 질문 드립니다.
Yun 1
2020년 7월 09일 19:56공급증가에 대한 말씀 공감하는데 서울 내의 택지는 무제한이 아니니 용적률을 높여야 한다고 보시는지요? 한편 궁금한 점이 대도시가 감내할 수 있는 인구밀도 혹은 한계 용적률은 어느 정도 되는지 질문 드립니다.
신누리 1
2020년 8월 25일 10:28정말 좋은 영상입니다. 기형적인 집값 상승 원인을 알 수 있어서 좋았네요. 정부가 말하는 공급 충분은 서울은 정말 해당이 아닌 것 같네요....
Hjj Hjj 1
2020년 7월 10일 18:25수요공급보다 지금은 금리 . 유동성이 더 문제인듯요.
Young ja Byun 1
2020년 7월 27일 21:16세종에 집사놓고 세종으로 수도 옮기자고해서 눈 돌려놓고 시세 올리기ㅡ 말하고 세종 3억 올려놓았다고 칭찬ㅡ 말을 하지 말고 시장에 흐름에 맡기고 일이니 잘 해라
@박신규-j6b 1
2020년 7월 07일 23:21언제나 신뢰가 갑니다
@sooshin3569 1
2020년 7월 07일 16:46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superfree3175 1
2020년 7월 26일 02:23정부의 공급이 충분하다는 말은 다주택자들이 많아 그들이 집을 내놓게 하면 된다는 정책방향을 말하는 것 같은데 동시에 공급도 늘려서 집값 떨어지는 효과를 급속히 극대화 해야합니다
@caspera3520 1
2020년 7월 18일 10:20항상 올려주시는 영상 감사히 잘 보고있습니다. http://naver.me/FmThQvTt 뉴스기사를 보다가 한가지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서울아파트 가격상승을 다른요인을 배제하고 공급만 봤을때 영상에서는 연도별주거용착공, 서울인허가물량으로 입주물량이 22년까지 부족할거라고 설명해주셨는데 기사에서는 더 좁게 '서울 아파트'에 한정한 인허가,착공,준공 자료를 보면 정말 '서울 아파트' 공급은 부족한게 아닌거 같은 생각이 듭니다. 이에 대한 박사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Annie-c5o3u 1
2020년 7월 31일 21:022018년에 경기도에 물량 폭발햇는데 그 때도 안 내렸어요. 단순하게 수요 공급을 넘는 다른 이유도 크다고 봅니다. 심리요.
@안나경-r3u 1
2020년 12월 04일 17:524:35
@강상우-u5f 1
2020년 7월 31일 01:3612-15년도 건설물량 공급이 3-4년후에 풀리는 공급에서 설마 가격상률 % 로만 보시는건가요?? 실가격이 얼마나 올라간건?? 공급이 낮아져서 문제다라면 공급이 늘어난 그래프 적용 받으면 가격이 내려 가야 하는게 아닌지?? 20년동안 서울에서 공급 물량 증가하면서 가격이 떨어짐?? 수요가 늘어서 그렇다면 그 사람들이 무주택자임??
@johnkim6763 1
2021년 2월 06일 09:39이명박이 아파트 공급 미친듯이 풀때가 서민들 살기엔 가장좋았지.. 난 다음대선땐 경제전문가를 뽑을거임
Junghwan ahn
2020년 9월 19일 12:076:54 부동산 시장이 잘돌아갔다는 신뢰....? 실제 부동산 다녀 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손님이 더 귀합니다. 실수요에 대한 공급부족으로 인해서 오르는거에 대해 확인하시고픈 분들은 인천 검단신도시에 한번 가보세요 분위기가 어떤가 .. 침체인지 호황인지
JH Keum
2020년 9월 16일 17:08정부가 부동산 시장의 수요/공급 흐름도 모르는 주제에, 집값을 잡으려고 규제로 수년 전의 공급을 꺾었기 때문에 현재 집값이 폭등한 것이라 정리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윤숙경
2020년 8월 09일 19:52주택이 모자른데 외국인 사고있으니 걱정이다
백미리
2020년 9월 24일 00:45진짜위험한 방송이네요 이걸보고 집사면 호구되는것
G. Ryon'
2020년 8월 05일 22:2710년 470만 가구 공급해도 다주택자가 50퍼센트를 쓸어 담는 쓰레기같은 일부 국민을 탓하라. 여기서 멍멍거리지 말고
DW
2020년 7월 24일 17:20집값의 폭등은 막을 수 없겠네요.... ㅠ
@eugenedavid8663
2020년 7월 21일 14:04지금 정부와 국토부 관계자들은 부동산 가격을 잡을 의지가 없는거 같아요. 그 많은 데이터와 자료 전문가들이 이런 정책을 편다고요? 믿기 힘듭니다. 만약 의도하지 않게 이런 결과가 나왔다면 다 그만두고 집으로 가야됩니다.. 너무나 무지한거죠..그것이 아니라면 본인들의 재산의 증식을 위해서 그게 아니라면 더 많은 조세 확보를 위해서 가격을 올리고 세금을 걷겠다는 의도된 계획인거죠.
윤숙경
2020년 8월 09일 19:53결혼은 꿈도 못꾸고 혼자살기도 벅차다 집값때문에
물방개1호
2021년 1월 24일 21:13정부가 멍청이가 아님
@신주연-x2m
2020년 7월 18일 10:54많은 공감을 느끼는 영상입니다!
학교에 가을학기 수강신청하다보니 박사님 강의가 있어서 반가웠습니다.
감사합니다
yj i
2021년 2월 03일 00:11그니까 주택 공급이 정책들로 인해 줄어서 집값이 폭등하는거라는건감
@rnthsla
2020년 7월 08일 01:48항상 잘보고잇읍니다 홍박사님
jaykimm shsv
2020년 8월 04일 15:51진짜 정부가 모른다고 생각하시나요? ㅋㅋ
도봉구간달푸
2020년 8월 04일 23:18의원님 다주택이시죠??? ㅋㅋㅋ
뚭22
2020년 11월 01일 22:55아니....신혼집을 3억짜리를 봐뒀는데 1억모아서 가서보니까 8억이 되있어서 부영아파트임대전세로 들어갑니다
무주택기간도 안되서 청약은 불가능이라서요.
8억짜리집을 일반 서민들이 살 수 있나요?
강정용
2020년 7월 29일 07:57정부만 모르는 이 아닌
정부가 알고도 저지른 이겠지
@user-zy8eb9fj5y
2020년 7월 20일 20:12영상 연속으로 보는 중독성~ 너무 쉽게 알려주셔서 재미있어요~^^
Goldbowl
2020년 8월 16일 11:47가격올리는 정책을 22번이나 해대서
가격이 올라가는데 무슨 문제라도?
@진리-c8p
2020년 7월 18일 13:31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국토불균형 성장이죠.. 중*단기 전략은 공급을 늘려야하는 것 맞습니다. 그러나 토지라는 한정된 공간에서의 공급이기에 다시 시간이 지나면 우리는 매번 똑같은 문제를 경험한다는 겁니다. 그래서 궁극적인 문제는 서울에만 집중되는 인프라 입니다. 서울에는 일자리도 있고, 각종 문화생활과 편의시설 등이 집중되어있습니다. 전국민 모든 사람들이 다 살고 싶어하죠. 그러다보니 불패신화라는 투기적 가수요와 실거주 실수요도 비탄력적으로 계속 나오기에 가격이 올라도 그걸 받쳐주는 수요가 있으니 계속 오르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자본비용이 낮아지는 금융문제도 크지요)
국토 균형발전도 계속 나오는 애기였긴 했지만, 매번 정치적인 문제로 인해 제대로 그 원안이 제대로 실현된적이 적었습니다. 그나마 세종시가 부분 성공했죠. 여튼간에 근본 문제는 균형발전입니다.
@Merong1481
2021년 4월 12일 12:46저는 영상에서 설명해주신 건축사의 공급뿐만 아니라 기존의 주택 거래에서도 공급이 줄어들었다고 봅니다 9억원 이상 주택 양도세 증가,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 소득 규제, 종부세 등으로 기존에 부동산에서 차익 실현을 통한 세금을 회피 목적 증여 물량만 증가하고 실거래 물량은 감소하고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지속되는 상승으로 영끌해서 부동산을 사는 수요증가, 작년 코스피와 나스닥을 포함한 해외주식 폭등에 수익실현을 통한 부동산 유입으로 수요증가도 가격 상승의 원인으로 봅니다 그런데 실거래 물량은 적은데 가격은 오르고 있으니 부동산 규제가 오히려 공급을 억제한 효과가 커서 서울 전체 수요 증가에 비해 서울 전체 공급이 낮아지고, 그 결과 실거래 물량(유동성)은 적은데 폭등한 것 아닐까요?
@말뚝이-h1w
2020년 7월 22일 21:32댓글을 보니 부동산 관련 얘기가 많은데요.
제가 궁금한 건 앞으로 디플레가 오느냐 인플레가 오느냐입니다.
코로나 초기만 해도 디플레가 확실해 보였는데 각국에서 돈을 어마어마하게 풀어내는 통에 인플레가 오는게 확실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근데 디플레에 대해서 말씀하시니 좀 혼란스럽네요,
사랑의탁구교실
2020년 11월 27일 19:59모스크바에 주재원이었는데 소비에트 공산사회주의자들은 부익부빈익빈의 주범과 일당은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바로 공개 총살형입니다. 정말입니다.
@패쎤커피
2020년 7월 29일 20:20착공물량과 다주택자 증가추이를 같이 비교분석해야 할것 같습니다. 공급이 늘어도 다주택자가 더 많이 늘면 공급은 모자라게되고 반대로 공급이 줄어도 다주택자 즉 투기수요가 더 많이 줄면 집값이 내리지 않을까요? 두개의 그래프를 같이 비교해봐야 수요증가에 따른 짒값상승인지 공급부족에 따른 집값상승인지 알수있을것 같습니다.
깸또리
2020년 8월 06일 05:22알껄?
이그레이스
2020년 7월 29일 16:281인 가구 증가로 주택 보급율 105%도 거짓말입니다.
@마진다늘-l4w
2021년 10월 18일 19:09마곡에 일자리가 대거 공급되어서 주택 수요가 늘어남.
특히, 대기업 R&D 센터 등 주택을 살 수 있는 여력이 충분한 사람들이 많음.
마곡까지 출퇴근 가능한 사정권(1~1.5시간 거리)이 거의 서울 전지역임.
마곡 입주 시작 시점이 16년부터 임.
아직까지도 마곡에 계속해서 일자리가 유입되고 있음.
매일매일 천로역정
2021년 1월 10일 15:58나라의 땅값어치가 많이 올라있군요. 기뻐해야 할지..
@난황금시계
2020년 7월 09일 09:15많이 웃었어요. 반갑습니다. 돈의역사읽고 왕팬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baracudac1664
2020년 8월 01일 10:1016년 이후 규제가 들어갔고 부동산은 14년 글로벌 위기 때문에 올라갈 상승 모멘텀이 없어서 그랬던 것...
@마이어암셀
2021년 11월 05일 09:51증세 없는 복지, 공급 없는 집값안정은 전부 구라여 .
젊은 태양
2020년 7월 31일 17:36알지만 모르는척..목적이 다르니까..
@김숙진-c5f
2020년 7월 26일 10:46몸테크 신조어 확 와닿네요
검정고무신
2020년 7월 28일 00:03정부는 집 공급 많이 햇다고 구라까네요 구라정부 구라 김현미 장관 ...구라정권
김수빈
2020년 11월 16일 11:17부동산 문제로 고민되시고 답답한 분들을 위해 도움을 드리고자 글 올립니다.
올라도 너무 올라 매매로 내집마련이 엄두가 나지 않습니다.
앞으로의 전셋값은 올해 상승률의 두배로 예상되고 전세매물이 자취를 감출 것으로 예측 됩니다.
서울 고품질 아파트 내집마련 성공 방법 !!!!
소득, 자산, 차량가액, 무주택기간 등 까다로운 조건, 청약조건, 치열한 경쟁 없이, 추첨아닌 100% 우선 입주 성공!!
일반 전세시세보다 50-60% 저렴한 전세금 최장 20년 거주 가능(매 2년마다 재계약 방식)
현재 현행 법 상 20년 거주 후 분양전환 또는 20년 만기가 아니더라도 절반(10년)이상이 지나도 협의 하에 분양전환 될 수 있다 명시
남들보다 훨씬 저렴하게 입주하여 마음편히 안정적으로 여유롭게 사세요~~
문의 전화 : 010-4040-1606
장기전세 특별공급 관련 정보 : https://blog.naver.com/binsookime/222141264308
SH서울주택공사 장기전세 특별공급
@jamesk2238
2020년 7월 30일 23:16강남 집값 계속 오르고 세금도 계속 올랐으면 좋겠어요! 그런데 가계부채도 계속 증가하는 군요... 저금리 덕분에 버틸만 하겠지만... 천년만년 가겠어요?
박정우
2020년 8월 14일 16:40좋은 말씀 고맙습니다.
outpocus
2020년 12월 14일 00:40공급도 공급이지만
세계나 여러므로 경제가 불안 하니까
비교적 안전자산이라 평가받는 집 가격이 많이 오른거 아닐까여?
코로나 끝나고 경기회복이 원만하게 된다면 2년 안에 어느정도 빠질거 같은데 어떤가여?
Exterminator 777
2020년 7월 29일 19:16정부가 모른다고 생각하다니 웃기네요 ㅋㅋㅋㅋ
정부는 잘 알지만 어떻게 이용할지만 고심할뿐입니다
남승민
2020년 9월 19일 16:02국토교통부 관계자들 불러다가 앞에서 피티 시키고 싶네요... 이 사람들이 진짜 데이터를 근거로 정책 판단을 내리고 있는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