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마키아벨리 - 욕망이 있는 사람 (어떻게든 한자리 하려는 사람) - 자신의 루틴을 만들고 지켜나갔다 - 누군가 알아줬냐? 놉. 자신만 알았다 - 자신의 내적성장
2. 프란츠 카프카 - 회계사였다 - 3시 퇴근 후 글을 계속 썼다
3. 하고싶은 일vs 잘하는 일 - 10년 20년 하고 싶으면 잘하는 일을 해야한다 - 잘하는 일을 하면서 거기서 돈을 벌고 자신만의 루틴을 사용해서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것 - 경제적 문제가 있으면 좋은 선택을 할 수 없다 - 좋아하는 일을 못하는 것을 불행이라고 행각하지 말자
4. 알베르 카뮈 - 항상 자기의 책쓰는 시간을 꾸준하게 지켰다 - 그리고 자원봉사도 같이 했다 - 영웅적으로 , 히어로처럼 하는 사람들도 좋지만 자신의 일에서 꾸준하게 책임지고 해내는 사람도 중요하다
5. 책쓰기 강의가 많아지는 요즘 - 쓰고나서 투고하는것도 좋지만 계속해서 블로그에 올려라 -편집하는 분들이 오히려 블로그 탐색을 더 많이하신다 - 다른사람들에게 보여주는 것을 두려워하지마라. 어차피 보여줘야할거고 댓글로 상처받을 것을 너무 두려워하지 마라 - 보여주는 식으로 할때 확률이 높아진다 - 팬덤을 높여라
00:02군주론을 쓴 마키아벨리는 문지기를 하던 하급 관리다 01:28고고한 학자도 아니고 군주에게 잘 보이려는 사람이었다 01:54자신의 간쓸개 다 빼주고 욕망을 채우려는 사람이었다 02:49처절한 희망고문 속에서 살아가자 자신의 자존감을 증진 을 위해 했던 의식이 독서였고 그는 결국 대작가가 된다 04:05그가 정말 대단한 건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데도 자기만의 의식을 통해 끝까지 자존감을 지켜 냈다는 것이다
04:24카프카도 회계사였는데 일을 잘했다 그 사람도 일이 끝나면 목욕을 하고 책을 집필하여 변신.시골의사를 쓴다
04:50하고 싶은 일과 잘하는 일이 고민될 때는 잘하는 걸 선택 하는 게 맞다 고민이 된다는 건 하고 싶은 일을 못 한다는 것이기 때문에 결국 1~2년 하다 돈이 떨어져 못 한다 05:08진짜 하고 싶은 일을 오래 하려면 잘하는 일로 돈을 벌어 내가 평생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면 된다 05:13그러나 대부분의 사람을 그런 과정을 불행하다고 여긴다 이건 희생이 아니라 상당히 의미 있게 일하는 방법이다 05:48경제적 압박은 창의적 선택을 가로막는 최대의 적이다
06:26페스트를 쓴 알베르 카뭐도 자신을 위한 시간 확보를 하여 꾸준히 썼기 때문에 좋은 창작물을 만들 수 있었다 07:38화려한 주인공이 존재하는 건 그 뒤에서 묵묵히 일하는 사람들이 있었기 때문이고 진짜 주인공은 그들이라는 07:57말을 했지만 그의 현실은 소설의 첫 줄을 쓰는 데만 몇 년이나 걸린 사람이다 그가 진짜 대단한 건 몇 년을 첫줄도 못 썼는데 똑같이 몇 년을 그렇게 초집중했다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그는 그 누구보다 자신이 살아갈 수 만 있다면 대작을 쓸 수 있다는 믿음이 있었던 사람이다
08:56이 같은 사람들이 결국 대작가가 될 수 있었던 건 내가 원하는 일을 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잘하는 일을 선택한 것과 자기만의 의식으로 집중했다는 것이다 09:23이런 방식으로 성공하려면 꾸준히 잘하는 일을 하며 하고 싶은 일을 다른 사람들에게 공유하는 게 중요하다 10:57진짜 가치 있는 건 내가 원하는 일을 했다가 아니라 나랑 뜻이 맞는 사람들을 알아냈다는 데 있을 것이다 11:02그런 분들은 책을 낼 때도 분명 사주고 홍보도 해준다
11:17혹시 악플이 걱정해 글을 못 쓰겠다면 그 악플러들을 떠올려봐라 그 사람들 하루도 안 지나 자신이 무슨 말을 했는지도 기억 못 할 사람들이다 전혀 신경 쓸 필요 없는 사람들이라는 말이다 앞서 말한 위인들처럼 꾸준한 11:36시도를 유지할 수만 있다면 창발의 힘은 거대해져 결국 그 누구도 막을 수 없는 거대한 파도가 일어날 것이다 11:43실질적으로도 팬이 있는 작가와 팬이 없는 작가의 차이는 크니 꼭 다양한 공간에 공유해보길 바란다
잘하는일과 하고싶은 일을 구분하자!경제적으로나 환경적으로 어렵다면 잘하는일로 돈을 벌고 하고싶은 일은 하루일과의 루틴으로 설정해서 조금씩 해보자 그리고 정말 하고싶은 일이라면 그 일을 알바로 뛰면서 어느정도 경험해보고 시작해도 늦지않는다.새로운 일을 하고 싶은 저에게 오늘 확실하게 와닿는 말씀 감사합니다.
집중력트레이너 FocusTrainer 12
2020년 7월 29일 19:30[하고싶은 일vs잘하는 일]
1. 마키아벨리
- 욕망이 있는 사람 (어떻게든 한자리 하려는 사람)
- 자신의 루틴을 만들고 지켜나갔다
- 누군가 알아줬냐? 놉. 자신만 알았다
- 자신의 내적성장
2. 프란츠 카프카
- 회계사였다
- 3시 퇴근 후 글을 계속 썼다
3. 하고싶은 일vs 잘하는 일
- 10년 20년 하고 싶으면 잘하는 일을 해야한다
- 잘하는 일을 하면서 거기서 돈을 벌고 자신만의 루틴을 사용해서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것
- 경제적 문제가 있으면 좋은 선택을 할 수 없다
- 좋아하는 일을 못하는 것을 불행이라고 행각하지 말자
4. 알베르 카뮈
- 항상 자기의 책쓰는 시간을 꾸준하게 지켰다
- 그리고 자원봉사도 같이 했다
- 영웅적으로 , 히어로처럼 하는 사람들도 좋지만 자신의 일에서 꾸준하게 책임지고 해내는 사람도 중요하다
5. 책쓰기 강의가 많아지는 요즘
- 쓰고나서 투고하는것도 좋지만 계속해서 블로그에 올려라
-편집하는 분들이 오히려 블로그 탐색을 더 많이하신다
- 다른사람들에게 보여주는 것을 두려워하지마라. 어차피 보여줘야할거고 댓글로 상처받을 것을 너무 두려워하지 마라
- 보여주는 식으로 할때 확률이 높아진다
- 팬덤을 높여라
결론: 자기가 좋아하는 것은 꾸준히 이어나가자
위대한 인사이트 11
2020년 7월 29일 18:26지식 편의점 3부.작가가 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세 가지 서사
00:02군주론을 쓴 마키아벨리는 문지기를 하던 하급 관리다
01:28고고한 학자도 아니고 군주에게 잘 보이려는 사람이었다
01:54자신의 간쓸개 다 빼주고 욕망을 채우려는 사람이었다
02:49처절한 희망고문 속에서 살아가자 자신의 자존감을 증진
을 위해 했던 의식이 독서였고 그는 결국 대작가가 된다
04:05그가 정말 대단한 건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데도 자기만의
의식을 통해 끝까지 자존감을 지켜 냈다는 것이다
04:24카프카도 회계사였는데 일을 잘했다 그 사람도 일이
끝나면 목욕을 하고 책을 집필하여 변신.시골의사를 쓴다
04:50하고 싶은 일과 잘하는 일이 고민될 때는 잘하는 걸 선택
하는 게 맞다 고민이 된다는 건 하고 싶은 일을 못 한다는
것이기 때문에 결국 1~2년 하다 돈이 떨어져 못 한다
05:08진짜 하고 싶은 일을 오래 하려면 잘하는 일로 돈을 벌어
내가 평생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면 된다
05:13그러나 대부분의 사람을 그런 과정을 불행하다고 여긴다
이건 희생이 아니라 상당히 의미 있게 일하는 방법이다
05:48경제적 압박은 창의적 선택을 가로막는 최대의 적이다
06:26페스트를 쓴 알베르 카뭐도 자신을 위한 시간 확보를
하여 꾸준히 썼기 때문에 좋은 창작물을 만들 수 있었다
07:38화려한 주인공이 존재하는 건 그 뒤에서 묵묵히 일하는
사람들이 있었기 때문이고 진짜 주인공은 그들이라는
07:57말을 했지만 그의 현실은 소설의 첫 줄을 쓰는 데만
몇 년이나 걸린 사람이다 그가 진짜 대단한 건 몇 년을
첫줄도 못 썼는데 똑같이 몇 년을 그렇게 초집중했다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그는 그 누구보다 자신이 살아갈 수
만 있다면 대작을 쓸 수 있다는 믿음이 있었던 사람이다
08:56이 같은 사람들이 결국 대작가가 될 수 있었던 건 내가
원하는 일을 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잘하는
일을 선택한 것과 자기만의 의식으로 집중했다는 것이다
09:23이런 방식으로 성공하려면 꾸준히 잘하는 일을 하며
하고 싶은 일을 다른 사람들에게 공유하는 게 중요하다
10:57진짜 가치 있는 건 내가 원하는 일을 했다가 아니라
나랑 뜻이 맞는 사람들을 알아냈다는 데 있을 것이다
11:02그런 분들은 책을 낼 때도 분명 사주고 홍보도 해준다
11:17혹시 악플이 걱정해 글을 못 쓰겠다면 그 악플러들을
떠올려봐라 그 사람들 하루도 안 지나 자신이 무슨 말을
했는지도 기억 못 할 사람들이다 전혀 신경 쓸 필요 없는
사람들이라는 말이다 앞서 말한 위인들처럼 꾸준한
11:36시도를 유지할 수만 있다면 창발의 힘은 거대해져 결국
그 누구도 막을 수 없는 거대한 파도가 일어날 것이다
11:43실질적으로도 팬이 있는 작가와 팬이 없는 작가의
차이는 크니 꼭 다양한 공간에 공유해보길 바란다
마음비타민 The Mind Vitamin 6
2020년 7월 29일 17:22자기 성찰이 중요한 이유는, 그 성찰이 실수를 방지하기 때문이 아니다. 자기 성찰은 실수에서 배울수 있는 지혜와 관점을 준다.
편자남(편의점에서 자기개발하는 남자) 2
2020년 7월 30일 08:02잘하는일과 하고싶은 일을 구분하자!경제적으로나 환경적으로 어렵다면 잘하는일로 돈을 벌고 하고싶은 일은 하루일과의 루틴으로 설정해서 조금씩 해보자 그리고 정말 하고싶은 일이라면 그 일을 알바로 뛰면서 어느정도 경험해보고 시작해도 늦지않는다.새로운 일을 하고 싶은 저에게 오늘 확실하게 와닿는 말씀 감사합니다.
스터디언 2
2020년 7월 29일 17:02🎤이시한 저자의 책터뷰 영상 더 보기
📕책 제목: <지식 편의점>
1부: 단 한 권으로 쌓는 18편의 교양
▶https://youtu.be/-pVWo4NNC0k
2부: 불경기 이직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 매뉴얼
▶https://youtu.be/1YvNvMIIMwk
김정심 1
2020년 7월 29일 21:41저 박사과정이 수료라는거 맞나요????ㅋ ㅋ 좋은 애기 하시는데 죄송해요 제가 알기론 수료는 그과정을 졸업한게 아니라고 하던데~~
원시인나라 1
2020년 8월 06일 11:49자신윽 루틴을 만드는것
독서로 다져지는 루틴.
이상적인건 아니어도 독서로 마키아벨리 성공한거네요.좋은 말씀 고맙습니다 ♡
저도 저만의 멋진 루틴을 활용해 좀더 발전하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