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시간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시간이 흐른다고 착각하는 이유 (이재범 크리에이터 / 1부)
이재범 크리에이터님의 유튜브 바로가기: https://youtube.com/@1minscience?feature=shared [이재범 크리에이터] 유튜브 [1분과학] ......
이재범 크리에이터님의 유튜브 바로가기: https://youtube.com/@1minscience?feature=shared [이재범 크리에이터] 유튜브 [1분과학] ......
@다람쥐의지식아몬드 2
2025년 5월 30일 21:52이 영상에서 다뤄진 내용, 특히 시간과 인지에 대한 깊은 통찰에 깊이 공감하며, 자유의지에 대해서도 한 가지 관점을 더하고자 합니다.
📖 사전적으로 자유의지는 ‘자신의 의지대로 선택하고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그런데 많은 분들이 이걸 **‘원인 없는 자유’, ‘완전한 무제한의 선택’**처럼 해석하면서, 현대 과학과 충돌하게 되는 경우가 많죠.
하지만 자유를 그렇게 신비적 개념으로 보지 않고, ‘능력의 문제’로 보면, 오히려 훨씬 현실적인 이해가 가능합니다.
🔁 예를 들어, 우리가 무거운 물건을 드는 장면을 생각해봅시다.
그 일이 시간 순서대로 정해진 인과 안에서 발생한다고 해도,
그 사람이 ‘무거운 걸 들 수 있는 능력’을 가졌느냐 아니냐는 중요한 차이를 만들어냅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우리의 선택 또한 시간적으로 결정된 구조 속에 있을 수 있지만,
그 선택을 가능하게 만드는 인지, 판단, 통제의 능력은 현실에 존재합니다.
이 능력이야말로 우리가 말할 수 있는 자유의 실체입니다.
📊 그래서 저는 자유의지를 유무가 아닌 ‘정도의 문제’, 즉 스펙트럼으로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구체적으로는 자유는 다음 네 가지 능력으로 구성됩니다:
인지력 – 상황을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
지식 – 관련 정보와 맥락을 얼마나 알고 있는가
판단력 – 여러 선택지를 평가하고 비교하는 사고 능력
자기통제력 – 충동을 조절하고 목표를 따를 수 있는 의지력
이 네 가지가 높을수록, 그 사람의 자유능력은 더 높은 수준에 있습니다.
그리고 이는 도덕적 책임, 교육, 법적 판단, AI 윤리 등에 실제로 적용 가능한 실천적 개념이기도 합니다.
🗣 자유의지가 없다고 단정 짓기보다,
우리가 어느 정도의 자유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을 어떻게 키워갈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가 더 생산적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CH신사임당
2025년 5월 29일 16:09⭐이재범 크리에이터님의 유튜브 바로가기:
https://youtube.com/@1minscience?feature=shared
[이재범 크리에이터]
유튜브 [1분과학]
@joungwonjung2877
2025년 5월 30일 23:26그래서 세상은 있는것도 아니고 없는것도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