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현준 건축가의 도시진단 : 왜 외국에 비해 서울은 벤치가 없을까? | #미래수업 | #Diggle
tvN 인사이트 뉴노멀 강연쇼 미래수업 / tvN 월간 기획 Let's giggle, :Diggle! 방송국놈들이 덕질하는 채널 디글 구독하기! :Diggle ☞ http://bit.ly/2Urls34 기획/제작 도몽 ......
tvN 인사이트 뉴노멀 강연쇼 미래수업 / tvN 월간 기획 Let's giggle, :Diggle! 방송국놈들이 덕질하는 채널 디글 구독하기! :Diggle ☞ http://bit.ly/2Urls34 기획/제작 도몽 ......
Jay Kim 797
2020년 8월 10일 18:07쓰레기통.....다른거 다 떠나서 쓰레통이 없다
벤 참 686
2020년 8월 07일 14:03솔직히 벤치보다... 서울에 공원이 너무 적음.. 아파트만 너무 많고,,,
그놈의 아파트 투성이..
최승현 518
2020년 8월 02일 11:26내용은 좋은데 말 자르는 편집이 좀 그렇네요.
nellyny3535 404
2020년 8월 03일 13:10강남 한복판 걷다보면 잠깐 앉아서 쉴수있는 곳이 없더라고요 ㅠㅠ 유럽은 시내 구경하다가 다리아파 잠깐 앉을 수 있는 벤치가 많아 좋더라고요. 도시건축하시는분들 이 생각좀 해주셨음 해요
왕굵은나무 230
2020년 8월 02일 13:13택배 차 들어갈 수 있게 지하 주차장 높이 좀 어떻게 해줄 수 있으면 좋겠구만
TS 135
2020년 8월 02일 20:435:06 갑자기 말 짜르는 편집은...
승훈방 130
2020년 8월 02일 11:05편집이 왜이러냐
7학년1반,4씨방수업마음씨 말씨 솜씨 맵씨 95
2020년 8월 06일 20:03한국은 쓸데 없는곳에 벤치가 많고 정작 있어야 할곳은 없고 . 쓸데없이 도로를 팟다 뜯었다 갈아치우는 낭비가 어딜가도 보여요.
미대나온남자 84
2021년 3월 05일 13:427:20 썸네일 나옵니다. ㅋㅌ
친구가 없다보니 유튜브에서 재미있는걸 봐도 공유하고 공감할 사람이 없어서 댓글 자주 다는데 그때마다 댓글에다가 제목이나 썸네일 나오는 포인트 타임코드 적어주는 친절한분들 자주 봐서 저도 본받고자 댓글답니다. 여러분의 시간은 소중하니까요.
누들로드 83
2020년 8월 04일 23:45영상진짜 좋은데 인사이트 유튜브 관리자분 편집좀 신경좀 써주세요
여우네흥신소 78
2020년 8월 02일 18:20편집이 왜;;;; 기계가했나?^^;;;
Sun-ho Kwon 54
2020년 8월 03일 18:39서울은 익명성이나 개인적인 측면에선 큰 힘을 가진도시로 보입니다.
그래서 공간의 추억이나 다양한 직업이나 사람들의 교류나 소득수준에 따른 서로간의 교류측면에서 많이 아쉬운 도시인거같습니다.
살기는 좋지만 지내기는 잘모르겠네요.
자녀교육최경선 53
2020년 8월 10일 16:11높은 밀도와 시냅스로 경쟁력을 갖춘 도시를 가진 나라가 세계를 지배한다.
벤치가 많고 쉴만한 작은 공원도 함께 갖추는 것도 중요한 것 같아요. 유현준 교수님 강의 너무 좋네요~
작심백일 50
2020년 8월 02일 22:17중국에 살때는 곳곳에 공원이 있어서 삶이 뭔가 굉장히 여유롭다 라는 생각을 가졌는데, 한국에 와서는 혼자 조용히 여유롭게 근처에 가서 앉아있을만한 곳이 없다. 조깅을 할만한 공원도 너무 멀리있고ㅠ 그리고 작은공원이라도 모두 관리자가 있어 늦은 저녁시간에는 통제도 잘됐는데....개인적인 바램이지만 한국도 도심 속에 곳곳에 작더라도 공원을 더 많이 만들어줬음 좋겠네요🙏
따독다독 Stureading Korea 43
2020년 8월 02일 10:141. 도시와 인간관계 - 시냅스 형성
2. 최초 인구 백만도시 로마 : 밀도가 높은 나라
3. 온. 오프라인 시냅스 형성
4. 언택트 시대속 도시의 가능성
5. 위기속 빛을 발하는 서울
6. 서울속 공원, 벤치가 없는것 : 계층간 격차 이슈발생
코로나를 맞이하여 건축과 공간이라는 측면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해보는 기회였습니다.
서울이라는 도시가 강력한 대응체제를 갖출 수 있었던 것
그리고 원활히 극복할 수 있었던 힘에 대한 생각도 해보았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MiN 43
2020년 8월 02일 14:27근데 지하 물류 터널을 만드려면 그에 기반한 지반공사를 하다보면, 이미 지하철과 같은 지하로가 많은데, 만약 이를 피하려고 더 깊이 판다면 비용이 굉장히 많이 들것같네요
민뚜루 32
2020년 8월 04일 10:21좋은 영상을 편집이 말아먹네
cheokerpie 29
2020년 8월 02일 16:15음...물류시스템 땅굴이라...통일이 시급하구먼!!!
근데 서울에 벤치가 없는 이유는 노숙자 분들이
한몫하지 않나요? 있는 벤치도 눕기 불편하게
가운데에 턱을 만들어 놓은 이유만 봐도...
설레임 27
2020년 8월 03일 16:26지하에 매설된게 너무 많아서 그것까지 싹 다 재정비하려면 국가예산만으로는 부족할텐데...
I Do not know 23
2020년 8월 03일 09:44호주에서 10년이상 거주중인 사람입니다. 서울을 낙천적이고 긍정적인 부분만 조명하는거 같은데 오버롤 서울은 사람이 살기 좋은 도시가 아니란걸 제 인생의 임상으로 증명하고 있습니다. 뭔가 더 깊은 고찰이 필요합니다.
dingding 22
2020년 8월 02일 16:32가로수길에 차도를 없애면 훨 좋을것 같다.
Hoony H 20
2020년 8월 09일 11:48공원의 역할을 카페가 하니까 굳이 벤치가 필요없는거 잖음 저게 건축가의 눈으로 보고 도시를 얘기해서 그렇지 도시계획가의 눈으로 보면 입장이 달라짐
음악이필요한순간 19
2020년 8월 12일 17:06인구밀집 지역 .나라가 세계경쟁력을 갖게 된다는말은 과거에 그런거고 현실하고는 상관없다고봄
이춘길 18
2020년 8월 06일 12:29중간에 자꾸 감탄사 들어오는거 왜이리 거슬리지
와일드기스 17
2020년 8월 04일 12:38내용은 원방송을 보고싶은데 편집은 초등학생 방과후 교육받은 애들보다 못했네요.
GoToTheForest 16
2020년 8월 03일 11:34지하물류는 기존 지하철 시스템을 이용하면 좋겠네. 새벽에 이용하는...
Jaes재석 15
2020년 8월 03일 22:59서울은 문제 많은 도시가 맞습니다. 우선 도로 운전을 할때 주차를 해야 될때 인도안에 배치된 주차공간에 주차를 해야 되는데 이렇게 되면 인도와 차도의 개념이 사라집니다. 운송수단과 인간은 철저히 다른 개념을 두어야 하는데 강남만 가도 인도와 차도의 개념이 없어집니다. 우선 주차공간을 두어야 하는 이유는 주정차할시에 일반도로에 정차를 할수 없지만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이 원칙을 무시하고 뒷차를 무시하고 정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건 불법주차단속차량을 부르기 보다 도로에서 필요한 만큼을 떼어내서 주차 공간을 만드는게 맞습니다. 또한 공원문제 만큼은 매우 심각한 문제인데 미국 대도시의 공원들은 센트럴 파크만큼 큰 공원도 있지만 소규모의 공립공원들이 많습니다. 크기가 작은 만큼 주변 곳곳에 공원을 많이 지을 수 있다는 것이죠. 그러나 대부분 서울안에 공원들은 대규모로 짓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대규모 공원들의 문제점은 관리하기가 상당히 까다롭고 치안 문제를 많이 일으키게 됩니다. 최근 짓기 시작한 용산 공원도 과거 미군기지를 폐쇄해서 전 면적을 공원으로 조성하는 것인데 왜 주택 포화상태를 고려 안하고 공원을 만들겠다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용산기지가 총 합해서 80만 제곱키로미터인데 그 면적을 잘 활용해야지 전체 면적을 공원으로 만들겠다는 것은 도시가 포용하고 있는 문제들을 무시한채 공원만 만들 겠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공원들의 최고 문제점은 주거지역과 너무 멀리 짓고 상업 지역과 너무 가깝게 짓는 것입니다. 서울내 산이 차지하는 면적이 전국에서 3위쯤 됩니다. 이렇게 되면 큰 공원을 지어서 주거지역을 줄이는 건데 어떻게 아직까지도 주거 대책에 대한 정책은 재개발만 있는겁니까?
도시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선 도시 개발이라는게 필요한데 한국은 도시개발을 불법화 시키고 있습니다. 도시개발은 안전하고 살기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함이지만 그 어느 누구도 원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런걸 어떻게 해결해야 되는지 그 누구도 생각안하고 있다는게 답답할 따름 입니다.
Jessica Ahn 13
2020년 12월 29일 00:37이런 정도의 소통능력과 비젼 제시를 (그것도 증거를 대면서 하는) 할 수 있는 분이 나라를 이끌어 주시길... 🙏🎄🎄🎄
DFF A 13
2020년 8월 03일 16:44공짜로 머무르는 공간은
종교팔이들과 자선사업가들과 구걸꾼,
노숙자들과 무엇보다 흡연자들이
오기 싫은 공간으로 만듭니다. 동네 공원이나 편의점 벤치는 흡연자들이 전세낸듯이
눈치도 안보고 담배를 피워댑니다.
비흡연자는 잠시 쉬어가려던 걸 방해하는 것에 대해
별다른 항의는 하지 않지만 그게 매번 일어나면 짜증이 많이 나죠.
자리는 꽁초와 침뱉은 흔적이 남아 있고 그러다보면 다른 쓰레기도 유입되고..
나무아래 벤치는 새가 똥을 떨구고 더럽혀져 있고.
아무렇게나 개를 끌고 나오는 사람들때문에 공원의 공터는
사람이 피해다니기도 하고 축구골대라도 있으면 공차는 사람 때문에
공이날아올까, 공이 날아오면 주워달라는 통에 주변을 걷기도 번거롭죠.
공간이 제대로 만들어지는것도 중요하지만
사용하는 사람들이 공간을 제대로 사용하도록 관리가 잘 되어야 겠습니다.
이한승 12
2020년 8월 03일 01:11메소포타미아 지역 뭐 ㅋㅋㅋㅋㅋ 갑자기 넘어가
오서준 12
2020년 8월 07일 02:26삿포로의 오도리 공원이 코로나 시대 최적합이네. 알아서 섹터가 나눠져 있음. 날씨가 추운관계로 지하구간도 엄청 잘되어 있고
감자둥실 11
2020년 8월 12일 09:264:06 예! 아파트값 오른다~
Pdownb 11
2020년 8월 04일 15:01서울 부동산을 사야하는 이유가 여기서도 나오네.
이 영상에 있는 시스템 서울 아닌 곳에서는 ....
Soma Sin 10
2020년 8월 04일 22:45영상 핵심 : 서울 앞으로도 집값오른다. 빨리 사라 지금이 제일 싸다.
jang 9
2020년 8월 05일 14:34이미 도로 밑에 워낙 많은 것이 들어가 있어서
지하 화가 어렵지 않나요
이수업 9
2020년 8월 12일 18:44“지하 물류” 좋은 아이디어! 신규 건설보다 지하철라인 이용 방안 찾아보자!!
lee너굴맨 9
2020년 8월 03일 10:29ㅋㅋㅋ 땅값 오를 가능성에 환호하는거 보소
어디든 8
2020년 8월 13일 16:21모든 결과는 한 가지의 원인이 아닌 복합적인 원인이 서로 얽혀서 교수님께서 말하신 시냅스처럼 나오게 되는데 자꾸 어떤결과는 어떠한 원인때매 나왔다 하는 너무 단편적이고 일원적으로만 설명하시는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밀도가 높은 도시가 성공을 한다거나 전염병을 극복한 도시가 미래를 이끌어 간다 수많은 예외들이 존재합니다.
geesun U 8
2020년 8월 13일 16:02그러니까 과천잔디광장에 시멘트아파트 안된다는 겁니다 전 시민의 쉼터이자 힐링장소입니다요
유현준 교수님
의견 보태주세요 정말 절실합니다
김채윤 8
2020년 8월 12일 00:41벤츠는 글쎄요 꼭 있었음 하는 곳엔 막상 없구 있는곳은 갈곳 없는 노인들,독거 아저씨들이 종일 자리차지하거나 이러니 뭐
김경민 7
2020년 8월 12일 12:13은행에 앉아있는 사람이 어디있어....
요즘은행은 다 2층 가있는데
석천이 할아버지 은행 밖에 나가신지 10년은 넘으셨나보네.....
조금성 7
2020년 8월 03일 08:43서울의 과밀화 그것도 한두배이지. 5배를 넘는지 오래. 공원 있어요. 가 있어야 같이할 사람은 당연 없어요. 이 정도의 도시를 잘하고 있고 아파트값으로 소득격차 사람만의 격차 이미 다 헤어진다 오래. 모으려 해도 불가하지요. 방법은 밀도를 당연 줄여야 지요. 조금만 있으면. 자살률 높아져요. 실험실에서 본 상황.
션미스터 7
2020년 8월 10일 11:47만약 코로나19가 공기 자체를 매개로 하는 전염병이라고 한다면..서울공화국의 아파트는 하루 아침에 공멸의 벌집(벌집엔 전염병이 돌면 그 벌통과 교류하는 벌통 모두 벌들은 전멸해)이 되었을거여..시놉스가 쌓여서 코로나를 이겨냈다?어리석음의 끝판왕이여
hyunjoo lee 6
2020년 8월 06일 16:34진짜 벤치랑.. 무료로 있을 수 있는 공간이 서울에 늘어났음 좋겠다. 시민들이 공간을 돈주고 사야만 하는 카페, 스터디룸 등 유료공간만 엄청 발달한듯
난 커피를 먹기싫어도 공간이 필요해 카페를 가야만하는
장옥재 6
2020년 8월 04일 22:40좋은 말씀 많이 공감하지만... 생각해봐야 하는 부분은.
새로운 도시 시스템이 코로나 시대를 이겨나갈 가장 큰 무기로 강조하시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앞에서 고도화 도시로 언급된 뉴욕과 서울을 비교했을 코로나 숫자는 서울이 현저하게 작습니다. 이는 같은 시스템을 사용하더라도 더 민주적으로 교육된 우리 국민들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 아닐까요?
그리고 우리의 발달된 물류시스템을 이야기 하셨는데 그 물류 시스템을 가능하게 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우리가 자는 중에도 물류창고에서 일하시고 새벽에 배달하시는 쿠팡맨이 계시기에 그 시스템이 움직일 수 있는 것입니다.
결론은 새로운 도시 시스템도 좋지만 그 시스템을 운영하고 사용하는 사람의 수준도 그만큼 중요합니다. 너무 도시시스템으로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처럼 환상을 주는 것 같습니다.
Seog kyu Choi 6
2020년 8월 10일 18:40동의 할수 없습니다. 건축학에 구겨 넣으셨네요.인구 밀도가 높다고 유리하다고 편집 되어 있네요.
강원도감자 • 13년 전 6
2020년 8월 02일 18:57편집 왜이래
Goodale Arch 5
2020년 8월 09일 08:26“Good City Making” requires wisdom, knowledge, justice as well as sociology. Combining them naturally is philosophy. Logic is the foundation of philosophy where illogicality holds the base of Christianity. The current odd (odd, because in most developed countries Christianity is regarded as archaic) phenomenon, increased Christians, in Korean society is deaf to enlightened voices of its thinkers like Mr. Yu. They, frogs in the well, are afraid of themselves becoming marginalized. Without acknowledging “differences” there cannot be progress toward healthy development.
Beesgarden 5
2020년 8월 07일 01:13벤치가 없는건 노숙자 방지차원에서 그런거겠죠. 노숙자가 올까봐 벤치를 안만들고, 사람들이 휴지를 버릴까봐 쓰레기통을 없애고. 요즘 나오는 벤치들은 사람이 눕지 못하도록 아예 벤치 중간에 팔걸이도 뭣도 아닌 철구조물을 박아서 몰록 올라오게 했더군요.
terrifictnr 5
2020년 8월 05일 03:23정말 올려주셔서 감사한데...
편집 하지 마세요!
똥손이세요
김하늬 4
2020년 8월 10일 18:38교수님 강의력 엄지 척!
liIlIIIl lIIlilI 4
2020년 8월 05일 02:39벤치도 그렇고 쓰레기통이나 좀 배치좀해라
이리 4
2020년 8월 12일 23:415:51 저게 가능할려면 지진에 타격 1도 안받는 건축기술이 있으면 나오겠네
artistek 4
2021년 1월 09일 00:56이분 앞을내다보시는 똑똑하신분이네...
mh j 3
2020년 8월 02일 15:37내용이 너무 좋네요.......미래에 대해 잠시라도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갖게 되어서 기쁩니다!
달콤캔디 3
2020년 8월 08일 01:32순간 잘못 눌렀나했네 ..
편집하다 졸았나?
Nate Hoon 3
2021년 2월 27일 04:08진짜 벤치가 문제가 아니라 쓰레기통이 없어요!!! 버스정류장에 쓰레기더미, 화단에 음료수병들...
아니 왜 도대체 왜 쓰레기통이 없나요?
제발 제발 쓰레기통 설치해주세요.
한국가는게 걱정될 정도입니다.
만듀 3
2021년 7월 31일 14:28걷다가 갑자기 속이 안좋아져서 쉬려고 했는데 벤치가 없어서 주저앉았던적있음..평소에는 몰랐는데 몸이 안좋아보니까 확 체감하게 됨 ㅠ벤치 좀 만들어주세요...
이수민 3
2021년 3월 01일 21:58벤치랑 공원 너무 공감이다
Meko Park 3
2020년 8월 14일 13:08도로에 벤치를 놓기엔 좁은 도로들이 너무 많지. 울나라 개발당시에 너무 무계획했음. 어짜피 안쓰는 필지도 많았을텐데 좀 더 널널하게 기준을 정했으면 쓰기 좋았을것을. 지금와선 도로에다 더 무언가를 만드는거보단 차라리 길가에 있는 부지들을 띄엄띄엄 매입해서 소형 공원을 만드는게 낫다고 봄. 고층이나 아파트단지들한테 공유면적도 요구하고. 건축가라 그런가 명박이처럼 먼가 조단위의 공사들만 논하는데 영상에서 다루는 주제는 굳이 그렇게 비싼돈과 규모를 들여야 해결되는 문제가 아님.
냉면냉면 2
2020년 8월 05일 12:26편집 누가했냐
Monica Lee 2
2020년 8월 08일 12:50미국도 없어요 홈리스 누워서 잘까봐 그런 것 같아요
Xi스페이스 2
2021년 3월 02일 17:29외국에 비해 날씨좋은날이 너무 없지 대부분 춥고 더운데
정재현 2
2020년 12월 15일 19:27살아남지 못했어요ㅠㅠ
Monica Lee 2
2020년 8월 08일 12:50미국도 없어요 홈리스 누워서 잘까봐 그런 것 같아요
Kate 2
2020년 10월 08일 18:11커피숍이 이렇게 많아진 이유도 거리에 앉아서 얘기할데가 너무 없어서. 공원은 말할것도 없고. 그리고 길거리 쓰레기통 외관상 안좋다고 치웠다고 하는데, 길거리에 쓰레기가 넘쳐나니 오히려 외관상 더 안좋음
J L 2
2021년 1월 04일 19:48인구밀도가 높으니 그렇지 ㅋㅋㅋㅋㅋ아파트밖에
꿀생강차 2
2021년 2월 04일 12:26지하물류터널은 좋긴한데 잘만들어야 좋징...지금 지하터널도로 뚫을때 위에있는 집 주변 수자원 계산잘안하고 뚫어버려서 아파트랑 건물에 금가고 지형내려앉고 그런곳이 많음....고려할게 참 많은 미래의 얘기...
nosang2002 2
2020년 8월 23일 16:43슈발 근데....교회라는... 테러집단이 복병
Young Min Kim 2
2020년 8월 10일 16:00그래서 서울에 벤치가 적은 이유가 뭔가요?
도너리 2
2020년 8월 04일 12:05지금부터 시작해서 50년후 쯤 가시적인 모습이 드러나겠네요. 허탈 ㅋㅋ
얼빙 2
2020년 8월 04일 01:46중간에 편집이 있네
꿈과미로 2
2020년 8월 05일 19:39원본을 보고싶게 만드는 영상이네요. 잘 봤습니다.
조희성 2
2020년 8월 06일 10:08집값 오른다고 정부는 수도이전 한다는데...
Cccc 2
2021년 3월 10일 03:27대학교 다닐땐 다같이 추억을 공유할 수 있는 여러 공간들이 있어서 좋았던 거 같다. 물론 비싼 등록금으로..
그린&블루 1
2020년 8월 04일 14:48ㄴㄴ돈없으면 편의점감 결국 편의점도 의자 사자짐
벼랑 위의 배뇨 1
2021년 2월 26일 19:24다니엘 완전 네이티브네
00 0 1
2020년 8월 10일 13:16서울 어느 "고층아파트 구조" 뉴스보도 내용 생각난다.
30층~32층...고층아파트인데, 12층인가 18층까지만 엘리베이터가 갈 수 밖에 없다고...
그 위층들은 다른 엘레베이터로 올라 간다고 하더라~
그래서 화재시 진입문제와 계층간에 간극을 유발하는 아파트 구조라고...
롯데타워에 고층에는 주거용으로 나와 있다는 사실도 그렇고,
점점 계층과의 계층으로 나누어지는 듯~
이런마스크 1
2021년 1월 30일 05:48딱 건축가 입장에서의 시선
Andrea Thorem 1
2021년 2월 02일 10:59미래에서 왔습니다! 서울은 3차 대유행으로 초토화 됐습니다 ㅠㅠ
zero zero 1
2020년 8월 20일 00:59서울에는 더많은 공원이 필요하다~~!
Serenin 1
2020년 8월 16일 22:30하.. 집값 더오르겠네...
쩡 1
2020년 8월 14일 10:30난 센트럴 파크 보다 브라이언 파크에 자주 갔었는데 ~ 오랜만에 뉴욕 이야기 나오니 뭔가 그립네 ㅠ
김강민 1
2021년 7월 24일 21:44저는 선형공원이 되게 인상깊네요..
근데 공원옆에 건물들 서있는게 약간 공원이 군계일학같기도하고..ㅋㅋ
ᄌᄉ 1
2021년 3월 03일 16:16길거리보면 노인들이 걷다가 지쳐서 앉아서 쉬어가야하는데 벤치가 없음 그냥 없는 게 아니라 벤치 놓을 인도 공간도 부족함 걷는 사람을 위한 공간도 충분히 제공되지 않음
박순천 1
2021년 3월 24일 07:04벤치, 공원의 수 .. 안타까운 현실
우리
더불어 살아갑시다..!
김민규 1
2021년 1월 13일 00:29지금와서 보니 너무 국뽕;;;
말랑콩떡 1
2020년 12월 03일 17:55공원vs 주차장 경쟁구도에서 주차장이 거의 항상 이기니까 그렇지,,, ㅠㅠ 도시에 인간 너모 마너
cw LEE 1
2020년 8월 04일 13:30편집이 ㅋㅋㅋㅋ
what happened? 1
2020년 8월 29일 15:00있어도 안 앉아
덥고 추운 나라인데 누가 벤치에 앉아
카페 실내로 가지
이겨울빛 1
2020년 8월 06일 20:00어차피 신인류 시대로 돌입할 시기에 새로운 산업시대 로 갑시다 .
C 1
2020년 8월 28일 18:34뇌피셜의 대가
ziho zeon 1
2020년 8월 05일 00:27배울 게 많다. 모티베이션도 많고. 이런 거 좋다.
홍차 1
2020년 12월 12일 11:21코로나 시대 생존?
삐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
하근선 1
2021년 11월 07일 19:41유현준 선생님
오늘 티비 방송 정말
감명 깊게 시청 잘 했습니다
늘 앞날에 승승장구
하시길 기원합니다
유라래 1
2020년 8월 06일 20:09나 벤치래서 운동기구 말하는 건줄 알았넹
인간실격 1
2020년 12월 04일 15:10편집이....ㅜㅜ
Keren H LEE 1
2021년 10월 02일 20:05공원과 벤치가 많이 있으면 좋긴한데 어차피 일년중에 밖에 앉아있기 좋을정도로 날씨가 쾌적한날이 얼마 없어서 실내커피숍은 자주 들어가게 될것같아요
s a 1
2021년 1월 08일 08:37방역 때문이라기 보다는 비대면에 최적화된 도시라는거죠. 아파트 엘리베이터와 와이파이로 비대면 배달이 가능하니까
RGI - 1
2020년 9월 16일 15:37진짜 좀 바뀌자 제발...
솔직히 이번 코로나 사태가 정체되어 있는 우리나라에 큰 변화를 가지고 올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함
유현주 교수님 말대로 변화하면
현재 극심해지고 있는 남녀갈등 빈부격차 등 해결 가능하다고 본다
변화를 두려워 하지 말자
김지석 1
2021년 1월 06일 09:16벤치 있어도 앉는 사람이 없잖아ㅠㅠㅠㅠ
신기림 1
2020년 8월 14일 13:44교수님 너무 기대됩니다.
전주남자 1
2021년 1월 07일 15:54서울은 공원이 거의 없음 다 아파트임
데프콘 1
2020년 8월 15일 10:44유현준 교수의 목소리톤 너그러운 표정 너무 좋다. 저런 사람이고 싶다
김성우 1
2021년 1월 23일 03:12밖에 나가면 쉴 곳 없는 거 핵공감
마카롱맛있네
2021년 3월 10일 09:34영상 중간에 편집실수인가 ? 이상한 부분 있는데 ㅡ,.ㅡ
yoon gj
2020년 8월 06일 14:39내가 알기로는 요즘 조성하는 대 단위 단지의 아파트는 아파트 외곽에 공원을 조성해서 앉을 곳과 약간의 나무를 심어 조성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아는데 아닌가요?
World Hola
2021년 2월 21일 23:07보다가 갑자기 생각난 아이디언데,
택배배달을 이젠 그냥 1층에서 택배용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있어서
물품을 집어 넣고 번호만 누르면 문 앞으로 가져다주면 배달하는데에 너무 편할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dlight
2021년 11월 06일 20:41왜 건축에서 공공성이 중요한 키포인트인지 조금 감이 오네요
Name Castle
2021년 1월 23일 22:529:58 왜 굳이 막아야하나??
#취미 만드는 중
2021년 1월 15일 08:16는 서울 코로나 터짐
Best Picture
2022년 6월 16일 23:53서울 정말 넓고 볼 곳도 많은 데, 앉을 벤치가 없어서 반나절을 걸어다녔던 경험이 있네요ㅠㅠㅠㅋㅋㅋ
ss ss
2021년 3월 09일 10:43뭔 생각으로 영상을 이렇게 잘라 붙였지
양씨
2021년 1월 22일 22:02일본 지진나면 물류 다 막히겟누ㅋㅋ
아나어기
2020년 10월 12일 18:00발코니 좋치요
람쥐
2021년 3월 19일 17:48사람이 걸어다닐만한 길이 넓어지고 벤치도 많아지면 딱 좋을것만 샅은데
zorba grc
2020년 12월 11일 20:22뭐랄까. 이런 교육위주 방송들 좋은데 연예인들 반응이 좀 몇몇 이질적이랄까.
이지원
2021년 1월 29일 03:06하지만 결국 건축을 하는 시공사들과 그들에게 돈을 대는 상류층 사람들, 혹은 기업들은 개인의 격차가 좁혀지고 같은 공간안에 있는걸 싫어하기 때문에 점점 더 같은 하늘아래 완전히 다른 삶과 경험을 하고 교류가 끊기게 설계되어지는거 같아요. 같은 아파트단지안에서도 임대동 분양동, 더 가면 한 아파트 동에서 임대층과 분양층을 나누어서 입구나 엘레베이터 자체를 따로쓰게 하고 학교나 학원에서도 학생이 학부모의 주거지로 차별이나 따돌림같은일들이 일어나는 세상이니...ㅠㅠ 자본주의사회니까 가진자가 그만큼 더 누려야하고 차이가 나야 한다는말에 깨끗하고 명확하게 반박을 하지못하겠지만 모두가 더 나아지고 잘살아지는 세상에서 살고싶네요.
꿀생강차
2021년 2월 04일 12:18인구수가 천만이 넘는데 확진자수가 그정도인거보면....참 대단하긴하지...
T.H kil
2021년 1월 04일 22:17왜 서울에 밴치가 업다니까 우리동내에 밴치들이 생길까
왕세자 입학도 덕후
2020년 12월 09일 08:031:06 정확히 말하면 17세기 소빙하기 이후부터 단층건물이 보편화된다.
김동욱
2021년 2월 06일 11:45헬조선이라서 흔하디 흔한 벤치도 없다. 수준봐라
서연
2021년 7월 24일 19:56시대가 변하면서 여러가지에 건축이 발달되고 그중 전염병으로 부터 멀어질수 있는 건축도 발달이 되고 있다는 점
칼슘우유
2021년 2월 05일 13:06대한민국은 코로나로 인해 강대국이 될수있다
bj c
2021년 1월 16일 07:33언택트시대 배달에따른 쓰레기문제도 다뤄야한다
우상향
2020년 8월 23일 16:02저기 나오신 분들 홍분이나 외국분의 사상도 대단하세요. 존경합니다.
NLS
2020년 8월 17일 05:19서울이 세계 에서 살기 좋은 도시다, 그리고 세계의 중심이다. = 땅값이 미친듯이 비싸지고, 빈부격차가 발생하면서 서울에 살고 있는 사람은 경기로도 빠지면서 경기도 = 땅값 상승 = 경기도 에 살고 있던 사람들중에서 여유 있는 사람들은 바다 나 더 약간더 시골쪽으로 빠지면서 부자 도시 생성.
홀그레인
2021년 9월 05일 15:3109:20 카페에 들어가는 가는 이유는 공간의 안정성도 포함된다. 전혀 알지도 못하는 사람들(걸인, 종교인, 판매업자)을 접할 확률을 줄이고자 가는 것도 포함된다. 특히나 걸인에 대한 문제는 사회전체적인 문제로 귀속된다.
이종건
2020년 8월 04일 02:26언제 찍은 영상인가요?지금 하는 얘기들 다 뚫렸는데;;
변상규
2020년 8월 08일 22:43왜 외국에 비해 벤치가 없을까? 편!
대한민국은 영토 면적이 좁은 나라이고,현제는 남,북이 분단 되어 있다.
미래 도시 공학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다각도의 전문적 의견 수렴 과정이 있어야 한다.
지하,지상, 고도성,환경,편리,첨단화된 도시 시스템, 무엇 보다도 인간의 삶의 공간에 대한 문화성을 도시에 넣어야 한다.
결국 시대의 변동성을 낳은 주체는 누구이며, 누가 그러한 시,공간의 공간 건축을 시현하고,살것인가가? 매우 중요하다.
흔히들 결혼을 하면, 주로 직업과 가정의 기능으로 수렴된 일상생활을 한다.
가정의 가정 문화의 소프트 파워에 대한 고민이 덜 된것이 과거 세대들이다.
가족의 구성원들이 서로간의 협력과 자신의 욕구 그리고 가족의 문화가 이끌어내는 신뢰,믿음,사랑, 협력.행복,평화,기타 등등의 가족 문화 소프트파워가 필요하다.
도시공학은 외형적, 기술적 문제를 시대 변동에 따른 변화를 차원 높게 시스템화 시킬 필요가 있다.
문제는 인간의 삶의 공간에 대한 문화적 소프트웨어를 만들고 살아가는 면에 대한 도시 문화 소프트웨어를 창조할 필요가 있다.
도시화에 대한 문제가 자본주의의 단점으로만 치부되는 사고인식을 수정할 필요가 있고, 더 전문화,고도화,첨단화,도시 환경 시스템화 와 함께 도시 문화 소프트웨어 창조가 필요하다.
본명 변상규 도인임 1973년생
다각도의 전문화,창조된 사고 인식에 대한 의견 수렴들이 필요하다.
땅이 작으면 높혀야 하는 필요적 사항이다.
국제화된 한반도 통일을 목표로 한다면, 인구의 확장과 도시 공학 기술의 세계적 도움을 얻어야 할 것이다.
전경배
2020년 8월 04일 11:01땅이 좁아서
tvN 인사이트
2020년 9월 07일 17:059월의 #미래수업
(5회) "코로나가 쏘아올린 돈" - 9.15 (화) 저녁 7시 45분
(6회) "코로나 이후, 알파 세대의 미래는?" - 9.22 (화) 저녁 7시 45분
온다효
2021년 9월 26일 02:03모두가 살고 싶은 나라... 부자만 살수 있는 나라...
발전할수록 오히려 피곤한 삶...
과학의 발전이 인간성 인류애의 퇴보를 이끄는 문제도 다뤄 주셨으면 합니다
보헤미안
2021년 2월 16일 20:11서울만큼 밀도 높은 도쿄 뉴욕등. 다들 코로나에 속수 무책이었는데 방역에 관해 발빠르게 대처한 정부의 절대적 노력과 공을 무시할수 없다고 상각함
루네
2020년 11월 29일 18:38나름 사람 많은 도시인데 인구에 대비해서 공공도서관 공원이 너무 적은데다가 규모가 작아요 지방이라서 그런가
SU-IN HWANG
2020년 8월 13일 23:30멋지네요!
--
2020년 8월 04일 01:13메소포타미아가 어쨌는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