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AI 툴 사용법에 관심이 많은 40대 중학생 딸아이를 둔 엄마입니다. AI툴들을 사용하다보면 정말 이레도 되나 싶을정도로 너무나 간단하게 원하는 글과 영상들을 만들어줍니다. 컴퓨터를 전공하고싶어하는 우리 아이는 C언어나 파이썬등으로 프로그래밍을 하느라 끙끙대는데 이러한 일들이 이제 무의미한시대가 이미온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김대식교수님의 강의나 영상도 항상 잘 보고 있으며 출간하신 책도 읽어보고 변화하는 미래사회에 중요한 인싸이트를 얻고 싶습니다. 그리고 미경TV채널 늘 감사합니다~^^
교육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입니다.새로운 시대를 살아갈 아이들을 바라보면 희망보다는 안쓰러운 마음이 큽니다. Ai 가 아이들의 미래에 희망을 줄수있으려면 변화를 잘 알고 안내해야한다는 사명감이 들기도합니다. 뭘 배우고 알아가야 하는지 너무 막막합니다. 조금씩 알아갈수있도록 도움이되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AI세계를 관심있게 지켜보고 사용해보고 있는 40대 입니다. 모든 새로운 기술, 문명들은 한번도 한번에 안착되진 않았지요. 최대한 시행착오 없이 생활에 안착시키려면 두려워 하는것보단 의지를 가지고 사용해보고 고쳐보고 결정하는것이 더 나은 방향으로 이용하고 공생할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AI가 유용한 기술이 되는건 인간들의 의지와 올바른 결정 분명한 의사선택에서 비롯되야합니다. AI를 잘 들여다 볼 수 있도록 좋은 대담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챗gpt만 해도 사용자의 질문태도, 질문수준, 용어사용에 따라 사용자에 맞게 길들여집니다. 아이를 바르게 잘 가르치고 성장시키듯 그런 부모의 마음으로 조심조심 AI를 사용하고 연구하고 발전시켜야 한다고 봅니다. 50을 바라보는 나이지만, 늘 계속 배우고 공부해야 될거 같구요.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저는 로봇과 데이터 부분 공부를 하고 있어요. 인류의 발전은 결국 우리가 인간이기때문에 이런 방향으로 흘러왔다고 봐요. 감정, 그리고 그 중에서 욕심에대해 생각하게 되더라고요. AI가 인간과 같은 욕망과 욕심을 가질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그런 편리성에 대한 욕구로 가축으로 파밍을 시작하고 자연을 마음대로 바꿔왔지만 과연 AI 가 그럴는지... AI는 인간과 많이 다른 존재라는 생각이 들어요. 단지 인간이 만들었다고 우리와 같은 선택을하지는;;; 많은 데이터를 학습하고 그 데이터가 인류가 쌓은 것이긴 하지만 다만 그것이 AI를 인간처럼 만들 거라는 두려움은 우리가 뭔가 잘 못 살아왔단 의미겠죠. 저는 그냥 제가 원하는 걸 하기로했어요. 인간이 지니고 있는 많은 개념과 선입견은 결국 AI에 의해서 무너질 거 같아서 어쩌면 인간에게 정말로 필요한 것이 아닌가 싶네요. 직장을 잃을 걸 두려워하고 지배 당하지 않을까를 두려워하지만 결국 그 지배자는 로봇을 AI를 가진 회사의 CEO, 다른 인간이죠. 지배욕이 있는. 어쨌든, 인간의 욕망과 욕심은 계속 될거라고 믿어요. 걷지 못하는 분이 걷고 달리고자 하는 욕망, 남들보다 더 많이 더 잘나고 싶어하는 욕망. 인간 사회는 꾸준히 이 안에서 돌아갈거라고 생각합니다.
@MKTV 2
2025년 11월 05일 14:27👩🏻🦱 오늘 '미경쌤과 김대식 교수님, 김혜연 안무가님의 영상 어떠셨나요?'
정성 댓글 남겨주신 10명에게
🎁 【사이 인간】을 보내드립니다
💛카카오플러스 친구 【김미경 TV】 채널로 당첨자를 공지하고, 배송 정보를 취합합니다!
카카오플러스 채널 추가를 잊지 말아주세요 😭
이벤트 기간 : 2025년 11월 21일(금) 까지
당첨자 발표 : 2025년 11월 24일(월)
🛒 김대식 교수, 김혜연 안무가 - 【사이 인간】 만나러 가기
👉🏻교보문고 :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7295260
👉🏻예스24 :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51257129
👉🏻 알라딘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69848354
🔶 【MKTV 멤버십 가입】을 환영합니다 🙋🏻♀
👉🏻 https://www.youtube.com/channel/UCnaGfDaiM-pM1l-SXYpq37Q/join
✔ 선한 영향력에 함께하는 멤버십 혜택도 확인하세요
💛 카카오플러스 친구 【김미경TV】 채널추가!
✔ 구독자 전용 특가 할인 + 댓글 나눔 이벤트 선물 + 유용한 정보 놓치지마세요
0:00 앞으로 CEO까지 잘립니다
1:47 국내 최고 전문가 15명을 만난 후
8:52 내 역할과 의미가 사라진다면?
12:37 AI 문명, 꼭 갖춰야 하는 역량
17:07 AI 시대, 설계자가 되는 법
⛔<김미경 강사님 사칭> 주식투자 피싱사기에 주의하세요⛔
김미경TV MKTV의 출연자는 카톡/텔레그램/밴드/주식방 등을 통한 투자 권유를 하지 않습니다.
만일 이러한 시도를 경험하셨다면, 모두 사칭이니 피해 입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원하는 삶을 위한 미라클 루틴, BOD 함께 해요!
👉🏻 https://bit.ly/3Af3w4e
🔶 미경쌤의 진짜 일상은? 【김미경의 인스타그램】
👉🏻 https://bit.ly/2KhMghw
@서경훈-t3v 2
2025년 11월 05일 20:02AI 시대로 접어들면서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는데 그 변화에 적응하는 것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영상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서지원-d6e 1
2025년 11월 05일 20:18요즘 AI 툴 사용법에 관심이 많은 40대 중학생 딸아이를 둔 엄마입니다. AI툴들을 사용하다보면 정말 이레도 되나 싶을정도로 너무나 간단하게 원하는 글과 영상들을 만들어줍니다.
컴퓨터를 전공하고싶어하는 우리 아이는 C언어나 파이썬등으로 프로그래밍을 하느라 끙끙대는데 이러한 일들이 이제 무의미한시대가 이미온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김대식교수님의 강의나 영상도 항상 잘 보고 있으며 출간하신 책도 읽어보고 변화하는 미래사회에 중요한 인싸이트를 얻고 싶습니다.
그리고 미경TV채널 늘 감사합니다~^^
@user-oy3ky2ed3r
2025년 11월 05일 21:53교육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입니다.새로운 시대를 살아갈 아이들을 바라보면 희망보다는 안쓰러운 마음이 큽니다.
Ai 가 아이들의 미래에 희망을 줄수있으려면 변화를 잘 알고 안내해야한다는 사명감이 들기도합니다. 뭘 배우고 알아가야 하는지
너무 막막합니다. 조금씩 알아갈수있도록 도움이되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민상기-k6q
2025년 11월 05일 20:49좋은영상감사해요
@영이-p4h
2025년 11월 05일 22:40AI관련 컨덴츠 교육등을 실제로 참여해서 접해보는 중입니다 여기서 또 다른 관점을 생각하게 되네요 다양한 전문가들의 관점들이 무척 궁금합니다
@dueduea85
2025년 11월 05일 20:00AI세계를 관심있게 지켜보고 사용해보고 있는 40대 입니다. 모든 새로운 기술, 문명들은 한번도 한번에 안착되진 않았지요. 최대한 시행착오 없이 생활에 안착시키려면 두려워 하는것보단 의지를 가지고 사용해보고 고쳐보고 결정하는것이 더 나은 방향으로 이용하고 공생할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AI가 유용한 기술이 되는건 인간들의 의지와 올바른 결정 분명한 의사선택에서 비롯되야합니다.
AI를 잘 들여다 볼 수 있도록 좋은 대담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euna367
2025년 11월 05일 19:58진짜 자신이 뭘하고 살아갈지 Ai시대에. 큰숙제입니다
@jongcheolyoon313
2025년 11월 05일 20:39AI 시대를 어떻게 바라보고 몸과 마음을
준비해야될지 가족들과 나누고 싶어서 영상을 공유하였습니다.
최재천 교수의 공존이라는 말씀이
AI시대를 준비하는 마음을 두려움보다는 기대감을 갖게하는
것 같습니다.
영상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ysj-gg8im
2025년 11월 05일 22:26챗gpt만 해도 사용자의 질문태도, 질문수준, 용어사용에 따라 사용자에 맞게 길들여집니다.
아이를 바르게 잘 가르치고 성장시키듯 그런 부모의 마음으로 조심조심 AI를 사용하고 연구하고 발전시켜야 한다고 봅니다.
50을 바라보는 나이지만, 늘 계속 배우고 공부해야 될거 같구요.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cathylee1533
2025년 11월 05일 20:39저는 로봇과 데이터 부분 공부를 하고 있어요. 인류의 발전은 결국 우리가 인간이기때문에 이런 방향으로 흘러왔다고 봐요. 감정, 그리고 그 중에서 욕심에대해 생각하게 되더라고요.
AI가 인간과 같은 욕망과 욕심을 가질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그런 편리성에 대한 욕구로 가축으로 파밍을 시작하고 자연을 마음대로 바꿔왔지만 과연 AI 가 그럴는지...
AI는 인간과 많이 다른 존재라는 생각이 들어요. 단지 인간이 만들었다고 우리와 같은 선택을하지는;;;
많은 데이터를 학습하고 그 데이터가 인류가 쌓은 것이긴 하지만 다만 그것이 AI를 인간처럼 만들 거라는 두려움은 우리가 뭔가 잘 못 살아왔단 의미겠죠. 저는 그냥 제가 원하는 걸 하기로했어요.
인간이 지니고 있는 많은 개념과 선입견은 결국 AI에 의해서 무너질 거 같아서 어쩌면 인간에게 정말로 필요한 것이 아닌가 싶네요.
직장을 잃을 걸 두려워하고 지배 당하지 않을까를 두려워하지만 결국 그 지배자는 로봇을 AI를 가진 회사의 CEO, 다른 인간이죠. 지배욕이 있는.
어쨌든, 인간의 욕망과 욕심은 계속 될거라고 믿어요.
걷지 못하는 분이 걷고 달리고자 하는 욕망, 남들보다 더 많이 더 잘나고 싶어하는 욕망.
인간 사회는 꾸준히 이 안에서 돌아갈거라고 생각합니다.
@정재훈-q7g
2025년 11월 05일 21:18판사란 직업 1순위로 없애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