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미스트면 최소한 기본적인 팩트 체크는 하세요 1기 신도시가 200만호 공급이라고요? 분당 일산 중동 산본 평촌 실제 공급은 30만호 정도이고 노태우 공약 200만호에는 대전 둔산 대구 수성등 을 포함한 전국 모든 주택 공급을 말합니다 그리고 2기 신도시와 비교도 서울근교인 판교나 위례 공급량하고 비교해야지 동탄 이랑 비교하는게 말이되나요,
영상 잘 봤습니다. 문제는 잘 알겠는데 그럼 어떻게 해야 될까요? 그게 궁금합니다. 어떻게 하면 집을 안정시킬 수 있을지 대책도 함께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디에다 어떻게 대규모 공급을 해야할까요? 집없는 사람이라 관심이 많은데 다들 문제만 얘기하고 구체적 대책은 얘기 안해서 혹시 박사님은 대책이 있을까 해서 여쭈어봅니다.
이코노미스트란 분이 3기 신도시 역세권에 마치 전부 임대주택 공급하는 것처럼 선동해놓으셨네..그게 가능합니까???그게 경기도 단독으로 가능합니까???그렇게 용감한 주장을 이렇게 공개적으로 대놓고 하시려면 그럴듯한 근거를 제시하셔죠!!!!경기도..3기 신도시 물량 중 역세권에 50% 임대주택 공급..정부와 협의추진!!!자신있게 마구 던질꺼면 그럴듯한 근거를 제시하세요!!!그나저나 오늘 서울시내 공급확대정책도 발표했네요..또 여기저기 전문가랍시고 기어나와 이런 저런 이유로 열심히 까겠네요..수요억제 투기억제도 반대..공급확대도 비판..선동만 하지말고 구체적인 대안이 뭔지..그토록 집사고 싶은 무주택서민과 3040을 위한 다면 그들을 위한 구체적인 대안이 뭔지도 제시하든지..그게 지식인이자 전문가의 바람직한 모습이 아닐까요???
3기 신도시가 역세권에 임대주택으로 채운다? 에이, 이 정부는 임대주택을 좋아하지만 일반 국민은 좋하하지 않아요. 은행대출 받아가지고 자기 이름으로 등기해놓고 필요하면 팔고 갈아타야 하는데 ... 문정부은 정말 국민의 무엇을 원하는지 모르는 이념만 내세운 정말 답답한 정권이네요.
저도 3기 신도시 물량이 많지는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박사님도 그렇게 말하시네요. 몇년으로 나누면 턱도 없고 수도권 기준 90년대 보다 못한 공급을 지난 10년대에 했고 20년대에는 지난 10년 보다 못할 것으로 보이네요. 공급이 가장 많았던 00년대는 그렇다고 하고 90년대 보다 적다는 것은 문제가 크지요. 질적인 공급은 더 부족할 것 같고요.
미래의 일을 100% 예측하는건 어렵지만.. 논리가 너무 허졉해서.. 눈살이 찌푸려지네요. 우선 30,40은 젊은 사람들이 청약시장에서 가장 유리한 청약 나이대입니다. 이거를 인터넷에서 아무리 많이 알려줘도 여전히 청약가점이 낮은 30대가 집을 산다는 가짜뉴스를 아직도 계속 당당히 주장하는게 이해가 안가네요. 절대물량이 적었던거지 실지로 청약시장에서는 30대가 굉장히 유리한 나이대입니다. 특별공급 혜택을 가장 많이보고 시간이 갈수록 가점이 높아지고 그래서 실지로 30대가 청약을 많이 받는편입니다. 그리고 3기신도시가 지금 220% 애기나오는데 저밀도 개발이라고 할순 없죠. 왜 저밀도 개발이라고 주장하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특히 경기도의 경우 역세권을 500%로 개발한다는 겁니다. 살기좋은 곳에 소득,자산 제한없는 임차인이면 입주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1기신도시는 200만호라고요? 장난하나요? 에효.. 3기신도시 규모 절대 작은거 아닙니다.
많은 부동산 유튜버들이 현재 부동산 정책에 대해 비판하는 모습들이 거의 대부분인데요. 그런데 어느 한 사람도 전체적인 해결책을 내세우는 사람은 보이지 않네요. 정부가 제대로 보지 못한 정책의 오류에 대해 지엽적인 부분이 아닌 전체적으로 제대로 된 틀에서 속시원한 방안이 있다면 많은 사람들이 보는 부동산,경제 유튜브를 운영하는 분들이 제시해 주시면 어떨가 생각해 봅니다.
주제에 안 맞는 내용이지만 궁금해서 질문을 드립니다. ‘불황에 이거하면 절대 안 된다’ 편을 인상 깊게 봤습니다. 최근 부동산 관련 대출을 심하게 억제하고 더불어 증세를 하고 있습니다. 한국인은 주택을 담보물로 활용하여 대출을 받아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금리를 낮춘것도 결국 돈을 돌게 하기 위해서일텐데 주택담보 대출을 억제하면 금리인하 효과가 떨어질 것 같습니다. 이런 한국 경제에 대출 억제가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합니다. 최근 경제 성장률이 예측보다 더 낮아 졌는데 이런 영향은 없을까요?
이렇게 좋은 강의를 듣고도 개돼지들이 있는게 안타깝네요 임대가 좋다니 ㅎㅎ 일반 월세100만원짜리 보다 임대주택 월세가 50만원이 좋지 않나요? 나이먹고 소득없을때 자기집도 없고 그나마 모아놓은돈으로 월세만 내다가 생 마감하실건가요? 여러분은 하루살이 마냥 내일만 보고사나요?
에이, 임대주택에 늘리면 20-30대가 여기서 청약할까요? 그것도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제 3기 신도시에? 아파트는 일반 서민들의 주요 거주수단이지만 투자수단이기도 하고요. 자기 집이 세월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올라 오늘날 강남의 10억 20억 되기를 바랄텐데. 정부가 시장전문가의 의견을 제대로 참고나 하는지 모르겠네요.
박사님 항상 유익한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제 생각에는 한국에서 집값을 잡기 위해서는 결국 전세가 사라져야하고 정부가 장기적으로 꾸준히 연30만호 이상 공공임대주택을 건설하는것 밖에는 방법이 없다고 생각하는데 박사님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전세가 갭투자를 조장하고 예전에는 은행에서 대출도 힘들고 잘하면 부동산으로 한탕해서 크게벌고 세입자는 공짜로 거주해서 윈윈인데 요즘은 저금리라서 효용성이 떨어지고 전세가때문에 집값의 하락을 제한하는면도 있고 주택가격에도 안 좋은 영향을 주지요. 하지만 단기적으로 임대, 임차인 모두를 화나게 할 수 있는데 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지.... 임대차3법 대신에 차라리 전세를 법으로 금지하고 임대주택을 꾸준히 왕창 지었으면 해요. 참고로 저는 해외에서 공인중개사로 일을 했음.
선생님 공급측면에서 말고 수요측면에서 생산가능인구가 줄고 베이비부머가 은퇴하는 시기가 작금의 부동산 상승기와 겹치고 있지 않습니까? 저금리라는 유동성장세만 해소 된다면 일본 정도의 수준은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 부동산 안정화는 필연적일거 같은데,,, 수요적인 측면에서는 어떤 전망을 하고 계시는지요?
장기 임대 아파트는 투기 열기는 가라 앉을 거같은데... 매수세력은 전세도 가능하기 때문에 월세도 가능하기에 그 이하의.사람들이.들어와야 하고 그래야 전체 전세나 매매가가 낮아져야 합니다. 제가 보기엔 이 영상은 좀... 서민을 위한 영상이 아닌.집 좀 사볼라고 하는 수요자들에게 맞춰진 내용 같아요.
맞는 말인데 뭐 이렇게나 아니라 하는 사람이 많은지. 위치도 창릉 과천 교산 빼면 나쁘고 들어오는것도 다수가 임대주택인데다가(대체 어떤사고를 하면 이런식으로 생각이 가능한건지??) 3040을 위한 그 어떤 유인책도 없으니 ㅋㅋ 신혼특공??->맞벌이 부부 전혀 해당사항 없음 거기에 전매제한+역세권 임대주택까지 ㄷㄷ 이게 생각이란게 있다면 절대 3기 신도시로 들어가지 않아요 그런곳에 들어가면 중산층은 커녕 하층민이 될 판이라
항상 깊이있는 내용을 짧은 시간에 압축해서 제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요즘 유튜브에서 폴크루그먼 교수의 '임대료 상한제' 소개 영상이 많이 회자되고 있습니다. 애널리스트로서 이 자료 분석을 좀 부탁 드립니다. 폴 크루그먼 교수에 대해 평가는 다양하지만, 교수에 대한 평가가 아닌 임대료 상한제에 대한 경제학자로서의 분석, 그리고 홍 애널리스트의 분석 등을 듣고 싶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01SjcYx4g_g&t=596s
Kuri Ku 23
2020년 7월 29일 15:32살고싶은 집이라는 욕구는 무한정인데..(신축, 역세권, 비임대단지 등등) 닭장마냥 자꾸 저소득계층을 위한 임대만 때려넣으면 중간에 끼인사람들은 어찌살라는건지 모르겠네요 ㅎㅎㅎ 현정부 부동산정책기조하에 서울대기업에 근무하는 흙수저들은 답없습니다 진짜
박현채 22
2020년 7월 31일 21:20이코노미스트면 최소한 기본적인 팩트 체크는 하세요 1기 신도시가 200만호 공급이라고요? 분당 일산 중동 산본 평촌 실제 공급은 30만호 정도이고 노태우 공약 200만호에는 대전 둔산 대구 수성등 을 포함한 전국 모든 주택 공급을 말합니다 그리고 2기 신도시와 비교도 서울근교인 판교나 위례 공급량하고 비교해야지 동탄 이랑 비교하는게 말이되나요,
스텔라 20
2020년 7월 29일 20:08홍박사님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시장을 이길수 없을텐데, 역행하는 정책을 쏟아내니 걱정스럽습니다. 임대아파트는 계층이동의 징검다리 역할이어야합니다. 안주하면 자산 인플레시 소외되어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난을 벗어나기 힘들죠...
라임초록 20
2020년 8월 01일 08:15집때문에 과천 광교 동탄 위례등 직접 다녀봤습니다 공급부족도 있지만 몇냔전보다 훨씬 많이 분양되고 있습니다 지금은 심리부분이 더 작용하고 있는거 같아요 오르니깐 불안심리 몇년지나면 지금 현상은 완화 될것 같습니다
윤훈 16
2020년 7월 29일 18:48영상 잘 봤습니다. 문제는 잘 알겠는데 그럼 어떻게 해야 될까요? 그게 궁금합니다.
어떻게 하면 집을 안정시킬 수 있을지 대책도 함께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디에다 어떻게 대규모 공급을 해야할까요?
집없는 사람이라 관심이 많은데 다들 문제만 얘기하고 구체적 대책은 얘기 안해서 혹시 박사님은 대책이 있을까 해서 여쭈어봅니다.
khii few 14
2020년 7월 30일 06:34영상 감사합니다. 근데 정부에서 서울 대규모 공급을 기획하던거 같던데.. 언론발 10만호 정도 될수있다들었어요 . 저는 오히려 향후 몇년후엔 과도한 과공급이라 생각했는데.. 아닌가요?
Freedom 4 U Dream 13
2020년 8월 04일 11:13이코노미스트란 분이 3기 신도시 역세권에 마치 전부 임대주택 공급하는 것처럼 선동해놓으셨네..그게 가능합니까???그게 경기도 단독으로 가능합니까???그렇게 용감한 주장을 이렇게 공개적으로 대놓고 하시려면 그럴듯한 근거를 제시하셔죠!!!!경기도..3기 신도시 물량 중 역세권에 50% 임대주택 공급..정부와 협의추진!!!자신있게 마구 던질꺼면 그럴듯한 근거를 제시하세요!!!그나저나 오늘 서울시내 공급확대정책도 발표했네요..또 여기저기 전문가랍시고 기어나와 이런 저런 이유로 열심히 까겠네요..수요억제 투기억제도 반대..공급확대도 비판..선동만 하지말고 구체적인 대안이 뭔지..그토록 집사고 싶은 무주택서민과 3040을 위한 다면 그들을 위한 구체적인 대안이 뭔지도 제시하든지..그게 지식인이자 전문가의 바람직한 모습이 아닐까요???
매천황현 13
2020년 7월 29일 21:05자기 편이 하는 짓은 실패라도 인정하지 않거나 그럴 수 있쥐....
자기 잘못도 남 탓하는 넘들에게 무엇을 바랄까!
박사님의 메아리 없는 외침, 안스럽지만^^
그래도 열심히 듣는 팬이 있으니...
감쏴함다, 깨우쳐줘서.
Kris Kwon 13
2020년 8월 20일 17:333기 신도시가 역세권에 임대주택으로 채운다? 에이, 이 정부는 임대주택을 좋아하지만 일반 국민은 좋하하지 않아요. 은행대출 받아가지고 자기 이름으로 등기해놓고 필요하면 팔고 갈아타야 하는데 ... 문정부은 정말 국민의 무엇을 원하는지 모르는 이념만 내세운 정말 답답한 정권이네요.
Bogard 12
2020년 8월 07일 03:01실패든 성공이든 묘지옆 단지 도로반대 구석탱이 철탑앞 이런대 임대아파트 박는 정부보다는 낫다. 이 양반 결정적으로 3기 신도시 외에는 아파트 안짓는줄 아나보네 ㅎㅎ
koko s 12
2020년 7월 29일 16:40저도 3기 신도시 물량이 많지는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박사님도 그렇게 말하시네요.
몇년으로 나누면 턱도 없고
수도권 기준 90년대 보다 못한 공급을 지난 10년대에 했고
20년대에는 지난 10년 보다 못할 것으로 보이네요.
공급이 가장 많았던 00년대는 그렇다고 하고
90년대 보다 적다는 것은 문제가 크지요.
질적인 공급은 더 부족할 것 같고요.
그리고 임대 보다는 일반 분양을 늘려야 하는데
현 정권은 뭔가 이상해요.
반클 11
2020년 8월 01일 01:36그냥 폭등론자...
단순 11
2020년 7월 29일 16:01동의여부를 떠나 명확한 의견 말씀해주셔서 항상 경청하게됩니다.
알아듣기 힘들게 한다리 걸치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대부분이라 더 빛을 발하는거 같습니다.
나그네 10
2020년 8월 03일 13:04미래의 일을 100% 예측하는건 어렵지만.. 논리가 너무 허졉해서.. 눈살이 찌푸려지네요.
우선 30,40은 젊은 사람들이 청약시장에서 가장 유리한 청약 나이대입니다. 이거를 인터넷에서 아무리 많이 알려줘도 여전히 청약가점이 낮은 30대가 집을 산다는 가짜뉴스를 아직도 계속 당당히 주장하는게 이해가 안가네요. 절대물량이 적었던거지 실지로 청약시장에서는 30대가 굉장히 유리한 나이대입니다. 특별공급 혜택을 가장 많이보고 시간이 갈수록 가점이 높아지고 그래서 실지로 30대가 청약을 많이 받는편입니다. 그리고 3기신도시가 지금 220% 애기나오는데 저밀도 개발이라고 할순 없죠. 왜 저밀도 개발이라고 주장하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특히 경기도의 경우 역세권을 500%로 개발한다는 겁니다. 살기좋은 곳에 소득,자산 제한없는 임차인이면 입주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1기신도시는 200만호라고요? 장난하나요? 에효.. 3기신도시 규모 절대 작은거 아닙니다.
과일빙수 9
2020년 7월 29일 15:28많은 부동산 유튜버들이 현재 부동산 정책에 대해 비판하는 모습들이 거의 대부분인데요. 그런데 어느 한 사람도 전체적인 해결책을 내세우는 사람은 보이지 않네요. 정부가 제대로 보지 못한 정책의 오류에 대해 지엽적인 부분이 아닌 전체적으로 제대로 된 틀에서 속시원한 방안이 있다면 많은 사람들이 보는 부동산,경제 유튜브를 운영하는 분들이 제시해 주시면 어떨가 생각해 봅니다.
what's up 9
2020년 7월 29일 19:18전체적인 인구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1인가구가 늘어날 거라고 보면 (장기)임대아파트는 괜찮다고 보는데~
김현정 8
2020년 7월 29일 21:20왜 구독하기와 좋아요 눌러달라고 안하시는지요? 물론 매번 누르지만요...ㅎㅎ
대신 제가 홍보합니다...
N노도 8
2020년 7월 31일 11:11MBC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97회] 집값 폭등 주범…2014년 '분양가상한제' 폐지 내막 추적 유투브
JH Park 8
2020년 7월 29일 18:11주제에 안 맞는 내용이지만 궁금해서 질문을 드립니다.
‘불황에 이거하면 절대 안 된다’ 편을 인상 깊게 봤습니다.
최근 부동산 관련 대출을 심하게 억제하고 더불어 증세를 하고 있습니다.
한국인은 주택을 담보물로 활용하여 대출을 받아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금리를 낮춘것도 결국 돈을 돌게 하기 위해서일텐데 주택담보 대출을 억제하면 금리인하 효과가 떨어질 것 같습니다.
이런 한국 경제에 대출 억제가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합니다.
최근 경제 성장률이 예측보다 더 낮아 졌는데 이런 영향은 없을까요?
그루 8
2020년 7월 29일 15:42이재명이가 시행사업도 해서 주택도 공급하겠다는데 나라가 시행사업도 하겠다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고견을 듯고싶어요~
라니아케아 7
2020년 7월 29일 15:42정부가 임대 주택에 집착하는 이유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일듯 합니다. 저는 왜 임대 주택에 그렇게 목을 매는지 모르겠어요.
김남수 7
2020년 7월 30일 15:32정치꾼들이 경제를 주무르니 이런 꼴이 나네요. 많이 배우고 느낍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박사님!!
jay park 7
2020년 8월 01일 23:50댓글보니 이젠 투기심리의 일상화가 달성된 느낌이네요. 2000년초 새롬기술이 생각나네요. ㅋ~ 집단광기...
Shooting Star 7
2020년 8월 02일 12:03임대는 공급이 아닙니다.
패닉바잉을 하고 있는다
30-40대 유효수요자들에게 공급할 집이 필요하죠.
유재종 6
2020년 7월 29일 15:38청약 없어져야 하는거 같아요
안이아부지 5
2020년 8월 24일 22:53이렇게 좋은 강의를 듣고도 개돼지들이 있는게 안타깝네요 임대가 좋다니 ㅎㅎ
일반 월세100만원짜리 보다 임대주택 월세가 50만원이 좋지 않나요? 나이먹고 소득없을때 자기집도 없고 그나마 모아놓은돈으로 월세만 내다가 생 마감하실건가요?
여러분은 하루살이 마냥 내일만 보고사나요?
새로이냥 5
2020년 7월 29일 21:07오늘 영상 재밌게 잘봤습니다. 자료를 보여주셔서 더 좋아요. 크게 보려고 화면 확대해서 봅니다.
30대라 그런지 더 집중해서 본 영상이었어요^^
감사히 잘 봤습니다~!
슈퍼차차TV 5
2020년 7월 29일 22:48안타 깝지만..지금 서울 부동산은 누구도 해법을 내놓을수 없을것 같네요 박사님. 공급 확대도 수요억제도 쉽지가 않아 보이네요. 좋은 방송 감사합니다^^
춘복 5
2020년 7월 29일 15:36항상 시청 잘하고 있읍니다 감사합니다~
조영자 5
2020년 8월 03일 11:53이재명지사님의부동산정책을기대합니다~
tube미러브에 5
2020년 7월 29일 20:13언제나 정확한 분석 감사합니다.
전dalkomm 4
2020년 7월 29일 20:52박사님 댓글에 하트랑 답글 달아주시면 더 좋을거 같아요~
블루웨일 4
2020년 7월 29일 20:20아직 토지이용계획도도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성급한 결론을 내신거 아닌지요 ?
flots2 Kim 4
2020년 8월 11일 04:57박사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Kris Kwon 4
2020년 7월 29일 20:31에이, 임대주택에 늘리면 20-30대가 여기서 청약할까요? 그것도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제 3기 신도시에? 아파트는 일반 서민들의 주요 거주수단이지만 투자수단이기도 하고요. 자기 집이 세월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올라 오늘날 강남의 10억 20억 되기를 바랄텐데. 정부가 시장전문가의 의견을 제대로 참고나 하는지 모르겠네요.
혀니 3
2020년 8월 01일 20:42에휴. 3기 신도시 기다렸는데 물건너 간나싶네요.ㅠㅠ
조영화 3
2020년 8월 07일 09:19초치지마시길...
무주택자의 거주지마련에 무슨짓을!
야참인성 3
2020년 7월 29일 17:41항상 좋은 얘기 감사합니다.
Roy Bahn 3
2020년 8월 15일 22:16맞네 ~구로 집사란 양반
어디서 많이 봤다 했네~~
구로 혼자 많이 사서 돈버세요~.
다른 사람 끌어들이지 말고
좋은걸 왜 남줍니까?
혼자 다 잡수시지
jaykimm shsv 3
2020년 8월 04일 15:47ㅎㅎ
Demian Lee 3
2020년 7월 29일 22:55박사님 항상 유익한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제 생각에는 한국에서 집값을 잡기 위해서는 결국 전세가 사라져야하고 정부가 장기적으로 꾸준히 연30만호 이상 공공임대주택을 건설하는것 밖에는 방법이 없다고 생각하는데 박사님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전세가 갭투자를 조장하고 예전에는 은행에서 대출도 힘들고 잘하면 부동산으로 한탕해서 크게벌고 세입자는 공짜로 거주해서 윈윈인데 요즘은 저금리라서 효용성이 떨어지고 전세가때문에 집값의 하락을 제한하는면도 있고 주택가격에도 안 좋은 영향을 주지요. 하지만 단기적으로 임대, 임차인 모두를 화나게 할 수 있는데 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지.... 임대차3법 대신에 차라리 전세를 법으로 금지하고 임대주택을 꾸준히 왕창 지었으면 해요. 참고로 저는 해외에서 공인중개사로 일을 했음.
피치💟 3
2020년 7월 29일 23:54역세권에 임대주택 100퍼센트 짓는다는 것은 확실한 건가요? 이건 아닌거 같은데 ㅡㅡ
임홍빈 2
2020년 8월 07일 18:21유투브구독자들이 더 전문가인듯
TV흔한왕초보 2
2020년 7월 29일 20:40동의합니다
Apple 2
2020년 8월 08일 21:13선생님 공급측면에서 말고 수요측면에서 생산가능인구가 줄고 베이비부머가 은퇴하는 시기가 작금의 부동산 상승기와 겹치고 있지 않습니까? 저금리라는 유동성장세만 해소 된다면 일본 정도의 수준은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 부동산 안정화는 필연적일거 같은데,,, 수요적인 측면에서는 어떤 전망을 하고 계시는지요?
너구리당 2
2020년 8월 05일 12:37가격을 잡을려고 하지말고... 돈 있는 사럼들이 비싸게 집사는걸 막을 필요 없다... 다만 보유세 등 강화하고... 다주택자 소유의 부담을 극대화하면 그만이다..
key 2
2020년 8월 18일 00:43장기 임대 아파트는 투기 열기는 가라 앉을 거같은데...
매수세력은 전세도 가능하기 때문에 월세도 가능하기에 그 이하의.사람들이.들어와야 하고 그래야 전체 전세나 매매가가 낮아져야 합니다. 제가 보기엔 이 영상은 좀... 서민을 위한 영상이 아닌.집 좀 사볼라고 하는 수요자들에게 맞춰진 내용 같아요.
윤숙경 2
2020년 8월 01일 08:17인재들이 없으니 이꼴이됐네요
김동일 2
2020년 7월 31일 21:18biased
mo mo 1
2020년 8월 01일 14:05정부가 3기신도시 역세권에 임대주택짓는건 3기신도시를 만드는취지가 부동산폭등을막는다는 취지에 역행하는것같네여.오히려 역세권쪽에 공공청약분양을하고 그주변에 임대를 사이사이넣는게좋죠.
Soo Jin Park 1
2020년 11월 07일 08:23집을 많이 지어야 집값 떨어진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진실인데 김현미는 잘 모르는듯.
냐옹이 1
2020년 7월 29일 17:03서울 집값 잡는데 왜 경기도 그린벨트 풀어서
경기도에 잔뜩 짓는지...
서울에 집이 필요하면 서울 그린벨트 풀어서라도
서울에 왕창 지어야지.
진달래 1
2020년 8월 07일 07:09연을날리자 바람아불어라 높새바람 하늘높이, 연아연아 ,바램 그래야 갭이난다 감나무밑 홍시야
Tayo
2021년 4월 13일 00:22이 영상을 조금 일찍봤더라면... 제가 그 기준에서 소외된 맞벌이 부부입니다..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세이지
2020년 8월 01일 17:13https://youtu.be/S4QJhb7k6lA
여의도 조세저항운동
김진수
2020년 10월 28일 23:0310년 전매제한..교통지옥...
31cikedi
2022년 3월 05일 02:25저는 요즘 코로나때문에 직장도 힘들어졌는데 소배 액팅 알고나서 부업으로 용돈법니다 ㅠ ㅎㅎ
KAAN X
2022년 3월 05일 02:25요즘 재테크 하는게 유행인데 찾아보다가 소배 액팅 쳐보고나서 95%수익 내고있어요!
요요요
2020년 8월 08일 00:44깨지신분들 단체로 좌표찍고 몰려왔나 ㅋㅋㅋㅋㅋ
검수완박,언제할건희?
2020년 9월 26일 10:173기신도시, 헌법재판소 간다…
공전협 "토지보상법 위헌 따져보자"
박정희가 제 맘대로 그린벨트,
개발제한구역으로 설정한 후,
수십년간 원주민들은 집도 짓지
못하게 하고, 그냥 농사만 짓게
엄격한 규제를 해왔다..
그러는 동안 그린벨트 밖의 땅은
평당 1,000만~ 2,000만원이
되었는데, 그린벨트 안의 땅은
그 시세의 1/10인 100만~200만원으로
형성되어 있다..
정부는 아파트를 짓는다며
원주민의 땅을 100만~200만에
강제로 뺏아가서 아파트를 지어
수십배로 분양해서 그이익을
정부, LH 공사, 건설사가
모두 다 가져간다..
이게 무슨 날강도같은 짓이야?
군사독재시절도 아니고..
진짜 너무한다.
원주민 농민들은 도대체 무슨
죄를 지었기에 이런 대접을
받아야하지?
민주정부라고 하는 이 정부에서
과거의 국가 깡패짓거리를
어거지로 밀어부치려 하고 있다.
정말 실망이 크다..
부당한 법이라면 좀 바꿔라.
토지보상은 인접한 그린벨트가
아닌 땅의 시세로 보상해줘라..
http://naver.me/FYJqFImh
APOLLO 000
2020년 8월 08일 06:50애들이 안들어가면 할배 할배들 실버타운 만들면 되는 거야 !^0
taekeun oh
2020년 8월 27일 02:05짧은 견해 잘듣고 갑니다
대나무
2020년 8월 03일 21:56그러게말입니다
K.H C
2020년 8월 02일 11:45임대는 공급이 아닙니다. 서울 맬 출퇴근해야하고 벗어난데 살면 맬이 파김치됩니다. 절약해서 어떻게던 서울에 내집장만해 내집서 안정적으로 거주를 하고싶다고요.. 서울 그린벨트 구지 보존가치도없는덴 풀어 공급 좀늘리세요
뿡얌얌얌
2020년 10월 16일 23:20그래서 3기 신도시 하지말라고? 지금 집값이 미쳐서 사람들 엄청 달려들걸.. ㅋ 그리고 분양을 애네만 하냐?
한경미
2021년 4월 27일 06:08사람도 좋아보이고 열심히 해주셔서 특별히 광고 봅니다^^
해상정원
2020년 8월 05일 21:03임대주택, 신혼특공, 소득제한 ...
시장을 읽지 못하고 도덕적 이상적 사회만 꿈꾸네요
Puroyes Gilbert
2020년 8월 02일 23:06소득제한 신혼부부특별공급... 결국 민주당 선호 계층에 집 준다는거네 어느정도 돈 있는 사람들은 지들한테 표 안주거나 집가지면 보수화된다고 보는건가?
KARLI DÜNYA
2022년 3월 05일 02:25어제 소소하게 소배 액팅 쳐보고 들어가서 3만원으로 10만원만 벌고 나왔어요 시간없어서 ㅠ
forest better
2021년 8월 12일 09:06저 건너 아는 사람이 위례 임대를 피주고 들어갔어요. 나중에 난리치고 죽겠다하면 정부에서 비싸게 못판대요. 판교도 그렇고 난리치면 싸게준다고,, 다 그거 알고 들어간 사람들이래요
SSD HDD
2020년 8월 29일 13:22맞는 말인데 뭐 이렇게나 아니라 하는 사람이 많은지.
위치도 창릉 과천 교산 빼면 나쁘고 들어오는것도 다수가 임대주택인데다가(대체 어떤사고를 하면 이런식으로 생각이 가능한건지??)
3040을 위한 그 어떤 유인책도 없으니 ㅋㅋ
신혼특공??->맞벌이 부부 전혀 해당사항 없음
거기에 전매제한+역세권 임대주택까지 ㄷㄷ
이게 생각이란게 있다면 절대 3기 신도시로 들어가지 않아요 그런곳에 들어가면 중산층은 커녕 하층민이 될 판이라
İKİ kafadar
2022년 3월 05일 02:25그냥 아무곳이나 쳐도 소 배 액 팅 주소 알수있어요 ㅎㅎ 워낙에 믿을만한곳이라
UMUT KRK
2022년 3월 05일 02:25나라에서는 해주는것도 없고 자영업자인데 해당도 안되는와중에 소 배 액팅 알고나서 아빠노릇합니다..ㅋ
김미향
2021년 1월 03일 13:24다른 전문가들과 달리 항상 친절하지만 뼈있게 메시지 전달해주셔서 잘 보고 있습니다 :) 구독 누르고 갑니다!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
Kriyos muzik
2022년 3월 05일 02:25주식하기엔 너무 까막눈이라 찾던와중에 저도 소 베 액 팅 추천받아서 쳐봤는데 너무좋네요 ^^
c mk
2020년 10월 09일 21:36정말 정치공무원들은 한심 합니다. 전국민 절반이 수도권에 모이네요. 후대를 위해 50~100년을 내다보는 정책은 고민은 전혀없어요. 제발 서울외 경제 자유지역을 지정하든, 지역발전계획을 수립했으면 합니다.
김Th
2020년 8월 03일 11:30항상 깊이있는 내용을 짧은 시간에 압축해서 제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요즘 유튜브에서 폴크루그먼 교수의 '임대료 상한제' 소개 영상이 많이 회자되고 있습니다. 애널리스트로서 이 자료 분석을 좀 부탁 드립니다. 폴 크루그먼 교수에 대해 평가는 다양하지만, 교수에 대한 평가가 아닌 임대료 상한제에 대한 경제학자로서의 분석, 그리고 홍 애널리스트의 분석 등을 듣고 싶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01SjcYx4g_g&t=596s
Gölbaşılı Berkay GÜLER
2022년 3월 05일 02:25소배 액팅 알고나서부턴 왜 내가 직장다니면서 뼈빠지게 일했을까 생각이 듭니다 일찍시작할껄 ㅠㅋㅋ
이대건
2020년 7월 30일 06:55기본주택의 경우, 공공분양에만 지을 수 있는거죠? 역세권 주변의 민간분양은 해당 사항은 없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M U R A T B E Y *
2022년 3월 05일 02:25주식좀 해볼까하고 찾아보는데 너무어려워서 포기.. 그런와중에 소 베액 팅 은 진짜 혜자 인정;;
승리아빠
2020년 7월 30일 21:16부동산은 정부가 개입한다고 해결되는게 아닌것 같네요
경제강의가 잘듣고 있습니다
متنوعات
2022년 3월 05일 02:25소 배 액팅은 워낙 유명해서 앞전부터 핫했는데 이게 지금 뜨네요 ㅎㅎ
klas men
2022년 3월 05일 02:25펀드니 주식이니 코인이니 다필요없는거같음 어렵기만하고 ㅠ 소 배 액 팅 은 어려운게없음
통통마로
2020년 7월 29일 23:53경제적 효율과 정치적 이념간의 충돌이라고 봅니다.
metin oğurtan
2022년 3월 05일 02:25시간만 있으면 넉넉하게 재테크 할수있는게 소베 액 팅 이죠 ㅇㅈ
hong
2020년 12월 23일 16:07정부에서 일하시는 분들만 모르는 문제점
아이 낳지도 않는 신혼특공 너무많음
이미 아이낳은 50대 무주택은 ... 혜택은 없고 세금은 많고
Roy Bahn
2020년 8월 15일 22:10사람은 원래 자기 보고싶은것 만 보죠
그래서 항상 그모양 그 꼴입니다 ^
Zehredar Music
2022년 3월 05일 02:25요즘 소배 액 팅 이라고 주식,코인보다 좋다고 하던데요?
유영준
2020년 7월 31일 08:17소련 레닌 왈.중산층을 깡그리 부숴서 하층민으로 만들어야 말을 잘듣는다.
대부분 집을 가지면 우파성향이 된다죠.
임대는 부동산수요가 아니죠.
ÇINAR MEDYA
2022년 3월 05일 02:25아아 그거 저도 알아요 소 배 액 팅 ㅎㅎ 어려운것도 없고 간단한 지식만으로 할수있다던데
박쥰
2020년 7월 29일 20:29굿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