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덕 교수님의 강연,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봤습니다. 특히 현재 양자컴퓨터가 가진 '양자 오류'라는 현실적인 한계 때문에 우리 은행 계좌가 안전하다는 조크(?)도 정말 흥미로웠습니다. 실패조차 새로운 이론의 시작이 될 수 있다는 'No risk, High return'이라는 표현에서 연구에 대한 깊은 자부심과 철학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저는 양자컴퓨터를 '지구의 언어를 번역하는 번역기'로 활용해보고 싶습니다. 기후 변화, 이상 기후 등 현재 슈퍼컴퓨터로도 예측하기 어려운 복잡한 자연 현상들의 근본적인 상호작용을 양자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인류가 직면한 가장 큰 위기인 기후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를 찾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새로운 '기회'를 만들고 싶습니다.
귀중한 시간을 통해 좋은 강연해주신 박경덕 교수님 및 세바시 강연 채널에 감사드립니다. "무언가를 만들려고 애쓰는 과정 자체가 결국 진정한 이해로 이어진다." 위 문장이 가장 인상 깊었습니다. 현재 세계를 주름잡는 많은 사람들은 모두 위 문장의 표본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위 문장을 깊이 새기며 살아가는 멋진 사람이 되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박경덕 교수님의 강연 잘 봤어요. 어렵고 복잡한 양자 컴퓨터에 대해 다양한 사례를 통해 알게 되어 좋은 시간이 된 것 같아요. 양자비트를 기반으로 작동하며 고전 컴퓨터의 비트와 달리 중첩 상태로 동시에 여러 값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컴퓨터를 만나 좋았어요. 양자 컴퓨터로 어렵고 복잡한 리포트를 빠르게 처리하는 새로운 기회를 만들고 싶어요. 자료때문에 고생하는 시간을 줄이면서 효율적으로 업무를 이루게 도와주니까 기대되네요. 앞으로도 유익한 정보로 사랑받는 세바시강연 응원할게요^^
@jihyeoklim696 8
2025년 7월 25일 20:55한동안 핫했던 양자 컴퓨터에 대해서 설명해주시니 좋았고 잠재적인 가능성에 대해 배워가서 좋았습니다!
@Justinlabry 8
2025년 7월 25일 20:46박경덕 교수님의 강연,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봤습니다. 특히 현재 양자컴퓨터가 가진 '양자 오류'라는 현실적인 한계 때문에 우리 은행 계좌가 안전하다는 조크(?)도 정말 흥미로웠습니다. 실패조차 새로운 이론의 시작이 될 수 있다는 'No risk, High return'이라는 표현에서 연구에 대한 깊은 자부심과 철학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저는 양자컴퓨터를 '지구의 언어를 번역하는 번역기'로 활용해보고 싶습니다. 기후 변화, 이상 기후 등 현재 슈퍼컴퓨터로도 예측하기 어려운 복잡한 자연 현상들의 근본적인 상호작용을 양자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인류가 직면한 가장 큰 위기인 기후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를 찾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새로운 '기회'를 만들고 싶습니다.
훌륭한 강연 정말 감사합니다. 교수님의 연구를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장주현-v1n 7
2025년 7월 25일 21:09귀중한 시간을 통해 좋은 강연해주신 박경덕 교수님 및 세바시 강연 채널에 감사드립니다.
"무언가를 만들려고 애쓰는 과정 자체가 결국 진정한 이해로 이어진다."
위 문장이 가장 인상 깊었습니다.
현재 세계를 주름잡는 많은 사람들은 모두 위 문장의 표본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위 문장을 깊이 새기며 살아가는 멋진 사람이 되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sebasi15 5
2025년 7월 25일 20:17[책이벤트] 여러분은 양자 컴퓨터로 어떤 새로운 '기회'를 만들고 싶으신가요? 오늘 영상을 보신 소감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추첨을 통해 세바시 강연자가 직접 싸인한 책을 보내 드립니다! (참여 기간: 7/25~31, 발표: 8/1)
@이정현-c9r1v 5
2025년 7월 25일 20:35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이상화-h4j 5
2025년 7월 25일 20:45그래도 아직은 어렵네요~
잘보고갑니다 ~
@제니퍼-f1h 3
2025년 7월 25일 22:08인공지능과 양자정보기술의 교집합이 더 넓어지길 기대합니다~!!! 양자머신러닝 고 고 고~~!!!
@Qkskskrkwhgdk 3
2025년 7월 25일 23:24양자역학의 불확정성 원리는 기술적인 한계가 아니라 자연적인 한계인데 양자역학을 인공지능과 결합시켜 정보처리를 이해할 수 있다는게 신기하네용. 강연 감사합니다~ 앞으로 더 공부해야 겠어용,, 많이 어렵네욤
@bada7523 1
2025년 7월 26일 07:05형이 꼭 집어줄께
IONQ에 여유 돈 좀 넣어 놔
@드리미-l2h 1
2025년 7월 26일 17:11박경덕 교수님의 강연 잘 봤어요. 어렵고 복잡한 양자 컴퓨터에 대해 다양한 사례를 통해 알게 되어 좋은 시간이 된 것 같아요. 양자비트를 기반으로 작동하며 고전 컴퓨터의 비트와 달리 중첩 상태로 동시에 여러 값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컴퓨터를 만나 좋았어요. 양자 컴퓨터로 어렵고 복잡한 리포트를 빠르게 처리하는 새로운 기회를 만들고 싶어요. 자료때문에 고생하는 시간을 줄이면서 효율적으로 업무를 이루게 도와주니까 기대되네요. 앞으로도 유익한 정보로 사랑받는 세바시강연 응원할게요^^
@김태현-taehyeon
2025년 7월 26일 12:50잘보고 갑니다
@gisung-xd3rl
2025년 7월 27일 01:13양자적 특성을 가진 데이터, 그 양자 데이터를 임베딩화, 흥미진진 합니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싶고 배우고 싶습니다
@SkyArt-r8j
2025년 7월 26일 17:29되냐?안되냐?의 문제가 아니라 언제되느냐?의 문제다. 새로운 세계에 적응위해 시선을 열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하하하하하-t3d
2025년 7월 26일 16:50구글이 논리큐비트 겨우 이제 2개정도 돌린다고 주장할정도인데 마주보고 있다기에는 좀.. 제대로 되려면 10년 그 이상은 걸리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