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부산 살기에 ----- 두달전에 처음으로 서울 올라가서 ' 국립중앙박물관 ' 에 월요일에 오전 일찍 들렸었어요 일찍 갔더니 적당한 줄로 이루어진 대기자들이 있더군요 ( 그리 많지는 않았지요 , 월요일 오전 관람시간 전 이었으니까요 ) 그런데 다들 가방 검사 쪽에 줄을 서고 대기를 하더군요 - 외국인들이 대부분 이었어요 나는 눈치것 그냥 옆 입구로 사람은 지나가지만 대기자 없는곳으로 걸어서 들어 가려고 했는데 , 진짜 그기는 가방 없는 사람은 그냥 지나가면 되더라고요 ㅋㅋ 그리고 태어나 처음으로 국중박 구경 시작 했습니다 우아 너무 대단 하더라고요 나는 처음부터 ' 사유의방 ' 이름이 주는 의미부터 남다르다는것을 알기에 직진해서 그 방부터 들렸지요 사유의 방 안에 모셔져 있는 두개의 부처상을 세바퀴 돌아 보면서 천천히 보았습니다 - 진짜 신비롭더라고요 , 알듯 모를듯 그리고 다시 처음으로 시작 지점으로 가서 봐야할 첫 방들부터 천천히 보았습니다 정말 칭찬을 수백번 해도 아쉬워 질것 같았어요 우리나라 ' 국립중앙박물관 ' 을 ---- 진짜 프랑스가 세계 곳곳에 군대를 보네서 힘으로 뺏어 오고 침략으로 가져와서 모아두고 자랑질 하는 " 루브르 박물관 " 과 비교 해보려고 생각하는 내가 어이 없었습니다 루브르 박물관과는 상징부터 내용물들까지 완전히 달랐어요 ( 루브르야 인터넷으로 보았지만요 ) 우리나라 ' 국중박 ' 은 진짜 박물관이라고 부를 내용이고 대단 했어요 - 정말 세계적으로 왜 유명해야 하는지를 제대로 체감 했어요
국중박? '중앙박물관'이나 '국립박물관' 같은 좋은 표현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누가 '국중박'이라고 하면 해석하기도 어렵고 영어 표기나 해석에도 혼란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방송국 기자들도 '국중박' 같은 촌스러운 줄임말 대신, 꼭 '중앙박물관'이나 '국립박물관' 같은 정식 명칭을 쓰는 게 좋습니다. 두 글자 붙이는 것이 그리 힘드나?
국민세금로 만든 박물관.. 저거 만드는데 부산사는 우리식구가 낸 세금도 쓰였을터, 평생 한두번 가보기도 힘들다. 지방에서 보러온 내국인은 1000원,수도권 시민 3,000원, 서울 시민 5,000원, 미취학 아동 및 65세 이상 무료, 외쿡인 10,000원... 합리적이지 않나? 굿즈파는 상점은 증설해서 따로 관리.. 입장료 없이 누구나 사갈수 있게..거기는 팔아서 남기는 걸로..
주요 박물관 외국인 비중 ㅡ루브르 박물관 외국인 비중 70프로. 대영박물관 63프로 뉴욕 박물관 60프로 . 대만의 고궁박물관 비공식적으로 60프로 이상. 국중박 4.9프로.공짜입장에 일시적 바이럴로 내국인이 붐비는걸로 빨다니.. 여기도 국뽕 코인 맛 보고 정신을 못차리네. .객관적이고 냉정한 분석으로 시사전달하는 좋은 체널이였다고 생각했는데..그냥 삭제 차단..잘먹고 잘사세요. 장기적으로 독이든 성배를 마신거 알죠?
@K혀니-u6n 28
2025년 10월 22일 19:34입장료 받아라.
@Majong-u8i 24
2025년 10월 22일 20:13입장료는 내국인 무료, 외국인 유료.
우리가 외쿡 박물관에서 낸 돈이 얼만데....
@jocodr670 22
2025년 10월 22일 19:43해외 유명 박물관 중에 우리 처럼 무료인 곳은 없는 걸로 아는데...
아마...그들 정도로 유료화 한다면 관람객수 많이 줄어들겠죠.
관람객 수로 순위 정하는 건 그래서 별 의미 없다 생각합니다.
중요한 건 유물들의 역사적, 예술적 가치와 희소성 아닌지...
@newunclelife 13
2025년 10월 22일 20:17맨날 세수 부족하다고 난리인데 이렇게 잘나가면 그걸로 세수 충당좀 해 제발~ 세상에 공짜가 어딨어? 다 국민 세금인데~ 혜택은 왜 외국인들이 봐? 어느 선진국이 공짜냐?
@soonwook5307 8
2025년 10월 22일 20:27그렇지 대영박물관, 루브르박물관등은 자기 조상들이 약탈자라는 것을 전시하는 것이지 보바들의 전시회
@garvin9505 8
2025년 10월 22일 21:08난 부산 살기에 ----- 두달전에 처음으로 서울 올라가서 ' 국립중앙박물관 ' 에 월요일에 오전 일찍 들렸었어요
일찍 갔더니 적당한 줄로 이루어진 대기자들이 있더군요 ( 그리 많지는 않았지요 , 월요일 오전 관람시간 전 이었으니까요 )
그런데 다들 가방 검사 쪽에 줄을 서고 대기를 하더군요 - 외국인들이 대부분 이었어요
나는 눈치것 그냥 옆 입구로 사람은 지나가지만 대기자 없는곳으로 걸어서 들어 가려고 했는데 , 진짜 그기는 가방 없는 사람은 그냥 지나가면 되더라고요 ㅋㅋ
그리고 태어나 처음으로 국중박 구경 시작 했습니다
우아 너무 대단 하더라고요
나는 처음부터 ' 사유의방 ' 이름이 주는 의미부터 남다르다는것을 알기에 직진해서 그 방부터 들렸지요
사유의 방 안에 모셔져 있는 두개의 부처상을 세바퀴 돌아 보면서 천천히 보았습니다 - 진짜 신비롭더라고요 , 알듯 모를듯
그리고 다시 처음으로 시작 지점으로 가서 봐야할 첫 방들부터 천천히 보았습니다
정말 칭찬을 수백번 해도 아쉬워 질것 같았어요
우리나라 ' 국립중앙박물관 ' 을 ---- 진짜 프랑스가 세계 곳곳에 군대를 보네서 힘으로 뺏어 오고 침략으로 가져와서 모아두고 자랑질 하는 " 루브르 박물관 " 과 비교 해보려고 생각하는 내가 어이 없었습니다
루브르 박물관과는 상징부터 내용물들까지 완전히 달랐어요 ( 루브르야 인터넷으로 보았지만요 )
우리나라 ' 국중박 ' 은 진짜 박물관이라고 부를 내용이고 대단 했어요 - 정말 세계적으로 왜 유명해야 하는지를 제대로 체감 했어요
@jaybaek971 6
2025년 10월 22일 19:08돈 안받잖아!!
@roberthong1871 6
2025년 10월 22일 20:29원래 모든 서비스는 손님 끌어올 때는 무료이다가 서서히 유로로 바뀌는거 아닌가요 ㅎ
@HARMANGGU 4
2025년 10월 22일 19:35굿즈 사러가는 거임
@quasarjeong 3
2025년 10월 22일 19:16국중박 외국인 방문객 별로 없다고 오늘 통계 뉴스 나왔다....국뽕이 좀 넘치는 곳...
@47durn 2
2025년 10월 22일 21:56국중박? '중앙박물관'이나 '국립박물관' 같은 좋은 표현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누가 '국중박'이라고 하면 해석하기도 어렵고 영어 표기나 해석에도 혼란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방송국 기자들도 '국중박' 같은 촌스러운 줄임말 대신, 꼭 '중앙박물관'이나 '국립박물관' 같은 정식 명칭을 쓰는 게 좋습니다. 두 글자 붙이는 것이 그리 힘드나?
@kbchoi9343 2
2025년 10월 22일 21:44국민세금로 만든 박물관.. 저거 만드는데 부산사는 우리식구가 낸 세금도 쓰였을터, 평생 한두번 가보기도 힘들다. 지방에서 보러온 내국인은 1000원,수도권 시민 3,000원, 서울 시민 5,000원, 미취학 아동 및 65세 이상 무료, 외쿡인 10,000원... 합리적이지 않나? 굿즈파는 상점은 증설해서 따로 관리.. 입장료 없이 누구나 사갈수 있게..거기는 팔아서 남기는 걸로..
@simonj9650 1
2025년 10월 22일 19:44저저번주에 다녀왔는데 그정도 까지는 아니던데
@뮤스타일 1
2025년 10월 22일 20:27유료해라
@chongkumsun9185 1
2025년 10월 22일 21:51흥해라 대한민국 🇰🇷 👉 👍 😊
@김수너럽 1
2025년 10월 22일 22:05나는 영국 대영박물관 들어서며 이집트에서 뺏고 약탈한 어마어마한 유물들에 말할수 없는 혐오감 들고 마음이 무거웠다. 우리 국립중앙박물관이 고맙고 자랑스럽다!!
@user-py6dl7ec3y 1
2025년 10월 22일 19:50근데 한가지 굉장히 큰 문제 좀 얘기 안했어 입장료가 없다는 게 굉장 큰거 아닌가 나는 이제 약간의 소액이라도 입장료를 받아야 된다고 생각해 그런다음 관광객 수가 이대로 유지가 된다면 진짜인 거고 지금은 솔직히 무료라는 게 굉장히 큰 메리트인 것 같아
@christineyune3758 1
2025년 10월 22일 21:23입장료 받아라 외국인들 한정이라도 . 뭔 쓸데없이 자꾸만 방문객 기록 업적만 세울려고 하고 .
@mystartreeful 1
2025년 10월 22일 20:43유료화
@wondaecha9168
2025년 10월 22일 20:49자막 수정 필요합니다...
궁중박 -> 국중박
@Remi79
2025년 10월 22일 20:38입장료를 받지 말고 주차비를 입장료로 대체해라. 🇺🇸 케티박물관 같이... 오래전 7달러였었는데 지금은 얼마지? 20달러?
@treepine7042
2025년 10월 22일 22:13내국인이 90% ㅋㅋ..퍽도 자랑이다.그것도 무룣 루블 .대영은 유료에 내국인 30%.
@Dona_Eis_Requiem
2025년 10월 22일 20:31도난사태로 현재 루브르가 가장 핫합니다.
@dhssw
2025년 10월 22일 22:13세금으로 문화재 유지보수 하지말고 입장료 받아서 그걸로 충당 좀 해라
@linegang09
2025년 10월 22일 22:06나는 독일 살면서 참으로 여러곳을 방문하고, 또 무슨 박물관 등등등을 많이 가보았다.
가끔은 좋은곳도 있었지만,,
대개는 그저 고리타분하고 그저 그런게 대부분 이었다.
거기에우리 국립중앙박물관도 예외는 아니었다.
그냥 그랬다.
아니 솔직히 말을 하자면
외국인들을 데리고 가지만,,
그거 성명도 힘들고,,
아이고 그게 먼지,,
@seongirum
2025년 10월 22일 22:10중공인은 3만원 받아서 장벽을 높여주길.
@jjkim2874
2025년 10월 22일 20:33주요 박물관 외국인 비중 ㅡ루브르 박물관 외국인 비중 70프로. 대영박물관 63프로 뉴욕 박물관 60프로 . 대만의 고궁박물관 비공식적으로 60프로 이상. 국중박 4.9프로.공짜입장에 일시적 바이럴로 내국인이 붐비는걸로 빨다니.. 여기도 국뽕 코인 맛 보고 정신을 못차리네. .객관적이고 냉정한 분석으로 시사전달하는 좋은 체널이였다고 생각했는데..그냥 삭제 차단..잘먹고 잘사세요. 장기적으로 독이든 성배를 마신거 알죠?
@skyy1368
2025년 10월 22일 21:33국립중앙박물관은 고려역사 고대사를 정확히표기해라
@윤두창참수
2025년 10월 22일 20:32프놈펨코 캄대남은
입장불가
@실성사이다-r9p
2025년 10월 22일 19:58다 부질 없다 조만간 중공 식민지 될건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