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한국가시장에 변화를 줬다는 점에서 매우 고마운이케아 ㅎㅎ 그치만 영상에서 언급한대로 너무 미로같은 매장은 피로감을 주기때문에 큰맘먹고 한번 가야하는 매장이되었고 그사이 가성비 가구들이 정말 많이 생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케아만의 장점이 있기때문에 철수하지 않았으면 한다 ㅠㅠ
외국기업이 국내진출 시 큰 문제가 한국을 그저 동양의 한 시장 쯤으로 쉽게 생각하고 대표이사 또는 지사장을 본사 사람을 고수 하는 것, 즉 한국 물정도 모르는데 자기네 방식으로만 영업 하다가 손 털고 나간 외국기업들의 공통점이었음 그래도 이케아 가구만의 장점이라 하면 남다른 디자인과 인체에 무해한 재료를 써서 좋음, 중국산 가구들은 포름알데히드, 아릴아민, 카드뮴, 납,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노닐페놀 등등 우리나라 기준치의 최대 700배 넘는 경우도 있음, 남성에겐 무정자증을 일으킬 수 있고 임산부에겐 기형아 출산 확률이 높아지며 아동에겐 발달장애와 아토피를 비롯 각종 질환에 시달릴 수 있다
이케아는 물건은 둘째 치고 직원들이 문제 있음. 고객들 문의는 대답도 안하고 모니터 재고를 보는 직원을 왜 매장에 데려다 놓는지? 한번은 노람 쇼핑 가방을 꺼내려 하는데 정리하던 가방을 건네줄 생각은 안하고 앞에서 다른 쪽으로 집어던짐. 이케아 매장 3군데 가봤는데 다 똑 같음. 지들끼리 노닥 거리느라 물어보려고 서 있던 사람 머슥하게 만듦.
이케아 광명점이 들어오던 시점이 인테리어 공사를 막 시작한 때라, 두번이나 방문했는데 종류는 무지 많은 데 막상 살 만한 것은 거의 없었습니다. 겨우 겨우 구입한 것은 뽀앵 체어, 가구는 일산 가구단지랑 한샘 강남점을 다시 방문했었고, 그것도 절반은 인터넷으로 주문함. 부엌은 한샘 주문형, 화장실은 대림 주문형으로 함.
외쿡에서는 분명 가성비라고 알려져서 (선입견으로) 좋을거라 믿었는데 골때리게도 프리미엄 가격이었음. ㅋㅋ 한국이 못?사는 나라였나봄. 외쿡은 싸고 저렴해서 잠깐 쓰고 버리는 가구다 라고 홍보했던건데 한국에서는 고급품이 되다니 ㅋㅋ 그딴 경영을 하니 사람들이 찾지 않지. 나도 광명 이케아 2번 가보고는 관심이 없어졌다. ㅋㅋ 쓰벌 뭐이리 비싸 ㅋㅋ
조립치곤 비싸다는게 문제지. 제품 하나하나는 문제 없음. 그리고 조립때문에 안산다? 이케아제품 대부분 초딩도 조립할 수준이 대부분인데 그건 억까임. 가구류 하나 사려면 일단 이케아나 국내브랜드만 고려함. 일단 아무리 싸도 중국산은 온갖 유해물질 발암물질 범벅이라서 생각조차도 안함.
4인 가족이 충분히 살만큼 넓은 평수의 아파트는 비싸서, DIY를 할만한 젊은 세대는 감히 생각하지 못합니다. 충분한 평수의 아파트를 가진 사람은 유산이든 직업이든 돈이 있는 사람이 DIY에는 신경 쓰지 않습니다. 한국의 아저씨 아줌마들은 내가 살 집보다는 남이 사줄 집을 선호하고, 집값이 오르기를 바라기에 DIY에는 크게 관심 없습니다. 1~2인 가구에서는 주로 소품 형태인데, 이케아 입장에서는 큰 돈이 안됩니다.
E0가구 찾기가 쉽지 않아여. 전 그거 하나만으로도 값어치가 있다 생각하네요. 그리고 주방도 같은 등급으로 하면 한샘프리미엄 등급인데 700-800수준으로 할수 있습니다.
다만 이사다닐때 다 짊어지고 가는 한국 특성상 가구 내구성 문제가 있고. 첨 조립할때 엄청 단단하게 조여줘야 한다는 점이 있는데 동봉되어 있는 육각렌치가 넘 작아요. 그걸로 조이면 금방 풀릴 수 있습니다. 가정용 긴 렌치로 더 단단히 조여주세요. 그러면 아무리 움직여도 안 풀려요.
가격이 무기인데, 국내 가구가격이 내려가서 하향평준화 되었고 중국산 제품들이 알리나 테무를 통해 더 싸게 들어오면서 더 이상 이케아의 가격메리트가 없어진 거죠. 그래도 제품자체의 질은 보장됬었고 아이디어와 신박한 디자인의 장점은 있었으나 어째서인지 한국에만 들어오면 가격이 상승하는 신비로운 경험을 이케아도 보여주기 시작하면서 점 점 메리트가 없어졌죠. 코스트코는 자신들의 장점을 계속 살려갔기에 여전히 인기지만 이케아는 그런 모습을 보여주지 못 한거죠.
@개포포레스트 848
2025년 7월 25일 19:53그래도 이케아가 있으니까 어느정도 다른 가구업체가 긴장하며 경쟁력을 펼칠수 있다고 봅니다....이케아 없을때 가구시장 개판이었죠 ㅎ
@yellow0707 456
2025년 7월 25일 20:11기존한국가시장에 변화를 줬다는 점에서 매우 고마운이케아 ㅎㅎ 그치만 영상에서 언급한대로 너무 미로같은 매장은
피로감을 주기때문에 큰맘먹고 한번 가야하는 매장이되었고 그사이 가성비 가구들이 정말 많이 생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케아만의 장점이 있기때문에 철수하지 않았으면 한다 ㅠㅠ
@thegreatREDonion 452
2025년 7월 25일 18:41오늘의집이 큰 역할을 했지... 그래도 이케아 철수하면 안돼!!!!!
@Chanel-NO.5 383
2025년 7월 25일 20:53이케아 생기기전에 가구점에서 후려치던 가격 생각하면 난 그래도 이케아가 좋다
@meanest79 324
2025년 7월 25일 21:41조립하기 너무 귀찮음. 원래 유럽에선 저렴한걸로 떴는데 우리나라에선 저렴하지도 않음
@Maltese_kai 187
2025년 7월 25일 19:37조랍과 배송 합하면 싸지도 않음.ㅠㅠ
@일뽕발작감지센서 184
2025년 7월 25일 19:25오픈 때부터도 가 보면 이 퀄리티 디자인 에 이 가격이면 싼... 건가??? 하고 좀 갸웃한 제품이 많았음.
@홍길동-n1f 131
2025년 7월 25일 20:48난 그래도 이케아 좋아. 이런 믿음가고 정직한 매장이 없어지는건 난 너무 싫다. 제발 남아줘~~~
@bbokdoong 83
2025년 7월 25일 21:13이케아가 성공하려면 젊은 인구가 많아야하고 유동인구가 많아야함. 우리나라에서 버티긴 힘들듯.
@조진해-j7e 81
2025년 7월 25일 19:08중국산가구 버릴때 돈만 쓴다
돈더주더라도 중국산 안산다 ㅠㅠ
@다이브-v7n 73
2025년 7월 25일 21:18외국기업이 국내진출 시 큰 문제가 한국을 그저 동양의 한 시장 쯤으로 쉽게 생각하고 대표이사 또는 지사장을 본사 사람을 고수 하는 것, 즉 한국 물정도 모르는데 자기네 방식으로만 영업 하다가 손 털고 나간 외국기업들의 공통점이었음 그래도 이케아 가구만의 장점이라 하면 남다른 디자인과 인체에 무해한 재료를 써서 좋음, 중국산 가구들은 포름알데히드, 아릴아민, 카드뮴, 납,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노닐페놀 등등 우리나라 기준치의 최대 700배 넘는 경우도 있음, 남성에겐 무정자증을 일으킬 수 있고 임산부에겐 기형아 출산 확률이 높아지며 아동에겐 발달장애와 아토피를 비롯 각종 질환에 시달릴 수 있다
@하하지은 72
2025년 7월 26일 09:39같은 EO 등급이라도 우리나라 가구는 싸구려 본드 냄새 같은거 남.
가격이고 조립이고 떠나서 유럽에는 친환경법이 엄격해서 이런 친환경 자재때문에 이케아껄 살수 밖에 없는 사람도 있음.
이거는 우리나라 법이 문제임.
@seph89 70
2025년 7월 26일 10:07이케아가 있어서 사람들이 가격의 준거기준을 쉽게 둘 수 있는 거지, 없으면 또 가구점들한테 눈탱이 맞기 쉬울 겁니다.
@디자이너장 64
2025년 7월 25일 19:07그렇게 저렴하지도 않을 뿐 아니라 제품이 견고하지(좀 허접)하지도 않던데...
몇 가지는 씀만한 것도 있고...그런 거 같으이
@youseha562 53
2025년 7월 25일 19:29이케아 가보면 가격이 싸지가 않음. 가격 기대하고 가면 매우 실망함. 서랍장 한개 사서 조립했는대 품질도 조악합니다.
@man-pe45 53
2025년 7월 26일 08:02가구업자들 이케아 들어오기전 폭리를 취하다가 이케아때문에 그래도 가격이 정찰제느낌으로 굳어지긴했지..
@IiIiiIiIiI-fc3mf 52
2025년 7월 26일 01:39이케아 수도권 매장 한두개라도 유지하길. 난 이케아 넘 좋음
@user-qv5vz4fo8f 50
2025년 7월 25일 22:43분석이 정확하네. 가격이 싸지않고 내가 조립할 려니 귀챦음
@balkorak2 40
2025년 7월 25일 21:46동선이 병맛... 딱 한번 구경 가보고 안감. 한국서 장사하려면 최단거리로 살것만 딱 사고 나올수 있어야..
@jjaryno77 39
2025년 7월 26일 02:12가장 단점이 엄청 싸지도 않으면서 직접조립해야한다는거임
@dohyunbarg 38
2025년 7월 25일 20:04이케아 망하지는 말아줘
@짱아오빠-q9y 37
2025년 7월 25일 22:47우리나라 가구들의 콧대 높던 가격대가 이케아 덕분에 상당히 꺽인건 이케아의 분명한 공로임!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의 기본적인 정서는 조립을 별로 좋아하진 않음! 동영상 내용처럼 조립 정책을 너무 오랬동안 끌고 간게 성장세가 꺾인 폐단의 직접적인 원인 일것임.
@김큰바위그늘 37
2025년 7월 25일 21:38이케아 오프라인 매장둘러보다 지쳐서 되돌아 나온후부턴 다신 안감
@가을아침-t1s 35
2025년 7월 25일 22:58후딱 필요한 것만 사고 싶을 때도 있는데 탈출할 수 없을 것 같은 동선은 시작부터 지친다.
@hae-gyunlee6764 33
2025년 7월 26일 12:48더 싼 가격에 직접 조립이 기본인 이케아가 우리한테 바가지였음. 해외 에서 파는가격보다 여러배 비쌌음...
@홍길동-n1f 32
2025년 7월 25일 20:41난 아직도 이케아 좋은데. 허접하지 않고 깔끔한 디자인. 거품없는 가격. 다른 가구회사들은 허접하거나 가격거품이 넘 심하던데
@secondlifeinjapan1345 31
2025년 7월 25일 22:37이케아는 물건은 둘째 치고 직원들이 문제 있음. 고객들 문의는 대답도 안하고 모니터 재고를 보는 직원을 왜 매장에 데려다 놓는지? 한번은 노람 쇼핑 가방을 꺼내려 하는데 정리하던 가방을 건네줄 생각은 안하고 앞에서 다른 쪽으로 집어던짐. 이케아 매장 3군데 가봤는데 다 똑 같음. 지들끼리 노닥 거리느라 물어보려고 서 있던 사람 머슥하게 만듦.
@snowfalling-r9q 30
2025년 7월 25일 20:12이케아 광명점이 들어오던 시점이 인테리어 공사를 막 시작한 때라, 두번이나 방문했는데 종류는 무지 많은 데 막상 살 만한 것은 거의 없었습니다.
겨우 겨우 구입한 것은 뽀앵 체어, 가구는 일산 가구단지랑 한샘 강남점을 다시 방문했었고, 그것도 절반은 인터넷으로 주문함. 부엌은 한샘 주문형, 화장실은 대림 주문형으로 함.
한 줄 요약 : 많지만 막상 살 건 없음.
@whattheget 25
2025년 7월 25일 22:14외쿡에서는 분명 가성비라고 알려져서 (선입견으로) 좋을거라 믿었는데
골때리게도 프리미엄 가격이었음. ㅋㅋ
한국이 못?사는 나라였나봄. 외쿡은 싸고 저렴해서 잠깐 쓰고 버리는 가구다 라고 홍보했던건데 한국에서는 고급품이 되다니 ㅋㅋ
그딴 경영을 하니 사람들이 찾지 않지. 나도 광명 이케아 2번 가보고는 관심이 없어졌다. ㅋㅋ 쓰벌 뭐이리 비싸 ㅋㅋ
@CVJtuake1F-x3i 25
2025년 7월 26일 03:02조립치곤 비싸다는게 문제지. 제품 하나하나는 문제 없음. 그리고 조립때문에 안산다? 이케아제품 대부분 초딩도 조립할 수준이 대부분인데 그건 억까임. 가구류 하나 사려면 일단 이케아나 국내브랜드만 고려함. 일단 아무리 싸도 중국산은 온갖 유해물질 발암물질 범벅이라서 생각조차도 안함.
@김아롬-r4f 22
2025년 7월 25일 22:41하나 수정해야할건 이제 가심비 시대도 끝난다는거지
경기침체가 얼마나 더 갈지 상상도 안가는 상황에서
다시 가성비로 돌아왔음
@끽따거 19
2025년 7월 26일 01:25세상의 모든 것은 영원한 것이 없이 변한다는 사실을 이케아가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big-gamehunter6285 19
2025년 7월 25일 20:10매출은 그렇게 많이 떨어지지 않았는데 영업이익만 급락했네
이건 뭔가 다른 이유가 있는거 아닐까?
@donggulee8522 19
2025년 7월 25일 23:03가성비가 좋다고 해서 사면 품질이 그닥이라 오래못쓰는거같음 딱 그 가격정도의 품질이랄까 가구는 사실 사면 오래쓰기 때문에 좀 돈을 더 주더라도 좋은품질을 사서 만족하면서 쓰는게 좋은거같음
@김동동-v9v 18
2025년 7월 25일 21:59이케아가 어딜 봐서 가성비야 15년 해외에서 부터 지금까지 단한번도 가구가 싼 적이 없어
@joyonghisumswida 17
2025년 7월 26일 04:044인 가족이 충분히 살만큼 넓은 평수의 아파트는 비싸서, DIY를 할만한 젊은 세대는 감히 생각하지 못합니다.
충분한 평수의 아파트를 가진 사람은 유산이든 직업이든 돈이 있는 사람이 DIY에는 신경 쓰지 않습니다.
한국의 아저씨 아줌마들은 내가 살 집보다는 남이 사줄 집을 선호하고, 집값이 오르기를 바라기에 DIY에는 크게 관심 없습니다.
1~2인 가구에서는 주로 소품 형태인데, 이케아 입장에서는 큰 돈이 안됩니다.
@eunyounghur8860 14
2025년 7월 25일 22:29조립때문에 사기가 꺼려져요.
@youngsoochoi3283 12
2025년 7월 25일 21:56원목식탁, 침대 매트리스, 프레임, 장식장 등등 튼튼하고 가격좋은 것도 제법 있죠.
반면에 싼티가 팍팍 나는 것도 있으니, 선택의 여지가 있어서 좋더군요.
식당은 양은 적지만 맛있고.
@apple2907 11
2025년 7월 26일 12:46설치비용, 편의성, AS따지면 오히려 한샘,리바트,일룸이 더 나아보이게 되죠..
이케아 덕분임ㅋㅋ
@MarinJJC 11
2025년 7월 25일 19:37딱 하나 그냥 불편합니다
@ccd3257 11
2025년 7월 25일 20:25경제가 힘들면 의식주 부터 먼저 챙기지 가구
까지 소비를 확장 시키진 않죠 이케아는 소비
까지 번거로운게 많고 비싸죠
@정석은-h7o 9
2025년 7월 26일 02:59이케아 의자 쓰고 있는데 진짜 가격에 비해 개좋더라. 듀오백도 좋았는데 그건 좀 비싸니깐 제외. 중국산 한번 쓰고 개피 보고 이케아 꺼 쓰는데 진짜 만족 스럽더라.
@Hangook 9
2025년 7월 25일 21:53서랍장은 절대 사지 마시길..
@hwangdevil 7
2025년 7월 26일 08:59E0가구 찾기가 쉽지 않아여. 전 그거 하나만으로도 값어치가 있다 생각하네요. 그리고 주방도 같은 등급으로 하면 한샘프리미엄 등급인데 700-800수준으로 할수 있습니다.
다만 이사다닐때 다 짊어지고 가는 한국 특성상 가구 내구성 문제가 있고. 첨 조립할때 엄청 단단하게 조여줘야 한다는 점이 있는데 동봉되어 있는 육각렌치가 넘 작아요. 그걸로 조이면 금방 풀릴 수 있습니다. 가정용 긴 렌치로 더 단단히 조여주세요. 그러면 아무리 움직여도 안 풀려요.
@김시청자-p7y 6
2025년 7월 25일 22:48요즘 온라인몰에서 주문하면 완성품 책장, 식탁이 집으로 배송되고 침대, 쇼파는 배송해서 바로 조립해주니 편하더라고요
@7mandalorian 6
2025년 7월 26일 00:49거대한 오프라인 매장 운영비 없애고 그냥 온라인몰만으로 확실한 가성비 챙기면 왜 안팔리겠나
가격만 충분히 낮아지면 영상속 온갖 분석이 무색하게 잘 팔릴 게 너무나 당연하지 않은가
@tudo913 5
2025년 7월 25일 20:34싸지도않고 .차라리 모던하우스 가구가 튼튼합니다 .너무 허접해요. 지금 가구도 모두 가격이 너무 비쌉니다
@brianlee7569 4
2025년 7월 26일 03:01가격이 무기인데, 국내 가구가격이 내려가서 하향평준화 되었고 중국산 제품들이 알리나 테무를 통해 더 싸게 들어오면서 더 이상 이케아의 가격메리트가 없어진 거죠. 그래도 제품자체의 질은 보장됬었고 아이디어와 신박한 디자인의 장점은 있었으나 어째서인지 한국에만 들어오면 가격이 상승하는 신비로운 경험을 이케아도 보여주기 시작하면서 점 점 메리트가 없어졌죠. 코스트코는 자신들의 장점을 계속 살려갔기에 여전히 인기지만 이케아는 그런 모습을 보여주지 못 한거죠.
@jamesaprk77 1
2025년 7월 26일 17:02같은 가격 중국산과는 비교불가. 퀄리티가 내구성이 확연히 다릅니다.
@Olathe1004 1
2025년 7월 26일 19:56일단 조립하기가 너무 귀찮고 사서 직접 들고가야하는데 픽업트럭이 없는 대한민국에는 좀.. 물론 택배가있지만 비싸더만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