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역학은 왜 어려울까요?* 빛의 속도 논쟁에서 상대성이론,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그리고 2022 노벨상 수상으로 확인된 '양자 ......
전체 보러가기 유튜브 공감 댓글 보기
과학은 잘 모르지만 예전 어떤 다큐에서 AI가 결국은 지동설을 알아냈을거라 하던데...그때까지 추척된 자료로 지구궤도나 별들의 움직임으로 예측했을거라고 말한 다큐를 본적이 있습니다. 누구말이 맞는건지...참고로 과알못입니다. ^^;;
ai가 뭔지 모르는 사람이네..
Ai가 실체가 있는 몸을 가지는 순간 스스로 정보를 얻는 순간 당연히 알 수 있으리라 봅니다
아직도 😅😅
기존 데이터가 잘못됐다는걸 밝히지 않았을까요?
엥
AI가 데이터 속에서 설명되지 않는 패턴(행성의 역행 운동, 밝기 변화, 금성의 위상, 별의 변광·신성 출현 등)들을 더 빨리 캐치, 생각의 전환이 더 앞당겨졌을 것 같습니다.
AI는 인간하고 달라요. 그래서 무서운 겁니다. 인간은 선입견에서 못벗어나죠. 인공지능이 지금은 데이터 기반이지만 사고기반이 되면 선입견이 없는 지능이 됩니다. 그게 무서운 거에요.
꾸준히 성장하고 싶으신가요? 평소 좋아하는 크리에이터분들이 있으신가요? 지금 바로 회원가입을 하시고, 크리에이터들을 구독해주세요! 동기부여가 될 다양한 글들과 상품을 추천해드려요!
@바람처럼-p6c 2
2025년 10월 17일 18:10과학은 잘 모르지만 예전 어떤 다큐에서 AI가 결국은 지동설을 알아냈을거라 하던데...그때까지 추척된 자료로 지구궤도나 별들의 움직임으로 예측했을거라고 말한 다큐를 본적이 있습니다. 누구말이 맞는건지...참고로 과알못입니다. ^^;;
@Kcgwbiy286bvdh62 1
2025년 10월 17일 21:26ai가 뭔지 모르는 사람이네..
@김도훈-l2p 1
2025년 10월 17일 18:22Ai가 실체가 있는 몸을 가지는 순간
스스로 정보를 얻는 순간 당연히 알 수 있으리라 봅니다
@발라카스-w8w
2025년 10월 18일 00:18아직도 😅😅
@리오-h9p
2025년 10월 17일 22:54기존 데이터가 잘못됐다는걸 밝히지 않았을까요?
@newjeanmyon
2025년 10월 17일 19:44엥
@루야-s4n
2025년 10월 17일 23:36AI가 데이터 속에서 설명되지 않는 패턴(행성의 역행 운동, 밝기 변화, 금성의 위상, 별의 변광·신성 출현 등)들을 더 빨리 캐치, 생각의 전환이 더 앞당겨졌을 것 같습니다.
@CharlesB0609
2025년 10월 18일 00:34AI는 인간하고 달라요. 그래서 무서운 겁니다. 인간은 선입견에서 못벗어나죠. 인공지능이 지금은 데이터 기반이지만 사고기반이 되면 선입견이 없는 지능이 됩니다. 그게 무서운 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