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불평등이 줄어들었다고 해도 이전 소득에 의한 일시적인 흐름같은데 지속될 수 있는지 잘 모르겠네요.. 거기다 자산 불평등이 심화되고 소득 불평등만 줄어들게 되면 새로운 계급사회가 도래하는 것인데 한국이 몇몇 자산가(지주)에 이해관계에만 복무하는 체계가 될까봐 걱정이네요.
또한 제 편견일 수도 있지만 노동자(자영업자든, 근로자든)의 임금이 높아진다 해도 지주(주로 건물주)의 지대 추구 행위(rent-seeking)행위로 이어져서 노동자의 실질 소비 소득에도 도움이 안 되고 기업(주로 중소기업)은 높아진 임금으로 인해 수익성이 떨어져 외국인을 고용하고, 국내인들은 결혼을 포기하는 악순환의 가능성이 충분히 있으니까요.. 맬서스의 우려가 변형된 채로 한국에 적용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듭니다. 여튼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글세요.. 집값이 정상이 아닌데 저건 다 거품이란 소리구요 우리나라 자산 구성에 78프로가 부동산에 집중되어있는 만큼 이번 내환위기에 얼마나 많은 부동산이 헐값이 되어 사람들 고통에 빠질지는.. 평균 4억 3천이 가구 평균 자산인데 부동산 가격 하락시... 평균 3억 아래로 가겠네요.. 내수 IMF ,이르면 2023년정도 초고령화 시작, 저성장 시대 부동산은 이미 끝난거고 3만불 인데.. 집값이 10억.20억은 그냥 호가일뿐이죠 2025년 정도에 평균 자산이 궁금하네요
2030의 부채가 늘 수밖에 없습니다. 2030세대도 부동산에 대한 학습이 된 것 같습니다. 그러니 배팅에 나설 수 밖에 없습니다. 이번 부동산 정책은 부익부 빈익빈은 더욱 심화될 것이고, 계층간 자산 소득 격차도 어마어마 해 질 것이라 예상합니다. 이젠 강남에 태어났다는 것이 스펙이 되는 세상이 된 것 같아 씁쓸합니다.
@예비리치 2
2019년 12월 23일 22:21팬미팅 한번해주세요ㅜㅜㅠ
@tiankong.chinese 1
2019년 12월 24일 07:51빈부격차가 커지고 있군요ㅠ
@Mark-vl8nz 1
2019년 12월 24일 08:22믿고보는 홍박사님
@도시탈출-g3g
2019년 12월 23일 13:34밀레니얼 이코노미 짱!
허재원
2019년 12월 28일 15:00소득 불평등이 줄어들었다고 해도 이전 소득에 의한 일시적인 흐름같은데 지속될 수 있는지 잘 모르겠네요.. 거기다 자산 불평등이 심화되고 소득 불평등만 줄어들게 되면 새로운 계급사회가 도래하는 것인데 한국이 몇몇 자산가(지주)에 이해관계에만 복무하는 체계가 될까봐 걱정이네요.
또한 제 편견일 수도 있지만 노동자(자영업자든, 근로자든)의 임금이 높아진다 해도 지주(주로 건물주)의 지대 추구 행위(rent-seeking)행위로 이어져서 노동자의 실질 소비 소득에도 도움이 안 되고 기업(주로 중소기업)은 높아진 임금으로 인해 수익성이 떨어져 외국인을 고용하고, 국내인들은 결혼을 포기하는 악순환의 가능성이 충분히 있으니까요.. 맬서스의 우려가 변형된 채로 한국에 적용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듭니다. 여튼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davidjjin6239
2019년 12월 25일 00:04홍춘욱 박사님의 표와 그래프는 참 명쾌합니다.
@생각에답하다
2019년 12월 23일 12:43평소 보기 어려웠던 보고서를 쉽게 설명해 주셔서 쏙쏙 이해가 되었습니다. 다음 영상도 기대되요.🤩
@이상희인류진화
2019년 12월 24일 01:2820-30대 부채가 걱정스럽습니다. 여기에 학자금 부채도 한 몫하나 싶고요ㅠㅠ 영상 잘 봤습니다. 설명 참 잘해주셔서 쏙쏙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통통마로
2019년 12월 24일 20:06홍춘욱 박사님, 앞에 뭔가 허전하니까 책상이라도 하나 놓고 방송 하시는게 어떨까요?
@suyoung8411
2019년 12월 24일 08:08썸네일이 모두 재밌게 바뀌었네요 ^^ 성탄절 이브 즐겁게 보내세요 박사님 ~~
@강민준-c9j
2020년 10월 03일 23:05글세요.. 집값이 정상이 아닌데 저건 다 거품이란 소리구요
우리나라 자산 구성에 78프로가 부동산에 집중되어있는 만큼
이번 내환위기에 얼마나 많은 부동산이 헐값이 되어 사람들 고통에 빠질지는..
평균 4억 3천이 가구 평균 자산인데 부동산 가격 하락시...
평균 3억 아래로 가겠네요..
내수 IMF ,이르면 2023년정도 초고령화 시작, 저성장 시대
부동산은 이미 끝난거고 3만불 인데.. 집값이 10억.20억은 그냥 호가일뿐이죠
2025년 정도에 평균 자산이 궁금하네요
sohyun Park
2019년 12월 23일 13:47좋은 정보를 쉽게 잘 설명해주셔서 도움이 많이 됩니다~!
@davidjjin6239
2019년 12월 25일 00:082030의 부채가 늘 수밖에 없습니다. 2030세대도 부동산에 대한 학습이 된 것 같습니다. 그러니 배팅에 나설 수 밖에 없습니다. 이번 부동산 정책은 부익부 빈익빈은 더욱 심화될 것이고, 계층간 자산 소득 격차도 어마어마 해 질 것이라 예상합니다. 이젠 강남에 태어났다는 것이 스펙이 되는 세상이 된 것 같아 씁쓸합니다.
@planin6283
2020년 6월 27일 12:56박사님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예삐아빠-n3l
2019년 12월 23일 12:18덕분에 모르던 좋은 지표를 알게되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