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을 낚는 낚시터에 들어가는 법 | 최리노 인하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교수 | 나노 기술 반도체 | 세바시 1196회
강연자의 강연 소개 :미국의 사업가 마크 마일(Mark Miles)은 대기업에 2천 40억 원이라는 돈을 받고 자신의 기술과 회사를 팔아 부자가 됐습니다. 그러나 그가 연구한 ......
강연자의 강연 소개 :미국의 사업가 마크 마일(Mark Miles)은 대기업에 2천 40억 원이라는 돈을 받고 자신의 기술과 회사를 팔아 부자가 됐습니다. 그러나 그가 연구한 ......
@MrRino0906 17
2020년 7월 11일 15:16실수가 또 있었네요. RGB 는 red, green, blue 입니다. yellow 는 없죠 ㅠ
제 실수는 아니고 자막에 집적회로를 직접회로로 오기를 했습니다.
@MrRino0906 12
2020년 7월 10일 22:42실수가 많았네요. 1억7천달러를 1700만 달러라고...
MMCI SOLAR는 태양광을 열로 바꾸는 일을 하는데 빛이라고 잘못 이야기 했습니다. 죄송~
@김찬엽-k9c 10
2020년 7월 10일 23:54교수님의 반도체 소자강의를 학교에서 이번 학기에 들었지만 강의 외적으로 반도체에 관련돼서 대면 강의가 아니라 더욱 다양한 이야기를 듣지 못해 아쉬웠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세바시를 통해 우리가 반도체 기술과 나노기술을 기반으로 도전해 나가는 과정에서 사회가 실패의 대한 부담을 같이 지워 준다면 보다 많은 도전이 있을 것이며 그로인해 세상이 바뀔 것이라는 내용을 마크 마일즈의 이야기와 함께 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이 강의를 들으면서 반도체에 대한 흥미가 더욱 생기고 더 많은 이야기를 교수님 강의에서 듣고싶어졌습니다. 그리고 저도 언젠가는 마크 마일즈처럼 반도체 기술 나노 기술을 기빈으로 도전을 하고 싶은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hopji4128 9
2020년 7월 10일 22:13신소재에 정말 믾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데
특히 소자 관련해서...최리노 교수님 강의? 너무 흥미롭게 봤네요!! 알기쉽게 설명 너무 잘해주시네요! 유튜브 채널이라도 개설해주시면 좋겠네요 ㅎㅎ 너무 잘봤습니다!!
@Only_One_AI 9
2020년 7월 10일 18:19영감을 받고 갑니다 ㅎㅎ 사회가 도전을 격려를 해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말 공감합니다! ㅎㅎ
@100GaJy 3
2020년 7월 11일 00:20공리주의 내지 공산적 사회주의가 아닌 공화정성격을 갖춘 사회주의나 북유럽형사회주의의 장단점이 궁금하며, 우리나라가 현재 가고자하는 탈자본주의내지 사회주의는 과연 무얼 추구하고자하는것인지 그저 유럽형식의 그것을 따라하는것이 효율적이며 정당한것인지요
@sebasi15 2
2020년 7월 11일 19:03[책 이벤트] 최리노 강연자에게 질문 또는 시청 소감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추첨을 통해 세바시 강연자의 책을 선물해드립니다. (참여기간 7/10~7/15, 당첨자 발표 7/16 *응모 댓글에 답글로 개별 당첨 발표. 책 랜덤발송)
🔥 세바시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더 깊고 유용한 강연 콘텐츠를 만날 수 있습니다 http://bit.ly/2URQKU4
✻ 최리노 강연자의 강연 섭외는 이 번호로 문의주세요! ☞ 02-2652-2102
✻ 강연 영상이 올라올 때마다 보고 싶다면 지금 클릭(알람설정)! ☞ http://bit.ly/2odEydm
✻ 가장 빠른 세바시 강연회 신청 https://apply.sebasi.co.kr
✻ 내 삶을 위한 더 깊은 공부, 세바시 클래스 https://class.sebasi.co.kr
✻ 세바시 홈페이지에서 강연회와 연사들의 다양한 강의를 만나보세요! ☞ http://www.sebasi.co.kr
페이스북 페이지 | http://www.facebook.com/sebasi15
인스타그램 | http://www.instagram.com/sebasi15/
카카오스토리 | http://story.kakao.com/ch/sebasi
✻ 세바시 강연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세상을바꾸는시간15분’에 있습니다. 영상 및 오디오의 불법 다운로드 및 재업로드, 재가공 등의 행위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kpaper1 1
2020년 7월 14일 12:49아~ 낚였다
@chomiart1359 1
2020년 7월 10일 22:28마이너스손~~ㅎㅎ
아주 인간적이십니다
@윤샘다락방 1
2020년 7월 11일 18:30중요한일을 맡고 계시네요~~~~♡
@sebasi15 1
2020년 7월 11일 19:19강연에 수정내용이 있어 정정합니다. 😭
04:30 직접회로 칩 > 집적회로
9:45 RGB는 빨강 Red, 초록 Green, 파랑 Blue입니다.
10:56 1700만 달러가 아니라 1억7천 달러입니다
12:42 MMCI SOLAR는 태양광을 열로 바꾸는 일을 하는 회사입니다
@heon3097 1
2025년 2월 03일 08:33좋은 강연이네요.
@갈매기-b5l
2020년 7월 15일 23:42말 잘하셧네 교수님이 직접 개인에게 도전할 비용을 지불하시면 되겟네 그죠???
@모찌-z5y
2020년 7월 12일 15:45제 남편도. 나름. 사업이란걸. 하면서. 발명도. 하고 있는 사람인데요 나름 아이디어도. 좀. 있는. 편인데 적은 자본으로. 뭔가를. 한다는게 쉽지 않은것 잩아요
특허도. 땄는데. 국제특허 까진못 냈어요. 자본이 부족해서요. 이런. 분야에. 지원해. 주는 제도가. 있으면. 인적 인프라 구축에. 도움이. 될것 같아요
교수님 강의. 잘. 들었습니다. 이런. 전문적인 강의를. 자주. 들을 수. 있는. 기회가. 있음. 좋겠어요
@최윤경-h1u
2020년 7월 14일 20:38강연잘들었습니다 나노기술을 잘 몰랐습니다 뭔가 지식을 쏙쏙얻어가네요 강연자님 감사해요~ 주식은 ㅋㅋㅋ웃기네요
@namrnam5413
2021년 9월 09일 16:19와우 교수님 : )
@조희정-i4r
2020년 7월 13일 19:08계획한 일들이 계획대로 되지 않고
무언가를 선택 했을때 뜻대로 되지 않는 일들도 있고
실패를 두려워 하지 말고 다시 도전하는 마음을 갖게
되는 좋은 강연 잘 들었습니다
@user-ho9yu1gr4n
2020년 7월 15일 22:38훌륭한 강의 잘 들었습니다. 디자인 관련 창업으로 고군분투 중인데요. 기회가 더 많아지고 실패가 용인되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는 이야기에 많은 공감을 느낍니다. 그리고 기술이라는 것이 늘 곁에서 사용하는 것임에도 참 신비하게 느껴지는데요. ‘백억개’라는 단어를 들으니 기술이 아니라 우주가 떠오르는 강의였던 것 같습니다
@부자언니-y9n
2020년 7월 12일 10:05도전하고실패하면 사회가 도와주고지원해주고 격려해주는그런멋진사회가 되길기대합니다
퀄컴에대해관심있었는데감사합니다
@JinE_6
2020년 7월 12일 07:38아하, 작개 만들 수록 할 수 있는게 많아진다.ㅋ
S10 이 백억개? 마리카락이 8.9만개 헉~~ 이게 10만개라 대박 ㅋ 작게만드는 신소재와 주식반토막 너무 확 다가오는 설명.
마크마일스= 나비( 빛의반사) 기억남겠어요.ㅎㅎㅎ갑자기 물비늘이란 단어가 생각납니다.
퀄컴 (반도체기술) , 저는 이야기를 듣는 순간 세상을 바꾸려면 사회와 내가 같이 도전을 해보는 시간을 가지고 연구를 멈추지 말아야 겠어요. 누가 뭐라 해도 나는 2대8 처럼 약간의 고집과 끈기가 필요한 세상이니까요. 교수님 반도체 단어 자체가 어려울 수도 있는데 쉬운설명과 더불어 관심까지 가지게 해 주어서 감사합니다. 이제 초2인 아들한테 늘하는 말이 따라가려 하지말고 궁금하면 너가 그 길의 시작이 되어라고 늘 말합니다. 그리고 저는 그것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제가 할 수 있는 선에서 과하지 않게 서포트를 할 려고 합니다. 우리나에서 제2의 마크마일스가 나오길 바라면서 ~~~~
Iamyourjanuary
2021년 9월 09일 22:3010:00
@장철환-k1c
2022년 8월 02일 04:12인생이 뜻한대로만 흘러간다면 무슨 재미로 사냐는 말이 있습니다.
계획한대로 흘러갈 일도 없지만 흘러갈 수도 없기에 실패 또한 묵묵히 받아들이며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실패를 발판삼아 위로 올라가는 연습이 필요하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항상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하는 마음을 가지며 살겠습니다.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99755-ll.i
2020년 7월 13일 21:04역쉬 뭐든 아는만큼 보인단말이 사실이군요...
김미경 강사님이 세바시에 나오셧던게 엊그제 같은데 구독자수도 만아지시고 항상 좋은강연 감사람다💙
@lp1797
2020년 7월 13일 09:41나노기술 대단한것 같네요 작은 하나 하나가 이루어낸 기술 아름다운 색깔이 저렇게 우와
마크마일의 재 도전 도전하는 사람이 아름답습니다. 실패를 두려워 한다면 도전을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도전은 성공을 할 수 있는기회라고 생각됩니다.
@seonk-kj2kl
2020년 7월 13일 21:39반도체 기술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 상태에서 우연한 발견을 하게 되면 부자가 될 수 있다!
우연한 발견을 통해 내가 가지고 있는 지식을 활용하고 응용하면서 새로운 연구가 시작되는 거죠.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도전을 한다는 것, 실패를 한다는 것에 대해 부담이 너무 크죠.
그래서 개인의 도전과 실패의 부담은 사회가 함께 책임을 지는 게 필요해요. 과연 국가가 얼마나 개인의 실패에 지원을 해줄 수 있을진 모르겠지만 ‘실패’로 단언하기보다는 좀 더 열린 장을 마련해주는 게 더 좋을 것 같긴 하네요. 그보다 창업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술적인 지식을 갖춰야 한다는 것, 잊지마세요! 우리 열심히 기술적인 지식을 갖추어 과학기술을 이용하는 멋진 사람이 되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