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나카레리나를 이렇게 단편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하고 청중들에게 소개하는 것이 아쉽네요. 톨스토이는 안나와 브론스키의 대척점에 레빈과 키티의 사랑을 대비시키며 이상적인 결혼과 사랑의 관계를 역설하고 풀어냈지만 이혜성씨의 설명은 마치 막장드라마의 인물처럼 안나카레리나를 소비하는 듯해서 안타깝습니다. 톨스토이는 안나카레리나의 삶의 중층성과 복잡성을 어마어마한 분량의 책인 만큼 충분히 다루었고 한개인의 인생을 도덕적 잣대로 경솔하게 평가하고 다루지 않았습니다. 러시아 귀족사회의 이중성과 위선을 신랄하게 비판했고 여자와 남자에게 다르게 적용되는 이중적잣대와 사회적 폭력에 주목하고 날카로운 관점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안나의 비극적 삶이 그녀가 외적매력에 혹해 브론스키를 선택했기 때문이라는 어처구니 없는 해석에 순간 멍해졌네요. 안나의 비극적 결말은 러시아 귀족사회의 정략결혼, 위선적 외도문화 속에서, 스스로가 선택한 사랑에 충실하고 솔직하고자 했던 한여인의 고뇌와 시대적 한계를 넘을 수 없었던 불가항력, 자신들의 위선적 삶에 도전하고 균열을 일으킨 안나를 향한 러시아 귀족사회의 집단괴롭힘, 모든 것을 건 브론스키의 사랑이 사라져가는 고통 속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톨스토이가 소위 도덕적 기준으로 안나카레리나를 썼다면, 굳이 습관적으로 외도를 저지르지만 한번도 세간의 입에 오르내리지 않는 안나의 오빠를 비롯한 러시아 남자귀족들, 그리고 그녀의 불륜상대임에도 브론스키에 대한 평가는 젊은 귀족의 통과의례로 여겨지고 용인되는 러시아 귀족사회의 이중성에 대해 그 수많은 지면을 할애하며 쓰지 않았겠지요. 이 엄청난 소설이 지나치게 단편적이고 도덕적 잣대로 소개되는 것이 안타까워 적어봅니다. 참고로 제 인생 책중에 하나입니다.
책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신 여정이 예쁜 궁전같은 건축물처럼 만들어진 느낌이었어요👍👍👍
저는 최근에 인생책을 찾았는데요. 도나힉스의 '존엄'을 읽고 그동안 내가 생각하던 생명력이 존엄이었구나! 를 깨닫고 기뻤어요. 그리고 나의 정체성을 발견해가는 재미에 독서를 열심히 하게 되었어요. 저도 시간이 쌓이면 저만의 건축물이 보이는 사람이 되면 좋겠어요.😊 울림이 있는 강연 감사하고요. 우리 세바시 오늘도 감사랑합니다 ❤❤❤
저는 미셸 우엘벡의 '플랫폼'이라는 작품을 정말 좋아합니다. 가장 큰 장벽은 읽기만 해도 기분이 울적해지는, 외롭고 우울하고 냉소적인 남자 주인공의 관점을 쭉 따라가야 한다는 점인데 이 부분만 극복하고 끝까지 읽으면 '결국 사람의 삶에는 사랑이 필요하구나' 온몸으로 느끼게 됩니다. 자신이 삶에 찌들어간다고 생각하시는 분은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이혜성님 강연 잘 봤어요! 어렵고 힘들때 책을 만나 인생의 전환을 맞이한 이야기를 들으며 공감이 가네요. 책 속에 길이 있다는 다시 느끼게 되는 것 같아요. 제 인생책이라면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에요. 어릴적 읽은 책인데 지금도 자주 읽어요. 제제와 밍기뉴의 아름다운 우정과 성장이 마음을 사로잡아 힘을 주니까요^^
@MrDodgerway 6
2025년 9월 10일 19:02어이가 없네
@설리-q1o 5
2025년 9월 11일 03:45😢안나카레리나를 이렇게 단편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하고 청중들에게 소개하는 것이 아쉽네요.
톨스토이는 안나와 브론스키의 대척점에 레빈과 키티의 사랑을 대비시키며 이상적인 결혼과 사랑의 관계를 역설하고 풀어냈지만
이혜성씨의 설명은 마치 막장드라마의 인물처럼 안나카레리나를 소비하는 듯해서 안타깝습니다.
톨스토이는 안나카레리나의 삶의 중층성과 복잡성을 어마어마한 분량의 책인 만큼 충분히 다루었고 한개인의 인생을 도덕적 잣대로 경솔하게 평가하고 다루지 않았습니다.
러시아 귀족사회의 이중성과 위선을 신랄하게 비판했고 여자와 남자에게 다르게 적용되는 이중적잣대와
사회적 폭력에 주목하고 날카로운 관점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안나의 비극적 삶이 그녀가 외적매력에 혹해 브론스키를 선택했기 때문이라는 어처구니 없는 해석에 순간 멍해졌네요.
안나의 비극적 결말은 러시아 귀족사회의 정략결혼, 위선적 외도문화 속에서,
스스로가 선택한 사랑에 충실하고 솔직하고자 했던 한여인의 고뇌와 시대적 한계를 넘을 수 없었던 불가항력, 자신들의 위선적 삶에 도전하고 균열을 일으킨 안나를 향한 러시아 귀족사회의 집단괴롭힘, 모든 것을 건 브론스키의 사랑이 사라져가는 고통 속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톨스토이가 소위 도덕적 기준으로 안나카레리나를 썼다면, 굳이 습관적으로 외도를 저지르지만 한번도 세간의 입에 오르내리지 않는 안나의 오빠를 비롯한 러시아 남자귀족들, 그리고 그녀의 불륜상대임에도 브론스키에 대한 평가는
젊은 귀족의 통과의례로 여겨지고 용인되는 러시아 귀족사회의 이중성에 대해 그 수많은 지면을 할애하며 쓰지 않았겠지요.
이 엄청난 소설이 지나치게 단편적이고 도덕적 잣대로 소개되는 것이 안타까워 적어봅니다.
참고로 제 인생 책중에 하나입니다.
@sebasi15 5
2025년 9월 10일 19:19이혜성 아나운서의 강연 시청해주셔서 감사하고요! 여러분도 여러분의 인생책 한 권씩 댓글로 소개해주세요! 어떤 책이 여러분의인생에 도움이 되었나요? (좋은 사연은 선정해 책선물 보내드릴게요!)
@민정-s7g 4
2025년 9월 10일 22:16책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신 여정이 예쁜 궁전같은 건축물처럼 만들어진 느낌이었어요👍👍👍
저는 최근에 인생책을 찾았는데요. 도나힉스의 '존엄'을 읽고 그동안 내가 생각하던 생명력이 존엄이었구나! 를 깨닫고 기뻤어요. 그리고 나의 정체성을 발견해가는 재미에 독서를 열심히 하게 되었어요.
저도 시간이 쌓이면 저만의 건축물이 보이는 사람이 되면 좋겠어요.😊
울림이 있는 강연 감사하고요.
우리 세바시 오늘도 감사랑합니다 ❤❤❤
@김선-e6q 3
2025년 9월 10일 22:42저는 미셸 우엘벡의 '플랫폼'이라는 작품을 정말 좋아합니다. 가장 큰 장벽은 읽기만 해도 기분이 울적해지는, 외롭고 우울하고 냉소적인 남자 주인공의 관점을 쭉 따라가야 한다는 점인데 이 부분만 극복하고 끝까지 읽으면 '결국 사람의 삶에는 사랑이 필요하구나' 온몸으로 느끼게 됩니다. 자신이 삶에 찌들어간다고 생각하시는 분은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오렌지나무-k5s 3
2025년 9월 10일 19:52도입부 이야기 시작이 몰입감 있어서 재밌었네요~^^ 인과응보마냥 톨스토이 덕분에😊
@드리미-l2h 3
2025년 9월 11일 07:49이혜성님 강연 잘 봤어요! 어렵고 힘들때 책을 만나 인생의 전환을 맞이한 이야기를 들으며 공감이 가네요. 책 속에 길이 있다는 다시 느끼게 되는 것 같아요. 제 인생책이라면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에요. 어릴적 읽은 책인데 지금도 자주 읽어요. 제제와 밍기뉴의 아름다운 우정과 성장이 마음을 사로잡아 힘을 주니까요^^
@이우재-r5v 2
2025년 9월 11일 01:05좋은 강연 감사합니다ㅎ
@원스텝비즈 2
2025년 9월 11일 02:02이혜성님 팬이고 1퍼센트 북클럽 어린왕자 여덟단어 정말 감명깊게 들었던 팬입니다. 알고리즘이 안내해주네요. 결혼하고싳습니다
@말콘 2
2025년 9월 10일 20:53가고싶었는데 못갔던 .. 이번 강연도 참 좋네요. 응원합니다!!!!
@zhzj56 2
2025년 9월 11일 07:31이혜성님 파이팅입니다🎉좋아하시는 일 오래할수 있으시길 응원할게요
@이상화-h4j 2
2025년 9월 10일 19:14책에 대한 또 다른 생각이 드네요.
잘보고갑니다 ~
@황정순-h9p 1
2025년 9월 11일 09:32이혜성님~❤
저는 70 되어가는 사람입니다~
유튜브 잘 듣고 잘 보고 있습니다~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