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문해력을 키우는 방법을 키우는 방법이 AI시대 살아가는 기본자질이 무엇인지 알려주시는데...우리의 삶속의 에피소드와 과학책에서 보던 그림이 연상되면서 수학 잘해야 과학도 잘하지로 늘 밀려나던 맘에서 문해력이 인문학을 픔고 인문학이 수학을 품는 통합적인 그리고 아주 근본적인 해석이 흥미로웠습니다. 기본이 충실한 사람됨의 기본과 뿌리를 바탕으로 세워진 과학의 실체를 보여주며 결코 가벼이 여길것이 없는 언어와 문학 그리고 수학이 바로 과학이었음에 대한 논리에 재미있게 설득 당했습니다. 엄마의 이야기 위트있고 재미있었습니다.이렇게 넘나드는 세계가 문해력이네요^^ 감사드립니다.근본과 기초는 흔들리지 않음이 보여집니다.새로운 관점 설득력있고 유쾌했습니다.
'문학은 아주 괜찮은 시작입니다'란 말이 감동입니다. 문학은 논리입니다. '뽀뽀'까지 가기 위해선 치밀한 논리와, 그 논리를 혁파하려는 논리를 혁파하는 논리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뽀뽀 이후 갑작스런 이별에도 논리가 있습니다. 옳고 그름을 이야기하는 게 아니라 세상은 '논리'로 이루어져 있고, 문학은 내가 겪어보지 못한 '논리'도 알려주기 때문에 위대하다는 것입니다. 문학에는 논리로 무장된 시작이 있고, 긴장이 있고, 클라이막스를 거친 해소가 있습니다. 얼마나 고맙습니까? 아프리카를 가지 않아도 아프리카가 가진 논리 뿐만 아니라, 나아가 만나지보지도 못한 외계인의 논리까지 알려주니 말입니다. 체득된 논리, 잘 단련된 논리 근육은 수학으로 가든 영어로 가든 어디서나 놀라운 힘을 발휘할 것입니다. 문학은 아주 괜찮은 시작일 것입니다.
와아! 인류 멸종 관련한 이정모 교수님의 영상들을 즐겨봤었는데, 마침 요근래 저의 최대 관심사인 인공지능과 교육에 대한 강연을 이렇게 해주시니 너무 반갑네요. 초등 저학년 아이들을 키우고 있습니다. 다양한 육아서와 교육서를 보며 최소한 책만큼은 많이 읽어주자는 마음으로 즐겁게 읽혀주고 있어요. 가끔은 유튜브나 학원들에서 더 효과적이고 빠르게 다양한 정보들을 머릿속으로 넣어주는걸 보고 책에 대한 회의감이 밀려 올때도 있었는데, 관장님께서 말씀하신 문해력과 문학의 힘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해보게 되네요. 그리고 책을 많이 읽혀주되, 수학도 절대 놓치지 말자라는 생각이 들어요. 평소 유튜브나 책을 통해서 과학의 흥미로운 부분들을 쏙쏙 읽곤 하는데, 흥미로운 부분 그 이상을 이해하거나 파고들긴 힘들더라구요. 그게 저의 수학의 부족함 때문이었던것 같습니다. 좀만 깊게 들어가면 숫자나 알파벳이 즐비하니까요ㅜ.ㅜ 저의 아이들만큼은 숫자 앞에서 뒷걸음질 치지 않게 키우고싶네요. 그래야 과학을 더 흥미롭게 즐길 수 있을테니까요! 그럼에도 아직 저학년인 저희 아이들, 최대한 책과 친해질수 있게, 그래서 독해력이 아닌 문해력을 기를 수 있게 노력해야겠어요. 물론 아직 늦지 않았다면 저도 문해력을 놓고 싶지 않네요!ㅎㅎㅎ감사합니다❤
그게 아니고요, 그냥 잘하는걸 하면 되는거예요. 죄송한데요 많이 답답하네요. 왜 다들 똑같은 모양에 집어넣지 못해 안달이 났는지. 아니, 아직도 그게 잘못이란걸 깨닫지 못하는지. 지금까지는 그래도 감정이있는 다른 인간들과 경쟁했지만요, 적어도 한동안은 피도 눈물도 없는 AI와의 경쟁을 할텐데요. 하... 이 AI시대만큼 자기가 잘하고 좋아하는걸 하는게 중요한 시대는 없어요. 대부분 사람들이 지금은 아마 감이 잘 안잡힐지 모르지만, 불과5-10년후면 뼈저리게 느낄거고요. 언어는 하나라도 제대로 하는건 기본이겠죠. 어짜피 해야해요. 이젠 사람은 그것밖에 할게 없으니까요. 에효...
@정회경-k6g 1
2025년 6월 20일 19:50공감합니다. AI를 잘 다룰 수 있으려면 논리적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유리하니, 국ㆍ수ㆍ영을 잘할 수 있도록 기초교육과 독서에 힘써야 할 것 같습니다. 강의 잘 들었습니다.
@MaLee1212 1
2025년 6월 20일 19:36과학 문해력이라는 단어는 첨 듣는데..... 영상을 보니 확실히 이해 됩니다.
이시대에 정말 필요한 분야 같음.
유익하고 도움이 되는 영상 감사합니다.
@user-taehyeon123 1
2025년 6월 20일 19:38저는 고3 때 국영 영어가 굉장히 재밌었습니다
@이상화-h4j
2025년 6월 20일 18:37국 영 수가 정답이네요~
문학 잘보고갑니다 ~
@서경훈-t3v
2025년 6월 20일 18:14사고의 틀을 넓히고 다양화하며 인간이 AI에 종속되지 않게 하는 쪽에서 AI 시대에 다양한 학문을 접하는 것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graceoh2434
2025년 6월 21일 06:09과학 문해력을 키우는 방법을
키우는 방법이 AI시대 살아가는 기본자질이 무엇인지 알려주시는데...우리의 삶속의 에피소드와 과학책에서 보던 그림이 연상되면서 수학 잘해야 과학도 잘하지로 늘 밀려나던 맘에서 문해력이 인문학을 픔고 인문학이 수학을 품는 통합적인 그리고 아주 근본적인 해석이 흥미로웠습니다.
기본이 충실한 사람됨의 기본과 뿌리를 바탕으로 세워진 과학의 실체를 보여주며 결코 가벼이 여길것이 없는 언어와 문학 그리고 수학이 바로 과학이었음에 대한 논리에 재미있게 설득 당했습니다.
엄마의 이야기 위트있고 재미있었습니다.이렇게 넘나드는 세계가 문해력이네요^^
감사드립니다.근본과 기초는 흔들리지 않음이 보여집니다.새로운 관점 설득력있고 유쾌했습니다.
@goodcine
2025년 6월 20일 21:33'문학은 아주 괜찮은 시작입니다'란 말이 감동입니다. 문학은 논리입니다. '뽀뽀'까지 가기 위해선 치밀한 논리와, 그 논리를 혁파하려는 논리를 혁파하는 논리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뽀뽀 이후 갑작스런 이별에도 논리가 있습니다. 옳고 그름을 이야기하는 게 아니라 세상은 '논리'로 이루어져 있고, 문학은 내가 겪어보지 못한 '논리'도 알려주기 때문에 위대하다는 것입니다. 문학에는 논리로 무장된 시작이 있고, 긴장이 있고, 클라이막스를 거친 해소가 있습니다. 얼마나 고맙습니까? 아프리카를 가지 않아도 아프리카가 가진 논리 뿐만 아니라, 나아가 만나지보지도 못한 외계인의 논리까지 알려주니 말입니다. 체득된 논리, 잘 단련된 논리 근육은 수학으로 가든 영어로 가든 어디서나 놀라운 힘을 발휘할 것입니다. 문학은 아주 괜찮은 시작일 것입니다.
@이름이뭐예요-w7n
2025년 6월 20일 19:38와아!
인류 멸종 관련한 이정모 교수님의 영상들을 즐겨봤었는데, 마침 요근래 저의 최대 관심사인 인공지능과 교육에 대한 강연을 이렇게 해주시니 너무 반갑네요.
초등 저학년 아이들을 키우고 있습니다. 다양한 육아서와 교육서를 보며 최소한 책만큼은 많이 읽어주자는 마음으로 즐겁게 읽혀주고 있어요. 가끔은 유튜브나 학원들에서 더 효과적이고 빠르게 다양한 정보들을 머릿속으로 넣어주는걸 보고 책에 대한 회의감이 밀려 올때도 있었는데, 관장님께서 말씀하신 문해력과 문학의 힘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해보게 되네요. 그리고 책을 많이 읽혀주되, 수학도 절대 놓치지 말자라는 생각이 들어요. 평소 유튜브나 책을 통해서 과학의 흥미로운 부분들을 쏙쏙 읽곤 하는데, 흥미로운 부분 그 이상을 이해하거나 파고들긴 힘들더라구요. 그게 저의 수학의 부족함 때문이었던것 같습니다. 좀만 깊게 들어가면 숫자나 알파벳이 즐비하니까요ㅜ.ㅜ 저의 아이들만큼은 숫자 앞에서 뒷걸음질 치지 않게 키우고싶네요. 그래야 과학을 더 흥미롭게 즐길 수 있을테니까요! 그럼에도 아직 저학년인 저희 아이들, 최대한 책과 친해질수 있게, 그래서 독해력이 아닌 문해력을 기를 수 있게 노력해야겠어요. 물론 아직 늦지 않았다면 저도 문해력을 놓고 싶지 않네요!ㅎㅎㅎ감사합니다❤
@shija05
2025년 6월 21일 06:13그게 아니고요, 그냥 잘하는걸 하면 되는거예요. 죄송한데요 많이 답답하네요. 왜 다들 똑같은 모양에 집어넣지 못해 안달이 났는지. 아니, 아직도 그게 잘못이란걸 깨닫지 못하는지. 지금까지는 그래도 감정이있는 다른 인간들과 경쟁했지만요, 적어도 한동안은 피도 눈물도 없는 AI와의 경쟁을 할텐데요. 하... 이 AI시대만큼 자기가 잘하고 좋아하는걸 하는게 중요한 시대는 없어요. 대부분 사람들이 지금은 아마 감이 잘 안잡힐지 모르지만, 불과5-10년후면 뼈저리게 느낄거고요. 언어는 하나라도 제대로 하는건 기본이겠죠. 어짜피 해야해요. 이젠 사람은 그것밖에 할게 없으니까요. 에효...
@Pacific_Sea_Lion
2025년 6월 20일 19:13국영수 중요하단 메세지를 15분동안 장황하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twodgree
2025년 6월 20일 21:55결국 인공지능 시대에
인공지능을 적수가 아닌 조수로 활용하기 위해 국영수가 제일 중요하다는 것이네요!!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국어이고
왜냐면 국어가 되어야 수학도 하고 영어도 할 수 있으니까요 !!
국어를 잘하려면 많이 읽고 많이 쓰는 게 중요한데 그 시작은 '문학'이라는 것!
아이가 커가는데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지 늘 고민중이었는데 문학책도 많이 접해줘야겠습니다. 오늘 강연 최고입니다. 감사합니다❤
@sebasi15
2025년 6월 20일 17:29[책이벤트] 댓글로 강연 소감을 남겨주세요. 추첨을 통해 세바시 강연자가 직접 싸인한 책을 큐레이션해서 선물 드립니다. (참여기간 6/20~6/26 당첨발표 6/27)
@TTU2229
2025년 6월 20일 18:24메이드인 어비스 작가 인줄
@민정-s7g
2025년 6월 20일 19:15국영수가 인공지능을 사용하기 위해 중요하다는 말씀에 넘사벽으로 느껴져 놀래다가 그 시작은 국어고 문학이라는 말씀을 듣고는 희망이 생겼습니다.
문학을 통한 문해력 신장! 아자아자💪
@조누리-b2r
2025년 6월 20일 19:03인공지능의 시대와 협업에 준하여 國語를 읽기, 쓰기,말하기, 행동하기로
소중히 다루는 인간 사회에서 지능지수를 높여야
할 시기가 왔음을 인지합니다. 英語를 익히면서 수학까지 섭렵할 수 있는 mz세대를 그려 나가겠습니다.
잘 시청하고 금욜 밤도
뿌듯하네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