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히 도덕적 개념으로 불로소득이라는 단어를 쓴 것이 아닙니다. 불로소득은 경제질서를 교란하는 투기적 소득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 더 큽니다. 모두가 수익률 높은 비트코인에 열광할때 투자 기회비용이 낮으니 비트코인을 대출끼고 사라고 정부가 장려해야할까요? 그러한 투기적 부는 실제 사회적 부를 생산하고 경제성장의 동력이 되는 일반인들의 노동의욕을 꺾어버리는 것이 핵심 문제이고 사회적 갈등, 소외감과 불만을 일으키는 것이 국가경제에 더 큰 문제입니다. 경제학적으로 좀더 명확한 용어를 쓰는 편이 낫다는 것은 동의하지만 그것이 단지 도덕적 비난을 하기 위한 도구라는 점은 동의하기 힘듭니다.
지금 정부는 알면서 '불로소득'이라고 쓰는 것입니다. 그래서 소수의 자산가와 다수의 노동자 사이에 '갈등'을 조장해서 다수의 표를 활용한 정권을 유지할 수 있기때문입니다. '기회비용'이란 단어는 사람들의 감정을 일으키지 못하지만, '불로소득'이란 단어는 선거에서 가장 큰 힘을 발휘하는 '분노'와 ' 배신감'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불로소득이 낡은 도덕에 호소하는 것이라는데에는 동의합니다만, 맑스를 여기서 거론할 필요는 없지 않았을까 싶네요. 맑스는 헤겔적 세계에서 가정을 세우고 하나의 체계를 발전시켜 나간 것이지 노동에 도덕적 우위를 부여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리카도나 로크의 이론이 오히려 그런 경향이 강했죠. 케인즈에게도 그런 유산이 이어진 것으로 보이구요. 오히려 맑스의 세계관은 자본주의라는 질서가 필연적으로 잉여가치의 착취를 강요하는 것이며 그것은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에 관심을 두는 것이지 누군가가 일하지 않고 돈을 버는 데 대한 도덕적 분노를 이용해 이윤을 통제하자는 것과는 아주아주 거리가 멉니다.
경제를 도덕으로 판단하는 이상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네요 ㅠㅠ 주택을 산사람은 그 때에 기회비용을 생각해서 가장 합리적인 판단을 내린 것 일텐데 요즘 기사를 보면 불로소득이라는 말을 너무 자주보여서 마음이 너무 답답했었는데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저도 머니무브가 일어나길 바라는 한 사람으로써 좋은 정책이 나오길 바랍니다.
논리로 억지를 설득하기가 참 어렵습니다. 우리 홍박사님이 아무리 논리적이고 사실적인 설명을 해도 그들을 설득시킬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애초에 그들의 주장은 논리가 아닌 억지 였으니까요? 그렇다고 홍박사님의 주장이 아무런 의미가 없느냐?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홍박사님의 논리가 억지를 설득시킬수 없지만 아직 논리와 억지를 구분하지 못하는 다수의 군중들을 설득시킬 수 있을거라고 보기 때분이지요.
정말 제대로 짚어 주셨습니다. 부동산에 투자하는 기회비용을 올리려면(부동산 투자에 따른 위험성을 키우려면) 다른 투자 대안에 기회비용이 낮게 만들어 줘야 합니다. 주식에도 중과세 부동산에도 중과세.. 그럼 근로소득이 없는 사람은 뭐하라는 건가요? 정부가 일자리 마련해 주는 비정규직 일자리로 살라 이 뜻인가요? 점점 고령화되는 시대에 투자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부동산이 문제이면 다른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가 불가결한 상황인데.. 정말 답답하고 한심할 따름입니다.
매우 동의합니다. 불로소득이라는 명명하에 투자로 벌어들인 소득이 있는 사람들을 투기꾼으로 내모는 지금의 현실은 참으로 시대를 역행하다 못해, 나는 바보입니다.라고 이야기하는 모양새죠. 답답하지만, 어쩌겠습니까? 박사님의 말씀대로, 계속 이야기하고 염원하는 수 밖에요. 좋은 내용 고맙습니다.
홍교수님 자본주의에 문제점도 같이 말씀하셔야할것 같습니다 이것은 칼마르크스만 말한게 아니예요 잘 모르시는분들이 많으니 이렇게 편중된 얘기는 맞지않습니다. 많은 경제학들이 자본주의에 문제가 많아서 그것의 대체방안도 얘기하잖아요 그리고 MBC 스트레이트를 한번 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정치인들이 자기들 유리하게 법을 만들고 많은 시민들이 어렵게 살게되는 이런것을 같이 고려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정말 서울에 30평대 아파트를 십수년간 먹을 거, 입을 거, 좋은 자동차 포기해가면서 아이 둘 기르면서 마련했죠. 이 정부는 오직 YOLO족, 남탓하고 오늘만 사는 사람들만 위하는 것 같습니다. 사필귀정, 정반합의 역사를 보면 아마 이런 식으로 가다간 다음엔 절대 정권 못 잡을 것이고 못 잡게 해야됩니다.
정권 초에 공급을 늘리고 공급이 늘리는 시간 까지 규제할 것이라는 식으로 친정부 인사 들이 떠들었는데 공급은 안 늘리고 규제만 늘렸어요. 거짓말 정부가 되버려서 결국은 패닉바잉. 그동안 청와대/정부 고위관료들은 수억~수십억을 벌었음. 이토록 무능한 정부인데 부동산으로 책임지고 사표 내고 물러나는 사람은 없음. 부끄러운 줄 모르는 사람들임.
홍씨를 비롯한 경제관련부서들이 좀 봤으면 좋겠네요. 대주주 상한 낮추는건 철회되긴했지만 부동산 잡겠다면서 양도세 신설은 아직도 말도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최소 10년정도는 증시 육성을 위해서 양도세 없는걸 유지하고 거래세를 되려 좀 더 높여서 단기매매 보단 장기투자로 유도 하면 딱 좋을텐데 말이죠.
부동산에서 얻은 소득이 불로소득이라고? 부동산을 은행에서 대출받아 구입하고, 관리하고 이에 따른 세금을 내는게 노동이 하나도 안들어가는 불로소득이라고요? 남보다 시장분석하고 리스크 관리해서 부동산 투자하는 게 아무것도 안하는 겁니까? 은행에서 이자받는 것은 "이자소득"입니다. 마찬가지로 부동산에서 얻은 소득은 "임대소득" 또는 "양도소득"일 뿐입니다. 정당이나 정부에서 일하는 사람들 경제의 기본이나 알고 정책을 세웠으면 합니다.
불로소득이란 말보다는 세후수익률을 크게 낮추겠다는 말이 더 낫다는 데 동의합니다. 공급 이야기 하셨는데, 현행 기준 용적률로는 충분한 공급이 어렵지 않을까 싶네요. 용적률을 미친듯이 올리던지 아니면 광역교통망에 신도시를 건설하던지 둘 중에 하나는 해야겠죠. 인프라 기능 마비 때문에 용적률 올리는 게 무섭다면 확실하게 광역교통망을 넣기를 바랍니다.
거북깃발 28
2020년 7월 26일 22:15경제학은 1도 모르는 정책 입안자들이 그저 표심을 쫓아 국민을 호도하고 경제를 망가뜨리고 있는 것 같습니다. 기초부터 다시 공부하겠습니다. 많이 가르쳐 주세요.
제비꼬 lee world 19
2020년 7월 26일 17:59역시 믿고보는 홍박사님 !! 정치권에서는 도덕적 우위에 기반을 두고 정책의 명분을 쌓기 위해 '불로소득'이라는 자극적 문구를 활용하는 것 같습니다.
불로소득 19
2020년 7월 26일 17:52자본주의면 자본소득을 인정해야주
Yj Kim 12
2020년 7월 26일 18:38단순히 도덕적 개념으로 불로소득이라는 단어를 쓴 것이 아닙니다. 불로소득은 경제질서를 교란하는 투기적 소득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 더 큽니다. 모두가 수익률 높은 비트코인에 열광할때 투자 기회비용이 낮으니 비트코인을 대출끼고 사라고 정부가 장려해야할까요? 그러한 투기적 부는 실제 사회적 부를 생산하고 경제성장의 동력이 되는 일반인들의 노동의욕을 꺾어버리는 것이 핵심 문제이고 사회적 갈등, 소외감과 불만을 일으키는 것이 국가경제에 더 큰 문제입니다. 경제학적으로 좀더 명확한 용어를 쓰는 편이 낫다는 것은 동의하지만 그것이 단지 도덕적 비난을 하기 위한 도구라는 점은 동의하기 힘듭니다.
존과 오토봇의 홈로봇JohnAndAutobot 9
2020년 9월 04일 13:46지금 정부는 알면서 '불로소득'이라고 쓰는 것입니다. 그래서 소수의 자산가와 다수의 노동자 사이에 '갈등'을 조장해서 다수의 표를 활용한 정권을 유지할 수 있기때문입니다. '기회비용'이란 단어는 사람들의 감정을 일으키지 못하지만, '불로소득'이란 단어는 선거에서 가장 큰 힘을 발휘하는 '분노'와 ' 배신감'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웅 9
2020년 7월 27일 22:44릅빠1... 정원일 씨가 누군지 잠깐 고민했습니다...
스마트머니 8
2020년 7월 28일 18:45정책입안자들의 입에서 이런 정책 방향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으면 참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강의 감사합니다.
gracemom oo 8
2020년 7월 26일 19:08정책 하시는 분들이 봐야 할꺼 같네요~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소소 8
2020년 7월 26일 18:48경제에서 기회비용의 개념을 확실히 배우고 갑니다 ^^ 감사합니다.
이웃집부자 8
2020년 7월 26일 19:26같은 말인데도 많이 다르네요. 최근 부동산 정책에 대해서 경제학자가 주변에 없거나 경제학자 조언을 받지 않았다고 생각되네요...
GW Choi 7
2020년 8월 01일 06:57불로소득이 낡은 도덕에 호소하는 것이라는데에는 동의합니다만, 맑스를 여기서 거론할 필요는 없지 않았을까 싶네요. 맑스는 헤겔적 세계에서 가정을 세우고 하나의 체계를 발전시켜 나간 것이지 노동에 도덕적 우위를 부여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리카도나 로크의 이론이 오히려 그런 경향이 강했죠. 케인즈에게도 그런 유산이 이어진 것으로 보이구요. 오히려 맑스의 세계관은 자본주의라는 질서가 필연적으로 잉여가치의 착취를 강요하는 것이며 그것은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에 관심을 두는 것이지 누군가가 일하지 않고 돈을 버는 데 대한 도덕적 분노를 이용해 이윤을 통제하자는 것과는 아주아주 거리가 멉니다.
불가사리 6
2020년 7월 26일 23:09경제를 도덕으로 판단하는 이상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네요 ㅠㅠ 주택을 산사람은 그 때에 기회비용을 생각해서 가장 합리적인 판단을 내린 것 일텐데 요즘 기사를 보면 불로소득이라는 말을 너무 자주보여서 마음이 너무 답답했었는데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저도 머니무브가 일어나길 바라는 한 사람으로써 좋은 정책이 나오길 바랍니다.
붐볼 5
2020년 7월 27일 19:25강의 너무 좋아요 심지어 이런것도 모르는 제 자신의 무지를 반성합니다. 열심히 공부할게요
통통마로 5
2020년 7월 29일 18:56논리로 억지를 설득하기가 참 어렵습니다. 우리 홍박사님이 아무리 논리적이고 사실적인 설명을 해도 그들을 설득시킬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애초에 그들의 주장은 논리가 아닌 억지 였으니까요? 그렇다고 홍박사님의 주장이 아무런 의미가 없느냐?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홍박사님의 논리가 억지를 설득시킬수 없지만 아직 논리와 억지를 구분하지 못하는 다수의 군중들을 설득시킬 수 있을거라고 보기 때분이지요.
myung joo Kim 5
2020년 7월 27일 03:34제말이요 ㅠㅠㅠ 이 내용을 들어야 하는 사람이 많아요. 감사합니다
김앤드류 4
2020년 7월 28일 23:13정말 제대로 짚어 주셨습니다. 부동산에 투자하는 기회비용을 올리려면(부동산 투자에 따른 위험성을 키우려면) 다른 투자 대안에 기회비용이 낮게 만들어 줘야 합니다. 주식에도 중과세 부동산에도 중과세.. 그럼 근로소득이 없는 사람은 뭐하라는 건가요? 정부가 일자리 마련해 주는 비정규직 일자리로 살라 이 뜻인가요? 점점 고령화되는 시대에 투자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부동산이 문제이면 다른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가 불가결한 상황인데.. 정말 답답하고 한심할 따름입니다.
John Kim 4
2020년 7월 28일 09:30불로소득이란게 지대(rent)에 대해서 과세하겠다는 말이겠지요. 부동산은 역사상 항상 지대추구 행위였고 세금을 통한 수익률의 감소와 지대이익환수가 정부의 방향이겠지요
Jihwan Kim 4
2020년 7월 26일 17:53전적으로 동감입니다.
아편굴 4
2020년 7월 26일 21:41맞는 말씀입니다. 하지만 현재의 정치권이나 언론계에서는 '불로소득'이라는 용어를 좋아할 것 같습니다. 정치권은 집 없는 사람의 분노를 돌리는 용도로, 언론은 집 있는 사람의 분노를 일으키기에 적절한 용어니까요.
제이폼TV [ JForm TV ] 4
2020년 7월 27일 17:23매우 동의합니다.
불로소득이라는 명명하에 투자로 벌어들인 소득이 있는 사람들을 투기꾼으로 내모는 지금의 현실은 참으로 시대를 역행하다 못해, 나는 바보입니다.라고 이야기하는 모양새죠.
답답하지만, 어쩌겠습니까? 박사님의 말씀대로, 계속 이야기하고 염원하는 수 밖에요.
좋은 내용 고맙습니다.
컨텐츠 삭제됨 3
2020년 7월 26일 22:54정말 시원하게 불로소득 설명해주셔서
기분이 좋네요~
August 3
2020년 7월 29일 07:29홍교수님
자본주의에 문제점도 같이 말씀하셔야할것 같습니다 이것은 칼마르크스만 말한게 아니예요
잘 모르시는분들이 많으니 이렇게 편중된 얘기는 맞지않습니다. 많은 경제학들이 자본주의에 문제가 많아서 그것의 대체방안도 얘기하잖아요
그리고 MBC 스트레이트를 한번 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정치인들이 자기들 유리하게 법을 만들고 많은 시민들이 어렵게 살게되는 이런것을 같이 고려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kyle choi 3
2020년 7월 27일 06:48우선 경제 기초를 이해하고 정책을 만들고 기사를 써달라는 뼈때리는 시리즈네요
상천님 3
2020년 7월 26일 17:44섬네일보고 에러난줄 ㅋㅋ
Hayek 3
2020년 7월 27일 16:27정말 서울에 30평대 아파트를 십수년간 먹을 거, 입을 거, 좋은 자동차 포기해가면서 아이 둘 기르면서 마련했죠.
이 정부는 오직 YOLO족, 남탓하고 오늘만 사는 사람들만 위하는 것 같습니다.
사필귀정, 정반합의 역사를 보면 아마 이런 식으로 가다간 다음엔 절대 정권 못 잡을 것이고 못 잡게 해야됩니다.
임재환 3
2020년 7월 27일 17:10정의란 무엇인가로 반박 가능할 듯 한데요
스타트리 3
2020년 7월 27일 18:25우아 ㅠㅠㅠ 박사님 넘넘 감사합니다!! 좋은 컨텐츠 만들어 주시니, 경제공부가 더 재미있어지고, 앞으로가 기대 되네요!! 늘 타인을 배려하시는 모습이 전 언제나 존경스럽습니다!! 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박사님 쵝오!!!
Jy Kim 3
2020년 10월 20일 01:36너무 황당한 부동산 대책에 할말을 잃습니다..
저는 팔아치워야 할 자산이 있지도 않지만 이런 규제만 남발하는 나라에서 누가 돈을 벌고 자산을 모으는 재미를 느낄까 싶기도 하고요.
Daniel Lee 2
2020년 7월 26일 23:11정권 초에 공급을 늘리고 공급이 늘리는 시간 까지 규제할 것이라는 식으로 친정부 인사 들이 떠들었는데 공급은 안 늘리고 규제만 늘렸어요. 거짓말 정부가 되버려서 결국은 패닉바잉. 그동안 청와대/정부 고위관료들은 수억~수십억을 벌었음. 이토록 무능한 정부인데 부동산으로 책임지고 사표 내고 물러나는 사람은 없음. 부끄러운 줄 모르는 사람들임.
이정섭 2
2020년 7월 28일 20:51홍춘욱 박사님 사랑해요😘❤️
Dae Hyeon Lee 2
2020년 7월 26일 17:40자본소득
MiAe Park 2
2020년 7월 27일 05:05명확한 설명 감사합니다~
루다 2
2020년 10월 01일 17:14불로소득하니까 주식거래 세금이 떠오르네요 ㅠ
sigeol kim 2
2020년 7월 27일 08:28경제 기초강의 시리즈 기대가 됩니다!!
Jeong-Gu Kim 2
2020년 8월 28일 14:08김씨가 땀흘려 집을 지어 이걸 월세받고 임대하면 불로소득일까요?
김씨가 땀흘려 지은 집을 이씨가 3억원을 주고 사서 월세받고 임대하면 불로소득일까요?
초딩들도 알아듣기 쉽게, 50년 100년 묵은 사회주의 사상을 비판할 수 있게 해야 합니다.
베지밀 2
2020년 7월 27일 20:57정부에 특히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에게
충언을 부탁드립니다
문재인 정부에게두요
정책입안자 모두에게 다 공유 하고 싶어요
정세윤 2
2020년 7월 28일 14:16외국의 자산가격 상승에 대해 큰 사회문제가 되지 않는 것이 그 기회비용이 증가하기때문이라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이후에 외국의 부동산 문제와 기회비용의 문제에 대해서도 한번 방송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josch 2
2020년 7월 27일 14:46엄지 척!!! 그리고 여러 분들이 자본주의라는 말을 쓰시는 데 그것은 칼막스가 자유경제체제를 낮게 평가하기 위해 쓴 표현입니다. 자본주의 보다는 자유경제체제가 맞는 말입니다.
yoonseul 1
2020년 7월 26일 22:11불로소득은 아니지요~ 동감합니다.
주자왕파킹 1
2020년 7월 27일 08:34이번영상 잘 봤습니다 :)
Jk 1
2021년 1월 04일 08:08하지만 정부 정책을 만드는 사람들의 머릿속엔 막스가 들어있는듯 하네요..
모리아티 1
2020년 8월 26일 22:52자본주의 라면 자본 소득을 인정해라한다면 정보가 세금도 걷지 마라라고 하는게 맞지 않나?
김태규 1
2020년 7월 30일 13:36와..
골드슈가 1
2020년 8월 08일 00:38자유와 경제에 대해서 도덕적인 철학은 빠져 있는것 같다. 정책과 나라가 경제의 모순에 따라야 한다닌 니 생각이 얼마나 위험한지 모르지??? 제발 철학좀 배워라..무식해서 정말..
아우토반92 1
2020년 7월 29일 20:46항상 좋은 말씀 감사 드립니다.
언젠간 봄 1
2020년 7월 30일 20:54곧 10만 이시네요.
미리 축하드립니다~^^
이 방송을 정부 부동산 관계자가 꼭 봤으면 좋겠네요..ㅎ
Like BlueSky 1
2020년 7월 29일 01:32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이혜경 1
2020년 7월 27일 10:57기회비용(oer)에 대해 잘 배웠습니다~감사합니다^^
박유미 1
2020년 8월 04일 15:05명쾌하고 신선한 콘텐츠~!!
🌈날마다축복 박미경🌈 1
2020년 7월 28일 13:48역시...듣고 보니 아다르고 어다른데...
초코 1
2020년 7월 29일 16:24ㅎㅎㅎ뼈때리심..
압구미 1
2020년 7월 30일 08:18박사님 말씀 감사합니다
슈퍼차차TV 1
2020년 7월 29일 23:02아주 좋은 내용 입니다 박사님..그런데 말이죠 지방에 집한채 갖고 있는 사람도 보유세가 올라서 나라가 망한다는 언론프레임에 갇힌게 지금의 대한민국 부동산 뉴스 입니다.
박사님 같은 분들이 팩트에 기반한 방송을 많이 해주세요~
Je Cha 1
2020년 7월 26일 21:52좋은해석 감사합니다 ~
그런데 기회비용이 무슨말인지 모르는사람은 뭔 말장난하나 할거 같아요 ㅋ
boogipop 1
2020년 7월 27일 11:42저기 박사님기준 오른쪽에 있는 한문으로 적혀있는 검은책 제목 혹시 아시는 분 계시나요? ^^;; (일본 경제 30년사 옆에 있는책이요)
LUCY
2020년 7월 27일 12:41경제기초강의 시리즈 기대 됩니다.
neo song
2020년 8월 02일 09:45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Kevin Choi
2021년 10월 16일 09:16불로소득을 누가 결정하나
권력자
권력축적
독재
이런 뻔한 프로세스
도덕으로 치장한
정치권력 견제가 시대정신
작은권력 큰 행복
찰리템플턴
2020년 12월 01일 09:01홍씨를 비롯한 경제관련부서들이 좀 봤으면 좋겠네요. 대주주 상한 낮추는건 철회되긴했지만 부동산 잡겠다면서 양도세 신설은 아직도 말도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최소 10년정도는 증시 육성을 위해서 양도세 없는걸 유지하고 거래세를 되려 좀 더 높여서 단기매매 보단 장기투자로 유도 하면 딱 좋을텐데 말이죠.
Soo Shin
2020년 7월 26일 23:01감사합니다.
HS
2020년 9월 19일 07:55고맙습니다 분야별 🇰🇷국민을 위해 정책입안을 하시는 분들이 해당분야의 전문성을 가진상태에 직책(장관 등)을 맡았으면 좋겠습니다 젊었을 때 조금 긁적거린 실럭은 제외하구요
Daniel Lee
2020년 7월 26일 23:03자본주의 국가가 된지 70년 밖에 안되서 그런 거 같아요. 투자가 얼마나 어려운지 투자가 경제 선순환을 일으킨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들이 너무 많습니다. 유대인처럼 어릴 때 부터 투자 교육을 시켜야 합니다.
Kris Kwon
2020년 9월 03일 08:50부동산에서 얻은 소득이 불로소득이라고? 부동산을 은행에서 대출받아 구입하고, 관리하고 이에 따른 세금을 내는게 노동이 하나도 안들어가는 불로소득이라고요? 남보다 시장분석하고 리스크 관리해서 부동산 투자하는 게 아무것도 안하는 겁니까? 은행에서 이자받는 것은 "이자소득"입니다. 마찬가지로 부동산에서 얻은 소득은 "임대소득" 또는 "양도소득"일 뿐입니다. 정당이나 정부에서 일하는 사람들 경제의 기본이나 알고 정책을 세웠으면 합니다.
허재원
2020년 7월 27일 02:12불로소득이란 말보다는 세후수익률을 크게 낮추겠다는 말이 더 낫다는 데 동의합니다. 공급 이야기 하셨는데, 현행 기준 용적률로는 충분한 공급이 어렵지 않을까 싶네요. 용적률을 미친듯이 올리던지 아니면 광역교통망에 신도시를 건설하던지 둘 중에 하나는 해야겠죠. 인프라 기능 마비 때문에 용적률 올리는 게 무섭다면 확실하게 광역교통망을 넣기를 바랍니다.
모리아티
2020년 8월 26일 22:51전 그말이 그말 같은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