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들의 평균 올려치기가 얼마나 심한지 아십니까? 집 재산 26억인데 부모님은 평생 겨우 중산층이라고 말씀하시더라고요. 그래서 전 저희집이 평균적인 줄 알고 살았는데 사회에 나가보니 꽤 여유있는 편이더군요. 한국 특유의 올려치기 문화는 진짜 만악의 근원인 것 같습니다. 대학교도 열심히 공부해서 약대입학했는데 꽤 했네 이러고.... 옆에 서강대 친구는 자기 학벌 안좋다고 찡찡댐. 국민들이 단체로 최면걸린 느낌
저희는 상위 1% 끄뜨머리쯤 자산을 모은 50대입니다. 결혼전 5,000만원으로 시작해서 여기까지 왔어요 1억의 중요성 공감합니다. 종자돈 누구나 모을수 있고 복리의 원리를 알면 1억이 2억되고 5억이되고 10억이 되고 그후엔 몇년만에 15억 20억 30억 쭉쭉 늘어납다다. 요즘은 이자가 적으니 주식 배당금으로 적금이자의 효과를 볼수 있구요 돈이 돈을 번다는말 진짜 맞습니다. 제가 20대에 집이 어려워 신불자 될뻔했는데 이렇게 변했으니 모든 사람들이 다 할수 있습니다. 제 글이 젊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고 적어봤어요.
10억짜리 부동산을 갖고 있다면 분명 자산가가 맞지만 현금흐름이 안좋으면 매일 죽겠다는 소리하겠죠. 결국 현금흐름싸움임. 1억을 저축으로 모으라고 하는 사람 중 말하는 걸 들어보면 습관, 인내를 배운다. 그래 좋지. 근데 1억가지고 뭐할래? 를 보면 S&P500을 적립식으로 사라고 하는 사람이 제일 갑갑함. 아마 무슨 말을 하는지 아실거임. 사람마다 다 다르겠지만 1억갖고 분할투자한다고 하다가 -5%먹으면 바로 손절치고 주식투자안함. 투자는 시간을 녹여야하는데 보통사람이 1억을 몇년만에 모을까? 투자에는 자신을 알아가는게 가장 중요함. 리스크 관리나 멘탈. 다들 잘 아시리라 생각하지만 오지랖에 긴글 남깁니다.
통계로 보면 아니겠지만 순자산 10억이면 부유하다고 체감하기는 어렵죠. 자본소득이 노동소득을 대체하는 전환점이라고는 생각합니다. 1억에서 10억까지 불리는게 10억에서 100억까지 불리는것보다 더 어렵습니다. 그만큼 10억이 넘으면 생활소득은 걱정없어져서 임계점이 넘으면 더 쉽게 불어납니다. 먹고 사는데 벗어나야만 부가 빠르게 굴러갑니다. 90%는 10억까지 도달 못하기에 대부분은 근로소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그래야 세상이 굴러가죠. 누군가는 일해서 벌어야 세상이 돌아갑니다.
지난 몇 년간 청년들이 "기성세대는 대출을 무서워해서 가난을 못벗어난다"느니 "일해서 언제 경제적 자유를 이루냐"느니 "나이 40먹고 아파트 안사고 뭐했냐"느니 이런 중2병같은 헛소리를 진리처럼 떠들어댔음 그러던 것들이 이제는 그동안 나도 다 알고 있었다는듯이 맞습니다! 이러고 있음 정말 역겹다
내 친구가 집에 돈도 없고 최근에 회사도 짤렸는데, 인스타에 골프장이랑 럭셔리한 맛집들 찾아다니는 글이 거의 매일 올라오는거 보고 박탈감을 느낌. 난 그 친구보다 훨씬 넉넉하고 좋은 직장이 있는데도 이상하게 그 친구의 포스트를 보고 그 친구를 부러워하고있고 박탈감을 느꼈음. 나는 워낙 남들과 나를 비교 안하는 사람인데도 불구하고 그 친구 사정을 다 아는데도 왜 박탈감을 느꼈는지 이유를 모르겠음. 뭔가 잘못됬다는 걸 깨닫고 SNS 다 지워버림. SNS 없는 세상은 너무 풍요롭고 좋음.
대한민국 사람들은 ■●자산이 무엇인지 ? ■●소비재가 무엇인지를 분간을 하지못하는것이 ~본질적인 문제 입니다. ■●본인이 소비하고 있는 주택이 자산일까요 소비재 있까요? ■●건축물 감가상각을 발생시키는 소비재를 부채를 내서 ~부채까지 소비를 하고 있는 것 입니다. ■●자산이란 ~자산 스스로 소득을 창출시키는 것이 자산 입니다. ■●자동차를 소비할때 핸드백을 소비할때는 쇼파를 소비할때는 소비재라고 생각을 하면서~ 왜? 주택을 소비할때는 자산에 투자를 하고 있다고 착각을 하시나요? ■●투자금 데비 ~순소득이 4%이상 지속적으로 창출 되는 것이 자산 입니다. ■●내가 10억을 들여서 주택을 사서 5억을 받고 다른사람에게 살게하고 세금과 건축물걈가상각을 떠안고 있으면서~나보다 더많은 손실을 떠안고 더높은값에 내가 소유한 주택을 사갈것이다라고 생각하는것이~일명 투기 입니다. ■●지속적 손실을 안고 있으면서 더 많은 손실을 떠안을 사람을 기다리는것 이것이 투기 입니다
순자산 기준이 애매합니다. 현금성 자산과 비유동 자산은 많이 다릅니다. 서울 자기 아파트에 살면서 현금성 자산이 없고 대출 이자까지 나가야 한다면 순자산은 10억 훌쩍 넘을 가능성이 많지만 궁핍할 수 있고요. 지방에 4억짜리 집 가지고 6억 정도 현금성 자산이 있으면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없이 느끼겠죠. 순자산과 현금 흐름 같은 걸 잘 설계해야 같은 순자산이라도 삶의 질이 달라진다고 생각합니다
하하 ㅋㅋ 1억은 솔직히 혼자살고 결혼안하고 .. 일반적인 직업을가지고 잇으신분들은 한달에 80만원 저축 및 주식투자한다고해도 .. 이자나 수익이 잇다고해도 빠르게 모아도 7ㅡ8년 되지않을까요? 저두 1억 모으는데 6년 걸렷습니다. 배당소득 및 채권투자로 이익이 생겨서 그나마 6년 조금 넘게 걸렷습니다. 그리고 혹시 차가 잇고 내집 마련하고 싶어서 대출끼고 아파트 산다고하면 ㅋ 저축못함 ㅋㅋ머 대출금 20ㅡ30년 갚고나면 ㅋ 집은생김 ㅋ근데 이게 대한민국현실임 ㅋ 아 그리고 내집 마련 아파트라고하는건 서울, 경기도 기준아님 ㅋ 지방에 쓸만한 아파트 2ㅡ4억사이 아파트 기준
무작정 복지 포퓰리즘 정책은 문제가 있다는데 공감하지만, 기득권이 하위계층을 빚의 수렁에 묶어두고 평생 빚만 갚게하는 문제는 해결이 필요하죠. 가장 큰 문제는 부동산으로 인한 평생 빚입니다. 30년간 평생 갚고 나면 아무것도 안남는 상황이 문제입니다. 30년 고용보장도 안되니 더 심각하죠. 따라서 가장 큰 복지는 주택정책입니다. 주택가격이 10년 연봉에 가까워야 정상적으로 돌아갑니다. 10년 연봉이라 해도 생활비등 소득의 절반을 소비하고 나면 20년은 걸려야 갚을 수 있습니다. 한국의 소득수준을 생각하면 주택가격은 5억을 넘지 않아야 합니다.
100억 있어도 거지같은 사람도 있다. 살아보니 20억 순자산이 되면 돈이 돈을 버는 것이 체감되는 시기더라. 너무 어린 나이에 국장을 하지 않은게 나에겐 행운이였다라고 생각한다. 어릴 땐 본업에 충실히 생활하는게 맞다. 이유는 변동성에 뇌가 빨리 망가지기 쉽기 때문이다.40대 후반에 미장에 첫 투자했는데 그것 역시 행운였음
자산이 있어도 소비가 늘어나는 것도 있지만. 해야 할 일을 하기위해 사용하는 돈들이 늘어나서 빠듯함... 100억이 가난하다 라고 말하는 것이 말도 안된다고 하는데. 현실에서 100억으로는 항상 아껴서 사용해야 하는 상황. 세금 낼때 되면 치이는..기분. 내가 소비를 안해도 나가는 돈들이 늘어나고, 성장하기 위해 투자해야 하는 돈들이 늘어나는데. 10억일때와 100억일때 나가는돈. 감당해야 하는 리스크 . 모든것이 수준이 달라짐. 그래서 여유가 더 없다고 느낌. 항상 빠듯하게 있다보면. 돈 잘벌고 잘쓰고 자산증식하는 기준으로 부자의 첫 단계를 생각하게 되는데. 그 기준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사회가 되버렸음.
@장장장-z2c 123
2025년 9월 30일 18:34한국인들의 평균 올려치기가 얼마나 심한지 아십니까? 집 재산 26억인데 부모님은 평생 겨우 중산층이라고 말씀하시더라고요. 그래서 전 저희집이 평균적인 줄 알고 살았는데 사회에 나가보니 꽤 여유있는 편이더군요. 한국 특유의 올려치기 문화는 진짜 만악의 근원인 것 같습니다. 대학교도 열심히 공부해서 약대입학했는데 꽤 했네 이러고.... 옆에 서강대 친구는 자기 학벌 안좋다고 찡찡댐. 국민들이 단체로 최면걸린 느낌
@junyang3357 66
2025년 9월 30일 18:5070억이 있는데 자신이 중산층, 서민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삶이 불행한 사람들이다.
자신이 가진 것을 전혀 알지 못하는데 무슨 인생을 살겠나.....
@호비호비-b1l 46
2025년 9월 30일 22:12저희는 상위 1% 끄뜨머리쯤 자산을 모은 50대입니다.
결혼전 5,000만원으로 시작해서 여기까지 왔어요
1억의 중요성 공감합니다.
종자돈 누구나 모을수 있고 복리의 원리를 알면 1억이 2억되고 5억이되고 10억이 되고 그후엔 몇년만에 15억 20억 30억 쭉쭉 늘어납다다.
요즘은 이자가 적으니 주식 배당금으로 적금이자의 효과를 볼수 있구요
돈이 돈을 번다는말 진짜 맞습니다. 제가 20대에 집이 어려워 신불자 될뻔했는데 이렇게 변했으니 모든 사람들이 다 할수 있습니다.
제 글이 젊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고 적어봤어요.
@동네독한형 46
2025년 9월 30일 20:371억까진 아니더라도 오천만 여유가 생겨도 벌써 마인드가 달라집니다.
@지니-o6h 42
2025년 9월 30일 18:02정말 맞는 말씀입니다,..일할의욕이 없어지는건 무서운일입니다.특히나 sns에는 모두가 다 잘사는거 같은데 이렇게 재산이 없다는건 문제가 있네요..
@박정호-v6d 34
2025년 9월 30일 20:50공감합니다...저도 처음1억을 모았을때 뭔가 해나가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지금은 아파트 대출 다내고 빚없이 7억정도 모았읍니다...
그런데 되돌아보면 정말 1억 모으기가 가장 힘들었던거 같습니다..
@gyusikkim-j3i 31
2025년 9월 30일 19:4310억짜리 부동산을 갖고 있다면 분명 자산가가 맞지만 현금흐름이 안좋으면 매일 죽겠다는 소리하겠죠. 결국 현금흐름싸움임.
1억을 저축으로 모으라고 하는 사람 중 말하는 걸 들어보면 습관, 인내를 배운다. 그래 좋지. 근데 1억가지고 뭐할래? 를 보면 S&P500을 적립식으로 사라고 하는 사람이 제일 갑갑함. 아마 무슨 말을 하는지 아실거임. 사람마다 다 다르겠지만 1억갖고 분할투자한다고 하다가 -5%먹으면 바로 손절치고 주식투자안함. 투자는 시간을 녹여야하는데 보통사람이 1억을 몇년만에 모을까?
투자에는 자신을 알아가는게 가장 중요함. 리스크 관리나 멘탈. 다들 잘 아시리라 생각하지만 오지랖에 긴글 남깁니다.
@김창성-z1c 25
2025년 9월 30일 21:361억이 별거 아니라는 1억을 직접 벌어서 모아보지 못한 사람이다
@niceOneSonnyAgain 25
2025년 9월 30일 20:35부자는 얼마가 기준이 아니라 내가 일을 하지 않고 평소처럼 생활해도 자산이 줄지 않으면 부자! 자산이 20-30억있어도 일을 하지 않으면 안되면 부자아님
@Jonathan-gs7yd 24
2025년 9월 30일 19:32변호사님 미용실 바꾸셔야될거같아요 진심.
@자유법치-b2r 21
2025년 9월 30일 21:10이런 걸 보면 자기의 위치를 알 수 있어서 좋다. 맨날 바람들어간 sns 보면서 비관~이런 사실들이~모두들 정신차리게 해 줘서 좋다.
@록강-u6i 18
2025년 9월 30일 23:28통계로 보면 아니겠지만 순자산 10억이면 부유하다고 체감하기는 어렵죠. 자본소득이 노동소득을 대체하는 전환점이라고는 생각합니다. 1억에서 10억까지 불리는게 10억에서 100억까지 불리는것보다 더 어렵습니다. 그만큼 10억이 넘으면 생활소득은 걱정없어져서 임계점이 넘으면 더 쉽게 불어납니다. 먹고 사는데 벗어나야만 부가 빠르게 굴러갑니다. 90%는 10억까지 도달 못하기에 대부분은 근로소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그래야 세상이 굴러가죠. 누군가는 일해서 벌어야 세상이 돌아갑니다.
@박규-d7d 14
2025년 9월 30일 18:45집있으면 부자네 서울집 값 기본 10억임
@김성우-u1u 13
2025년 9월 30일 19:22박종경 뱐호사님 사랑합니다. 좋은말씀입니다.
@ad8361 12
2025년 9월 30일 21:39비교만 안하고 살면 모두 부자입니다 솔직히 옆집이 더 많이 가져서 본인이 불행한 것입니다
@syjeon6136 12
2025년 9월 30일 21:21자산은 부자 수준
소득은 중산층 수준
부동산 거지 입니다.
@sanglee7877 11
2025년 9월 30일 20:21지난 몇 년간 청년들이
"기성세대는 대출을 무서워해서 가난을 못벗어난다"느니
"일해서 언제 경제적 자유를 이루냐"느니
"나이 40먹고 아파트 안사고 뭐했냐"느니
이런 중2병같은 헛소리를 진리처럼 떠들어댔음
그러던 것들이 이제는
그동안 나도 다 알고 있었다는듯이 맞습니다! 이러고 있음
정말 역겹다
@최정욱-v2t 11
2025년 9월 30일 19:4010억이면 부자죠
데체 어떻게들 사시길래 ㅎㅎ
@김혜성-z3c 9
2025년 9월 30일 20:25어느 채널에서
박종경님 말씀듣고 처음으로 팬이 됐지요
참 똑똑한 분.❤
@byungjunyoon 8
2025년 9월 30일 19:35오늘 영상 감사합니다.
@arcadiheaven4017 8
2025년 9월 30일 18:5141살 전문직 자산 42억 부동산 주식으로 30억정도 벌었죠 투자를 잘하면 길이 있습니다
@andikang2176 8
2025년 9월 30일 21:24대학생때 리더가 될 생각으로 운동만 하고, 북한을 동경하며, 평생 일은 안해본 사람들이 국회 주류죠.
@Skxbajdj9f 8
2025년 9월 30일 17:44맞아 나 사기당해서 돈없어
@parktae-bug 8
2025년 9월 30일 19:22변호사님이 마지막에 했던 그런얘기를 조심스럽게 해야된다는 자체가 참,,,,,
@Jirisan-r9y 7
2025년 9월 30일 22:44구구절절. 지혜롭고 현명한 사람입니다.
@lucky_tv 7
2025년 9월 30일 18:50📌 김작가 신간 출간 『머니 트렌드 2026』 도서 구매
👉 https://m.site.naver.com/1PBY7
📌 슈퍼개미 이세무사의 [실전투자 마스터 클래스] 신청하기
👉 https://us-insight.com/products/group/58
@뷰티풀S 5
2025년 9월 30일 22:30변호사님 요즘 여기저기에서 많이많이 나와줘서 너무 좋아요 저는 김작가티비 부읽남 월급쟁이부자들 체널 팬입니다 이제 월급쟁이부자 체널도 나와주세요 김작가님은 이해하시죠 ? 좋은 지식은 서로 놔눠야죠
@sunnysunshine-t2t 4
2025년 9월 30일 21:38좋은 말씀, 고맙습니다.
외국에 살고 일 년에 한번씩 한국에 오는데….
한국사람들 전반적으로 부자인것 같아요.
10억이상은 다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요.
@HaneulMoa 4
2025년 10월 01일 02:54내 친구가 집에 돈도 없고 최근에 회사도 짤렸는데, 인스타에 골프장이랑 럭셔리한 맛집들 찾아다니는 글이 거의 매일 올라오는거 보고 박탈감을 느낌. 난 그 친구보다 훨씬 넉넉하고 좋은 직장이 있는데도 이상하게 그 친구의 포스트를 보고 그 친구를 부러워하고있고 박탈감을 느꼈음. 나는 워낙 남들과 나를 비교 안하는 사람인데도 불구하고 그 친구 사정을 다 아는데도 왜 박탈감을 느꼈는지 이유를 모르겠음. 뭔가 잘못됬다는 걸 깨닫고 SNS 다 지워버림. SNS 없는 세상은 너무 풍요롭고 좋음.
@푸르른날 4
2025년 9월 30일 22:2310억은
2025년 화폐가치기준이고
자녀에게 지원이 끝난 상태어야 합니다
아니면 낭패봅니다
@하얀빈스 3
2025년 9월 30일 19:48순자산 10억원?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매주 평균 10~20명의 부자가 탄생하는 곳이네요~~ 로또
@정만석-e4i 3
2025년 10월 01일 00:15부자의 기준은~자산의 크기가 아니구요
■●노동을 하지않고 살면서
자산이 줄어들지 않고 있으면 부자 입니다.
@bongkwonjeoung3818 3
2025년 9월 30일 20:05꼰대들이 입다물고 있는데 젊은분이 지금시대 꼭 필요한말
@정만석-e4i 2
2025년 10월 01일 00:07대한민국 사람들은
■●자산이 무엇인지 ?
■●소비재가 무엇인지를 분간을 하지못하는것이 ~본질적인 문제 입니다.
■●본인이 소비하고 있는 주택이 자산일까요 소비재 있까요?
■●건축물 감가상각을 발생시키는
소비재를 부채를 내서 ~부채까지 소비를
하고 있는 것 입니다.
■●자산이란 ~자산 스스로 소득을
창출시키는 것이 자산 입니다.
■●자동차를 소비할때 핸드백을 소비할때는 쇼파를 소비할때는
소비재라고 생각을 하면서~
왜? 주택을 소비할때는 자산에 투자를 하고
있다고 착각을 하시나요?
■●투자금 데비 ~순소득이 4%이상
지속적으로 창출 되는 것이 자산 입니다.
■●내가 10억을 들여서 주택을 사서
5억을 받고 다른사람에게 살게하고
세금과 건축물걈가상각을 떠안고
있으면서~나보다 더많은 손실을 떠안고
더높은값에 내가 소유한 주택을 사갈것이다라고 생각하는것이~일명
투기 입니다.
■●지속적 손실을 안고 있으면서
더 많은 손실을 떠안을 사람을 기다리는것
이것이 투기 입니다
@jamodong 2
2025년 9월 30일 21:11서민 맞아요
@Whatever-us 2
2025년 9월 30일 20:19근데 중요한건 그 중위값에 미성년자도 들어가는건가요? 아니면 경제활동을 하고있는 성인들만 기준으로 계산 산정하는건가요
@shome4568 2
2025년 9월 30일 23:39한국에서 금융자산 10억 비율은 0.9%임 ㅋㅋㅋㅋㅋ 서민이냐? ㅋㅋㅋㅋㅋ
@lky0918 2
2025년 10월 01일 01:58순자산 기준이 애매합니다. 현금성 자산과 비유동 자산은 많이 다릅니다. 서울 자기 아파트에 살면서 현금성 자산이 없고 대출 이자까지 나가야 한다면 순자산은 10억 훌쩍 넘을 가능성이 많지만 궁핍할 수 있고요. 지방에 4억짜리 집 가지고 6억 정도 현금성 자산이 있으면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없이 느끼겠죠. 순자산과 현금 흐름 같은 걸 잘 설계해야 같은 순자산이라도 삶의 질이 달라진다고 생각합니다
@이주호-l9s 2
2025년 9월 30일 19:39하하 ㅋㅋ 1억은 솔직히 혼자살고 결혼안하고 .. 일반적인 직업을가지고 잇으신분들은 한달에 80만원 저축 및 주식투자한다고해도 .. 이자나 수익이 잇다고해도 빠르게 모아도 7ㅡ8년 되지않을까요? 저두 1억 모으는데 6년 걸렷습니다. 배당소득 및 채권투자로 이익이 생겨서 그나마 6년 조금 넘게 걸렷습니다. 그리고 혹시 차가 잇고 내집 마련하고 싶어서 대출끼고 아파트 산다고하면 ㅋ 저축못함 ㅋㅋ머 대출금 20ㅡ30년 갚고나면 ㅋ 집은생김 ㅋ근데 이게 대한민국현실임 ㅋ 아 그리고 내집 마련 아파트라고하는건 서울, 경기도 기준아님 ㅋ 지방에 쓸만한 아파트 2ㅡ4억사이 아파트 기준
@전수진-c4o 1
2025년 10월 01일 00:19젊은 분이 일찍 철이 들었네요. 부모님이 얼마나 뿌듯할까. 명품 좋아하다 뒤늦게 알뜰하게 살림 하는 재미를 느끼고 있는 40대 중반 교사입니다. ^^
@LeeFamTV 1
2025년 10월 01일 03:51무작정 복지 포퓰리즘 정책은 문제가 있다는데 공감하지만, 기득권이 하위계층을 빚의 수렁에 묶어두고 평생 빚만 갚게하는 문제는 해결이 필요하죠. 가장 큰 문제는 부동산으로 인한 평생 빚입니다. 30년간 평생 갚고 나면 아무것도 안남는 상황이 문제입니다. 30년 고용보장도 안되니 더 심각하죠. 따라서 가장 큰 복지는 주택정책입니다. 주택가격이 10년 연봉에 가까워야 정상적으로 돌아갑니다. 10년 연봉이라 해도 생활비등 소득의 절반을 소비하고 나면 20년은 걸려야 갚을 수 있습니다. 한국의 소득수준을 생각하면 주택가격은 5억을 넘지 않아야 합니다.
@dkfls777 1
2025년 9월 30일 21:38상위 1% 면 480,000명, 가구로는 거의 200,000 가구라 그래요 큰 부자란 생각이 안들죠. 33억원이래도 ㅎㅎㅎ20만 가구인데 ㅎㅎㅎㅎㅎ
@jungmiyoon7087
2025년 10월 01일 02:01100억 있어도 거지같은 사람도 있다.
살아보니 20억 순자산이 되면
돈이 돈을 버는 것이 체감되는 시기더라.
너무 어린 나이에 국장을 하지 않은게 나에겐 행운이였다라고 생각한다. 어릴 땐 본업에 충실히 생활하는게 맞다. 이유는 변동성에 뇌가 빨리 망가지기 쉽기 때문이다.40대 후반에 미장에 첫 투자했는데 그것 역시 행운였음
@VERITAS-d4t
2025년 9월 30일 23:47변호사님 나오셨네요❤❤❤
@freedombelief7963
2025년 9월 30일 23:46이분 진짜 찐임.
@yangnam3532
2025년 10월 01일 03:26나도 구축 7억짜리 집에 사는데 금융자산은 20억 정도 됩니다.
크고 좋은 신축으로 이사가고 싶은 마음은 있어도 노후를 집에 몰빵해서 돈 없이 살고 싶지 않아요.
@뽀로롱-r9g
2025년 10월 01일 02:41자산이 있어도 소비가 늘어나는 것도 있지만. 해야 할 일을 하기위해 사용하는 돈들이 늘어나서 빠듯함... 100억이 가난하다 라고 말하는 것이 말도 안된다고 하는데. 현실에서 100억으로는 항상 아껴서 사용해야 하는 상황. 세금 낼때 되면 치이는..기분. 내가 소비를 안해도 나가는 돈들이 늘어나고, 성장하기 위해 투자해야 하는 돈들이 늘어나는데. 10억일때와 100억일때 나가는돈. 감당해야 하는 리스크 . 모든것이 수준이 달라짐. 그래서 여유가 더 없다고 느낌. 항상 빠듯하게 있다보면. 돈 잘벌고 잘쓰고 자산증식하는 기준으로 부자의 첫 단계를 생각하게 되는데. 그 기준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사회가 되버렸음.
@나정숙-n5j
2025년 10월 01일 03:01올바른,말씀입니다
선생님은 부자될가능성 충분합니다 긍정마이드
우리자녀들이 배웠으면좋겠네요
@늘처음처럼-r2j
2025년 9월 30일 21:28간절하고 절실해봐야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얻을 수도 있지 않을까요.
@병구리-q5b
2025년 10월 01일 01:46통계를 어디서 가져오신 건지 차이가 너무 많이 나네요.
가구당 평균 순자산 4억 4894만원, 중위 순자산 3억 1,008만원....이라고 하던데요.(2024년 기준,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팩트 체킹 좀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