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으로 몸을 휘감아도 명품집은 커녕 자기집 하나 제대로 소유하지 못한 가짜명품녀 가짜명품남..이런 존재가 얼마나 껍데기 없는 버블인지를 대중들이 깨닫게 된 거죠...대중들이 경험을 통해 체득하며 습득한 보편적 학습의 결과가 사회적 현상으로 나타난 겁니다... 일본을 싫어하면서 일본을 따라가는... 우매함에 우리 스스로를 격하시키지 맙시다...본능을 따르는 것이 인간이지만..본능을 거스를 수 있는 학습이나 자아성찰을 할 수 있는 것도 인간입니다..문화란 코드로 자연스렇게 귀결된 결과라 규정짓지말고 의식적으로라도 편협한 반일, 반중, 반동남아 등등의 사고에서 벗어납시다
@sandgold2288 6
2025년 10월 19일 14:59명품 단어 자체가 아이러니. 희소성없는 공장 제품이 무슨 명품. 그냥 마케팅의 산물이고 무거운 상품
@진형김-b5t 6
2025년 10월 19일 13:58이젠 보여주기식 소비가 아닌
합리적인 소비로 변했다는거
더많은 해외여행과 더많은 새로운 경험에 소비가 집중되는 시대
과시욕의 무의미를 아는 소비자들
@전해원-x4y 3
2025년 10월 19일 14:25물질(소유)->경험(여행)으로 바뀌었지만 핵심은,본질은,목적은 "과시"라는거.. "사치"라는거..
@정요한-i8q 3
2025년 10월 19일 13:161등
@완두콩y-5 3
2025년 10월 19일 14:18구찌는 이미지 나락으로 매출 쪼그라들었구요, 세계적으로는 명품매출 늘었답니다 우리나라에 생겨난 현상이고 어쩌면 세계도 한국따라 갈수도 있죠
@Kim-fv5bn 2
2025년 10월 19일 14:51명품으로 몸을 휘감아도 명품집은 커녕 자기집 하나 제대로 소유하지 못한 가짜명품녀 가짜명품남..이런 존재가
얼마나 껍데기 없는 버블인지를 대중들이 깨닫게 된 거죠...대중들이 경험을 통해 체득하며 습득한 보편적 학습의 결과가 사회적 현상으로 나타난 겁니다...
일본을 싫어하면서 일본을 따라가는... 우매함에 우리 스스로를 격하시키지 맙시다...본능을 따르는 것이 인간이지만..본능을 거스를 수 있는 학습이나 자아성찰을 할 수 있는 것도 인간입니다..문화란 코드로 자연스렇게 귀결된 결과라 규정짓지말고 의식적으로라도 편협한 반일, 반중, 반동남아 등등의 사고에서 벗어납시다
@lucky_tv 1
2025년 10월 19일 13:43📌 김용섭 소장 『머니 트렌드 2026』 도서 구매
👉 https://m.site.naver.com/1PBY7
📚 김작가 단독 저서 『럭키』 도서 구매
👉 https://bit.ly/3mnVYDq
@미미르-o2d 1
2025년 10월 19일 15:30난 내 분수에 맞게 노후를 위헤 돈을 지켜야 겠군........
@cchocopie 1
2025년 10월 19일 17:54일본이 걸어온 길이랑 110% 개똑같네
일본을 미친둣이 베끼고 따라하다보니
일본의 산업화 부작용 까지도 미친듯이 개똑같이 가는구나
이러다보면 10~20년 후에는 달관자 비율도 일본과 똑같아 질 듯
좀 어느 한 부분이라도 따라하지 않으면 안 될까
@nkking1928 1
2025년 10월 19일 17:45해외에 나가서 밥쳐먹고 좋은 숙소에서 자는걸 제발 경험이라고 하지마..
@황금멸치 1
2025년 10월 19일 14:40과시요?
이상 하네요. 요즘은 ai로 조작 과시 다
할 줄아는데. 과시가 의미가 있을까요?
자기만족이라면 모를까
@신나게파이팅 1
2025년 10월 19일 13:402등^^
@user_usual
2025년 10월 19일 16:45자유
@sonjachung6630
2025년 10월 19일 13:423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