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억이상 대출할수 있는 사람은 서민인가? 6억 대출해서 갚을 사람은 비싼 집 사면 되는 일이다. 대한민국 집 너무 비싸다는 거 다 알지 않는가? 돈 벌어서 은행 이자 갚으며 살다보니 이건 못할 짓이다. 은행에서 대출이율 낮추고, 무한대로 해준다는 것은 결국 서민은 망하고 은행만 배부르게 하는 것이다. 집값이 내려가길 바란다. 그에 맞는 정책이다.계속 지속되어야한다.
왜 영끌 대출을 해서라도 지금 집을 사야한다는 조바심을 부추기시는지... 결국 부동산에 계속 돈 몰리게 만들면 나라 망하는건 지성인이면 다 눈에 보이지 않나요? 지금처럼 집값 내리기 위해 파격적이고 생각지도 못한 정책들을 내서 장기적으로 부동산 가격 낮춰서, 부동산으로 갈 돈 내수에도 쓰고 다른 투자도 하면서 나라경제 살리게끔 도와주셔야 한다고 봅니다.
돈을 민생지원금 형태로 풀고 소비된 돈이 부유층에게 들어가는 것과 대출로 돈을 풀어 부유층이 돈을 버는 것은 완전히 다릅니다. 후자는 돈이 선순환 되지 않는 방식이고 은행이 돈 버는 방식입니다. 지원금이 소비로 이어져 돈이 순환되는 과정에서 부가 이동하는 것은 경제에 도움이 되지만 대출로 부를 일구는 방식은 기존의 부유층들에게 유리한 게임을 만드는 것이고 은행이 돈버는 게임입니다.
대부분의 견해에 동의합니다. 하지만 미국의 양극화와 비교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인구구조와 출생률을 간과한 것 같습니다. 50~60대의 사분의 일이 태어나는 시대입니다. 미국은 기축통화국이고 산업구조도 다르고 부동산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매우 다르다는 것도 고려해야 합니다.
1. 대한민국 상위 1% 가구수가 대략 20만 9천 가구로 나옵니다. 강남구, 서초구의 아파트 수만 합쳐도 거의 20만 가구가 됩니다. 여기에 더불어 성수, 한남, 청담 등의 초고가 세대들 그리고 용산 이촌동과 같은 지역별 부촌들 고려했을때 순자산 30억, 상위 1%의 사람들이 살 수 있는 좋은 아파트는 21만채보다 더 많아 보입니다. 대한민국 상위 1%가 다 서울 수도권에만 있는것도 아니고 실질적으로 서울에서 상위 1% 순자산 보유자로서 집을 살 사람들은 많이 쳐줘야 15-17만 가구 정도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래서 그들이 살 좋은 아파트는 이미 많지 않나 싶어요. 2. 저도 만약 순자산이 30억이면 그 돈 중 많은 부분을 할애해서라도 좋은 동네에 살고 싶을 거 같아요. 그래서 압구정 국평이 평당 3억을 넘보고, 반포의 대형 평수들이 100억에 거래되는 게 그리 이상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연봉도 높고 이미 형성된 자산도 높으니까요. 초고가 아파트의 호가가 계속 높아지는 게 이해가 갑니다. 3. 그런데 송파 헬리오시티가 현재 20억 중반대를 바라본다는 게 조금 이해가 안 갑니다. 전문직, 자산가층 이런분들이 아니라 그냥 평범하게 대기업 다니거나 아니면 중견기업 다니시는 분들 정도가 송파구 아파트의 실 타겟층 아닌가요? 그 사람들 평생 저축해서 20억 중반대를 모을 수 있나요? 30살에 취직해서 30년 정년 채울때까지 연 8000만원을 저축해야 송파 헬리오시티를 부채 없이 보유할 수 있다는 건데 금융비용까지 고려하면 연 8500 정도는 저축할 수 있어야 될겁니다. 의사도 내과의사 같은 경우 1년 8000만원 넘는 금액을 저축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상식적으로 생각했을때 대한민국 소득수준 0.3-1% 정도인 의사가 송파구 신축 매매를 목표로 평생 저축을 해야한다? 좀 이상한 거 같습니다. 이런 가격대에 형성된 물건을 누군가 사줄 수 있나요? 4. 아무리 대한민국 부의 사다리가 없어지고 있다 하지만 대표적인 고소득 직업인 의사도 한강벨트에서 꽤나 벗어난 송파구에 신축 아파트를 마련하기 위해 평생을 저축해야 한다는 게 저는 현재 부동산 시장에 거품이 많이 낀 게 아닌가 싶습니다. 30-40억을 훌쩍 넘는 S급 입지의 아파트들이야 그들만의 리그가 존재하는 게 이해가 가지만 마포, 성동, 송파는 부자가 아니라 직업 좋은 중산층들이 접근할 수 있어야 된다 생각하는데 현재 가격으로는 삼성전자 평생 다녀도 송파에 신축 아파트를 살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가격이 이상한 거 아닐까요? 5. 제가 너무 나이브한건지... 아직 세상 경험이 부족해서 참 부동산 가격이 어느정도 수준이어야 합리적인 것인지 감이 안 잡히네요.
아주 소설을 쓰세요. 전세가가 오른 이유가 전세대출이었는데 전세대출 보증이 줄었어요. 기존에는 대출신청이 들어오면 은행 입장에서 그냥 돈 놓고 돈 먹기였던 판이었고 어서옵쇼~ 였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은행에서 당장 내가 손실을 볼 수도 있는 대출이기 때문에 대출이 그냥 줄어드는 게 아니라 획기적으로 줄어듭니다. 이 사람이랑 1억 걸고 내기라도 하고 싶네요. 전세가 오르면 내가 1억 주고 전세가가 내리면 내가 1억 받고. 아마 이 인간은 거부할 듯~
민생. 회복. 지원은 한마디 한마디가 너무 소중하게 느껴진다. 바닥 경제는 굉장히 힘든데..... 돈이 한바퀴 잘 돌고, 돌아와야 사회가 건강하다..... 아픈 사회? 겪어보면 많이 아프다. 사회 질이 떨어지면 발전은 딱 거기까지. 정신들 차리길. 잘난척 그만. 부동산 졸부들 많은데..... 한국사회, 겸손합시다. 코스피 비웃지 말고. ㅎ 투기용 대출 막으면 되고. ㅎ 하나 팔아, 하나 사는 것은 그냥 하면 됨.
@바람소리-n8n 126
2025년 6월 28일 16:51빚내서 집사지말라는 정책은 올바른 것 같음
@aeranlee5639 97
2025년 6월 28일 20:24지식인이시면 이제 더이상 집값 부추기지 맙시다. 국가의 미래도 우리후손도 생각합시다
@오감만족-c4j 76
2025년 6월 28일 20:13어느 학교인지 몰라도 교수라는 사람이 집을 거주 개념이 아니라 오로지 돈 버는 수단으로 말을 하고 부추기는 게 참 한심하다.
@조혜숙-f3u 73
2025년 6월 28일 17:336억이상 대출할수 있는 사람은 서민인가? 6억 대출해서 갚을 사람은 비싼 집 사면 되는 일이다. 대한민국 집 너무 비싸다는 거 다 알지 않는가?
돈 벌어서 은행 이자 갚으며 살다보니 이건 못할 짓이다. 은행에서 대출이율 낮추고, 무한대로 해준다는 것은 결국 서민은 망하고 은행만 배부르게 하는 것이다. 집값이 내려가길 바란다. 그에 맞는 정책이다.계속 지속되어야한다.
@mijunglee5428 55
2025년 6월 28일 17:44부동산으로 돈 벌지 말자는거 아님? 협조좀 하시지.. 정책에 대한 믿음도 없고…😅
@나비-y9g 54
2025년 6월 28일 17:21이렇게 의견 낼 줄 알았다
@kgd1285 46
2025년 6월 28일 18:10왜 영끌 대출을 해서라도 지금 집을 사야한다는 조바심을 부추기시는지...
결국 부동산에 계속 돈 몰리게 만들면 나라 망하는건 지성인이면 다 눈에 보이지 않나요? 지금처럼 집값 내리기 위해 파격적이고 생각지도 못한 정책들을 내서 장기적으로 부동산 가격 낮춰서, 부동산으로 갈 돈 내수에도 쓰고 다른 투자도 하면서 나라경제 살리게끔 도와주셔야 한다고 봅니다.
@임헌귀 35
2025년 6월 28일 17:21빚으로 쌓은 모래성
@이지은-l9x9c 34
2025년 6월 29일 04:01멋진 부동산정책.
투기를 부추기는건 이젠그만
@푸르름-z2u 32
2025년 6월 29일 04:53대출 규제는 적절하다~
@davidshin9200 30
2025년 6월 28일 17:14아니 월세 200~400만원을 내고 삶이 유지가 되나요 ?
이런나라는 망해야지요
@sungkookkim3218 30
2025년 6월 28일 21:03난 아직도 배고프다 서울 집값 저렴하다 라고 말씀하신분 아니십니까? ^^
@가가-g7j 29
2025년 6월 28일 23:19대출 규제는 솔직히 좋은것 같습니다 영끌은 좀 아닌듯요
@빈센트-w7c 24
2025년 6월 28일 17:19다른 나라 사람?
@명돈이-l2v 21
2025년 6월 28일 18:00집값이 문제가아니라 한국경제가 폭망한다~~~
@이제이-j5y 21
2025년 6월 28일 20:40이 사람은 너무하네..
@johnkim6939 21
2025년 6월 28일 21:44투기꾼이 싫어하는 정책
이상태로는 미래가 없다
투기꾼들 방지하는게 국가가 할일이다
투기꾼이 교수가 됐네
미래를 보는게 아니라 지금투기꾼들 걱정뿐
@이재복-y8s 18
2025년 6월 28일 17:28돈을 민생지원금 형태로 풀고 소비된 돈이 부유층에게 들어가는 것과 대출로 돈을 풀어 부유층이 돈을 버는 것은 완전히 다릅니다. 후자는 돈이 선순환 되지 않는 방식이고 은행이 돈 버는 방식입니다. 지원금이 소비로 이어져 돈이 순환되는 과정에서 부가 이동하는 것은 경제에 도움이 되지만 대출로 부를 일구는 방식은 기존의 부유층들에게 유리한 게임을 만드는 것이고 은행이 돈버는 게임입니다.
@이경출-q1d 16
2025년 6월 28일 20:32울 대통령님. 집값안정만이. 국민이 살길입니다. 울대통령님. 너무. 잘하십니다. 청년도 살고 무주택자도 함께 살도록. 집값을 잡아놔야 됩니다.
@임꺽정-h5q 15
2025년 6월 28일 21:38헛소리 그만해라이
@makeitmakesense534 14
2025년 6월 29일 00:34인만이랑 세트메뉴로 나오던분 아닌가? 목소리에 힘이 많이 빠졌네요. 힘내시고
@윤병호-i4v 14
2025년 6월 29일 00:08신사임당은 이런 사람 왜 섭외 했냐~~.
답답하다
@류푸르매 13
2025년 6월 29일 03:45많이사세요, 신고가때리면서
@bryan2759 13
2025년 6월 29일 01:25지식인이시면 이제 더이상 집값 부추기지 맙시다.
@이경선-i5w 11
2025년 6월 28일 23:37대출 최대 6억도 적지 않다.
대출 많으면 소비가 늘수가 없다.
분수에 맞는 집 사면 된다.
모든 돈이 다 부동산으로 갈꺼라고 생각하지 마라.
대출 푸는 정책이 부동산 올린 최대의 방법이였다.
@탁탁두두 10
2025년 6월 28일 17:53이제 다팔아야겠다 그동안 많이 벌었다 50억이면충분하다
@이재복-y8s 10
2025년 6월 28일 17:12대부분의 견해에 동의합니다. 하지만 미국의 양극화와 비교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인구구조와 출생률을 간과한 것 같습니다.
50~60대의 사분의 일이 태어나는 시대입니다. 미국은 기축통화국이고 산업구조도 다르고 부동산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매우 다르다는 것도 고려해야 합니다.
@peakhac 9
2025년 6월 28일 17:34집값의 상승으로 자산이 상승하고 나면?
팔지 않고 보유만 하고도 실제 그 효과를 누리며 살 수 있나요?
이해가 안되네.
좀 더 싼 곳으로 옮겨 그 차액으로 돈을 벌 생각도 아니라면 무슨 의미가 있다는 거죠?
이래서 나는 돈을 벌지 못하나..
@도생0216 9
2025년 6월 28일 17:32국가부채는 누가
갚을건대
빚은 업어야한다
@CH신사임당 7
2025년 6월 27일 12:38✏ 신사임당 x 심형석 교수의 부동산 상담 콘서트 신청하기:
https://www.onoffmix.com/event/325240
⭐ 심형석 교수님의 책을 소개합니다: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24639889
[심형석 교수]
미국 IAU 부동산학과 교수
우대빵부동산 연구소 소장
전 직방 및 부동산 114 자문위원
저서 [미래의 고급 일자리, 주택 가격을 결정한다]
@youngokshim8477 7
2025년 6월 29일 09:43공포를 조장하는 심형석교수! 부동산버블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어떤지 잘알잖아 신사임당~~~~섭외 의도가 뭔가?
@imyskim03 7
2025년 6월 29일 08:03이분은 교수라기보다 투기조자하는 사람인듯.
@jangsambong 7
2025년 6월 28일 21:06이사람 잼 맀네, 강남은 어차피 갖은 사람들 리그고, 집 2채 3채 사는 걸 막고, 땅에 돈 쌓이는 거 막자는 건데, 똘똘한 한채 언제적 이야기야
@safety-75 7
2025년 6월 29일 05:20한심한 사람.
포장 해 봐야 똥은 똥이라는것.
@danielj33 6
2025년 6월 28일 22:45기득권인가베
@초록물고기-r7u 6
2025년 6월 28일 18:27주식은 힘들어 장 좋아서 돈좀
벌어도 한번 조정오면 다 날아감
부동산은 안정적으로 재산증식
@jaegyunkim4287 6
2025년 6월 29일 00:051. 대한민국 상위 1% 가구수가 대략 20만 9천 가구로 나옵니다. 강남구, 서초구의 아파트 수만 합쳐도 거의 20만 가구가 됩니다. 여기에 더불어 성수, 한남, 청담 등의 초고가 세대들 그리고 용산 이촌동과 같은 지역별 부촌들 고려했을때 순자산 30억, 상위 1%의 사람들이 살 수 있는 좋은 아파트는 21만채보다 더 많아 보입니다. 대한민국 상위 1%가 다 서울 수도권에만 있는것도 아니고 실질적으로 서울에서 상위 1% 순자산 보유자로서 집을 살 사람들은 많이 쳐줘야 15-17만 가구 정도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래서 그들이 살 좋은 아파트는 이미 많지 않나 싶어요.
2. 저도 만약 순자산이 30억이면 그 돈 중 많은 부분을 할애해서라도 좋은 동네에 살고 싶을 거 같아요. 그래서 압구정 국평이 평당 3억을 넘보고, 반포의 대형 평수들이 100억에 거래되는 게 그리 이상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연봉도 높고 이미 형성된 자산도 높으니까요. 초고가 아파트의 호가가 계속 높아지는 게 이해가 갑니다.
3. 그런데 송파 헬리오시티가 현재 20억 중반대를 바라본다는 게 조금 이해가 안 갑니다. 전문직, 자산가층 이런분들이 아니라 그냥 평범하게 대기업 다니거나 아니면 중견기업 다니시는 분들 정도가 송파구 아파트의 실 타겟층 아닌가요? 그 사람들 평생 저축해서 20억 중반대를 모을 수 있나요? 30살에 취직해서 30년 정년 채울때까지 연 8000만원을 저축해야 송파 헬리오시티를 부채 없이 보유할 수 있다는 건데 금융비용까지 고려하면 연 8500 정도는 저축할 수 있어야 될겁니다. 의사도 내과의사 같은 경우 1년 8000만원 넘는 금액을 저축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상식적으로 생각했을때 대한민국 소득수준 0.3-1% 정도인 의사가 송파구 신축 매매를 목표로 평생 저축을 해야한다? 좀 이상한 거 같습니다. 이런 가격대에 형성된 물건을 누군가 사줄 수 있나요?
4. 아무리 대한민국 부의 사다리가 없어지고 있다 하지만 대표적인 고소득 직업인 의사도 한강벨트에서 꽤나 벗어난 송파구에 신축 아파트를 마련하기 위해 평생을 저축해야 한다는 게 저는 현재 부동산 시장에 거품이 많이 낀 게 아닌가 싶습니다. 30-40억을 훌쩍 넘는 S급 입지의 아파트들이야 그들만의 리그가 존재하는 게 이해가 가지만 마포, 성동, 송파는 부자가 아니라 직업 좋은 중산층들이 접근할 수 있어야 된다 생각하는데 현재 가격으로는 삼성전자 평생 다녀도 송파에 신축 아파트를 살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가격이 이상한 거 아닐까요?
5. 제가 너무 나이브한건지... 아직 세상 경험이 부족해서 참 부동산 가격이 어느정도 수준이어야 합리적인 것인지 감이 안 잡히네요.
@bca365 6
2025년 6월 28일 23:21아주 소설을 쓰세요. 전세가가 오른 이유가 전세대출이었는데 전세대출 보증이 줄었어요. 기존에는 대출신청이 들어오면 은행 입장에서 그냥 돈 놓고 돈 먹기였던 판이었고 어서옵쇼~ 였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은행에서 당장 내가 손실을 볼 수도 있는 대출이기 때문에 대출이 그냥 줄어드는 게 아니라 획기적으로 줄어듭니다.
이 사람이랑 1억 걸고 내기라도 하고 싶네요. 전세가 오르면 내가 1억 주고 전세가가 내리면 내가 1억 받고. 아마 이 인간은 거부할 듯~
@you-ep3fn 5
2025년 6월 28일 18:57내집마련 구지 할 필요 없음
자택에 많은 돈을 투자할필요성이 없다는것 일반인들은 살아보면 느끼게 됩니다.건강보험부터 재산세 관리비 요것저것 나오는게 늠 많아요
@qkfrksqlekr 4
2025년 6월 29일 01:42IAU 부동산학과(?) 교수라고해서.. 네이버에 검색해봤더니 IAU는 미국 부동산 MBA 과정을 국내에서 온라인으로 1년안에 딸수있는 교육과정이라고 나오던데?!...
심형석 교수가 국내 온라인 1년교육 과정을 수료하신 건가요?
@eunyoungahn-my2oe 4
2025년 6월 29일 11:29지금 뭔말 하세요?
20평이 10억 분양하는데 싸다고 하라고요?
지금 가격 내릴까봐 싫죠?
제발 늙은이들 위해
젊은이들 늪에 밀어넣지마세요.
지금 내집 한채는 따지지말고 사라고요?
10억 20억을요?
혹시 아파트 팔고싶으세요?
가격내리는거 싫으신가봐요
@drzunin 4
2025년 6월 28일 18:26민생. 회복. 지원은 한마디 한마디가 너무 소중하게 느껴진다. 바닥 경제는 굉장히 힘든데..... 돈이 한바퀴 잘 돌고, 돌아와야 사회가 건강하다..... 아픈 사회? 겪어보면 많이 아프다. 사회 질이 떨어지면 발전은 딱 거기까지. 정신들 차리길. 잘난척 그만. 부동산 졸부들 많은데..... 한국사회, 겸손합시다. 코스피 비웃지 말고. ㅎ 투기용 대출 막으면 되고. ㅎ 하나 팔아, 하나 사는 것은 그냥 하면 됨.
@이수현-m6o 4
2025년 6월 28일 23:54이상한 나라 교수네요ㅡㅜ
@청야-c2w 2
2025년 6월 28일 22:56다주택에서 똘똘한 한채라고 간다는 것도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한계가 분명하기 때문에
전체적 부동산 가격 상승과는 거리가 멈.
빚내서 집을 사도록 부추기는 이런 환경은 건설회사가 이익을 확정하고 빠진 자리를
소비투기꾼들끼리 서로 빚폭탄 돌리면서 놀음하는 이상한 구조.
@저기요-m1k 2
2025년 6월 29일 09:58집값은 반토막나야 정상이다. 1~2집있으면되지. 투기수요로. 사고팔고 ㅈㄹ하는게. 맞냐
@이경선-i5w 2
2025년 6월 28일 23:51미국처럼 양도세 낮추고 보유세를 올려야 한다.
미국 재산세 어마무시 하다.
미국은 집에 대한 보험료도 엄청 남.
@햄스터-e6v 2
2025년 6월 29일 11:37이분은 부동산이 오르기를 바라시나봐요 ㅠㅠ
@yongsiklee2478 2
2025년 6월 28일 23:47하나도 맞는게 없네
전문가가 맞으신지 일더하기일은 이고 삼더하기삼은육이고..
@김승수-z9i
2025년 6월 29일 15:44집값 올라봐야 세금만 오를 뿐 왜 꼴랑 집한채 있으면서 집값 오르기를 바라나? 내 집 오르면 미래 옮기고 싶은 다른 집은 더 오른다. 집값은 떨어져야 젊은 세대도 살고 나라도 산다. 집으로 돈 벌려는 인간들 천박한 놈들
@dnf4992
2025년 6월 29일 09:11언제찍은 영상이에요? 규제전에 찍은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