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이 한국산과 비교해 압도적이지도 않으면서 가격만 압도적인 브랜드들은 한국소비자들이 얼마나 트렌드와 정보에 빠른지 무시한 것에 대한 당연한결과임. 해외 프리미엄이 진짜 프리미엄인지 한국 소비자들이 알아내는데 걸리는 시간은 하루도 안됨. 인터넷 강국에서 호구만 찾다니 경영진들은 70년대를 살고 있는가 봄.
국내 브렌드도 동일하게 적용됨. 최근 몇몇 국내 기업들은 과거의 기술력과 시장 점유력을 기반으로 어설픈 명품화 전략 또는 가격인상 및 사후관리 미흡 및 국내 소비자 차별등으로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음. 아직까지는 국내 장벽과 시장 점유력으로 자리를 지키고 있지만....소비자들은 바보가 아님. 아무튼 발전이 없으면 누구든 망한다는 사실을 기업들도 알았으면 좋겠음.
나열된 해외 브랜드들의 원형에서 좋은 것만 쏙 쏙 빼서 ~ 첨단 기술과 성능 현지 감성 서비스를 더하고 가격도 합리적으로 책정하고 삐르게 변화하는 니즈 혹은 니즈를 리드해 만드는 코리안의 영악한(?) 능력 덕분! 어찌보면 원조들이 한국에서 진가를 발휘하지 못하고 억울한 면도 있음….
아니야. 한국은 오히려 "싸게 팔면" 안팔리는 경향이 있고 실제로 미국이나 외국의 유명 체인들이 싼 가격을 들고 왔으나 쫄딱 망하고 나간 사례도 엄청 나게 많음
이케아 바바. 이케아는 유럽에서 존나게 싼마이 가구야. 한 시즌 쓰고 "버리는" 정도의 싼마이 인데 한국에 오니까 토종 프리미엄 가구들 보다도 더 비싸고 배송비도 거의 10만원 가까이 받는데 존나게 잘 돼. 이것 외에도 한국은 유독 "비싸야" 장사가 잘된다는 인식이 있고, 여태까지 그런게 다 통했음
고든램지도 줄서서 먹을 정도 였음 그런데 문제는 코로나 였음 코로나 이전과 이후 특히 "먹거리" 에 있어서는 사람들이 슬슬 가성비를 따지기 시작했고 세세히 따지기 시작했음. 그러니 이제는 현지 보다 많이 비싼 곳은 잘 안가게 되는 거지. 메가커피, 콤포즈는 북한에 있냐? 다 한국에 서울에 있는데 여기는 임대료가 싸서 싸게 파는거냐? 아니지, 실제로 임대료를 가격에 원가에 과하게 첨부하는 건 잘못된 것이고, 외국 브랜드가 임대료 어쩌고 하는건 어불성설이지.
하지만 사치품이나 공산품은 여전히 비싸야 잘팔림. 단지 "먹는 것" 만 이제 슬슬 한국인들이 정신차리고 있다고 보면 됨.
@sweetme_us_2354 47
2025년 7월 02일 00:11품질이 한국산과 비교해 압도적이지도 않으면서 가격만 압도적인 브랜드들은 한국소비자들이 얼마나 트렌드와 정보에 빠른지 무시한 것에 대한 당연한결과임. 해외 프리미엄이 진짜 프리미엄인지 한국 소비자들이 알아내는데 걸리는 시간은 하루도 안됨. 인터넷 강국에서 호구만 찾다니 경영진들은 70년대를 살고 있는가 봄.
@706commando 22
2025년 7월 02일 10:20기능성도 그저그런 비싸기만한 명품시장도 점점쇠퇴하겠지요? 🤔
@fghacbedgffu.c.k 21
2025년 7월 02일 11:25버거 크기도 외국서 파는거랑 다름.. ㅆㅂ 진짜 호구취급한거지
@moonji6779 17
2025년 7월 01일 21:55무슨 싸구려 로부스타종 베트남커피가 바닥을 기어도 살까말까인데 명품커피노릇을했냐 미친 망할만했네
@힘쎈총각-f4r 16
2025년 7월 01일 21:41난 그냥 국산이 좋은데 굳이 따로 설명하지 않아도 되지 않나?
@ljilji11 15
2025년 7월 02일 02:04겉멋 똥폼으로 바가지 쒸워서 나오면 허영심에 잘 팔릴줄 알았나벼
@icoulddodead 13
2025년 7월 02일 13:09개싸구려를 저 돈 주고 사먹는다고
팀홀튼 어이가 없더라
@madox0176 11
2025년 7월 02일 11:43미니소 도 한국 들어왔길래 강남미니소 가봤더니 중국에서 10위안 1950원 하는게 3300원 받더라 ㅋ
@dbxbqmtlfgdj 10
2025년 7월 02일 09:06겉치레 겉멋 든 사람들이 스스로 호갱 된 것 아닐지
@dudu-wu6bn 10
2025년 7월 02일 17:48삼성 LG가 떡하니 있는데 발뮤다 스메그를 사는 지능은 대체 어떤 두뇌임??
@user-ou2on3yx8u 6
2025년 7월 02일 10:40대한민국의 인터넷 정보를 파악하지 못했죠 그 빠르기를 ㅎㅎㅎ
@이영재-d6k 5
2025년 7월 01일 23:56발뮤다는 전세계적으로 망함.
@박태준-b3r 4
2025년 7월 02일 08:52개인적으로 발뮤다 좋아해서 거의 모든 재품 구매해서 사용했는데 출시가격은 70만원이면 한달도 안돼40만원 때 판매하니 가격이 너무 턱무늬 없어 이제 안삼
@김고발-n7z 4
2025년 7월 02일 12:36오죽하면 한국에서 자영업으로 살아 남으면 외국 이민가서 가게 차리면 성공함. 실제로 호주나 미국 캐나다에서 가게 키운 분들 대부분 한국에서 좀 하다가 외국으로 이민 간 분들이 다수임
@민경윤-x5x 4
2025년 7월 02일 11:09오던지 가던지 신경 끄고 ~~~~ 살고 있어요///
@laputau3816 3
2025년 7월 02일 09:00근데 아이폰은?
@cetafeel965 3
2025년 7월 02일 10:41다이슨?
@aasschl 3
2025년 7월 02일 16:49어설픈 코리아패치도 있긴하죠.. 하지만.. 지금 다른 저렴버전의 프렌차이즈가 온다해도... 저렇개 가격 책정을 할수 밖에 없습니다.... 지금 우리나라 인건비가 미치도록 높고 거기다 외국 프렌차이져가 온다면 건물주 들이 건물 임대료를 미친듯 올립니다....
@soonwook5307 3
2025년 7월 02일 01:01한국 소비자가 현명했으면 사지도 않았겠지
@joneqk9375 2
2025년 7월 02일 12:04팀홀튼은 두세달에 한번은 kt에서 쿠폰줘서 먹는데 콜드브루는 맛있긴 하던데... 굳이 이돈내고?ㅋㅋ
@hcy29 2
2025년 7월 02일 20:04외국산이 무조건 좋다 이건 옛날 이야기지 ㅋㅋㅋ
@LICBBAD 1
2025년 7월 02일 18:51국내 브렌드도 동일하게 적용됨.
최근 몇몇 국내 기업들은 과거의 기술력과 시장 점유력을
기반으로 어설픈 명품화 전략 또는 가격인상 및 사후관리 미흡 및 국내 소비자 차별등으로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음. 아직까지는 국내 장벽과 시장 점유력으로 자리를 지키고 있지만....소비자들은 바보가 아님. 아무튼 발전이 없으면 누구든 망한다는 사실을 기업들도 알았으면 좋겠음.
@정소라-v9n 1
2025년 7월 02일 19:59잠실 고든버거에 갔다가 너무 실망함 무었보다도 맛이 없어도 어이없게 없어서 다 먹을수가 없었슴
@레클리스 1
2025년 7월 02일 21:09전형적인 천민자본주의속 허영과 호구들 많던 한국은 가고 이제 현명한 소비자들이 정말 많아진듯.
@minimin7858 1
2025년 7월 01일 20:35나열된 해외 브랜드들의 원형에서 좋은 것만 쏙 쏙 빼서 ~ 첨단 기술과 성능 현지 감성 서비스를 더하고 가격도 합리적으로 책정하고 삐르게 변화하는 니즈 혹은 니즈를 리드해 만드는 코리안의 영악한(?) 능력 덕분!
어찌보면 원조들이 한국에서 진가를 발휘하지 못하고 억울한 면도 있음….
@유현우 1
2025년 7월 02일 19:4430년전 영국에서 탄생한 욕실과 보디 위주의 화장품브랜드 러쉬가 한국에서는 영국현지보다 가격이 더 비쌉니다 매장에 들어가면 향도 좋아서 써보고싶은데 너무 부담스럽네요
@parkjungsun2984
2025년 7월 02일 17:07외국 음식 먹어봤자 별거아님
@배성훈-c6i
2025년 7월 02일 19:08한국 상품은 전세계 제일이라는 것을 중국과 일본이 알고 한국시장에서 외산 브랜드가 성공해야 하는 조건은 한국사업에서 약점이 될만한 분야에 좀 더 집중을 해야 겨우 성공을 한다고 말입니다.
@si_is
2025년 7월 02일 23:17컴포즈 필리핀에 작년에 넘어감. 같은 기업이 노랑통닭도 사려는 참
@davelee3588
2025년 7월 02일 20:18사치품은 왜?
@aistarter-easy
2025년 7월 02일 20:54빵하고 우유 좀 들어와라 맛있고 가격 적당하게
@삐약-x6g
2025년 7월 02일 14:55발무다 스메그는 걍 에이에스고 가격이고 떠나서 기술력자체가 걍 떨어짐ㅡㅡ
@서대문형무소-f9n
2025년 7월 02일 17:17한국인들이 합리적 소비를 한다굽쇼? 몇백 몇천만원하는 명품 가방 사겠다고 새벽부터 텐트치고 줄서는 것들은 뭔데? 뭘좀 알고 떠드시지요
@GOR-z8c
2025년 7월 02일 16:04공부를해서 열심히 번돈 싸게 버리지 마세요 외국산이 다 좋는건 아닙니다
@genius1714
2025년 7월 02일 09:57아니야. 한국은 오히려 "싸게 팔면" 안팔리는 경향이 있고
실제로 미국이나 외국의 유명 체인들이 싼 가격을 들고 왔으나 쫄딱 망하고 나간 사례도 엄청 나게 많음
이케아 바바. 이케아는 유럽에서 존나게 싼마이 가구야. 한 시즌 쓰고 "버리는" 정도의 싼마이 인데
한국에 오니까 토종 프리미엄 가구들 보다도 더 비싸고 배송비도 거의 10만원 가까이 받는데 존나게 잘 돼.
이것 외에도 한국은 유독 "비싸야" 장사가 잘된다는 인식이 있고, 여태까지 그런게 다 통했음
고든램지도 줄서서 먹을 정도 였음 그런데 문제는 코로나 였음
코로나 이전과 이후 특히 "먹거리" 에 있어서는 사람들이 슬슬 가성비를 따지기 시작했고
세세히 따지기 시작했음. 그러니 이제는 현지 보다 많이 비싼 곳은 잘 안가게 되는 거지.
메가커피, 콤포즈는 북한에 있냐? 다 한국에 서울에 있는데 여기는 임대료가 싸서 싸게 파는거냐?
아니지, 실제로 임대료를 가격에 원가에 과하게 첨부하는 건 잘못된 것이고, 외국 브랜드가 임대료 어쩌고 하는건 어불성설이지.
하지만 사치품이나 공산품은 여전히 비싸야 잘팔림.
단지 "먹는 것" 만 이제 슬슬 한국인들이 정신차리고 있다고 보면 됨.
@sgj3091
2025년 7월 02일 09:28😊국내1위.2위 외 다수기업이 중국에 진출했다가 다망하고 쫒겨낭
이유가 중국소비자의 의중을 맞추지못한것과 똑같나요
@lindamom444
2025년 7월 02일 21:18다이슨도 그럼 곧?
다이슨 서비스받기 힘들다는데 계속 잘 팔려서 신기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