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90권 쓴 지식생태학자가 이야기하는 미래인재의 조건 | 유영만 한양대학교 교수, '유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한다' 저자 | 명언 니체 인재 | 세바시 나머지 45분 ep.3
유영만 교수의 강연 섭외는 이 번호로 문의주세요! ☞ 02-2652-2102 세바시 강연에서 못다한 이야기, 세바시 나머지 45분 ep.4 유영만 교수 편 출연 : 유영만 한양 ......
유영만 교수의 강연 섭외는 이 번호로 문의주세요! ☞ 02-2652-2102 세바시 강연에서 못다한 이야기, 세바시 나머지 45분 ep.4 유영만 교수 편 출연 : 유영만 한양 ......
@eunhyepark7971 91
2020년 7월 18일 19:23“써놓고 수정하는 것과 안써넣고 고민하는 것은 하늘과 땅 차이다”
공감합니다. 가라타니 고진은 쓰는 것, 즉 고백을 통해 내면이 창조된다고 했습니다. 그의 말처럼 머리속에 있는것을 쓰는게 아니라 쓰다보니 나의 세계관이 형성되는 것 같기도 합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amirlee2215 78
2020년 7월 10일 22:57책쓰기는 발상이 아니라 연상이다. 아이들에게서도 배운다. 모든 순간이 배움의 순간이다. 쓰기는 쓰기를 통해 향상된다.
한 문장을 쓰면 그 문장이 다음 문장을 불러온다.
인상적입니다.
@giyok3167 73
2021년 1월 22일 06:10모든 쓰기는 쓰기를 통해서만 향상된다. 명언이예요!
@3linediary 53
2020년 7월 09일 07:4290권의 책을 쓸 수 있었던 노하우는,
리추럴(ritual). "의도적으로 반복하는 습관"
의지를 써서, 반복하다 보면, 습관이 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해요:)
Amir Khan 51
2020년 7월 10일 23:15지성이 빠진 야성은 야만.
야성이 빠진 지성은 지루함.
두 가지의 적절한 조화가 필요하군요.
@s.5710 49
2020년 7월 10일 19:10박학다식하시기도 하지만 유머와 삶의 여유가 있으시네요. 그래서 듣기가 참 편하네요.선생님 글 한번도 못읽었는데 꼭 찾아 읽고싶어지네요. 모든게 유연한 융합이 중요한 시대네요.
@hyg6035 41
2020년 8월 17일 17:31나이가 들면 들수록
유연하고 유쾌할 수 있는것은...
인생을 재미있게 보고
어떤 상황에도 목적때문에
일상의 기쁨을 패스하지 않는
자세를 가질때 가능한것 같은데....
그런 자세를 가지신 교수님 강의를 들으니 행복해지네요^^
감사합니다♡
@최지윤-s6r 39
2020년 7월 09일 10:32글쓰기는 발상이
아니고 연상이다
쓰다보면 계속
생각이 이어진다는
것이네요
안쓰는거 보다는
써놓고 수정한다
@philous_official 32
2020년 7월 11일 03:42스페셜 제네럴리스트. 전문가들의 지식을 좀 더 쉽게 알려주시는 능력이 대단하세요! 정말 와 하고 감탄하고 갑니다.
@elizabethlee5633 28
2020년 7월 29일 09:15EQ 와 IQ 가 잘 조화를 이루시는 대단한 분이시네요. 학생들에게 생각하는 방법을 가르치니니 참 감사합니다! 듣고만 있어도 행복지수가 올라갑니다!! Thumbs up!!
@하희범TV 28
2020년 7월 09일 15:00언어를 적재적소에 잘 끌어다 놓으시는 것 같네요! ㅋㅋ '사이전문가'
교수님은 언어들속에서 깨달음을 얻는 분이신것 같아요.
재밌게 잘들었습니다!
볼빨간사마귀 27
2020년 7월 11일 22:25저 대학교 1학년 때 교양수업에서 교수님이 글쓰기의 장점이 뭐냐고 물어보셨거든요 제겐 아무래도 생각을 명확히 쓸 수 있다는 말은 그냥 당연했고 고민해본 뒤 글을 쓰면 생각이 점점 발전됩니다라고 말씀드렸는데ㅋㅋ 교수님은 고개를 갸우뚱하시더니 다른 애가 생각을 명료히 기록할 수 있다고 하니까 그렇죠!라고 하신 기억이 나네요 이제라도 인정 받은 기분이 들어 기쁘네ㅎ
@크와왕-c5f 27
2020년 7월 09일 11:20와 글쓰기는 발상이 아니라 연상이다 .. 이 말이 진리네요 새로운거 발상해내려하니 글이 안 써지는거 같아요 연상작용처럼 하면 좀 더 쉽게 접근할수 있겠어요
KH KANG 27
2020년 7월 09일 09:28완전히 반했습니다. 구구절절 재미에 공감과 감탄을 불러일으킵니다. 제가 피해야 할 사람이었습니다. 필요할 때만 연락하는 사람, 내 얘기만 떠드는 사람, 옛날 얘기하는 사람이 되지 않는 좋은 비결이 있을까요?^^
@이미-z1g 23
2020년 8월 13일 00:23유영만 교수님 사이전문가라는 개념 처음 들어봤지만 우리 사회에 정말 필요한 존재인것같아요
@박선영-i4x1f 22
2020년 7월 09일 16:30글쓰기는 발상이 아니라 연상이다 와우!!
@g1006 19
2020년 7월 15일 23:02코스웍 때, 지도교수님보다 유교수님 강의를 더 많이 수강했던 학생입니다. 그 때만 해도 70여권을 쓰셨었는데 언제 또 이렇게..ㅎㅎ
여전히 건강하시고 유쾌하셔서 더 반갑네요. 학위논문 주제가 '사이전문가' 와 연결점이 있어 넘 즐겁고 기분좋게 잘 봤습니다. 교수님 유튜브 채널 구독하고 자주 보는데 항상 인사이트 얻어갑니다. 감사합니다😊
@parkwonjin3728 18
2022년 12월 15일 11:06행복은 행동에서 온다
행복은 동사이다.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seaforestN 16
2020년 7월 16일 09:54이런 이야기를 세바시에서 온라인으로 들을 수 있어 너무나 행복합니다.
책 5개를 읽은 기분이네요,, 모든 주제가 다 영감, 공감이 되었습니다.
한 번 더 보면서 정리를 해보고 교수님의 책도 잘 보겠습니다^^
언어유희 센스 최고세요👍👍
ᆞ티 15
2020년 7월 09일 09:28나를 괴롭힌 악인 열명으로 글을 쓴다ㅋㅋㅋㅋ
/그 사람을 만나면ᆢ 미래는 없고
과거 이야기만 있는 사람ᆢ
나인가?;;; ~ 감사합니다~^^
소장각~^^ 넘 재미있게 듣고 가요~
또 올께욥 ㅋㅋ
Bumjoon Koo 15
2020년 7월 09일 08:18호모 디페랑스. 개인적으로 제가 하는 일에 깊은 관련이 있겠구나 싶어서 큰 인사이트와 용기를 얻었습니다. 전문가와 전문가를 연결하고 다시 그들을 사람들에게 소개하는 일~~
@임정화-e9s 14
2020년 9월 04일 13:35세바시 15 너무 애청하는데요.나머지 45분..와~~ 정말 좋네요. 마음속으로 늘 글을 쓰고 싶었지만 생각만으로 허튼 세월 보냈는데 일단 써보는게 중요하네요.이제부터 한 문장이라도 써 볼 의욕이 생겼습니다~좋은 유튜버 기획해 주시는 구 범준님 늘 감사합니다^^
@김유진-r3z 14
2022년 12월 15일 15:17교수님 매력있으시다......강의 참 좋네요^^ 좋은 이야기들 감사합니다!!
@윤샘다락방 14
2020년 7월 10일 11:17대충 말씀하시는것 같은데 깊이가 있네요~~~~♡
yuna son 13
2020년 11월 15일 11:02글쓰기의 강력한 비결은 "쓰기"이다.
글쓰기는 상상이아니라 "연상"
한문장을 쓰면 문장이 문장을 불러온다.
글쓰기는 개발이든 소발이든 써놓고 수정하는것. 안써놓고 고민하는것과 천지차이이다.
참고문헌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사람은 더 빨리 무언가를 쓸수있음. 왜냐면 자료가 많아서 더 많은 연상이 가능하기때문.
@dance-7959 13
2020년 7월 09일 08:07많이 배우고 갑니다!
만나지 말아야할 사람, 공감 백배입니다.👍👍👍
KM Kim 12
2020년 7월 11일 15:23드라이브 스루는 감염내과 의사의 발상였습니다 ㅎㅎ 정정 사항
@장금아-i1z 12
2020년 7월 11일 09:42드물게 '유연하고 열린 지성인이네요! 단순한 지식인이 아니라!~"배움의 천국"!!!(참으로 멋진 말이네요)~'지금 이순간' 멋진 교수님 강의에 행복해요🌻🌻🌻
@kimera0813 12
2020년 7월 11일 10:30의지를 써서 반복하다보면 습관이 된다. 이 말에 공감했어요. ^^
최근에 블로그에 글을 쓰고 있는데 습관이 되지 않아서 매일 쓰는 게 쉽지 않더라구요. 읽으면서 쓴다. 글쓰기는 발상이 아니라 연상이다. 글쓰기의 가장 좋은 방법은 쓰는 것이다. 이라는 말 기억하고 따라해보도록 할게요. 모든 순간을 배움의 순간으로 사시는 작가님의 모습을 통해 오늘도 배웁니다. 고맙습니다 ^^
@jec9713 11
2020년 8월 19일 09:45행복은 행동이며 동사이며 감탄사이다. 명언감사합니다.
@hyorimseok1607 11
2020년 7월 14일 11:42다른거 다 떠나서 교수님 너무 유쾌하셔서 보는 제가 기분이 좋습니다ㅋㅋ 삶에 대한 무겁지 않고 진중하면서 가볍지 않고 유쾌한 태도. 이것을 배우고 갑니다~
@shinkim2848 10
2020년 7월 26일 10:57교수님 이야기 너무 좋고 자신의 경험 지식 나누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이 배우고 가요!! 교수님 책들 읽어보고 싶네요.
신동운 10
2020년 7월 09일 14:34지식과 사회성과 유머를 갖추신 게 너무 멋지시네요.
@juya3393 10
2021년 3월 22일 11:29보는내내 유쾌해서 좋은 에너지 정말 많이 받았습니다^^ 저도 체력이 모든것을 이끌어가는 힘이라 생각하는데 반갑네요. 반면교사들을 보며 그들을 통해 또다른 깨달음을 얻으시는 풍자적 태도에 감탄했구요. 정말 멋진 분이네요. 유라튜스트라는 말한다 ㅋㅋㅋ진짜 빨리 읽어보고 싶어요 책 써주셔서 감사하고 언젠가 꼭 한번 뵙고 싶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십시오!!
@vivianjang99 8
2020년 9월 01일 18:12와 이렇게 맛나게 이야기하시는 분이 교수님... 이제야 할 게 되었나... 하면서 검색중입니다.
확 찾아서 모두 들어보려 합니다... 감사합니다...^^^
주네스 대세그룹TV- 다이아몬드를 캐는 플랫폼 7
2020년 7월 12일 11:52행복 말씀 감사합니다♡
지금 숨쉬는 거 행복이죠~ㅎ
체험도 중요하고 모든 행위 알아차림도 굉장히 중요코!
사이전문가가 되기 위해 더 자유로울 수 있도록 맘챙김 노력하고 있어여~^^
존재가 이 세상이유?라면 즐겁고 행복하게 건강한 삶!
작성자님들의 자유와 행복을 기도합니다~_()_
Rajaeworld CANADA[라재월드] 7
2020년 7월 09일 08:55우리가 지향해야 할 미래전문가는 스페셜 제네럴리스트 또는 제네럴 스페셜리스트라는 말씀이 인상적입니다.
Choice.S C 7
2020년 7월 12일 18:54작가님이 철학적 사유를 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시네요. 감사합니다. 철학은 역시 실천을 잘 하기 위한 이론 학습에 불과하죠. :)
웨드 7
2020년 7월 09일 09:50대문호 세르반데스를 키운 스페인, 세익스피어의 영국, 괴테의 독일, 한국에는 유영만교수님 ~~ㅎ
ne ru 7
2020년 7월 09일 08:43이거 완전 그릿인데?
@GOOD-q1k5l 7
2020년 8월 11일 01:00행동하면 행복해진다
초미아트 : Chomi Art 7
2020년 7월 09일 09:09주력이 필력이다~~??!!
"취중에도 글 쓴다"에 한 표~^^
@물탄술탄 7
2020년 7월 11일 12:56와, 지성과 야성을 갖추신 분이네요! 짧은 시간 많이 배우고 느꼈습니다❤️
@sophinsyoon7355 6
2020년 10월 19일 12:43정해진 답이 없이 역발상을 할 수 있도록 대학에서 선출 방법을 먼저 바꿀 수 있도록 교육 계획 변화를 선도해 주세요. 부모님들도 다 알고 있지만 현실이 그렇지 못하니 어쩔 수 없습니다.
@boreum-o3o 6
2020년 8월 31일 07:4045분안에 정말 많은 내용이 담겨있네요 ! 지금 들을때는 지금 상황에 맞는 내용들이 귀에 더 들어오지만, 나중에 다시 들으면 또 그때상황에 맞는 내용들이 귀에 담길 것 같아요. 나중에 다시 보고싶은 영상입니다.
세바시 강연 Sebasi Talk 6
2020년 7월 09일 10:04👉🏻'조용민 구글매니저'의 세바시 나머지 45분 🎬 https://youtu.be/Nvt6RvE6BTQ
👇🏻유영만 교수의 세바시 강연은 여기 있어요
🎬공부는 망치다 https://youtu.be/XZj2Cb2uBVM
🎬세상을 지배할 전문가의 새 이름, 브리꼴레르 https://youtu.be/fGUR78IPulY
@neoclon9909 6
2020년 7월 11일 10:39행복이란 행동하면 복이온다.
@ssunnyssunny2043 6
2020년 7월 09일 11:18유쾌하게 이야기를 해주셔서 기분 좋게 시청했습니다~감사합니다~~
샬롬소영Shalomsoyoung 5
2020년 8월 08일 11:55재밌게 잘 들었네요~ 행복은 근육양에 절대 비례한다⛵
@rubyst.2571 5
2020년 8월 15일 09:31단어선택이 ㅋㅋㅋ 빵터져요😆 센스쟁이
이미 5
2020년 8월 13일 00:33와 교수님 책 한번 읽어봐야겠어요 지금까지 봤던 강연 중 가장 제게 와닿고 개발하는데 딱 필요한 부분들을 다루신 것 같아요ㅠㅠ
자녀교육최경선 5
2020년 7월 09일 18:41세바시 나머지 45분도 좋네요~~ 유영만 교수님 이야기 감사히 듣고 갑니다.
신나는농부 5
2021년 1월 14일 08:18월간 유영만이시군요^^ 삶이 참 옹골집니다 글쓰기와 책읽기 습관을 다져야겠어요
@흐르는물-c2s 5
2020년 8월 08일 06:40와ㅡ강의들으니 흥분되요ㅡㅎㅎ EBS마스터강의에서 교수님 뵜는데 새로운 관점과 유쾌함을 주셔서 인상적이었거든요.저는 배우는게 제취민데 배움의 천국이라는 말씀 주셔서 너무 공감되요.이시대에 사이전문가가 많이 나와서 행복한 즐거운 시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hanachung7048 4
2020년 7월 11일 20:12깊이 있는 철학적 이야기를 이렇게 웃으며 즐겁게 말씀을 해주시니 너무 좋네요. 행복은 근육에 비례한다는 것 체감하고 있어요. 머리가 몸에 붙어 있는데 생각이 우주에 가 있으니 의미추구는 커녕 우울함만 커지더라구요. 1일 1요가 진행중인데 근력운동도 해야겠어요. 체덕지 기억할게요.
최지윤 4
2020년 7월 09일 10:26책쓰는 공장
표현이 너무
재밋네요
세바시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ming miric 4
2020년 7월 11일 00:13만나지 말아야할 사람을 빼고 나면 만날 만한 사람이 있기는 한가요?
만나자 마자 지금 하고 일로 사람의 우열이 평가되고, 가지고 있는 돈으로, (아파트,차,가방,옷차림,생김새등)으로 평가 되는 세상에서 사람들이 오바하지 않기란 힘든 일 입니다.
자랑과 멸시, 이익과 손해의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관계 외에는 지속가능성이 없습니다.
Debujo Cho 4
2020년 7월 09일 08:42제 삶에 큰 도움됬습니다. 감사합니다.
조경희 4
2021년 1월 06일 10:50공감, 협력, 협여,
사람들과 조화를 이루고
신체적인 활동에 있어서 건강해야하며 돈도 있으면 금상첨화겠지요~~^^
@메이-g8g 4
2020년 7월 12일 15:45와~~이분 최고시당♡
멋진분이시네요
저도 오늘하루 감탄사가 몇개인지 적어봐야겠네요♡
푱화 4
2020년 7월 09일 07:52미래인재의조건
SU 4
2020년 7월 16일 15:23교수님 말 할 때도 센스 넘치신다!!ㅎㅎ 제 목을 걸어서 제목을 짓겠다니...ㅋㅋㅋ
이문찬 3
2020년 7월 10일 18:19지금 책장에서 다시 꺼내볼수 잇는 책이 몇권인가가 더 중요한거 아닐까.
지하생활자tv 3
2020년 7월 11일 23:33이젠 행복해지는 방법 중 하나로 행복을 포기하기도 진지하게 고려해봐야할거 같아요 행복이라는 단어의 뜻을 정의하기 어려운 것부터 실재하는 개념인지 의심도 가고요
이미 3
2020년 8월 13일 00:13저도 글쓰기할때 참고하고 또 참고하고 미친듯이 조사하고 연상해요. 하지만 글쓰기 결과물이 좋아도 그 연상 이후의 참고한것들이 오로지 제가 만들어낸 표현이 아니라는 생각에 스스로 실망감을 느꼈어요. 교수님이 책 쓰실때도 참고하신다는 말 듣고 아 원래 이렇게 하는거구나 싶네요. 맞나요?
Heron 3
2020년 8월 11일 02:50고진감래가 아니라 고진통래. 연골이 필요하다. 행복은 신체성에 있다. 행복은 동사이다. 하루동안 하는 행위 동사와 감탄사가 행복이다. 행복은 근육량에 비례한다.
오래 전에 멍때리다가 내릴 전철역을 지나쳐서 엉뚱한 곳에 내린 적이 있지요. 국철역이라 노상에 있는 한가한 역이었는데, 그 이후로는 일부러 그 역에 내렸다가 다시 가곤 했던 적이 있습니다. ㅎㅎ
@원진이-n7r 3
2020년 8월 22일 07:25유익하고 깊이 있는 말씀 유쾌하게 감사히 시청하고 잘 하고 갑니다.^^
이재원 3
2020년 12월 27일 15:42지성과 야성의 조화
체 덕(인) 지
Ari seungh 3
2020년 7월 09일 12:45경험 플러스 지식이 어우러져
재미난 시간이었습니다~
Chung Hwa Foley 3
2020년 12월 01일 12:50맟읍니다! 저는요! 교수님🐎씀참제미있어요😁😁💗
이미 3
2020년 8월 13일 00:25놀이충동에서 창조가 나온다... 저도 놀면서 오히려 아이디어를 얻어요
우아한 Roh. 교수의 사생활 3
2020년 7월 13일 12:35넘 의미있는 이야기. 매일 매일 감탄사가 많은 그런 감사의 날이 되기를. 행동하고 근육량을 키우기위해 오늘도 라인댄스 고고씽
@이미-z1g 3
2020년 8월 13일 00:27전 정해진 루트가 없는 상황이 너무 좋아요 정말 어떤 방식이든 제가 시도해볼 수 있다는 게 사랑스럽게 느껴질정도에요
송쌤Dance & Aerobics 3
2020년 7월 09일 12:35아침에 듣고, 점심 때 또 들었는데
너무 재밌게 잘들었습니다.👍👍👍
@박광희-m5t 3
2021년 5월 13일 23:38와웅 ~~
요즘, 유영만 교수님의 강연에
푹 빠졌답니다.
제가 근사한 사람이 될것
같아요 ^^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시율짱 3
2020년 7월 31일 09:42재미있는 이야기 아주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전하는 영이 3
2020년 7월 09일 12:54우와~~!!! 저에게 너무 많은 감탄사를 연발하며 웃으며 들었어요^^ 감사해요 👍👍👍👍👍👍👍
이금희 2
2020년 7월 14일 04:49유교수님, 저도 지금 지금 행복을 추구하기로 했는데.ㅋ.ㅋ.ㅋ.
ᆞ소화델사 2
2020년 7월 17일 12:57너무 재밌어요^^언어유희ㅎ배워보고 써먹을랍니당♡즐겁게 나를 써먹도록 갈고 닦을께요!!감사가 넘칩니다♡
리예우 2
2020년 8월 11일 02:37캐나다에 와서 한국분이 하는 농장에서 봄에 캔 야생 노지 시금치로 국을 끓여 먹은 적이 있지요. 내 생애에 그렇게 맛있는 시금치국은 없었답니다. 뿌리가 굵고 짧으며 잎파리도 잛지만 두툼한 게, 완전 다른 모양이었지요. 거의 뿌리까지 다 같이 끓였는데 잊을 수 없는 맛이었습니다. ㅎㅎ
SY Kim 2
2020년 7월 10일 07:24유쾌합니다. 인생을 가볍게
Jesica Je 2
2020년 8월 10일 11:24행복은 행동이다.... 하루의 모든 행위동사에 감탄하라....
김조르봐 2
2020년 8월 22일 19:33네이버 카페 문화가 됐다
실시간정보가 댓글로 돈다
책만 본 전문가는 이제 덜 중요하다
푸른호두나무 2
2020년 7월 11일 09:40좋은말씀듣기= 행복
spring heo62 2
2020년 9월 11일 15:57유영만 교수님 보다 199년 먼저 태어나신 정약용 선생님과 견주어도 되겠지요. 리스펙트~~
이금희 2
2020년 7월 14일 04:41브런치?.ㅋ.ㅋ.ㅋ.
@백순원-h7r 2
2021년 1월 03일 08:52와 우~~정말 놀라운 체인지 발상~~진심으로 즐기며 감사합니다
강다연 2
2021년 1월 19일 10:17우와
책낭독과 명언Maxims & Funny Lee 2
2021년 1월 23일 11:43젊어 고생은 늙어, 신경통.관절통이다. 정신과 육체, 영혼의 근육양을 키워라
이spring 2
2020년 12월 07일 18:15놀자와 웃자를 세계 최고의 성현으로...😖🥴🤭😊👌🏻
이혜성 2
2020년 9월 02일 10:41진짜 멋지십니다. 기회가 된다면 직접 뵙고 싶습니다.ㅎㅎ 오늘부터 쓰기 열심히 해볼라구요!!
Irene kim 2
2021년 1월 21일 12:16교수님은 비유를 너무 잘하시네요~^^ 천재인가요??
Jisun Seo 2
2020년 7월 10일 22:20지식생태학자!! 유영만 교수님 책은 읽는속도보다 쓰는 속도가 빠르십니다 ㅎㅎ
@artntravelseoul 2
2020년 12월 09일 19:01감사&감탄사! 교수님 찐 현인 ♥
엘리강토 2
2020년 10월 11일 16:54세바시 강연에서 못다한 이야기 45분 시리즈 넘 좋네요 이것만 따로 찾아볼 수 있는 방법이 혹시 있나요?
Kira Tv 2
2020년 12월 06일 15:45이분은 정말 깨친분입니다~존경합니다^^
@nyoungnyoung1416 2
2022년 12월 26일 14:02안써놓고 고민하지 말고 써놓고 수정하자, 머리로 요리조리가 아닌 몸으로 이리저리 해봐야 역발상이 가능한 인재가 된다. 넘나 감사합니다!
may 2
2022년 11월 08일 09:39너무 좋아요!!!! 유쾌하시고 명철하신 교수님👍
@zeniths.3701 2
2020년 8월 06일 14:06두 분이 진행하시니 대화에 참여하는듯 해서 더 잘 이해되네요.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yamorange6379 2
2020년 9월 27일 19:28넘 유쾌해요ㅎㅎㅎㅎㅎ 교수님ㅎㅎㅎ 야근하다 넘 웃습니다^^***
@flowerajeaje 2
2020년 8월 10일 19:58교수님 방송을 보면 어려운 듯 하지만 전율이 팍팍 느껴져요.
달러를 굴리자 1
2023년 2월 23일 01:56초반 10분의 핵심은 역시 “글쓰기” 군요! 최근 자청의 “역행자”를 읽어서 그런지 뇌리에 박혔습니다 ㅎㅎ
성공한 사람들이 하나같이 얘기하는 건 뭔가 있겠구나 싶네요😊
류경완 1
2020년 11월 22일 19:52꿀잼 ㅋㅎㅋㅎ
이미 1
2020년 8월 13일 00:24네트워크라 하지만 정말 그 안에서 연결이 되고 있다고 느끼지는 못했어요. 자기 1인분을 해냄으로써 네트워크가 지속되기만 해서요
@qkfka63 1
2023년 6월 21일 03:43듣다보면 깜짝깜짝 놀라게 되는 교수님의 언어발상에 이 새벽, 졸림과 지루함 없이 오늘도 행복합니다.
서흥선 1
2020년 7월 26일 14:45이 세상이 배움의 천국 이라는 말에 한표.ㅋ
감사합니다.
늘 다 못들었는데,오늘은 다 들어 보렵니다.
재미있어요.
이복수 1
2020년 12월 27일 21:52동사 너무 좋습니다
행복
이미 1
2020년 8월 13일 00:21우연성이라는 것에서 더 자극받고 새로운 기회를 얻었는데 계획을 세우고 자꾸 배제하다보니 시야가 더 좁아지기만 하고 인생이 더 척박해진 느낌이었어요.,
한감사 1
2021년 3월 20일 13:03놀자와 웃자가 성자😄
@쩌엉-v8i 1
2023년 1월 09일 17:01프로계획러인 저에게 꼭 필요한 내용이네요. 대책없이 내리면 대책이 생긴다-라는 지나가며 하셨던 광고문구 말씀조차 뇌리에 박힐만큼 버릴 내용이 1도 없네요^^☆
sora Lee 1
2021년 1월 08일 22:58더 듣고 싶은데 시간이 짧아 아쉽습니다.
책을 사서 보면 되겠군요. ^^
Jua Jin 진주아 1
2020년 9월 16일 15:52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강피스 1
2021년 1월 03일 12:0112:30 사이 전문가
보성댁TV 1
2020년 7월 14일 17:40강의 잘들었습니다. 풀시청으로 응원합니다.
@손예서-i4q 1
2021년 8월 12일 07:04제 생각과 삶의 형태를 인증받는 것 같은 아침운동 시간이었습니다. 하늘은 미치게 예쁘고 제 마음은 너무 따뜻하고~ 오늘 하루도 맘껏 행복하겠습니다. 인사이트를 주신 교수님~ 교수님을 알게해준 세바시~ 감사합니다~♡
윤현덕 1
2021년 1월 19일 07:04놀자와 웃자 철학의 유라투스트라
행복근육~~~♡
하고싶다3대600 1
2021년 1월 25일 22:43이분 왤케 신박하고 재밌으셔ㅋㅋ
dav 1
2020년 7월 12일 13:50미래 인재상 내 얘기로군요
Robert Kwon 1
2021년 1월 09일 12:31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고맙습니다.
김경민 1
2021년 1월 09일 09:26좋은책 소개 감사합니다
꼭 읽어봐야겠네요
잘들었습니다 ~~
썸머 1
2020년 7월 15일 12:39좋은 말씀~ 잘들었습니다
제일 찔린 이야기....
연골을 지켜라
실천하는 삶 1
2020년 9월 23일 15:16"행동하면 행복해진다"
띵언입니다~!! 유영만교수님을 더 알고 싶어졌어요.
mindsg lee
2022년 5월 29일 01:21행복은 동사다
행복은 근육량과 절대 비례한다...
교수님, 좋은 말씀 잘들었습니다~~~~
최예서
2023년 2월 15일 20:54제목이 어려운 단어는 없는데 쉽게 읽히지 않은 이유가 강연을 들으니 해갈이 됩니다.^^ 생태학이라는 단어가 갖는 함축성도 한 몫 하는 듯 하고요. 그럼에도, 강연내용은 비교적 쉽게 들립니다. 요즘과 코로나 시대를 읽어 가는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Myung Miller
2021년 2월 14일 04:03"사람들이 과장법으로 산다"
"행동하면 행복해진다"
생각해 봐야지
감사합니다.
한순애
2021년 5월 14일 07:55가르치는직업~
늘배움을 연속할수있는 습관을 가지신분을 우연히알아서 좋습니다
된다
2023년 2월 12일 08:24명강의십니다. 멋지세요. 배울게 많네요♡
@sebasi15
2023년 12월 08일 17:04[세바시대학] 유영만 교수와 함께하는 세바시대학 프로젝트
2024년 1월, 유영만 교수님이 세바시대학의 연사로 여러분들을 찾아갑니다. 😋
세바시대학과 함께, 유영만 교수님을 만나보세요!
👉 https://bit.ly/3RyADGv
윤하늘
2021년 4월 23일 09:45교수님 ! 감사합니다
교수님책 강의 너무고마워요
지혜롭고 행복하기
2023년 1월 23일 12:23정말 많이 배웁니다^^ 여러번 다시 보면서 나다운 글쓰기에 대한 영감 얻었습니다. 호모 디페랑스, homo differance...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