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과 지위만 보고 이직을 계획하고 있나요? | 박정열 Hyundai Motor Group University 전임교수 | 복지 직장 회사 | 세바시 1205회
[1분 설문조사] 2020 세바시 정기 설문조사를 실시합니다! 설문에 참여하신 분 전원에게 '세바시 클래스 20% 할인 쿠폰'을 즉시 발급해드립니다....
[1분 설문조사] 2020 세바시 정기 설문조사를 실시합니다! 설문에 참여하신 분 전원에게 '세바시 클래스 20% 할인 쿠폰'을 즉시 발급해드립니다....
세줄일기 3linediary 36
2020년 7월 23일 18:38내가 왜 일하는지, 내가 왜 사는지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에 대한 답이 셋팅될 때,
자기 Job을 찾고, Career가 쌓여 본질적인 Vocation을 찾아갈 수 있다는 박정열 교수님 말씀, 넘 공감되었어요.
우리 모두가 자기 삶을 사는 날이 오기를 바라며..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Eunhye Park 17
2021년 8월 28일 17:14최근에 본 강연중에 최고입니다. “노동없는 삶은 부패한다. 그러나 영혼없는 노동은 삶을 질식시킨다”라는 카뮈 선생님 인용까지 너무 좋았습니다. 제 흥미와는 무관한 (남들이 보기에) 괜찮은 직장에 취업하고 4개월만에 퇴사를 통보했습니다. 부장님들은 원래 일에서는 재미를 찾는게 아니라고 만류하셨지만, 저는 일에서 재미를 꼭 찾고 싶었습니다. 이 의미없는 활동에 내 시간과 에너지를 쏟기보다 내가 진정으로 좋아하는 분야에서 낮은 위치에서 시작하더라도 실력을 키워나가는게 좋을 것 같아서, 무엇보다 계속 있다가는 정말 “그래 재미는 다른데서 찾자”라고 저도 어느순간 말하고 있을 것 같아서 결정을 내렸습니다. 다시 저랑 화해했고 마음이 한결 편합니다. 이제 안 놓아줄거에요 ㅎ
Sooyeon Lee 16
2020년 7월 30일 21:26직장에서 일을 한다는 것을 피할 수 없는 환경에서 어떻게 하면 나를 잃지 않으면서 일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해야 백세 시대에 남은 시간동안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며 일할 수 있을까 많이 고민합니다. 교수님께서 말씀하신대로 내가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방향성에 맞추어 스토리를 만들어나가다보면 시간이 자산이 될 수 있을 거라는 팁을 얻어갑니다. 그동안은 계약직에서 벗어나기 위해 약간은 메뚜기같은 이직을 해왔는데 이제는 저에게 맞는 방향성을 찾았으니 path 를 만들어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박수빈 14
2020년 7월 23일 20:44교수님 존경합니다. 진짜 감동받았어요. 본질적인 문제를 고민하고 선택했을때 성취하신걸 얻었다는것이 큰 힘이되네요. 화이팅 하겠습니다!
전예슬 13
2020년 7월 24일 09:17커리어에 대한 여정을 진행할 수록 전문가로 불려지는 사람은 단순히 회사를 옮기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업의 고도화와 개인의 성장을 생각하고 그 과정 자체가 스토리처럼 엮어지는 사람이라는 걸 배웠습니다. 이를 통해 저 또한 이직을 할 때에 있어서 준비해야할 저만의 기준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네요. 좋은 강연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경민 11
2020년 7월 24일 18:47정말 좋은 프로그램 볼 수 있어서 좋은데 자막이 있었으면 좋겠어요ㅠㅠㅠ
서경훈 11
2020년 7월 23일 18:20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면서도 기본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 강연을 통해 느꼈습니다.
정춘희 채널 9
2020년 7월 23일 22:06박정열 박사님의 저서 "AI 시대 사람의 조건 휴탈리티" 를 읽고 이번 강의를 들으면 직장을 구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임미소 8
2020년 7월 27일 17:56변화와 변질, 열망과 야욕 비슷하면서도 다른 의미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됐어요
나에게 의미있는 일과 세상이 필요로 하는일이 만나야 '업'이 된다는 이야기도 잘 들었습니다😀 미래에는 아이들이 창의력,협동력이 중요하다고 들었는데 경영부문에서 필요한 상징키워드도 새로 알게됐어요!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yoon h 6
2020년 7월 23일 20:13잘 봤습니다.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갖게되는 이직이라는 것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는 강연이었습니다.
순수소겸 6
2020년 7월 28일 23:15박사님^^* 현대자동차그룹 경력사원교육에서 처음 뵈었었는데 지금까지도 큰 울림과 감동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좋은 책과 강의 감사해요.
데이빗 4
2020년 7월 28일 07:03직장인이라는 것이 기본적으로 스페셜리스트가 아닌것이 대부분인데 강사님이 말하는 이상이 실현이 가능합니까? 그렇게 이직하고 싶지만 그게 됩니까? 그게 전략만 가지고 되는겁니까??!!
펭귄별 4
2020년 7월 24일 09:48좋은 강연 잘 들었습니다. 저는 인문 전공자지만 청년취업아카데미를 통해 개발자를 꿈꿨습니다. 어려운 길이지만 도전하고 싶었습니다. 나이가 어리다, 여자라서 힘들 것이라는 면접관들의 고정관념을 깨지 못했고 더 공부를 해야 하나 고민하고 있을 때 빅데이터를 이용해 정부 지원금을 받은 스타트업을 만든 지인에게 연락이 왔습니다. 개발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성장할 수 있다며 사업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셨고 사회경험이 전무했던 저는 성장만을 바라보고 이 스타트업의 첫 직원이자 정규직으로 공유 오피스에서 1월 말부터 혼자 일하게 되었습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사회 초년생이 보통 1인 기업들이 모인 공유 오피스에서 혼자 일한다? 쉽지 않습니다. 개발이라고 했지만 제가 할 수 있는 건 관리자 페이지 관리 정도...저는 입사하고 1주일이 지난 후 대표님이 된 저의 지인분께 저의 혼란스러움을 말씀드렸고 6달만 해봐라 아직 아무것도 해본 게 없어서 그렇다 앞으로 본인이 매일 오겠다는 결론으로 마무리 됐습니다. 대표님은 본업이 있으며 코로나가 터지고 대표님의 본업에 치여 저에게 신경을 못 쓰셨습니다. 제 다이어리를 입사일부터 쭉 읽어보니 일하기 싫다는 글로 가득 차있는 걸 보고 놀랐지만 어쩌면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왕복 3시간 통근이지만 출근시간을 1시간 미뤄주시고 일주일에 2번 운동 갈 수 있게 5시에 퇴근할 수 있게 제 편의를 봐주셨습니다. 퇴근시간 이후에 오는 카톡과 일주일에 한 번 퇴근시간 이후에 이어지는 회의 시간에 저는 서서히 지쳐갔습니다. 첫 월급을 받았을 때부터 기쁘지 않았던 이 회사 생활을 이제 마무리하고 소개해 주신 카뮈의 이야기를 마음에 담고 제가 원하는 vocation을 찾으려고 합니다. 2020년 저의 반년에 대한 글을 적을 수 있는 시간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기를 바라며 총총^^
동떨어진 시선 4
2020년 7월 24일 00:00나만의 방향성 그것을 찾아가는 데 주변사람들의 우려가 걸림돌이 되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때로는 딱 1그램의 용기만 더해주면 어떨까요(한비야선생님 저서:1그램의 용기 )
박종신시장생활 3
2020년 7월 23일 21:28저두 이직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너무도 간절하게~
이직은 옵션이 아닌 필수다.
변질되는 이직이 아닌 변화시키는 이직이고 싶어요.
교수님 책 받아 보고 이직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he & she 3
2020년 7월 30일 10:33감사합니다 이직을 통해 더 높은 커리어를 쌓겠습니다
네티 3
2020년 7월 23일 22:25취준생인데 업에 고도하는 직장을 위해 고민해봐야겠어요.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호호하하 3
2022년 4월 30일 00:46이직을 준비하면서 이 영상을 봤습니다. 저는 제 커리어를 더 전문적으로 쌓기위해 이직을 결심했습니다. 정말 도움이 되는 강의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mj jung 3
2020년 7월 23일 19:20나만의 본질, 업의 고도화. 잘 쌓아가겠습니다.
조희정 3
2020년 7월 24일 06:42직장 생활 하시는 분이라면 연봉을 생각 안할수가 없게 되는거 같아요
현실적인 생활에 있어서 필요한게 무엇인가 생각해 볼땐 금전적인 부분을
생각해 보게 되는거 같아요 이직이 필요하다면 신중히 선택해야 하는거 같네요
요즘 좋은 강연 들으면서 좋은 정보도 알게 되고 좋은 계기가 되고 배워가는데
도움 되어서 늘 감사합니다 좋은 강연 잘 듣고 갑니다
장철환 2
2022년 8월 02일 03:46이직이 아무렇지 않게 변해버린 사회에서 우리들은 그러지 말아야겠다라는 생각이 드는 강의 였습니다.
무작정 이 직장이 마음에 안든다고 뛰쳐나간다면 그것은 어른이 아니고 아이라는 생각조차 드네요.
나에 대한 답이 정해지지 않았다면 그것부터 확실히 하고 움직여야 된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네숨의 드로잉비행 2
2022년 12월 23일 20:40올 한해 이직을 통해 성찰을 많이 했습니다 보여지는 게 아니라 내가 진정으로 목표를 삼을 수 있는 것 . 다행히 지금의 회사가 흡족하고 많은 쓰라림이 있었는데 연말에 이 강연을 듣게되어 너무 감사합니다
hune 2
2020년 7월 26일 17:22교수님, 질문이 있습니다! 교수님께서 말씀하시는 업은 스페셜리스트와 제너럴리스트 중 어느 것에 더 가깝다고 생각하시나요? 또, 가깝지 않다고 생각하신 다른 한 가지는 왜 그렇게 생각하시는지 이유를 듣고싶습니다~
강뚱글이 2
2020년 7월 27일 00:26저희집은 애가 장애아입니다 남편은 새벽출근에 장기 출장 밥먹듯하다가 코로나여파로 국내로 복귀한지 5달 정도 되었네여 국내로 복귀해도 부서에 인력이 없어서 혼자 전담하다시피 일해요. 근데 중소기업 치곤 월급은 그래도 주지만 사우디 중동에서 오래된 출장으로 건강악화 최근에는 상사가 중동 사우디로 복귀하는게 어떻겟냐 회사사정상 대기업의 계약금을 이미 받은상태라 안갈수 없는 상황.
멀릴대로 내몰려 코로나가 급속도로 퍼지고 의료시설도 형편없는 사우디 중동으로 그것도 그나라에서 정말 외진곳 으로 보내질 형편이러며 며칠전 남편이 제게 어떻하냐 상담하더군여
남편은 애도 있고 혼자라면 가겟지만 가정이 있고 애도 아픈애고 집안에 물려받알 재산도 없는데 어떻하 냐 목숨 내놓고 가란거냐 이랫다고. 이직을 하긴 생각해봐야겟는데 남편말을 들어도 답이ㅜ안나오는게 이직하먄 지금 다니는데보다 월급은 넘 적게ㅜ받겟더군여 저희 대출도 있고 애 약겂 병원비도 만만찮개 들어가는데 허리띠ㅠ졸라매도. . 참 어렵슴니다 전 제애가ㅜ장애가 있어서 전담하고 있고요 애봐줄 사람없어서 . . 학교도 코로나땜에 1주일에한번 보내네여. .
영상의 이 강사님안 7번 옮겼고 삶의질이니 자게 변화 생각하라 그러는데ㅜ저희는 돈이 급하네여남퍈한테ㅜ거기ㅜ다니라고 할수도ㅜ없고 . 참.
박민철 1
2020년 7월 29일 18:54교수님과 같은 Vocation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Vocation의 Leveling이 가능하다면 좀 더 스스로의 진로를 판단하는데 유익할 것 같습니다.
CDP가 아닌 VDP를 생각해봐야겠네요
다음 이직이 기대됩니다.
하정연 1
2020년 7월 27일 19:344번째~~ 교수님의 강연을 반복해서 듣고 있는데, 답이 나오질 않네요ㅠㅠ 이해력 부족ㅎㅎ 그래도 좋은 이직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노트텐 1
2021년 11월 20일 08:483:10이직이유
hand 1
2023년 3월 06일 05:553번째이직때임금떨어지는분은 잘 못 봤는데
김대수 1
2022년 12월 27일 13:20멋진 강연입니다. 이직의 순기능에 대한 지혜를 배웁니다. 다음 직장에 대한 기대를 갖게 되네요^^
Jay Park 1
2021년 11월 19일 07:38최고의 강연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ASMR lottery645
2023년 1월 01일 23:03다필요없다 이직하는이유 연봉협상결렬이다
99세 하루살이
2022년 2월 10일 22:49자아실현을 하기위한 일은..돈이 안되더라구요. 3년간 운영하던 사업자 폐업하고, 최저시급 받으면서 일하다가, 연봉 높고, 근무시간 짧은곳으로 면접보러갑니당... 본 강연이 이상적인 이야기이지만, 일과 가치실현은 분리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 적게 일하면서 생활비 버는것을 세컨잡으로 두고, 취미로 자아실현 해야하는건 아닌지
QA승천
2023년 1월 14일 05:46꼭 교수들은 뭐 그럴듯하게 말하려고 철학적으로 말하더라... 사실상 현실은 다름
mingoo kang
2022년 11월 07일 12:41good
Present
2020년 7월 24일 01:26업을 정의 하시고 그업을통해서
세상과 교감하시고 자신만의 스토리를 만들어가세요...
진짜진정한욕구..존재감
진짜자존심...자기존중욕구
"카뮈-노동없는 삶은 부패한다 그러나 영혼 없는 노동은 삶을 질식시킨다"
삶의가치...왜일하는지?명확하게 셋팅!!!파워풀한 동력이나온다
고도화 완성..
사람과조직에대한본질적이해..
박정열박사님 업의테마
업의고도화
point.."AI시대 사람의 조건 휴탈리티" 23년동안 고민하신 책 너무 궁금합니다.
박정열박사님 좋은강의 감사드립니다~
Park Park
2022년 8월 02일 20:32교수라는 분이 말을 이렇게 논리 없이 하는지... 중간중간 자기 이직 횟수만 이야기하시는데 이게 스토리랑 연결이 없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