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13 '영원히 이길 수 없는 사람(조직)(사회)가 되는 방법 사회적 명예, 고정관념들을 내려 놓고 유연하게 '시도'하는 사람은 '실패 기반 학습'을 통해 이길 수 없는 사람으로 변모한다. 이 하찮은 '시도'는 대단한 결과로 가는 '새로운 기회'를 마련하는 확실한 key!! 대표님 강의 잘 들었고 지난번 회사에서 강의 듣고 새로운 기회를 계속 발견하고 있습니다. 또 한번 기회되길 바라며... GS25 오만원 쿠폰 👍 관계자 올림^^
21:46 one more mile. 머리가 나쁘면 몸이 고생한다는 우리 나라 속담이 반영하듯, 한 번 더 움직이고 시도하는 사람이 결과로 증명하기 전까지 우습게 보는 시선이 존재하는 건 사실인 것 같아요. 회사에서 심리적 안전감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며, 여러 번 실험을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저 또한 입을 조심하게 된 것 같습니다. 하지만, 오늘 이야기가.. 다시 한 번 머리를 깨주시는 것에 용기를 받고! 다시 힘 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도 멋진 강연 감사합니다!
@sebasi15 5
2025년 11월 21일 18:05[책이벤트] 여러분만의 One more mile 어떤 한 발짝을 내딛으실 건가요? 오늘 영상에서 인상깊었던 부분의 내용과 타임코드를 남겨주세요! 추첨을 통해 세바시 강연자의 책을 선물로 보내드립니다!
@꾸노군 4
2025년 11월 21일 21:1920:58 나라면 할수 있었을까? 눈치를 보고 못하지 않았을까? 뒷부분에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다는말에 어떤일이라도 한발 더나가보고 해봐야겟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AI시대 부정적인 생각보다 같이 성장해야할것 같습니다.
@mjpapa-y9l 3
2025년 11월 21일 22:4413:04 궁금하면 500원 마케팅인가 ㅋㅋㅋ
@사람을살리는어부 2
2025년 11월 21일 22:4923:13 '영원히 이길 수 없는 사람(조직)(사회)가 되는 방법
사회적 명예, 고정관념들을 내려 놓고 유연하게 '시도'하는 사람은 '실패 기반 학습'을 통해 이길 수 없는 사람으로 변모한다.
이 하찮은 '시도'는 대단한 결과로 가는 '새로운 기회'를 마련하는 확실한 key!!
대표님 강의 잘 들었고 지난번 회사에서 강의 듣고 새로운 기회를 계속 발견하고 있습니다.
또 한번 기회되길 바라며...
GS25 오만원 쿠폰 👍
관계자 올림^^
@cshdrow 2
2025년 11월 21일 21:1523:07 지금 제가 회사에서 느끼고 있는 현실적인 부분이라 많이 와 닿았습니다. 지금 현실의 고통과 어려움을 실패기반학습이라는 생각으로 더욱 더 성장해서 좋은 조직원이 되고자 합니다.
@seungjinju9284 1
2025년 11월 21일 19:1123:07 와..이 부분이요. 하면 된다가 아니라 되면 한다는 사람들이 많아요. 어떻게 그들에게 실패 기반 학습의 필요성을 어필할까요?
@서경훈-t3v 1
2025년 11월 21일 18:0912:30 AI를 잘 적용하기 위해 시작점을 잘 만드는게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고 어떤 문제를 풀려고 하는지를 확인하며 명확한 목표를 세우는 것이 시작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jennykim4410 1
2025년 11월 21일 22:3223:07 나의 이야기를 하는 것 같아서 뜨끔했어요... 지금까지 내가 살아오면서 대부븐은 이런 생각으로 행동한 것 같아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적지않은 나이지만 앞으로는 조금씩 변화해보려고 용기내어 보겠습니다.
@dooh1230 1
2025년 11월 21일 19:06명강의 감사합니다^^
@MiyangChoi
2025년 11월 22일 01:25한국에 직장없는 젊은 병거인들이 늘어나고 있다는데 방송보고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사고로 한계에 도전하는 사람들이 항결 많아지길..^^
@MiyangChoi
2025년 11월 21일 22:50Latency: 컴퓨터 대기호출시간, 잠복기. 좀 tricky 하네요 쓴단어가.. '지루함'인지 몰랐음.
@gglee2179
2025년 11월 22일 01:43옷이 뭐가 중요한가요???
강의 내용이 중요하지요
@KMJ-k2x
2025년 11월 22일 02:3823:25 이번 강연도 새롭고 유익한 인사이트 얻어갑니다. 늘 유익한 가르침 주시는 조용민 대표님 감사드립니다.
@Feibori
2025년 11월 21일 23:38흐음.. 마지막 말씀은... 딱 중국인들이 생각나네요.😅 그래서 사회주의로 가려는건가. 뉴욕도.
@Aweanna11
2025년 11월 22일 00:5523:03 실패로부터 배우는 힘, 그건 일단 손들고 해보는 것에서부터 시작이고, 실패를 함으로써 배우는 것이 더욱 크다는 것.. 새로운 시도를 많이 해보자👊 뭐든 해보면 알게 되는게 있다는 것을😄
@Abraxas_code_826
2025년 11월 21일 22:5921:46 one more mile. 머리가 나쁘면 몸이 고생한다는 우리 나라 속담이 반영하듯, 한 번 더 움직이고 시도하는 사람이 결과로 증명하기 전까지 우습게 보는 시선이 존재하는 건 사실인 것 같아요. 회사에서 심리적 안전감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며, 여러 번 실험을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저 또한 입을 조심하게 된 것 같습니다. 하지만, 오늘 이야기가.. 다시 한 번 머리를 깨주시는 것에 용기를 받고! 다시 힘 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도 멋진 강연 감사합니다!
@MiyangChoi
2025년 11월 22일 03:11가치있는 꿈을 꾸어보아요~
@MiyangChoi
2025년 11월 21일 23:11상 사 눈치보다 의도치 않은 곳으로 가죠. 백날 남의 예시봐도 내가 직접 자율적으로 해보지 않으면
남의 성공도 지멋대로 해석하니 평생 장님일 수 밖에 없게죠. 깨달을때 비로소 깨닫는것. 정답지가
없을때 정답이 더 잘나오는 것처럼?
@MiyangChoi
2025년 11월 21일 23:04정형화된 사고로는(상사한테 혼날까봐 교정하고 또 교정) 성공하기 힘들다는 말씀이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