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감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이야기 감사합니다. 농업에 대해 그냥 퍼주기식 보호만 해오면서 경쟁력도 자생력도 없고, 감성팔이로 호소하는 것 외엔 전략도 없다고 봅니다. 결정적으로 지방 토호, 지자체 선거, 농협 등이 거대한 이권공동체라 아무도 못 건드리는 것이고, 향토 국회의원들은 감싸고 돌고요.
식량안보를 이야기 하면서 쌀과 소고기를 보호한다고 하는데.. 진짜 식량안보를 걱정한다면 대규모 자본이 들어와서 기업화 영농을 하고 신기술을 도입하는데 적극적이어야 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소규모 영농업자를 보호하고 있지 식량안보를 지키고 있는것도 아니죠.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이제 우리도 AI나 신기술을 적극 도입할수 있는 스타트업과 자본이 충분한 기업에 농업을 하도록 유도하고 경쟁력 없는 농가는 다른쪽으로 유도하거나 도태시켜야 합니다. 농업에서도 경쟁력 없는 사과는 잘라버리듯이 농업에서도 가지치기 들어가야죠. 본질적인 경쟁력을 갖추지 않으면 시간이 지날수록 더 불리해질것입니다.
박사님의 강의를 항상 감사히 듣고 있는 사람입니다 식량주권은 중요한 문제 입니다 최근 대두되는 일본 쌀부족이나 핀리핀의 쌀부족 문제는 우리가 농업에 대하여 깊게 생각해봐야하는 일 입니다 이상기후 등에도 분구하고 여러분이 지금 맛있는 쌀을 싸게 언제든지 구입해드실 수 있는 것은 정부의 적극적 개입으로 농가가 적정한 쌀가격을 받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진짜 사과러버로써 저장성만 높고 파석거리는 부사사과를 먹는거 너무 지겹습니다. 미국에 살때는 일년 내내 다양한 품종의 새콤달콤한 사과를 물가대비 적당한 가격에 일년내내 먹었는데요.. Envy, Honey crisp, Pink lady, Gala 다 딴딴하고 향기 좋습니다.
동의하기 쉽지 않네요. 미국은 경쟁력 없는 산업을 부활시키려고 보호무역 장벽을 친 건데...우리가 쌀 같은 주식을 다 개방했다가 미국이 무기화할 수 있는 거 잖아요. FTA도 자기맘대로 날려버린 이 와중에 미국을 어떻게 믿나요. 오히려 이런 시기에 식량안보 차원에서라도 지켜야하는거 아닌가요? 적절한 균형을 찾는게 그만큼 어려운 일이지요.
대규모 자본이 들어와 주식회사를 설립하고, 인구소멸지역부터 자본이 들어가서 기존의 땅주인들에게 땅을 받고 주식을 나눠주는 형식으로도 해볼만할 수 있지 않을까요? 물론 돈으로 원하면 현금으로 주고요. 주식을 받아 배당으로 생활하게 해주는 것도 방법이고 농업관련 주식에는 배당소득세 등도 세제혜택을 더 준다던지... 여러가지 방안이 있을겁니다. 주식으로 받아 배당을 받고 지방 노인들의 농업 경험에 대하여 일자리를 주고 소득을 창출해주고... 정부에서 적극적인 대책을 내봤으면 좋겠습니다.
@HotAmericano 29
2025년 8월 02일 12:18민감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이야기 감사합니다. 농업에 대해 그냥 퍼주기식 보호만 해오면서 경쟁력도 자생력도 없고, 감성팔이로 호소하는 것 외엔 전략도 없다고 봅니다. 결정적으로 지방 토호, 지자체 선거, 농협 등이 거대한 이권공동체라 아무도 못 건드리는 것이고, 향토 국회의원들은 감싸고 돌고요.
@Trabecular 27
2025년 8월 02일 11:52식량안보를 이야기 하면서 쌀과 소고기를 보호한다고 하는데.. 진짜 식량안보를 걱정한다면 대규모 자본이 들어와서 기업화 영농을 하고 신기술을 도입하는데 적극적이어야 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소규모 영농업자를 보호하고 있지 식량안보를 지키고 있는것도 아니죠.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이제 우리도 AI나 신기술을 적극 도입할수 있는 스타트업과 자본이 충분한 기업에 농업을 하도록 유도하고 경쟁력 없는 농가는 다른쪽으로 유도하거나 도태시켜야 합니다. 농업에서도 경쟁력 없는 사과는 잘라버리듯이 농업에서도 가지치기 들어가야죠. 본질적인 경쟁력을 갖추지 않으면 시간이 지날수록 더 불리해질것입니다.
@하세요안녕-m4t 24
2025년 8월 02일 10:34누구나 말하고 싶지만 누구도 말하기 어려운 사실을! 시니컬하지만 할 말은 하는 분
@sapphire4409 22
2025년 8월 02일 14:14대체 그놈의 쌀이랑 소고기가 뭔지... 농민이랑 유통업체만 국민인건가요 음식 비싸게 사먹는 국민들은 매일 희생당하는거나 마찬가진데
@하얀빈스 21
2025년 8월 02일 10:08많은 부분 공감합니다. 감사합니다.
@김수기-q2h 15
2025년 8월 02일 11:04게다가 쌀과 쇠고기 이외 과일과 채소는 이미 모두 개방된 상태입니다 말씀하신 사과도 마찬가지 이지요
@Professional-kim 13
2025년 8월 02일 14:58진짜 옭은 말씀만 하시네요
노조 농민등 이익집단 눈치보느라
다수 일반국민이 피해보는 구조
이제는 좀 개선되야하는데
대다수 국민이 목소리를
내지 않으니 정치인들이
당장 눈앞에 쉬운 길로만 가려고
하니 우리 아이들의 미래가
걱정되네요
@꿈꾸는학생 12
2025년 8월 02일 13:19이번 관세 협상에 대한 홍박사님 의견에 크게 공감합니다.
@김수기-q2h 12
2025년 8월 02일 11:00박사님의 강의를 항상 감사히 듣고 있는 사람입니다
식량주권은 중요한 문제 입니다
최근 대두되는 일본 쌀부족이나 핀리핀의 쌀부족 문제는 우리가 농업에 대하여 깊게 생각해봐야하는 일 입니다 이상기후 등에도 분구하고 여러분이 지금 맛있는 쌀을 싸게 언제든지 구입해드실 수 있는 것은 정부의 적극적 개입으로 농가가 적정한 쌀가격을 받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김연근-l3j 11
2025년 8월 02일 12:26지금농민들이 서울사람보다 잘 삽니다
농특세 통과시켜 농민들만 톡혜를주는세상너무불공평합니다 언제까지 이럴런지
@kollau2025 10
2025년 8월 02일 10:42박사님 항상 영상, 책, 멤버십 통해서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박사님께 많이 배워서 좋은 투자 하도록 하겠습니다
@myp영-w4m 9
2025년 8월 02일 10:14박사님 의견에 공감됩니다
그러나 식량안보도 고려해야하지않을까요
@김찬희-b8w 9
2025년 8월 02일 10:49진짜 사과러버로써 저장성만 높고 파석거리는 부사사과를 먹는거 너무 지겹습니다. 미국에 살때는 일년 내내 다양한 품종의 새콤달콤한 사과를 물가대비 적당한 가격에 일년내내 먹었는데요.. Envy, Honey crisp, Pink lady, Gala 다 딴딴하고 향기 좋습니다.
@아름다운강산-j5t 6
2025년 8월 02일 12:58농민보호만이 아니라 정상회담 성사용으로 과도한 돈을 쓴 것은 아닐까?
@간소일상 5
2025년 8월 02일 11:50좋은 👍 말씀입니다. 농업 예산을 좀 더 스마트하게 사용하길 기대합니다
@chunukhong 5
2025년 8월 02일 01:59(8/3 1차 혜택마감) 올해 첫 모집 [홍춘욱의 실전투자 멤버십] 신청하기: https://us-insight.com/products/group/68
*8월, 실전 포트폴리오가 공개됩니다
*얼리버드 평생 할인 혜택은 8/3(일요일) 1차 마감됩니다
*한달, 책 한권의 가격으로 진행됩니다
안녕하세요 홍춘욱입니다.
지금 주목해야 할 자산, 그리고 매달의 리벨런싱 전략을 실전투자 멤버십에서 공개하고자 합니다.
여러분의 불안과 고민이 무엇인지 알기에 이번에 저의 모든 전략이 포함되어 있는 실전투자 멤버십을
한달, 책 한권의 가격으로 시작합니다.
지금부터라도 함께 준비한다면 나와 내 가족 모두 지킬 수 맞춤형 포트폴리오를 만들 수 있습니다.
저와 매일, 매주, 매월 함께하며 나와 내 가족의 미래를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 홍춘욱의 실전투자 멤버십 ‘목표 2가지’
1. 나의 노후, 가족의 미래를 책임질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수익을 내는 포트폴리오 완성
2. 변화하는 시장상황에도 시장을 이길 수 있는 맞춤형 대응전략 구축
궁금하신 사항은 아래 링크를 통해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수업 문의하기: https://us-insight.channel.io/home
@remember6760 5
2025년 8월 02일 11:39불행 중 다행이다.
그러나 행운은 없었다.
@yhjefflee4875 5
2025년 8월 02일 14:19이런 말씀은 더 큰 곳에서 해 주세요..
이 나라를 정말로 걱정한다면 이제는 개방해야합니다.
@jaemins22 4
2025년 8월 02일 15:11동의하기 쉽지 않네요. 미국은 경쟁력 없는 산업을 부활시키려고 보호무역 장벽을 친 건데...우리가 쌀 같은 주식을 다 개방했다가 미국이 무기화할 수 있는 거 잖아요. FTA도 자기맘대로 날려버린 이 와중에 미국을 어떻게 믿나요. 오히려 이런 시기에 식량안보 차원에서라도 지켜야하는거 아닌가요? 적절한 균형을 찾는게 그만큼 어려운 일이지요.
@정재필-m8k 4
2025년 8월 02일 13:29200만 농민을 보호하기 위해서가 아니고 서서히 몰락하고 있는 농촌과 농업을 보호하기 위해서 입니다ᆢ국방,에너지 만이 안보가 아닙니다.
@병섭임-j9y 4
2025년 8월 02일 15:15기존 농업정책으로는 불가능, 다 개방해야죠, 그래야 우리농업이 발전합니다
@Trabecular 4
2025년 8월 02일 13:25대규모 자본이 들어와 주식회사를 설립하고, 인구소멸지역부터 자본이 들어가서 기존의 땅주인들에게 땅을 받고 주식을 나눠주는 형식으로도 해볼만할 수 있지 않을까요? 물론 돈으로 원하면 현금으로 주고요. 주식을 받아 배당으로 생활하게 해주는 것도 방법이고 농업관련 주식에는 배당소득세 등도 세제혜택을 더 준다던지... 여러가지 방안이 있을겁니다. 주식으로 받아 배당을 받고 지방 노인들의 농업 경험에 대하여 일자리를 주고 소득을 창출해주고... 정부에서 적극적인 대책을 내봤으면 좋겠습니다.
@최도영-b5o 3
2025년 8월 02일 11:40뭐지 뉴스에서는 우리정부가 협의를잘했다고 하던디요..
@user-kf1sk5be7f 3
2025년 8월 02일 14:58무논리의 트럼프
누구든 끝나고 평가는 쉽게 할수 있죠
@뭘봐-o3g 3
2025년 8월 02일 10:48좋으신 말씀이시네요
박사님을 국회로
@Thebanker-p4e 3
2025년 8월 02일 17:01쌀과 소고기때문에 전 국민이 고통을 받아야한다뇨..
소수 노조, 농민만을 위한 정부. 현정부는 누구를 위한 정부입니까.
민감하지만 옳은 말씀해주신 홍박사님 감사합니다.
@장군-n6d 3
2025년 8월 02일 16:23항상 잘 듣고있어요. 하지만 오늘강의는 70퍼 동의가 어렵습니다
@Prometheus-w7f 3
2025년 8월 02일 16:11제말이요 65세 이상 고령자 농민들 대부분 국민의힘 지지자들인데 왜 민주당은 본인들 지지하지 않는 집단을 그렇게 챙기는지 모르겠네요 우리나라 주요 사과재배지도 경북인데 전 이번에 쌀이며 사과며 다 개방하면서 다른걸 지켰으면 했는데 몹시 아쉽습니다
@money4620 3
2025년 8월 02일 14:44관세가 15% 라서 잘 했다는 말이 안됨. 누가 해도 결론은 버킹검인 15%. 단 얼마나 퍼주고 결론을 냈나 하는 거지. 상대적으로 더 또는 덜 줬냐의 문제. 한국은 말도 안 되게 너무 많이 줬음!
@jhc3928 3
2025년 8월 02일 11:48미국주식에 투자 하라고 강조 하고 주장하시던 분이 지금 와선 미국투자때문에 걱정 이라고 하시니 ...
@geist7268 3
2025년 8월 02일 13:56홍박사님, 농촌의 들판에서 땀흘리며 일해본적이 있습니까?
우리 농업이 대중문화(k-culture)처럼 경쟁력이 있다고 보십니까?
농업은 단지 경제적 문제가 아니라 안보, 나아가 도시문화의 근간이라는 생각은 하지 않으시나요?
@spr3118 3
2025년 8월 02일 12:37혹시 압니까..
쌀이 금값보다 비싸질수도.
광우병이 창궐하게 될지.
@사비두리아_S 2
2025년 8월 02일 10:44감사합니다:)
@평생감사-m5e 2
2025년 8월 02일 13:17감사합니다,
@배민성-j4n 2
2025년 8월 02일 10:26안녕하세요 먼저 영상과 관련없는 내용 질문드려 죄송합니다.
혹시 중국시장을 투자하는 이유가 뭔지 여쭤봐도 될까요?
@SeaMind-c1e 1
2025년 8월 02일 17:40이백만 농민만을 보호하기 위한 건 아니지 않나요? 쌀은 우리의 주식이니까 전 국민의 안위와 연결되어 있는데 농민만을 위한 정책이라 말씀하시는 것에는 동의가 안 되네요
@food94506 1
2025년 8월 02일 20:03쌀, 쇠고기를 개방한 나라가 일본 아닌가요? 최근 쌀 가격으로 엄청 혼란스러워 하던데요. 쌀, 쇠고기를 지키는 것을 단순하게 감정적인 일로 구분 하면 안 될 듯 합니다.
@J_Gatsby
2025년 8월 02일 17:30협상이라는게 만족스럽게 하는게 어렵지만, 의도 자체가 아쉬운건 사실입니다. 미국 식자재가 들어와도 우리나라 사람의 국산 사랑이 어디 갈까요? 그 와중에 품종도 좋아진다면 수출하느라 국산 먹기 힘든 정도가 될겁니다.
@Eden-h5o
2025년 8월 02일 12:19ㅋㅋㅋ 트럼프 멋쪄~
@ktn618
2025년 8월 02일 18:53홍박사님이 우려하신대로 세제개편에 대한 실망감으로 금욜 지수가 4퍼 가까운 폭락이 나왔습니다. 앞으로의 국장 전망과 이에 대한 대응이 궁금한데 영상 언제 업로드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