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가격 이제 내릴까? 부동산 전문가가 부동산 투자에 반대하는 이유 | #미래수업 #Diggle
tvN 인사이트 뉴노멀 강연쇼 미래수업 / tvN 월간 기획 Let's giggle, :Diggle! 방송국놈들이 덕질하는 채널 디글 구독하기! :Diggle ☞ http://bit.ly/2Urls34 기획/제작 도몽 ......
tvN 인사이트 뉴노멀 강연쇼 미래수업 / tvN 월간 기획 Let's giggle, :Diggle! 방송국놈들이 덕질하는 채널 디글 구독하기! :Diggle ☞ http://bit.ly/2Urls34 기획/제작 도몽 ......
민차장 190
2020년 8월 02일 17:31살아보니 부동산을 투자수단이 아니라
그냥 내집하나 있으면
오르건 떨어지건 신경안써도 되니 좋음.
괜히 오르락내리락에 쫄지말고
내가 살집 하나만 있다면
이런일에 신경끄고살게됨
Eric 129
2020년 8월 02일 10:52현재 우리나라 집은 국민 모두가 살아도 아주 많이 남을만큼 많은데 집 없는 사람이 많은건 뭔가 잘못된거지 ㅋㅋ
Jk P 91
2020년 8월 16일 02:51저분이 우려하는 건 돈있으면 괜찮은데 돈없는 사람들이 억지로 돈 끌어다쓰고 그러는 걸 우려하네요. 돈없는 분들이 돈 벌생각으로 일은 벌여놓았다가 감당못해 빚을 갚지 못하니 결국은 파산이나 경매로 넘어가면 결국은 싼가격에 돈 버는 놈들은 다른 사람들이니....
박범철 89
2020년 8월 04일 16:29아파트값ᆢ확내려라ㅡ미쳐도대단히미친집값
only몰입 86
2020년 8월 02일 17:57실거주 하나 사는건 투자가 아닙니다
온사랑 69
2020년 8월 02일 17:44역대 부동산 정책들이 실패하는 가장 큰 이유는 정책을 결정하는 사람들이 부동산으로 돈벌고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사람을 바꾸어야 되여. 위장 전입, 부동산 투기 관련자들만 배제해도 정책들이 실패할 수 없어요. 빠져 나갈 구멍 다 만들어 놓고 건만 번지르게 하게 만드니 실패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dh k 63
2020년 8월 02일 10:25실거주 목적이라면 언제든 좋은 시점에 반드시 사야죠.
부동산을 투자라고 생각하면 지금은 적기가 아닌거겟죠.
Easy-Korean(이코, e-ko) 53
2020년 8월 13일 08:252013년 뉴스타파 피디수첩...집값폭락된다고..가계부채최대라고...보도했는데..그거보고 집을 안샀었는데...지금 10억은 오른듯
.1채는 있어야함. 집을 소유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과의 금융지식 차이도 무시못해요
Kris Kwon 50
2020년 8월 02일 18:01위의 강의 내용은 교과적으로 이론적으로 맞지만 서울은 현실적으로 적용이 안된다. 서울에서 공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는 오를 수밖에 없다. 수요/공급의 원리다. 지방을 봐라. 지방은 반대댜. 다만 동의하는 내용 중 하나는 한국가계의 부동산에 대한 비중이 너무 크다. 경기가 침제되고 부동산이 폭락 시 환금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긴급하게 대처하기 힘들다.
몰랑이 님피아 💖 39
2020년 8월 09일 18:53정부는 엄청나게 돈을 쓰고 있고 그를 위해 통화량을 연 10%씩 늘려찍고 있는데, 최근처럼 바로 부동산이 두배로 오르면 물가가 올라가고 정부가 찍어낸 돈의 가치도 빠르게 떨어진다. 그러므로 빌린 돈의 이자를 줄이기 위해 금리는 낮추고 각종 규제로 부동산 등 물가 상승을 최대한 늦추는 것이 이 정부가 국민에 제대로된 인플레이션 세금을 때리는 방법임. 저금리 수혜는 정부와 기업이 받고 엄청나게 찍어낸 돈의 가치는 부동산 규제 등 물가상승 감소로 유지하면서 국민의 돈을 기업과 정부로 이전하는 중.
디락스골 37
2020년 8월 03일 03:45포스트 코로나후가 관건 결국 시장에 풀린돈은 회수가 될거고 금리인상은 수순이거든 그럼 기존 대출 금리인상과
일자라가 감소하면 누군가는 빚을 감당 못해서 던지겠지
부동산은 경제와. 별게로 생각할수 없는부분
KH B 33
2020년 8월 09일 21:00그냥 전세대출막고, 주택담보대출도 막으면 됩니다. 비단 다주택자들만의 문제도 아니에요. 1주택자도 풀대출 받아서 집사고, 무주택자도 풀대출받아서 전세살아요. 사실 전세대출부터가 거품의 시작이에요. 돈없을때는 원룸에서부터 출발해야하는데 다들 대출받아서 살면서
다주택자들을 욕하는데 전국민이 욕심을자제하고 정부도 무주택자 1주택자 대출도 줄여야합니다. 그리고 제발 차한대보다도 낮은 보유세 좀 올려주세요! 근로소득세를 낮춰주시고요!
Eric K 32
2020년 8월 13일 08:29저기 패널들는 다 유주택자일텐데 ㅎ
2020 Joy 30
2020년 8월 08일 23:00영끌한 사람들이 위험한게 맞다.
그들이 어떤 상황안에서라도 앞으로 버틸 수 있다면 괜찮겠지만
연준이 풀어댄 유동성 때문에 미국이 목표로 하는 수준의 인플레이션이 왔다고 생각하는 순간 금리를 올릴 수
밖에 없다.
그러면 고통스럽게도 2~3억씩 대출받은 사람들은 버티지 못하게 될것.
박근혜 정권에서부터 지금까지 이어온 주택임대사업제등등 잘못된 정책의 피해를 패닉바잉한 국민들이 짊어지게된 꼴.
집은 현재 살고있을때 껑충 올랐다고
그 가격이 영원한게 아니라 5년, 10년 뒤 내가 이사나갈 시점의 매도 가격이
비로소 내 자산가격이 되는것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1주택 실수요자 국민들은 아파트값이 오르면 세금만 늘어나 안좋은거지.
Ai Bada 29
2020년 8월 03일 08:09청와대 참모들이 어떻게 투자하는지를 본다면 답이 나온다
Won Der 28
2020년 8월 16일 16:42판교 당첨되고 로또러고 했는데 안팔리고 전세도 안나가서 지금 가정찟어지고 연락도 끊긴친구가 있는데.. 부동산 위험함
윤숙경 26
2020년 9월 16일 08:06미친집값 못잡으면 이번정권 끝장이다
따독다독 Stureading Korea 24
2020년 8월 02일 10:291. 부동산 매매. 과도한 부채비율 (20~30대)
2. 하락기 동안 버티는 힘
3. 안전자산 : 금, 국채
4. 위험자산 : 주식, 부동산
5. 환금성 : 즉시 현금과 가능 여부
6. 금리하락으로 인한 유동성 확대 -> 부동산 가격 상승요인
7. 정부규제 : 거래량 감소 -> 집값 감소 요인
부동산 전문가가 바라보는 부동산 투자에 대한 시각은 분명히
참고해야 할 사항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사례와 함께 자신의 투자 계획에 참고해야 할 것이라 보여지네요
당분간, 코로나와 함께 위기의 시점을 잘 이겨내는 투자가 중요해지겠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김변 24
2020년 8월 02일 21:42이 분은 서울 아파트 공급량은 생각 안하시는군요. 수요와 공급이 분석의 기본인데... 그리고 우리나라는 대출이 막혀있는데 일본 부동산과 비교는 왜 하시는지
dream catcher 24
2020년 8월 06일 17:10전문가 좋아하지마슈. 전문가양반들 말이 맞는걸 본적이 없네요. 차라리 반대로 하는게 돈벌어요.
영근초 22
2020년 8월 02일 14:39전세는 우리 나라에만 존재하는 아주 좋은 제도입니다.
보통의 사람들은 전세라는 브리지를 이용해 자가를 소유하게 됩니다.
항후 정부 부동산 정책으로 임대시장은 월세로의 전환이 불가피 하고 일반 서민들의 내집 마련의 꿈은 더 요원해 보이네요
Charles C 21
2020년 8월 02일 21:31100조가 주담대인줄 알았더니.. 전세대출이넹??? 진짜 리스크는 전세에서 터지는건가?
군만두군 21
2020년 8월 03일 15:2130대가 결혼할시기인데 빚이 있었고 기존과 같은상황인데 지금와서 30대가 많다?
현상황이 오니깐 잘안고가냐 안가냐 아파트가 아니어도 전체적인 부동산이 빚이라고 보면 된다 빚이 아니면 현금안들고 사는경우는 드물다
투자할생각말고 집을산닥 봐야된다
JCco901 20
2020년 8월 07일 10:33이런 TV 교육 프로그램 너무 좋아요!
김ᄋ 20
2020년 8월 11일 04:48돈을찍어내질말던가 ㅋㅋ부동산은 말그대로 부동이다 그대로있는것뿐 화폐가치가 떨어지는걸 누가막겠냐
krt우아한 걸 19
2020년 8월 14일 08:44지금 부동산 버블 강남3구 와 세종시 40평대18억임 30평대12억 국회이전 수도이전 정진석 이혜찬 떠든다음에 5억짜리 12억으로 둔갑하고 공무원들 평당500에 30평대 1억5천에 받아서 몇십억 이익 챙기는중
한줄시인 18
2020년 8월 22일 11:26지금도 도쿄는 부동산 상승중, 지방엔 텅텅비어서 웃돈주고 가져가라해도 안가져감
Jean High 17
2020년 8월 15일 10:25집구석 박사들 많네ㅋㅋ하버드 부동산 박사과정 마칠려면 논문에, 전 세계 수많은 사례를 읽어봤을텐데ㅋㅋ하나의 의견이라 동의할 수 없다고 할 수는 있겠지만 무시할 사람은 아님ㅋㅋPhd과정을 마친 사람을 무시하는 생각없는 댓글러들ㅋㅋ
cream cheese 17
2020년 8월 07일 13:35빚은 안갚아도 돼나요?
전세금도 대출비율로 잡으면 이렇게 집값이 올랐을까요?
enthusiasm stock 15
2020년 8월 08일 17:24사실 언젠가는 경제위기가 와서 부동산도 조정하거나 떨어지는 시기가 반드시 옵니다. 그러나 부동산에
대한 인구고령화와 함께 폭락한다는 말은 2009년에도 나왔고 모든사람들이 같은 생각을 하는건 아니죠
부동산에 대한 긍정론자와 비관론자의 차이점은 누가 얼마나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테이터와 자료를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나눠지는게 아니라 유주택자냐 아니면 무주택자냐 에 따라 의견이 갈려집니다.
나는 어디에 속할것인지를 잘 생각해보세요
jh coolchoice 14
2020년 8월 09일 19:24<직방 인구흐름 데이터>
(서울 가구수 증가>
5년전 +160,842 가구 증가
2년전 + 121,797 가구 증가
현 재 + 26,727 가구 증가
내년은?
후내년은?
마이너스로 떨어집니다
집이 매년 남아돌기 시작하면 부동산 시장은?
무주택자 분들은 최소 2년은 관망하시고
사시는 것이 현명할 듯ᆢ
한양대학교 중문과12학번 14
2020년 8월 03일 15:47궁금한게 요즘 정부에서 집값잡는 다고 발광하고 있는데 전세값은 왜오르는건가요??
오제트 14
2020년 8월 02일 19:3810년전에도 하우스푸어, 부동산 거품 얘기했지만
결국은 꾸역꾸역 올라가서 지금에 이르렀습니다.
견딜수 있으면 결국은 오른다 -> 이게 핵심인듯
서울 집값 안내립니다..
Weirdo 13
2020년 8월 09일 23:25전문가라는 사람들이 부동산이 마치 하나인 것처럼 얘기하는 것이 어이가없고 대중들은 그 말을 사실인냥 받아들이고 언제나 그랬듯 그들의 먹이감이 된다. 부동산 전체시장으로 봤을 때 하락국면에 있다는 것을 부인하지 않는다. 다만, 지역별, 용도별로 구분해서 투자의 위험성과 안정성을 얘기해야 전문가 아니겠는가?
사회적 동물인 사람이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지 않더라도 살 수는 있다. 그런데 외롭고 힘들다. 그래서 대부분의 인간이 한 사람일지라도 사람들과 어울려산다. 부동산도 마찬가지다. 부동산 소유없이 살 수 있다. 그런데 없으면 삶이 불편하고 힘겹다. 그렇다면 나와 맞는 부동산을 상황에 맞게 소유하는 것이 필요하고 전문가들은 그런 시민들에게 도움을 주어야할 것이다. 이 나라 전문가들은 서민들을 더 힘들게 하는 것 같아 화가난다.
Jeremy World news 13
2020년 8월 05일 16:50아무튼, 곧 터진다. 망해버려라!!
JUSTIN GREENFIELD 12
2020년 8월 02일 14:13있든 없든 얼마나 버틸 수 있냐가 관건. 일단 덜 낮추고 팔려면 계산기 빨리 두들기고 결심이 필요할 듯
멜딸_melddal 12
2020년 8월 08일 09:23알맹이 없는 강의 ㅋㅋㅋ 초짜들은 끄덕끄덕하고 듣겠지.. 이거 듣고 뭔가 배운 거 같은 생각이 들면 당신은 부린이
Young Suh 12
2020년 8월 15일 10:39Long 에 베팅하고 싶다 short에 베팅하라는건 이해가 안된다 무주
택으로 계속머무는건 제일 위험한베팅같은데
EMILY 12
2020년 8월 30일 10:1030대들 부채 심각하긴 합니다. 영끌해서 집사라고 부추기는 부동산전문가들 보면 진짜 화가납니다. 30대는 없는돈 영끌해서 사고 유지못해 싸게 팔면 그 사람들이 그거 거둬들입니다ㅡㅡ
투자는 개인의 몫이고 위험부담 또한 개인의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강한손과편팔TV 12
2020년 8월 03일 02:11초짜들 논리네. ㅎ
와니와니 11
2020년 8월 09일 21:27이러나 저러나 신경쓰지 말고 내 집마련 한채는 필수.
양반 10
2020년 8월 04일 22:39편안하면서 수준높은 이야기 고맙습니다
프랄린스 10
2020년 8월 02일 14:31서울에서 청약하면됨. 7억에 당첨되서 10억올랐다 3억 떨어저도 본전이지...그래도 전세월세 전전하다 매달 돈나가거나 이사하러 다니느니 내집있는게 낫다.
나도 40살까지 63점까지 점수모아서 서울에서 당첨되었다
Sang Lee 10
2020년 8월 30일 23:12박사님과 100%동감 합니다
81년도 86.87년도 97년도 2007.2008년도 그리고 현재에 이르기까지 부동산 흐름을 쭈욱 지켜 본 사람입니다.
지금 여기서 당분간은 부동산 값이 더이상 폭등 하지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잘사는 경제 대국 미국에 여행갔다가 쇼크 받은게 거리에서 생활하는 노숙자들이였어요 2001년도에 모기지론으로 대출 받아서 부동산 매입한 사람들이
리먼사태로 부동산 폭락 하면서 대출금 상환 못해서 거리로 내몰린 노숙자였습니다... 너무 무서운 시기에 우리가 있다는 생각입니다
김태윤 10
2020년 8월 08일 21:18너무 많이 배운 리스크..
실전과 이론은 다르다.
실천하는 자가 승리한다.
뭐라고 10
2020년 9월 29일 10:122005~2006년때도 똑같은 얘기나왔었고, 저런 전문가 집단 나와서 똑같이 버블이다뭐다 난리낫엇음. 지금 어떻게됐는지 보이시죠? 현장경험도 없이 입으로만 나불거리는 전문가들 믿지마세요.
저사람들은 그럼 집없이 사나..책임지지도 못할 얘기를 왜케하는지.
노무현때 상투잡은 친구가 아직도 무주택인 친구보다 더 잘살고 있습니다
Kate Lee 10
2020년 8월 15일 14:5010년 주기설에 따르면 2018년에 무너졌어야 했고 미디어에서 계속해서 집값 떨어진다고 했는데 연준이 금리를 안올려서 제로 금리 상태에서 심리적으로 집값이 급등하기 시작했고 결국 집을 사지 않아 엄청 손해를 보았다. 그래서 지금은 아무도 못믿겠다. 금리가 문제다. 금리를 조금만 올려도 빚쟁이들이 은행대출을 못받고 무너질거다. 코로나로 금리를 못올리고 있는데 거품이 꺼지는건 이제 시간문제다..
ㅈss 7
2020년 8월 11일 23:33공급과 수요를 전혀 고려하여 분배하지 않고 숫자놀음 하면서 규제를 하니까 부동산이 3년동안 폭등하지. 임대차법으로 정점을 찍고.
왜 자꾸 현 정부는 되지도 않는 공급 관련해서 정책을 내는거냐?
대전, 세종, 대구, 부산, 광주 이런 광역시들의 실 거주용 부동산 수요를 늘리면 규제를 안해도 자연스럽게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는데 이해가 안된다.
여러 편의 시설이나 일자리 관련 공장 그리고 엔터테이먼트 파크 등등 기업들과 정부가 연계해서 각 광역시 주변 부지들을 확보하고 공장이나 편의시설들을 전적으로 투자하면 되는것이다.
이 정권이 처음부터 부동산 값을 제대로 잡을 생각이었다면, 동시에 양질의 일자리를 제대로 늘릴 계획이었다면, 출산율을 어떻게 해결해야할지 진심으로 고민했었다면 언급한 이 3가지가 서로 시너지를 일으키는 문제들이란 것을 눈치채고도 남았을텐데 그저 포퓰리즘 보여주기식 단세포같은 정책들만 내놓으니 한심하고 답답하다.
Young Min Kim 6
2020년 8월 08일 05:05전문가들 말 반대로 해서 돈 벌었다는 사람들 중 실제로 돈 번 분들도 있겠지만, 제가 알기로 상당 수는 아직 자기 부동산 현금화 안 해본 사람들입니다. 주식도 부동산도 가격 오른다고 돈 버는 게 아니에요. 현금이 되서 내 손으로 안 들어와야 비로소 돈 벌었다고 하는 겁니다.
고전책방 6
2020년 8월 02일 17:11지금은 부동산 아이쇼핑만 열심히 해야겠군요~ 거래량이 줄면 부동산 값은 자연스럽게 하락하게 되는건지...추이를 지켜봐야겠네요!
young 6
2020년 8월 11일 19:23주장하는 내용 자체에서도 놓치고 있거나 싱충되는 근거가 너무 많네요. 코로나로 실물경기 안좋기에 부동산 자산가치는 떨어질수 있다고 주장하는데 그 뒤에 떠 있는 국내 아파트가격 추이를 보면 아파트 상승기 및 하락기와 국내 코스피지수 및 무역수지강에 상관관계가 떨어집니다. 2013~2015년 서울 아파트 가격은 최근 10년간 최저치였지만 코스피 수치는 지금보다 더 높고 실물 경제도 좋았거든요. 본인이 보여준 데이터와 주장 자체가 성립이 안됨.
일일체험 6
2020년 8월 12일 21:05선진국에서 단지형 아파트는 빈민가에 밀집되는 주거형태인데, 우리나라에서는 거품을 넘어 신기루를 만들고 있음. 각자의 취향대로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개성있는 집에서 살 수 있어야 한다
한국 6
2020년 8월 16일 03:04이상하네 20년전부터 듣던 소리 같은데
이국범 6
2020년 8월 08일 08:57서울에 조건 없는 아파트 100만채 지어 보아라.. 아파트 가격 떨어진다.. 나혼자 산다가 유행이쟎아. 1인 가구 증가라는 것을 아직도 모르는가, 아직도 주택 보급율을 4인 가족으로 계산 하나.
김꿀잠 6
2020년 8월 27일 00:04전문가 수준보소 3주만에 틀리는거 보면
기본적인 수급원리도 모르고 두리뭉실한
과거흐름보고 코로나 위기에 하락한다는
초등학생도 말할수 있는 논리를 이야기 하고 있으니 ~~
짱아오빠 6
2020년 8월 12일 23:32무주택자들은 주택 가격이 폭락하면 내집마련을 쉽게 할 수 있을거라 생각하지만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주택가격이 폭락했다는건 경제가 심각하게 않좋아 졌다는 거기때문에 무주택자라 하더라도 은행에서는 공무원 같은 직업의 미래가 튼튼하고 확실한 사람이 아닌 이상 일반인들 한테는 대출도 잘 안해줍니다 주택가격이 폭락하면 현금 부자들한테나 또다시 줍줍 할수있는기회가 오는거죠.
워렌버핏140 6
2020년 8월 16일 17:216년 대폭등 버블 집값 30대 패닉바잉 영끌은 ㅁ친 짓.
천정부지로 오르던 홍콩 집값 홍콩보안법 사태이후 폭락중 !!
동동브이 6
2020년 8월 10일 01:25개나소나 돈도없는것들이 겁대가리없이 빛내서투기 하면
결과는 뻔하지~~
Cecilia Park 6
2020년 8월 11일 00:54부동산내린다고 위험하다고 가계부채 터진다고 한지 벌써 이십년째. 이말안듣고 꾸준히 부동산을 투기해온 불패론자들은 시장을 주무르면서 웃고있네.
민뚜루 5
2020년 8월 04일 10:21좋은 영상을 편집이 말아먹네
이파리 5
2020년 8월 04일 09:46일본 하고 울나란 근본적으로 달라요 ..
울나라 잣대로 보면 안되요 ..
한량꿈나무.한꿈HQ 5
2020년 8월 12일 05:04그래서 하버드 교수님은 이렇게 급등할거 예측 하셨대요?
박경민 5
2020년 8월 24일 16:22지금은 절때 집사지마라~~~ 내년 재산세내고 사도 충분하다
골든타워 5
2020년 8월 23일 18:16집그지들. 상투호구들이 싫어하겟네요.
은갈치 5
2020년 8월 08일 10:04참 ㅋㅋㅋㅋ 유익한 강의 감사핮니다 ㅋㅋ
수박수영장 4
2020년 8월 15일 17:18이 사람 말 믿고 집안사서 허탈해 할 미래의 무주택자가 안타깝다.. 월세내며살며 얼마나 패배감이 들까...
MrAppa 4
2020년 8월 15일 02:46이걸보고 공감하는 사람들이 있다는것에 역시 부자와 가난한 사람들은 왜 차이가 생기나 느낄수 있네요. 자본주의세계에 살면서 경제공부안한 댓가를 치루는거죠. 옆에 있던 윤현준 교수가 이야기 하죠 한국의 아파트는 규격화되어 단순 집이 아니라 가장 비싼 화폐의 역할을 한다고. 그냥 하버드 나왔다고 다 믿지 마세요. 선대인도 하버드 나왔어요. 제대로 현실을 알고 조언하는 사람들을 고를 경제적 안목을 기르고 비판하는 눈도 키우시길.
킵고 3
2020년 8월 15일 07:40부동산을 투자가치로 보는거 자체가 이제는 불가능 해진 상황이고 집이 없다면 사야된다는 거. 살거면 서울 수도권인데 집값이 많이 올랐고 앞으로도 당연히 오를수밖에 없음. 외국에서 공부많이 한분들이
가장 착각하는거 자체가 한국의 특수성을 분석을 안했다. 서울은 지금 지하철이 굉장히 아주 잘깔려있는 도시인데 이걸 안보고 얘길하죠. 뉴욕이 어떻다고해도 서울 교통 인프라와 비교조차 안됩니다. 우리는 서울 지하에 수백조를 깔고 가는 나라에요. 그러니 서울만 오른거죠. 당장 지방가면 뭐가있나요? 국가도 이런걸 알면서 계속 서울 수도권만 열차를 만드니 점점 더 격차는 벌어지죠.
Neurol 3
2020년 10월 09일 00:07서울 아파트 이거 찍을 때보다 더 오름 2개월 사이에ㅋㅋ 신고가 갱신중ㅋ
물론 임대차 3법 탓이 크지만..
알뜰살뜰정궁핍 3
2020년 8월 07일 18:242025년 전까지는 오를것 같은 생각입니다. 일단은 공급이 수요를 못따라 가고 있는 상황이거든요.. 집코노미채널인가 미국에서 경제공부하고 오신분도 한국돌아와서 집 견적보고 할렘화 될거 예상해서 안샀다가 후회하고 집샀다는 인터뷰 있습니다...
Jay Choi 3
2020년 10월 05일 23:30하바드 박사중에 부자 없어요
정프 3
2020년 8월 04일 23:53저 주기에 빠진건 핵심은 규제에 관한 법이 빠진것 같습니다
bread sic 2
2020년 9월 27일 19:46실업을 하면 대출로 집을 산 사람들은 힘들겠지 그런데 거꾸로 생각해봐라. 대출로 산 집도 없는데 실업까지 하면? 현재 받을 수 있는 대출 수준을 영원히 받지 못할 수도 있다. 한마디로 주택을 살수 있을 만한 대출 가능한 신용을 영원히 가질 수 없을 수도 있다는 거지. 그건 생각 해봤나? 지금 20대 30대는 내 인생에 주택 구입의 기회 자체가 아예 사라질수도 있는 세대다. 예전에는 전세로 돈 모아서 내 돈으로 청약 당첨되어서 구입하는 거였고 대출은 후순위였다면 지금은 대출은 당연한거고 받지 않으면 혼자 자력으로 구입 못한다. 그런데 직업이 없어서 대출을 못 받으면? ㅎㅎㅎ 개인의 입장에서 좀 생각해라 타인의 인생과 삶의 질 대해 생각하고 말하라고 국가 경제에 대한 말 말고 개인이 언제까지 국가 경제를 위해 희생하고 인내해야 하나 차라리 대한민국 아파트는 50평 이상만 만들던가
Susa Goodale 2
2020년 8월 15일 11:22What is he talking about? One doesn’t have to go to Harvard in order to become a real estate business propagandist.
WooKeun Song 2
2020년 8월 15일 04:22ㅋㅋㅋㅋㅋ아이고...이게 무슨ㅋㅋㅋㅋ
JiHun SEO 2
2020년 8월 16일 04:02온국민이 달러 국채를 알아야 하정도면 나라 망할 정도 아닌가.
일반인에겐 주식 부동산이 끝이지.
이것도 어려워하는 사람 태반인데.
SugiHara JK 2
2020년 9월 27일 00:123:48 이게 답인듯
Martin Lee 1
2020년 8월 10일 01:00고교무상학비 무상급식, 무상교복, 고용안정지원금 누리과정 등 헬리콥터 머니를 뿌려야 하는데 돈줄이 없어서 세입을 확충하기 위해 일부러 집값을 올려 재산세, 취득세를 많이 걷어서 세수를 확충하려는 거죠
김지훈 1
2020년 10월 06일 01:40무슨 빅쇼트같은 얘기만 하네 ㅋㅋㅋㅋㅋ 그냥 이 강연은 쇼구먼
xc z 1
2020년 11월 30일 02:13내 댓글을 1년뒤에 확인해줘.
서울 집값은 그때도 올라있을테니.
지오니아빠 1
2020년 8월 26일 08:06ㅋㅋㅋ 현실을 모르는..
lax Re 1
2020년 9월 03일 00:44투자는 자기 성향과 소득,소신있게 투자해야 안전자산인거지
국채가 지금 상황에서 안전하도는 말할수 없다
lax Re 1
2020년 9월 03일 00:46유동성이라 말하지 마세요 투자할 국내 이렇다할 기업이 없고 정치가 불안하기때문입니다
dongseok kim 1
2020년 9월 30일 19:47내릴 부동산과 오른 부동산을 구별해야 하지 않을까? 주식도 회사마다 다를듯!!
이뚜쉬따쉬 1
2020년 9월 23일 23:21부동산 투자는 어디냐가 중요한거지..
서울이랑 지방을 왜 비교하냐
수도권 인구는 계속 늘어나고
수도권 살고 싶은 사람은 계속 늘고
물가는 계속 오르는데 서울 집값이 꺼질까?
무소 1
2020년 9월 29일 00:22그냥 이론일뿐 강남 투기꾼보다
나을것없는 얘기
하늘낮밤 1
2020년 8월 10일 19:13숫자로만보는 초짜ㅎㅎ
똑똑하자 1
2020년 9월 12일 11:02집 사면 일단 거래세 밓 보유세 엄청나다. 돈 있는 사람은 이자도 없는데 그냥 5만원짜릭 금고에 보관하다가 자식한테 상속세 없이 넘기는 재테크될것 같지 않아요?
이구역 1
2020년 8월 15일 11:00울산에 연 초 4억 5천하던 아파트가 코로나 사태동안 몇천씩 오르더니 지금 6억 5천됐다... 놀랄 놀 자...
알뜰살뜰정궁핍 1
2020년 8월 07일 18:20집 사고싶다... 그냥 빌라도 괜찮고 협소주택도 좋으니 내 집 하나만 있었으면 ㅠㅠ
Seoulite2 1
2020년 8월 12일 08:172017~2018년까지 국내 금리니는 매우 올랐다. 서울 부동산도 매우 올랐다. 금리 유동성을 부동산하고 얘기하는 사람은 거르면 된다. 어떤 자산의 가치는 희소성이 결정한다
LisaLee 1
2020년 9월 30일 21:46대출규제를 그렇게해도 현금부자 많아서인지 신고가 경신하더이다 ㅠ
이지성 1
2020년 8월 16일 03:19미국이 금리 지속적으로 올리면 부동산 폭망
그러나 금리 못올림
Joey Kim
2020년 12월 30일 20:08아니 게스트를 초청해놓고 왜 패널들이 이리 설치며 나대지????? 나만 이상하게 느끼는건가? 게스트의 한마디 한마디도 모자랄 시간에 왜 패널들(특히 홍석천)이 끼어드는건지 난 이해가 안가네..
현우진 사생펜
2020년 8월 02일 23:35장동선 박사인줄...
최고요
2020년 8월 11일 01:24ㅋㅋ박홍기님 강의로 다 알고있다!
윤호지인
2020년 8월 12일 17:06환금성이좋은 주식이 500억있는 사람도 휴지조각이된다. 부동산 주식 전부다 분배해야합니다.
세종마스터리
2020년 8월 16일 22:44지극히 이론적인 기본적인 얘기뿐.지금 시장은 투자자뿐만아니라 실수요자들이 움직이는 시장인데.현장도 보셔야지 교수님 얘기만 들으면 나만 손해...
신나는 댕댕이
2020년 8월 06일 15:54수요 공급에서 매물로 나올 공급을 나라에서 줄여버리니까 부동산이 오르지.....
아이 쇼핑만 하다가 평생 아이 쇼핑 할수 있음.
평생 세입자로 사는거지....
사랑을위하여
2020년 9월 13일 13:39정부말 들으면 안된다고 한마디만
정부는 반대로 하니까
새콤이
2021년 1월 05일 14:55돈 있다고 자랑말고 돈 없다고 슬퍼말라는 말..... 진짜 사람일은 어떻게 될지 모르니 열심히 사는게 답인듯 하네요....
엑세라민
2021년 2월 22일 01:262030년에 사줄게
jae Judith k
2020년 9월 02일 17:13ㄷ
늘isolation
2020년 12월 11일 18:09그러니까 제가 궁금한건 왜 한국은 일본 처럼...거품이 꺼지질 않냐구요......ㅋㅋㅋ 대체 몇년? 아니 몇십년입니까? ㅋㅋㅋ 물론 터지지 않는게 좋죠.....한국은 왜 안터지냐구요...ㅋㅋㅋㅋ
병신만 보면 비웃는 댕댕
2020년 12월 04일 13:45주식이 환금성이 낮다고?? 거래량 낮은종목은 그렇지만 우량주같은경우에는 시장가 냅두면 거래되는데
흙수저
2020년 10월 09일 09:32통계의 불편한진실 부동산으로 돈번사람들이 애기를 낳고 그애기가 부동산을 삼...지금 집없는애들이 그사람들 투자하게 전세까라줌 당연히 애도 못낳고 그래서 출산율떨어짐 그런 전세까라주는애들은 외국에서 수입가능 그래서 인구감소는 부동산에 의미없다
이재우
2021년 2월 06일 22:46평균가격보다 중위가격 오르는 속도가 더 가파르더라구요 ltv기준을 9억 15억으로 정해버리니 죄다 9억 15억으로 돌진중.... 유동성때문이라기엔 집값 상승기조는 17년부터 있었는데 좀 납득이 잘 안가네요. 가장 큰 문제는 집값 자체보다는 전셋값 상승입니다. 임대차3법 쓰나미를 고스란히 맞아 실수요자들마저 비명을 지르게 되었네요. 공급이라도 착실히 했으면 부작용을 줄일 수 있었을텐데ㅎㅎ 주택보급률 100프로라며 떠들던 양반들이 이제 공급책 내놓는게 답답할 따름입니다. 지금도 재건축할때 일몰 연장해주고 당근책 내놓아도 결국 공공이라는 두 글자가 이슈를 다 삼키니 공급책도 현실성도 없어보이구요. 설사 공급이 제때 된다 하더라도 일시적으로 생기는 전세수요자들은 그냥 뒤지라는 정부정책이 한심할 따름입니다
햇살 가득한
2020년 10월 08일 16:47너무 기본적인 얘기다
핫딜남
2020년 9월 23일 20:41가장이 판단을 잘못 하면 가족이 고생한다~ 자산 가치 상승에 투자하라!!
Michael Ahn
2020년 8월 06일 05:07Selling price must be lower than the buying one like in Europe...
akyu choi
2020년 10월 11일 10:05수요와 공급을 생각합시다.
누구 원망하지 말고 준비하고 대응하기를
와베비와
2020년 8월 17일 01:03다아는 얘기를 지금에서야 말하는데 이런사람도 출연료 주고 부르는것도 신기하네요~~
알겠슘돠 tv
2020년 8월 20일 12:14와!대박!
신소연
2020년 9월 30일 11:30그래도. 사놓는게 유리하다
이건. 그냥 진리
슈랑카
2020년 8월 23일 06:46가계부채, 기업 수출 쇼크, 내수절벽, 실업급여 월 1조, 초저출산인 상황에 부동산 버블로 부동산 가격이 계속 오르게 만든 초저금리, 주력 수출이 남은게 반도체, 자동차인 시점에서 이것도 무너진다면, 빚으로 당분간 버티겠지만, 부동산이 트리거가 되서, 은행이 채무 회수를 못해 파산으로 가면, 금리를 올려도 한방에 훅 가는 걸 막은 방법을 찾아야 하는데, 너무 늦었다, 전에 IMF나 리먼처럼 몸으로 고생하는 수준과는 비교도 않되는 서민들의 고통이 안타깝다.
마카오리
2021년 6월 06일 17:31예측 실패.. 계속 오르고 있답니다
Su Lee
2020년 9월 27일 17:08대출은 마구해주고 금리도 낮추고....ㅉㅉㅉ
휘영청
2020년 11월 03일 13:50왜 서울만 가지고 난리죠? 다른 지방 도시들은?
국가경쟁력 10위 안쪽이고, 코로나 시대 세계에서 제일 잘 버티고 있고, 판데믹 이후 국가경쟁력 증가 추세 예측도 최상위이고,
현실과 기대가 최상인데 서울 집값이 떨어질리가 있나?
그리고 역대 서울 집값은 떨어진적이 없어요.
오름세의 차이만 있을 뿐...
급당락을 많이 했다.?.. 1에서 10까지 오른 후 2에서 4 정도 왔다 갔다하는 것을 집값이 떨어졌다고 할 수 있나?
서울만 보지 말고 다른 지방도 보세요.
죄사함예수님 십자가 보혈의 은혜로
2020년 9월 19일 16:54샬롬
한뼘실천가 (HandSpanner)
2020년 10월 02일 14:03답답
Pinglet
2020년 8월 17일 21:05패널 좀...
럭키자유소년
2020년 8월 18일 08:25아..
tmvmfpem chqh
2020년 8월 09일 22:02부채비율이 높다면서 부채비율이 얼마인지는 말하지 않네요.
과연 부채비율이 높은가요?
저 같은 경우에도 부채가 억단위지만 부채비율로 따지면 5%보다도 낮은데.
일반 법인에서 이러면 경영자는 주주한테 해고를 당하겠죠. 너무 너무 보수적인 자금운영이니.
물론 가정은 법인처럼 자금 회전을 할 수는 없지요. 그래서 자기자본 이익률도 낮은 편이고.
이분 아시는 것은 많고 해당 분야 전문가인지는 모르겠지만 여기서는 그냥 아무말 대잔치하다 가셨네요.
김무배
2020년 11월 07일 08:3730대 영끌이라는 단어는
사실상 좀 과장된게 있습니다.
지금 규제지역 대출금 어지간하면 40프로 미만이에요
그럼 5억짜리 아파트를 산다고 칩시다
5억에 40프로면 2억이죠?
그렇다면 취등록세,복비,이사비용 등등 내려면 최소 현금이 3억1천 이상은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돈을 열심히 모은 능력있는 30대 이거나
부모님에게 증여를 많이 받은 30대 입니다
전자에 있어서 능력이 있는 30대가 대출 이자도 못낼까요?
이런 잘못된 방송이 참 안타깝습니다.
영끌이라는 단어자체가 너무 과장되었습니다.
정확히 얘기하면 투기를한 투기꾼들이 문제가 생긴거죠
그리고 규제지역이 아닌 곳은 집 남아돕니다
집값 상승도 없구요
급하게 집 살필요도 없습니다.
공급이 남아도는데 집값 상승이 왜 있나요
규제지역은 오늘이 집값이 가장 쌀때 입니다.
30대가 넘볼수 있는 범위내에서는요
kkangchicken
2021년 9월 08일 00:45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ᄏ오잉
2020년 10월 01일 15:30저런 소리듣고 기다리다 망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