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은. 인건비가 비싼 유럽들 독일 등 더 이상 제조업 공장들에 투자 하기싫지. 친환경 타령하고 에너지값 폭등시키고. . 노동자는 돈만 더 달라하고. 한국이 지금 저수순. 미국은 그나마 모든게 지급자족 첨단산업 등등 버티니 살아남는거고. 정치인들은 뒤로 댓가 받고 중국으로 기업들 다 옮기고 시장 다 내주고
독일과 우리의 차이는 에너지수입의 다원화가 되어 있다는 점, 다른 한가지는 변화에 대한 민감성이 다르다는 점이죠. 이 두가지의 다른점 때문에 독일처럼 되지를 않을 것이라 봅니다. 단적인 에시가 공장자동화율에서 우리는 독일보다 2.9배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죠. 이것은 무인가게나 무인카페 같은 것들은 빼놓고 나온 수치란 점이죠. 변화에 대처하는 속도면에서도 독일보다 훨씬 빠른 대응이 가능할 것이란 점이죠. 문제는 관련 제도에 대한 법률을 마련해야 하는데, 변화된 모습이 없다는 점에서 우려스럽죠. 거기다 에너지 정책면에서도 독일의 탈원전 정책은 실패한 것이죠. 재생에너지만으로 미래의 전기소비를 담당할 수 없다는 점이죠 이점은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죠. 미래에 다가올 가장 큰 전력소모처는 전기자동차일 겁니다. 우리나라의 자동차 댓수가 2천2백만대가 넘습니다. 이게 전부 전기자동차로 대체되었을 때, 전력소비량이 어느정도가 될까요? 이것을 대체에너지로 충당할 수 있을까요? 나는 절대 아니라고 단 언할 수 있습니다. 약간의 가능성은 수소관련 산업에서 찾을 수 있겠지만, 아직은 뚜렷한 성과가 없는 실정이죠. 우리와 독일이 비슷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지만, 문제를 해결하려는 방식에서 독일 보다 우리가 좀 더 유연하다고 생 각됩니다.
@이똘끼-k8g 14
2025년 11월 12일 18:28쉽게 말해서
벤츠 생각해바라
벤츠가 지금 독인벤츠냐?
중국차지 ㅋㅋㅋ
@sanghokim9239 14
2025년 11월 12일 18:06그래서 우리나라 제조업의 돌파구가 AI와 결합하려는 것임.
그거 안하면 중국에게 다 뺕김.
@tlstkdvk 12
2025년 11월 12일 17:341. 원자력을 포기한 것이 실수. 2. 러시아의 값싼 석유와 천연가스로 꿀 빨다가 사용 못하게 됨. 3. 최대 매출처인 중국경제도 나락으로 가는 중 4. 중국 전기차 BYD 등과 경쟁도 안됨.
@ToTheMoon777 10
2025년 11월 12일 17:42중국하고 엮이면 좋은 일이 단 1도 없음을 다시금 증명
@마르첼로 8
2025년 11월 12일 17:54망할짓한거지
@user-gkso2vyiv124u 7
2025년 11월 12일 18:48친중하면. 무조건. 망한다
@stranger-windcloud 7
2025년 11월 12일 17:30제조업기술을 넘겨준 선진국들의 발등의 불😅
@꿈구는제임스 6
2025년 11월 12일 18:26우리도 독일 친환경 따라한다고 원자력 산업종말 시킬려고 했잖아….
@tv-pi4ee 6
2025년 11월 12일 17:48기업들은. 인건비가 비싼 유럽들 독일 등 더 이상 제조업 공장들에 투자 하기싫지. 친환경 타령하고 에너지값 폭등시키고. . 노동자는 돈만 더 달라하고. 한국이 지금 저수순. 미국은 그나마 모든게 지급자족 첨단산업 등등 버티니 살아남는거고. 정치인들은 뒤로 댓가 받고 중국으로 기업들 다 옮기고 시장 다 내주고
@user-u3e3kx5m6pg 5
2025년 11월 12일 18:1521세기에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판도라 상자보다 더 고약한 상자가 있는데 그것은 미국의 키신저와 닉슨이 겁도없이 열어제친 중국상자이다. 그 결과 지금 세계는 지옥으로 향하고 있다.
@영숙윤-c1v 5
2025년 11월 12일 17:35독일 걱정 할때인가요 ? 우리나라가 죄명이 하나 때문에 무너지고 있네요 !
@김정식-g8s 4
2025년 11월 12일 18:58독일 하면 칼이나 전자제품과 자동차도 전세계적으로 유명했는데, 이제는 중국의 완전히 속국으로 전락했다.
@OxygenSpace 4
2025년 11월 12일 18:43자주 보던 사이트였는 데 어느 순간 BYD가 혁신적인 제품인 마냥 은근슬쩍 올려치기하네.
지난번엔 포르쉐랑 BYD를 비교하더니만.
@CH신사임당 3
2025년 11월 12일 10:32💛 아침 공복 한 포면 충분!
레몬즙 + 올리브오일로 속은 편하게, 하루는 상쾌하게 🍋
🍋 신사임당 × 스윗레몬올리브 듀얼샷
🔥 블랙프라이데이 한정 초특가 🎉
📦 3박스 (42포) 98,700원 → 54,200원
📦 5박스 (70포) 164,500원 → 80,600원
📦 9박스 (126포) 296,100원 → 139,000원
📦 15박스 (210포) 493,500원 → 222,000원
🚚 지금 구매 시 배송비 무료
⏰ 재고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습니다!
👉 신사임당 구독자 전용 혜택 바로가기
https://instashop.srookpay.com/richae5/Detail/SRI64930035
@관주이-b8p 3
2025년 11월 12일 18:13지난삼년 우린뼈아프게 반성하고
지금 새로운산업육성 ai접목 로봇
그리고 전자 반도체 문화 조선 방위산업에 중국이라는리스크는
대비한지 십여년 삼성 엘지 현대등
모든대기업의 중국시장점유율은
제로된지 오래인대다 외국인근로자도
산업연수생위주로 받고있어서 독일보단 훨씬나은조건
@어쩌라고쫌-r2z 3
2025년 11월 12일 17:35우리나라가 중국 수출 비중이 높다 하는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중국으로 수출 하는 것들의 70%가 중국에서 완제품이 되서 미국으로 수출이 됩니다
@새드리랑 3
2025년 11월 12일 17:30먼 개소리야.그게 친환경탓이냐?
무슨 의도냐?
@와우-z7w 2
2025년 11월 12일 17:53우리나라는 개나 소나 유투브가 직업이죠.
나라 부강에 도움되나여?
@별별-t5f 1
2025년 11월 12일 19:161찍들은 이런거 몰라요 에휴
@아린플레이저 1
2025년 11월 12일 19:25메르켈의 스노우볼 ㅋㅋㅋ
@푸른낙엽-n7v 1
2025년 11월 12일 18:22예전에 독일에서 디젤엔진 배기량 조작한 것 기억하냐?
그 다음에 , 전기차에서 또 못따라갔지...
위의 사례를 보면, 모두 환경주의자에 의해서 독일이 무너진 것이지 ㅎㅎㅎ
@내가만약-i2r 1
2025년 11월 12일 18:43우리나라도 러시아산 가스에 빨대 좀 뽑아보자.
@bier2136
2025년 11월 12일 19:48앙겔라가 싸 놓은 덩~ 그럼에도 영국과 프랑스 보다는....
@BJC-g7y7u
2025년 11월 12일 18:10트
황이 얘기했듯 환경규제로 중공을 압도하려다 엎어치기 당하고도 미련을 못버린 독일의 몰락 과정이 우습네요 😂
@Etricer
2025년 11월 12일 17:534차산업 육성, 신성장동력 산업분야 확대, 무역 상대국 확대 등으로 경제성장환경 대개혁[남방정책 확대강화로 동남아, 남미국가들과 fta 체결 추진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 강화로 에너지 자급률 제고 : 끝내 우리는 방법을 찾을 것이다. 늘 그랬듯이.
@cykim-ii3vq
2025년 11월 12일 19:44지도에 동해를 sea japan? 뭐꼬? 당장 삭제하시오!
@cycle-s9y
2025년 11월 12일 19:03독일 러시아 ㅋㅋ 중공에 돼지도살 당한그임~
@kmkj5281
2025년 11월 12일 18:07????뭔얘긴지 모르겠네 얼마전 독일이 일본을제쳣다는 뉴스???를본것같은데 일본이 더 안좋다는거야 그건 아닌것같은데???
@김흑점-j8f
2025년 11월 12일 19:54햐..짜장..
@kui-dolechoi3419
2025년 11월 12일 19:37독일과 우리의 차이는 에너지수입의 다원화가 되어 있다는 점, 다른 한가지는 변화에 대한 민감성이 다르다는 점이죠.
이 두가지의 다른점 때문에 독일처럼 되지를 않을 것이라 봅니다. 단적인 에시가 공장자동화율에서 우리는 독일보다
2.9배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죠. 이것은 무인가게나 무인카페 같은 것들은 빼놓고 나온 수치란 점이죠. 변화에
대처하는 속도면에서도 독일보다 훨씬 빠른 대응이 가능할 것이란 점이죠. 문제는 관련 제도에 대한 법률을 마련해야
하는데, 변화된 모습이 없다는 점에서 우려스럽죠. 거기다 에너지 정책면에서도 독일의 탈원전 정책은 실패한 것이죠.
재생에너지만으로 미래의 전기소비를 담당할 수 없다는 점이죠 이점은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죠. 미래에 다가올 가장
큰 전력소모처는 전기자동차일 겁니다. 우리나라의 자동차 댓수가 2천2백만대가 넘습니다. 이게 전부 전기자동차로
대체되었을 때, 전력소비량이 어느정도가 될까요? 이것을 대체에너지로 충당할 수 있을까요? 나는 절대 아니라고 단
언할 수 있습니다. 약간의 가능성은 수소관련 산업에서 찾을 수 있겠지만, 아직은 뚜렷한 성과가 없는 실정이죠.
우리와 독일이 비슷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지만, 문제를 해결하려는 방식에서 독일 보다 우리가 좀 더 유연하다고 생
각됩니다.
@대동방국1
2025년 11월 12일 19:48친중질하던 독일 자동차 산업의 결과지. 친중질하면 진짜 나라 망한다. 한국도 중공하고는 절대 거리를 두어야 한다. 독일은 조만간 3류 국가로 전락할거다. 유럽은 지는 대륙이다.
@Silly_Author-d5w
2025년 11월 12일 19:56독일 잘나갈 때 독일의 선진 정책을 배워야한다던 그 많은 다큐 다 어디갔나 모르것네... 그냥 빨대가 좋은거였음.
@kbjswt
2025년 11월 12일 19:14독일의 쇠락은 디지털화에서 뒤쳐진 결과입니다. 우리는 이지점에서 독일과는 다릅니다.
우리는 디지털에서 출발해서 ai를 바탕으로 산업을 재편하고 있는중 입니다. 우리의 내일은 여기에 달려있습니다.
@도반-e7t
2025년 11월 12일 18:42일본해 지도 사용 사과는 언제쯤 하실 예정인지
우선이 사과로 봅니다
아니면
배짱?
@최고존엄김현지-d2o
2025년 11월 12일 19:28누굴 걱정해.. 대통령이 중국팬클럽 회장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