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떤 투자든 더 어릴때 시작하자. 1971년 금본위제 폐지후로부터 현금은 "fake," 즉 가짜라고 한다. 금, 은의 가치가 올라가는 것보다는 달러의 가치가 떨어져 아무투자도 안 하고 적금하는 것은 어리섞다는 것이다. (오늘의 1억과 10년후의 1억이 같을까?)
2. 부동산 투자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것이다, 허나 사람들은 cash flow, 즉 수입, 지출, 자산, 그리고 채무에 따른 돈의 흐름을 생각 안 하며 투자해 문제가 된다. (로버트 기요사키 참고) 내가 빚을 져서 집을 사도 그 곳에 산다면 결국 나는 빚을 갚는 사람인 것이고, 다른 입주민이 살고 있다면 그 사람이 대신 빚을 갚아주는 것이다. (부자들은 빚으로 부를 더 만든다.)
3. 많은 부자, 투자자들이 똑같이 하는 말: "돈을 위해 일하지 말고 돈이 나를 위해 일하게 해라." 미디어는 자본가가 모든 부를 가지며 노동자들을 착취한다고 자본주의를 나쁘게만 보도하지만 절대 아니다. 노동자들도 자신들이 일하고 있는 회사나 다른 회사의 지분을 가져 회사를 "함께 소유한다"라는 맥락이다. 돈의 가치는 계속 떨어지는데 시급 5000원 더 벌기위해 학자금대출 받아 4년 더 공부하는게 말도 안된다. 결국 주식, 부동산, 금, 은, 기름, 등 이런쪽에 투자하라는 것이 이 분들의 공통점이다.
4. 돈에 있어 하류층, 중류충, 상류층 차이. 하류층: 돈만위해 일하고 남은 돈은 적금한다. 이 사람들은 직장만 잃어도 생계에 위험을 느끼며 10년동안 적금을 해도 돈의 가치는 떨어지니 손해본다. 중류층: 돈을 위해 일하지만 남은 돈으로 주식이나 다른 곳에 투자한다. 직장을 잃으면 타격은 크겠지만 하류층만큼 생계에 위험을 느끼지 않는다. 상류층: 부동산이나 수입을 늘려줄 자산을 더 사서 돈이 자신들을 위하여 일하게끔 한다. 이들은 "일을 하지 않아도 돈을 벌 권리"를 얻은 것이다.
어쩌면 한국의 노인빈곤율이나 노후대비에 대한 통계가 처참한 것을 보고 존리는 대부분 한국인들이 돈에 있어 "하류층"이라고 판단하여 사람들에게 적금만 하지 말고 제발 쓸데 없는 곳에 돈 낭비하지 말고 장기적으로 분산투자하라고 하는 것 같다. 존리는 한국인들을 "중류층"으로 올리고 싶어 한다. 존리가 나이가 많이 들어 한국인들이 "중류층"이 된다면 아마 다른 유명인이 나와 모두를 "상류층"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외치지 않을까 싶다.
전설로 떠나는 월가의 영웅을 3번정도 정독하고 투자를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체인지그라운드의 유튜브 제목을 보자마자 무슨뜻인지 바로 파악이 되었습니다. ㅎㅎ 저는 그래서 다니던 대학원과 관련된 직업보다는 좀더 안정적이고 장기적으로 근무할수있으며 내가 원하는 투자를 할수잇는 환경을 가진 직업을 구했습니다. 시작은 미비하고 주변의 눈치도 보이지만... 묵묵히 걸어가겠습니다.
위험한 이야기 입니다. 시대 변화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의견이네요. 인구감소가 예견되어 있는 시대에 부동산은 극도의 위험자산 입니다. 그리고 주식투자는 '장기투자', '분산투자' 할경우에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그 공부는 조금만 관심을 가지면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복리의 원리를 간단리 이해만 해도 장기투자의 동기를 가질수 있습니다. 그리고 최소 15개이상 분산투자를 한다면 심리관리도 그리 어렵지 않죠. 부동산이 안전자산일 수 있었던 과거 시대의 맥락을 달라진 시대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맥락적 사고를 하지 못한 판단 같네요. 주식은 그리 어려운 것이 절대로 아닙니다.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한 계몽이 되어야 개인도 나라도 성장할수 있습니다. 일본을 따라가지 않는 금융 문화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체인지그라운드도 일조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지금 미국현황에서는 맞는 말은 아닌듯합니다. 미국에서 집을 한 10년 보유했다가 제작년에 팔았는데 엄청 손해받아요. 책에 나온데로 20% downpayment 넣고 나머지는 은행에서 빌려했는데.. 문제는 미국땅값이 싸고 새 집을 계속 만든다는거. 주변 집값들은 계속 떨어지고 복덕방 6%내고 세금 내고...특히 유지비는 완전 골치. 차라리 etf 사서 맘 편히 사는게 훨 나음.
난 안전한 집부터 2채 매매했다......뻔한거임ㅋ 진짜로 있어야 하는 것을 먼저 갖고난 후에 차근히 작은 금액으로 투자를 하면 된다. 투자를 할때도 이미 난 빚쟁이;; 또는 다 잃고 간당하게 살게끔 느껴야함.;; 그만큼 생각과 판단을 잘하고 신중하게 투자하기 위해서ㅋ......
주식 공부 하려고 수학과 과학 공부 시작합니다. 존리 대표님 말씀대로 차도 없고 월세인데 ㅋㅋ 주식 투자에 나서기 전에 실거주 한 채는 있어야 된다에 저도 한 표. 일단 심리적인 안정과 더불어 2년마다 집 알아봐야 하는 시간 낭비를 없앨 수 있고 어쨌거나 부동산은 장기적 관점에서 우상향이니깐요
미국에는 몇몇 지역을 제외한 곳은 집 가격이 한국에 비하여 싼 편 입니다. 그리고 융자가 수월하고 이자에 대한 세금공제를 받을 수가 있습니다. Property Tax(재산세) 는 지역에 따라 다르고 대강 1 년에 1-2% 입니다. 한국보다 훨씬 높지요. 재산세도 1년에 $10,000 불 까지 세금공제를 받습니다. 이자에 대한 세금공제는 $750,000 빌린 것 까지 만 세금공제를 받습니다. 그리고 hidden costs(수리비) 도 계산에 넣어야 합니다. 죤리님이 말씀은 한국에서는 월세가 미국에 비하여 월등히 싸다는 것이죠. 물론 집이 있으면 마음이 편한 것도 있겠지요. 저의 경험으로는 미국에서 주택, 사무실, 별장 매입하여 모두 30년간 절대적으로 손실 복 매도 하였습니다. 저는 Midwest 에 살아서 그렇고 west 나 east coast 에 거주하면 주택 값이 많이 상승 하였습니다. 그러나 주식(s/p 500 ) 상승 한 것 보다 못합니다. 그리고 주식은 조금씩 매도 할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집은 그렇지 못하죠. 조금씩 팔아 은퇴 후에 생활하면 됩니다.주식이 너무나 장점이 많습니다. 수입이 낮은 사람에게는 주식에 양도 소득세도 없습니다. 집은 평생 한번 $500,000 에 대한 양도 소득세가 공제 되구요. Warren Buffet 은 처음 산 집에 그냥 살고 있으며 집 가격이 $500,000(6 억) 정도 입니다. Warren 정도 부자면 $ 100 millions 집에 살 수 있지요. 집이 가치가 있었으면 왜 Warren 이 집에 투자 하지 않았겠습니까? 죤리님이 계산으로는 한국에서는 월세가 유리 하다는 것이죠. 불편한 점은 많겠지만. 저는 현재 미국 west coast 에 거주하고 있으며 집은 있으나 거이가 빚으로 산 것이고 세금공제를 받고 있지요. 편한 것이지 경제적으로 이익은 없습니다. 월세로 사는 것과 비슷한 비용이 들어갑니다. West coast 는 한국하고 집 값이 비슷합니다.집 값 내려가면 손해가나고 매년 5% 정도 올라가면 손해는 없을 것 같습니다. Hidden cost 와 property tax 가 문제지요. 그러나 집이 있어 안정되고 마음은 편합니다. 집을 소유 하는 것이 주식 하는 것 보다 당연히 못 하지요.
사람마다 사람의 시점 현황마다 다 다르겠지요..IMF, 2008년 금융귀기, 2012년 부동산 저점일때, 2014년 미분양시기, 2016년 중국발 조정시기, 2019년 금리재인하시기...그런데 꼭 지금만 말하는 분들이 있어요. 3년전, 6년전, 8년전은 왜 생각하지 않았는지....피터린치의 말에 공감해요. 거주할 부동산은 작아도 있어야하고 그 부동산을 전제로 월급모아 꾸준하게 주식 투자를 평생해나가는 것....자산관리하는것...실수하면서도 계속 투자를 하는 것일거에요...
수요가 없다요.... 지금 인구 감소하는거봐야죠 즉 집값을 받쳐줄 수요자가 준다 이말 지금 고3수험생이 40만명임 30대중반의 본인이 수능칠때 수능응시자 60만명 지금 태어나는 신생아 20만명임. 지금은 1인가구 증가로 수요가 유지되지만 그 선이 무너지면 집값은 한순간에 끝장임 즉, 장기적으로 봐서 집은 현재 우리나라 상황에 하락이 예정되어있는것임.
Benjamin Franklin 183
2020년 7월 31일 22:28실거주 집 1채는 필수인 것 같습니다.
helen jeon 171
2020년 8월 01일 23:03집부터 사야한다는
요지부터 파악하고 댓글 달았으면
주식북 164
2020년 7월 31일 22:07모든 투자의 기본은 쌀때 사서 비싸게 파는 것
지금 과열된 한국 부동산에 올라타는 짓은 미친 짓임
woongs K 162
2020년 7월 31일 21:11집을 못사니까 주식을 사ㄴ...
H H 96
2020년 8월 01일 13:32집부터 사는게 아니라 지금 싼걸 사야지 ㅋㅋ 지금 집은 최고가고 아직주식 우량주는 싼거 많음
Petros 83
2020년 8월 03일 03:04존리, 로버트 기요사키, 그리고 이 영상을 보며 내린 결론:
1. 어떤 투자든 더 어릴때 시작하자. 1971년 금본위제 폐지후로부터 현금은 "fake," 즉 가짜라고 한다.
금, 은의 가치가 올라가는 것보다는 달러의 가치가 떨어져 아무투자도 안 하고 적금하는 것은 어리섞다는 것이다. (오늘의 1억과 10년후의 1억이 같을까?)
2. 부동산 투자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것이다, 허나 사람들은 cash flow, 즉 수입, 지출, 자산, 그리고 채무에 따른 돈의 흐름을 생각 안 하며 투자해 문제가 된다. (로버트 기요사키 참고)
내가 빚을 져서 집을 사도 그 곳에 산다면 결국 나는 빚을 갚는 사람인 것이고, 다른 입주민이 살고 있다면 그 사람이 대신 빚을 갚아주는 것이다. (부자들은 빚으로 부를 더 만든다.)
3. 많은 부자, 투자자들이 똑같이 하는 말: "돈을 위해 일하지 말고 돈이 나를 위해 일하게 해라."
미디어는 자본가가 모든 부를 가지며 노동자들을 착취한다고 자본주의를 나쁘게만 보도하지만 절대 아니다. 노동자들도 자신들이 일하고 있는 회사나 다른 회사의 지분을 가져 회사를 "함께 소유한다"라는 맥락이다.
돈의 가치는 계속 떨어지는데 시급 5000원 더 벌기위해 학자금대출 받아 4년 더 공부하는게 말도 안된다.
결국 주식, 부동산, 금, 은, 기름, 등 이런쪽에 투자하라는 것이 이 분들의 공통점이다.
4. 돈에 있어 하류층, 중류충, 상류층 차이.
하류층: 돈만위해 일하고 남은 돈은 적금한다. 이 사람들은 직장만 잃어도 생계에 위험을 느끼며 10년동안 적금을 해도 돈의 가치는 떨어지니 손해본다.
중류층: 돈을 위해 일하지만 남은 돈으로 주식이나 다른 곳에 투자한다. 직장을 잃으면 타격은 크겠지만 하류층만큼 생계에 위험을 느끼지 않는다.
상류층: 부동산이나 수입을 늘려줄 자산을 더 사서 돈이 자신들을 위하여 일하게끔 한다. 이들은 "일을 하지 않아도 돈을 벌 권리"를 얻은 것이다.
어쩌면 한국의 노인빈곤율이나 노후대비에 대한 통계가 처참한 것을 보고 존리는 대부분 한국인들이 돈에 있어 "하류층"이라고 판단하여 사람들에게 적금만 하지 말고 제발 쓸데 없는 곳에 돈 낭비하지 말고 장기적으로 분산투자하라고 하는 것 같다. 존리는 한국인들을 "중류층"으로 올리고 싶어 한다. 존리가 나이가 많이 들어 한국인들이 "중류층"이 된다면 아마 다른 유명인이 나와 모두를 "상류층"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외치지 않을까 싶다.
jinney H 73
2020년 10월 26일 10:41무리하지 않은 실거주 집 한채는 필수
월세 살이 두번 하다 집주인들 질려 샀음.
집을 사니 그제야 주식이 보임
존리 선생님 절약정신 및 금융교육은 정말 본 받을 만함.
CAFE삼춘의돈이야기 72
2020년 8월 02일 07:05집을 못사니 주식을 사지요
ZeroTo Hero 64
2020년 7월 31일 23:00ㅋㅋㅋㅋㅋ 이미 제목부터 절망..
집 살돈은 어디서 나지
악마는샤넬을 입는다 61
2020년 7월 31일 22:08집살려고 주식하는거 아닌가 ㅋㅋ
2탈리시만 54
2020년 8월 30일 01:04집을 사야 하는건 맞지만 지금 사면 인생 망하는각
정슈리 53
2020년 11월 07일 20:02주식살때 바보같이 생각없이사니까
고민하고 사는 집을사라는말이지..
집살때처럼 주식사세요~~
하루 44
2020년 8월 01일 00:05주식 3만원
집 3억...
아린스니 42
2020년 7월 31일 21:55정말 맞는 말이네요ㅋㅋ 근데 요새는 주식에도 공부가 많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사람들도 점점 인지하는 듯 해요!
공부안하고 주식하다 진짜 계좌 쫑납니다...
ex. 신풍제약
요새는 주식으로 돈 모아서 집을 사야하죠.
그게 맞는 투자라고 봅니다.. (집값이 너무 비싸효)
미키후니 40
2020년 11월 04일 15:12주식을 사고 돈을 번후 집사는게 아닐까하는 생각~
Hu je 26
2020년 8월 04일 19:27전설로 떠나는 월가의 영웅을 3번정도 정독하고 투자를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체인지그라운드의 유튜브 제목을 보자마자 무슨뜻인지 바로 파악이 되었습니다. ㅎㅎ 저는 그래서 다니던 대학원과 관련된 직업보다는 좀더 안정적이고 장기적으로 근무할수있으며 내가 원하는 투자를 할수잇는 환경을 가진 직업을 구했습니다. 시작은 미비하고 주변의 눈치도 보이지만... 묵묵히 걸어가겠습니다.
김경옥 25
2020년 7월 31일 23:30체인지 그라운님의 마지막 말씀 ^ 참고는 하되 각자 처한 상황에 따라^잘 선택해서하라는 말씀에 공감합니다
Eu Sh 23
2020년 11월 08일 07:40지금은 집 최고점 그 집 나중에 누가 받아주나 인구가 감소되고 있는 마당에
나락에서피는꽃 21
2020년 8월 01일 18:01대한민국에서 집은 최종 테크인데 ㅋㅋㅋ
아비투스 21
2020년 7월 31일 21:21존리 대표님이 말씀하시는 금융문맹이 바로 이런 경우가 아니겠나 생각합니다.
로티아트LottieART 20
2020년 8월 25일 00:21본인상황에 맞는 투자전략을 선택하는게 정답 !
kim benk 18
2020년 8월 31일 06:35존리님이 검소하신건지 아니면 주식투자 잘못하여 대부분 깡통찬 주식도
있어서 다시 시작한건지 아무도 모름. 존리대표님의 자산을 공개되지
않아서 약간 의심 ㅠ 만약 수천억대 자산가하면 조금 돈좀 쓰고 살아도
얼마 차이 나지 않을터인데 너무 궁색하단 느낌이 드네요 ㅠ
하선임 17
2020년 7월 31일 23:28너무 좋은 설명 감사드립니다.
목소리 차분해서 정말 전달력 좋아요!😊
사주가Money? 17
2020년 10월 09일 06:47위험한 이야기 입니다. 시대 변화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의견이네요. 인구감소가 예견되어 있는 시대에 부동산은 극도의 위험자산 입니다. 그리고 주식투자는 '장기투자', '분산투자' 할경우에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그 공부는 조금만 관심을 가지면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복리의 원리를 간단리 이해만 해도 장기투자의 동기를 가질수 있습니다. 그리고 최소 15개이상 분산투자를 한다면 심리관리도 그리 어렵지 않죠. 부동산이 안전자산일 수 있었던 과거 시대의 맥락을 달라진 시대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맥락적 사고를 하지 못한 판단 같네요. 주식은 그리 어려운 것이 절대로 아닙니다.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한 계몽이 되어야 개인도 나라도 성장할수 있습니다. 일본을 따라가지 않는 금융 문화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체인지그라운드도 일조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제운 17
2020년 8월 31일 10:03존리대표 발언이 참 왜곡되었다고 생각했던 사람인데 그걸 가장 고급스럽게 받아 쳐준 것 같네요.
정가랑 16
2020년 7월 31일 22:34투자도 맥락적 사고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
웅이사님^^
oh hoho 16
2020년 8월 19일 22:43지금 미국현황에서는 맞는 말은 아닌듯합니다.
미국에서 집을 한 10년 보유했다가 제작년에 팔았는데 엄청 손해받아요. 책에 나온데로 20% downpayment 넣고 나머지는 은행에서 빌려했는데.. 문제는 미국땅값이 싸고 새 집을 계속 만든다는거. 주변 집값들은 계속 떨어지고 복덕방 6%내고 세금 내고...특히 유지비는 완전 골치.
차라리 etf 사서 맘 편히 사는게 훨 나음.
man jung 14
2020년 9월 16일 22:23난 안전한 집부터 2채 매매했다......뻔한거임ㅋ 진짜로 있어야 하는 것을 먼저 갖고난 후에 차근히 작은 금액으로 투자를 하면 된다. 투자를 할때도 이미 난 빚쟁이;; 또는 다 잃고 간당하게 살게끔 느껴야함.;; 그만큼 생각과 판단을 잘하고 신중하게 투자하기 위해서ㅋ......
WC100%art백발백준 14
2020년 8월 30일 08:27참~~ 샘은 말이 너무 이뻐요^^♡♡
my정보 14
2020년 10월 06일 08:42주식으로 몇번이나 말아먹고 이젠 쳐다보지도 않습니다.
10년전부터 주위사람 말만듣고. 부동산에 잘모르고 시작했다가
주위사람한테만 이득주고 피해도 많이 봤지만 시간이 흐르니까 지금까지도 손해보는 것도 있지만 피해금액이 한방에 회복되는 부동산도 있어 이제는 정리하고 싶은데요
팔고나면 두번다시 사기힘들것 같아서 금리도 낮아서 그냥 안팔고 가기로 생각중입니다.
정답은 부동산이고요
집이 오르고 내리고 상관없이 이사걱정없는 최소한 자기살집 한채는 필수입니다.
내말이 정답이다 13
2020년 11월 28일 15:03피터린치도 2020년 대한민국의 40년된 20억짜리 은마아파트를 봤다면 책을 수정했을꺼다
매화나무 13
2020년 8월 23일 07:29옳은말씀 명언입니다 한수배우고 가네요 구독눌렀어요
지승화 13
2020년 8월 16일 12:24글쎄..
존리는돈잇는거지팔자....
SoHyung Kim 13
2020년 8월 24일 12:06집도 비싼 생돈 월세주며 집도 없이 살며
번돈 주식으로 쫄라매고 살다가
멀고먼 훗날의 엄청난 올지 안올지도 모르는
막연한 부를 위해 행복을 누리지도
즐거움을 갖지도 못한 삶을 산다는 것은
가장 큰 후회를 남길 겁니다
아름다운별 13
2020년 8월 29일 10:32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응원합니다~~^^
ksh3806 13
2020년 9월 13일 22:24집 사고 싶지만 큰돈이 없어 주식투자 하는 것임
지숙 13
2020년 10월 28일 13:21정보가 많아서 어떻게 순서를 정해야 할지 고민이었는데 깔끔하게 정리해주셨어요. 감사합니다 만나게 되서 제게 행운입니다.
박요셉 11
2020년 10월 04일 18:59집부터 사야합니다. 주식으로 돈 버는 것이 쉽지 않아요. 감사합니다.
쥬쥬 10
2020년 7월 31일 22:11혹시 마리앙뜨와네뜨세요??
배정인 10
2020년 9월 02일 02:36성공하셨네요 ~^^
무슨 말인지 알죠~~
Rich Founder 9
2020년 8월 22일 15:05이번 내용은 미국 주택시장에 맞는 조언인 동시에 추가로 재산세와 유틸리티, 그리고 유지비까지 다 감당할 수 있을 때의 경우라고 생각합니다.
이종순 9
2020년 7월 31일 22:39댓글은 처음 이지만 침착하게 잘 설명해요
민 9
2020년 11월 19일 20:49투자는 무조건 돌고 도는데 그걸 잘 따라가야 합니다. 무조건 주식 부동산만 해서는 안됨
장사꾼들 말에 속지말고 자기돈은 자기가 잘 지켜야됩니다. 다들 성투하세요
Shin Reading Poetry 9
2020년 11월 20일 17:54미국 부동산 현황 과 한국 시장은 엄연이 다르죠.
부동산 다루듯 주식 다루면 된다는 뜻 같음
Duke 9
2020년 8월 17일 14:19완전 동감
최경민 8
2020년 8월 08일 13:37좋은말씀 젊은이들은
신중하게 비교해서 좋은멘토가되겠어요
hwa kyung seo 8
2020년 10월 06일 12:39저도 집사고 싶어요! 그런데 집값이 너무 비싸서요 주식으로 돈 벌어서 집 살려고 공부해요 월급 받아서 조금씩 조금 씩 주식을 살려고 해요!
경제적자유를 위해서 8
2020년 10월 11일 11:07자기 형편에 맞게 투자하면 됩니다^^
선택은 본인이 잘하시면 됩니다
AIECO에이코 8
2020년 8월 09일 22:39주식 공부 하려고 수학과 과학 공부 시작합니다. 존리 대표님 말씀대로 차도 없고 월세인데 ㅋㅋ
주식 투자에 나서기 전에 실거주 한 채는 있어야 된다에 저도 한 표.
일단 심리적인 안정과 더불어 2년마다 집 알아봐야 하는 시간 낭비를 없앨 수 있고 어쨌거나 부동산은 장기적 관점에서 우상향이니깐요
추억 7
2020년 8월 03일 11:26집을 사기위해 주식을 함 돈모아서 집이란걸 살수가 있는건가? 아님 다쓰러져가는 빌라를 사라는건가.....세상사는거 어렵네
이든이나 6
2020년 11월 24일 23:05집사서 월세 놔야겠어요 노동과 주식으로 번돈은 결국 월세로 빨리게 되죠 건물주 집주인이 먹이사슬의 최상위네요 선진국들 대도시들 월세보면 정말 무서울텐데요
Mac Gyver 6
2021년 1월 16일 05:22미국은 월세가 비싸기 때문에 집을 사는게 이익일 수 있어요. 근데 한국은 월세가 너무 싸기 때문에 집을 사는게 오히려 손해죠. 그래서 책의 내용은 미국상황에서는 맞지만 한국상황에서는 죤리 선생님의 말이 너무나 명확하게 정답인 듯합니다.
매화나무 6
2020년 10월 08일 18:24공감합니다 너무돈돈하다 돈만벌다 십억이 넘는집사놓구 돈모으고 암으로 작년에 죽은큰언니를 보면서 적당히 쓸줄도 알아야해요 삶의 질이 높아야죠
min 6
2020년 9월 18일 06:54너무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Chibee 6
2020년 11월 07일 23:02뭐든 장기투자로 하면 좋은데, 주식은 개미들이 장기투자 하기도 멘탈적으로 힘들고 집은 레버리지 투자가 가능하니 집사는게 개미들에게는 훨씬 낫죠👍👍
Inhyeok Jeong 6
2020년 8월 16일 14:08구독하고 갑니다.^^
임현정 6
2020년 10월 08일 18:16누구는 집사라하고 누구는 사지마라하고 참 힘드네요
인생은아름다워 5
2020년 8월 03일 11:26본인 성향과 금융지식에 따라
잘 판단해서 하면 좋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최미라 5
2020년 8월 03일 06:57최고의 결론이군요ㅡ
오늘도봄 5
2020년 11월 12일 15:32못사요. 문재인때문에
Bong Jung 5
2020년 12월 27일 12:40미국에는 몇몇 지역을 제외한 곳은 집 가격이 한국에 비하여 싼 편 입니다. 그리고 융자가 수월하고 이자에 대한 세금공제를 받을 수가 있습니다. Property Tax(재산세) 는 지역에 따라 다르고 대강 1 년에 1-2% 입니다. 한국보다 훨씬 높지요. 재산세도 1년에 $10,000 불 까지 세금공제를 받습니다. 이자에 대한 세금공제는 $750,000 빌린 것 까지 만 세금공제를 받습니다. 그리고 hidden costs(수리비) 도 계산에 넣어야 합니다. 죤리님이 말씀은 한국에서는 월세가 미국에 비하여 월등히 싸다는 것이죠. 물론 집이 있으면 마음이 편한 것도 있겠지요. 저의 경험으로는 미국에서 주택, 사무실, 별장 매입하여 모두 30년간 절대적으로 손실 복 매도 하였습니다. 저는 Midwest 에 살아서 그렇고 west 나 east coast 에 거주하면 주택 값이 많이 상승 하였습니다. 그러나 주식(s/p 500 ) 상승 한 것 보다 못합니다. 그리고 주식은 조금씩 매도 할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집은 그렇지 못하죠. 조금씩 팔아 은퇴 후에 생활하면 됩니다.주식이 너무나 장점이 많습니다. 수입이 낮은 사람에게는 주식에 양도 소득세도 없습니다. 집은 평생 한번 $500,000 에 대한 양도 소득세가 공제 되구요. Warren Buffet 은 처음 산 집에 그냥 살고 있으며 집 가격이 $500,000(6 억) 정도 입니다. Warren 정도 부자면 $ 100 millions 집에 살 수 있지요. 집이 가치가 있었으면 왜 Warren 이 집에 투자 하지 않았겠습니까? 죤리님이 계산으로는 한국에서는 월세가 유리 하다는 것이죠. 불편한 점은 많겠지만. 저는 현재 미국 west coast 에 거주하고 있으며 집은 있으나 거이가 빚으로 산 것이고 세금공제를 받고 있지요. 편한 것이지 경제적으로 이익은 없습니다. 월세로 사는 것과 비슷한 비용이 들어갑니다. West coast 는 한국하고 집 값이 비슷합니다.집 값 내려가면 손해가나고 매년 5% 정도 올라가면 손해는 없을 것 같습니다. Hidden cost 와 property tax 가 문제지요. 그러나 집이 있어 안정되고 마음은 편합니다. 집을 소유 하는 것이 주식 하는 것 보다 당연히 못 하지요.
냉동상싯두 4
2020년 8월 28일 13:25자기 상황에 맞게 자기가 옳다고 생각하면 판단하고 결과내리면되요 인생에 정답이 어딧어요
Sign K 4
2021년 7월 03일 19:00주식을 사서 번 돈으로 집을 사야 함.
W K 4
2020년 11월 30일 10:58지금 이시기에? ㅎㅎ 장난히시나
허경자 4
2020년 11월 08일 00:48목소리가 차분하고 발음이 좋아서 듣기 좋아 구독 누릅니다
아주 좋은 정보였어요~~
newstart younghocha 4
2020년 8월 10일 11:41감사합니다. 웅이사님👍👍👍
후리지아 4
2020년 8월 30일 18:57정말 유익한 방송입니다^^
감사해요~~^^
상부상조 4
2020년 11월 03일 19:43요즘은 의.식.주식.이 더 맞지않나 생각하게 됩니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래프윙 4
2020년 12월 06일 19:20사람마다 사람의 시점 현황마다 다 다르겠지요..IMF, 2008년 금융귀기, 2012년 부동산 저점일때, 2014년 미분양시기, 2016년 중국발 조정시기, 2019년 금리재인하시기...그런데 꼭 지금만 말하는 분들이 있어요. 3년전, 6년전, 8년전은 왜 생각하지 않았는지....피터린치의 말에 공감해요. 거주할 부동산은 작아도 있어야하고 그 부동산을 전제로 월급모아 꾸준하게 주식 투자를 평생해나가는 것....자산관리하는것...실수하면서도 계속 투자를 하는 것일거에요...
감사의기적 4
2020년 10월 22일 15:37이자 나간거 계산해야 제대로된 집값 상승률이 나오는거 아닌가요?
Higher Mountain 3
2020년 9월 10일 09:54고마워요
윤준호 3
2020년 12월 01일 08:45풀소유 혜자스님보다 훨씬검소하신분 존리
EunSung Lee 3
2020년 11월 07일 19:39주식반, 주택반 믹싱해서
주택에 투자하는 리츠 주식을 매수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겠네요.
9988234 john 3
2020년 11월 02일 17:33저는 존리 대표님 말이 맞다고 확신합니다.
정선자 3
2020년 10월 18일 11:22존리대표도 미국에 집있음~
RICHM 3
2020년 8월 24일 23:35Thanks
USA guam 3
2020년 12월 05일 09:07미국은 집 값의 20%만 있으면 월금 생활자가 집을 살수 있고 미국은 집을 투기로 하지 않습니다.
한국은 집으로 투자 투기로 할수 있는 것 이라서
미국과 가치관이 다릅니다.
박도도 2
2020년 9월 26일 23:23차분하게 설명 잘해주셨습니다
잘 들었습니다
또링 2
2020년 9월 15일 10:21지금 둘중에 사서 수익 보기엔 주식이 낫지 않나 싶습니다
Jimi Boyle 2
2020년 11월 06일 07:58맞는말씀입니다 . 차분히말씀하셔셔 참좋습니다.
알뜰살뜰정궁핍 2
2020년 8월 02일 02:08머리가 희끗 희끗 하신거 보니 역시 존버가 답인건가
WC100%art백발백준 2
2020년 8월 30일 08:22아~~~,다는데요
돈갖고 무었을할까요?
봉사밖에 없는데요
그게 돈의흐름인데
평화비둘기 2
2021년 1월 04일 18:09저도 공감. 주식이라는건 진짜 공부를 많이 해야 되고 어렵네요. 집이 있고 안정이 되야 편안한 맘으로 주식 할수 있는듯요.
집이 비싸다고들 하는데 저렴한 집도 많아요. 존리쌤처럼 잘할 수 있음 집 팔고 차 팔아서 주식해도 됨
으흠 2
2020년 7월 31일 21:01오 1등?
권오정 2
2020년 10월 24일 20:07존리 주식을 사라 보다
집부터 사라는게 솔깃
이인숙 2
2020년 12월 22일 10:27팩트는 부동산 투자자들은 부자가 되었고, 주식을 한 사람들은 빚만 있다는거~ 안전빵에 투자하는 사람이 현명한거~
토토 2
2021년 1월 10일 17:35나의 투자 성향은 돈 벌어서 내집마련입니다
Mark kim 1
2020년 12월 03일 17:04주식투자 전에 집을 먼저 사는것을 고려하란 말이지.. 지금 당장 사란 말은 아니죠. 특히 지금처럼 폭등한 시기에 .. 시기가 중요 하죠
김해진 1
2021년 1월 29일 18:52집 직장은나를지켜주니까요~
가난은전쟁보다무섭다 1
2020년 11월 18일 08:44집사면
매년 재산세2번냄
건강보험료 매달20~80만원냄
65세넘어서 노령연금 못받음
국가적혜택 못 받음
ky k 1
2020년 10월 16일 20:22워렌버핏이 그랬지 투자가라면 자금의 10프로로 원하는 집을 살수 있을때 사라고...
이숙영 1
2020년 9월 04일 07:26후손이 있다면 집 세채는 필요 하고 또 제주도 집한채 강원도 춘천에 집한채 요즘은 여행집 필요하고 주식 멍한사람이 증권사태 두번있었고 아임에프때도
Melon Mask 1
2020년 8월 30일 09:47그래서 집 없는 유대인들이 많은거였나..ㅋㅋㅋ
영어쓰기, 기술과 창작 Skill & Creativity 1
2020년 8월 02일 10:33좋은 비교분석과 종합 감사합니다.
저지방우유 1
2020년 12월 23일 22:31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이숲 1
2020년 12월 01일 21:59집은 주식처럼 반대매매는 없지만,
원금을 못 갚을 상황이 되면 경매나 공매가 되지요.
아무튼 현금으로 집을 살만큼 부자가 아니라면 집 사는 일은 앞으로 2~3년간 열심히 고민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James Bock 1
2020년 10월 23일 15:50무엇을 투자하든 그 타이밍과 인내심이 수익의 전부다~!
진달래 1
2021년 2월 05일 17:39상반된 두 의견을 비교분석하며 조근조근 말씀하시는 진행자님, 신뢰가 갑니다👍
true.dream cometrue 1
2020년 12월 21일 02:25피터린치가 부동산하라고 추천하는거같넼ㅋ
안기용 1
2021년 1월 16일 15:35즉 의식주 중에 주가 중요하다. 이 말인 거죠^^
이창호 1
2020년 11월 26일 23:10투자는 항상 여유자금으로 : )
ny TV 1
2021년 2월 17일 00:41근데요..전 집도 주식도 사기 싫
은 이유가 뭘까요...
hy ki 1
2021년 1월 08일 21:20잘 봤습니다. 1번 빼고 다 맞는 말이네요. / 집값이 99% 오른다면 리츠 펀드나 부동산 펀드는 손해가 있을 수 없겠네요
냐옹멍멍 1
2020년 12월 01일 20:09존리 선생님 의견에 대한 정확한 지적이긴 하지만, 피터린치가 말하는 집은 ‘뉴욕집’이란걸 또 고려해야 할거같아요. 한국으로 치면 서울이죠.
이서라leeshela 1
2021년 1월 19일 21:32저도 실거주집사고나서 주식이 보이더라구요 존리대표님 대단하신분이죠 일반인들은 힘듭니다 수익율에 흔들리지않을수가 없으니까요
커피소년 1
2021년 1월 17일 18:49수요가 없다요.... 지금 인구 감소하는거봐야죠 즉 집값을 받쳐줄 수요자가 준다 이말 지금 고3수험생이 40만명임 30대중반의 본인이 수능칠때 수능응시자 60만명 지금 태어나는 신생아 20만명임. 지금은 1인가구 증가로 수요가 유지되지만 그 선이 무너지면 집값은 한순간에 끝장임 즉, 장기적으로 봐서 집은 현재 우리나라 상황에 하락이 예정되어있는것임.
재무적독립 1
2020년 12월 18일 19:46뭐 이런제목이 다 있나요?
송영애 1
2020년 11월 13일 15:07웅이사님 감사합니다
너무나 이해가 됩니다
도호사 1
2020년 7월 31일 21:19요즘 한창 읽고 있는 책인데 반갑네요 ㅋㅋ
박지우 1
2020년 10월 31일 17:10차분차분 너무 설명을 잘해주시네요
이순 1
2022년 4월 05일 05:37이게 복합적문제라 본인이 처한상황에 맞게 대처하는게 정답. 자산 상황 위치등에따라 주식이 먼저일 수도 있고, 부동산이 먼저일 수도 있음.
dony 4
2020년 12월 20일 14:30엌ㅋㅋ 어떤분은 주식부터해라 어떤분은 집부터사라 전 집부터 샀지만 세상엔 정답이없는듯 무얼선택하든 잘되면 그게 정답이니깐
Jason Jeon
2020년 12월 31일 18:37근데 집 융자받은거에 대한 이자를 내는거 따지면 정말 이득을 보는건가 싶네요
권영임
2020년 11월 23일 01:02감사합니다
자배기
2020년 10월 12일 08:52좋은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환상고통
2021년 3월 31일 11:29좋은 정보 감사드려요 그런데 헷지 개념으로 상가 역시 마찬가지인가요?
Long Telegram
2021년 2월 11일 14:03좋은 말씀 들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뭐니뭐니해도 내 집 마련은 재테크의 기본이지요
로맹가리비
2020년 12월 01일 07:35서울 수도권 등 앞으로 인구 몰릴 곳은 떨어져도 크게 안떨어짐
Sharon Lee
2021년 2월 04일 14:28감사합니다,
Eun-Ho Kim
2020년 10월 29일 21:57좋은내용 잘 보고 갑니다 ^^
내이름은또라이 개렬
2021년 1월 06일 19:08무리하지 않은 실거주지가 가능한 서울 아파트 평균값은 10억원대~
steven Jeong
2021년 2월 12일 00:45꿋꿋이 25년동안 부동산에 투자했는데 최근 하나를 매매하려합니다 큰 돈을 장기투자로 두세곳을 공부하고 있는데 주변에서 반대가 많네요 도움 감사합니다
김수한무
2021년 2월 21일 22:40집이고 주식이고 타이밍이고 도전입니다 리스크 없는 투자는 이세상에 없고요 바라만보다 놓친 사람들은 항상 폭락을 외치지만 집이고 주식이고 그사람들이 폭락론 거들먹거릴때부터 몇십년동안 수십 수백배 올랐습니다 결국 투자와 그에따른부는 결단력 용기 운 상황판단중 결단력은 필수고 나머지 한두가지는 바쳐줘야 가능한거 같습니다
마태오의제자
2020년 11월 08일 08:31좋은내용 잘 듣고 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