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주식투자를 하지 않지만 명답입니다. 경제흐름의 척도와 종목선정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좀 깨져보면 이해를 하겠죠. 추천 박고 갑니다. ,,,,,,, 증권사 친구가 허접했고 애널들 약장수처럼 약팔고 옛날 증권사 객장에서 매매할때 직원들 보면 허접해서 신뢰가 가지 않았는데 최고십니다. ,,,,, 많은 분들이 와서 공부해야 할텐데,,,,,
감사합니다 박사님, 원자재 상품으로보는 한국증시 상관관계가 상당히 놀랍네요! 내년 석유 전망은 셰일가스의 접안시설과 철도 인프라가 구축이 공급이 더 늘어나면 상품가격은 실제 수요가 제한적이라면 정체될 수 있을 거 같아요, 사우디 아람코의 IPO도 그런 관점에서 재밌게 보고있습니다 ㅎㅎ. 중국 정부도 최근에 부동산, 인프라 재정확대 대신 통화정책 으로 접근하는 거 같아서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그런데 한국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줄이려면 어떤 산업이 부흥해야 하나요?? 헬스케어나 바이오테크, 서비스업 등이 커지면 변동성이 줄어들까요? 교수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반도체 대표인 삼성전자도 52주 베타가 1.51이라 좀 많이 높아서(물론 3~5년 짜리 베타가 좋겠지만 못 구하겠네요ㅠㅠ) 반도체가 한국 경제의 변동성을 줄이는 대안은 아닌 것 같아 질문 드려봅니다. 신 산업 중에 경기를 덜 타는 수출 산업(?)이 있을까요?
msci편입 외인 매물폭탄에 어제 오늘 한국시장만 폭락한 것 같네요. 미국시장은 호재에 반응하고 한국시장은 악재만 바라보고. 과연 한국시장이 2006~2007년 과거처럼 지수가 급등해 연평균 수익률을 끌어 올릴 일이 앞으로 가능할지 고개가 절레절레 흔들리는 하루네요. 이러니 한국은 부동산 최고라는 말이 나오나 봅니다.
@suyoung8411 4
2019년 11월 21일 08:03한국주식시장은 수출, ( 특히 유가상승으로 상품가격이 상승할때),
중국의 원자재수입 수요증가가 국제유가의 상승 을 견인할때 한국 경제성장율이 증가하네요 ..
탑다운전략 감사합니다 . ^^
@RICHDADDYRAONSARANG 2
2019년 11월 21일 07:49박사님 영상3편 잘보았습니다~ 결국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크게 탑다운으로 방향을 봐야겠네요~ 큰 방향을 잡을 수 있었던 영상들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Lee Kwang 1
2019년 11월 25일 08:36명쾌한 분석 감사합니다.
봉 생산자[Candle producer] 1
2019년 11월 21일 08:40저는 주식투자를 하지 않지만
명답입니다.
경제흐름의 척도와 종목선정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좀 깨져보면 이해를 하겠죠.
추천 박고 갑니다.
,,,,,,,
증권사 친구가 허접했고 애널들 약장수처럼 약팔고
옛날 증권사 객장에서 매매할때
직원들 보면 허접해서
신뢰가 가지 않았는데
최고십니다.
,,,,,
많은 분들이 와서 공부해야 할텐데,,,,,
@보타쿠-z5m 1
2019년 11월 21일 12:38정말 좋은 자료 좋은 내용 고맙습니다 ^^
@SUN-kb8te 1
2019년 11월 21일 07:51인터넷이나 지면보다 동영상으로 보니까 훨씬 쉽게 와닿습니다!
@dsshin3686 1
2019년 11월 21일 07:271등이네요 감사합니다:)
@쩌언주
2019년 11월 21일 12:57잘봤습니다.^^
@이상희인류진화
2019년 11월 22일 14:40막연하게 한국주식시장은 작으니까 (random 의 영향이 크므로) 춤출 수밖에 없다고 생각했었는데 체계적으로 변동을 설명할 수 있다는 점이 놀랍습니다! 조목조목 설명 머리 속에 쏙 들어와요. 감사합니다!
@stockus9498
2019년 11월 21일 07:38감사합니다
@달리자-j5k
2019년 11월 21일 09:13늘감사드립니다
@rnthsla
2019년 11월 21일 12:44감사합니다 박사님,
원자재 상품으로보는 한국증시 상관관계가 상당히 놀랍네요!
내년 석유 전망은 셰일가스의 접안시설과 철도 인프라가 구축이 공급이 더 늘어나면 상품가격은 실제 수요가 제한적이라면 정체될 수 있을 거 같아요,
사우디 아람코의 IPO도 그런 관점에서 재밌게 보고있습니다 ㅎㅎ.
중국 정부도 최근에 부동산, 인프라 재정확대 대신 통화정책 으로 접근하는 거 같아서요.
@JiChoi-yo6vz
2019년 12월 05일 00:23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강좌 감사드립니다 다름이 아니고 23일날 군 입대를 하는데 군 기간 동안 연 7-6% 수익률을 얻을 자산이 무엇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예전 영상을 본 바에 의해서 달러 자산 미국 채권에 투자 할려고 하는데 맞는 선택일 까요?
허재원
2019년 11월 24일 17:47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그런데 한국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줄이려면 어떤 산업이 부흥해야 하나요?? 헬스케어나 바이오테크, 서비스업 등이 커지면 변동성이 줄어들까요? 교수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반도체 대표인 삼성전자도 52주 베타가 1.51이라 좀 많이 높아서(물론 3~5년 짜리 베타가 좋겠지만 못 구하겠네요ㅠㅠ) 반도체가 한국 경제의 변동성을 줄이는 대안은 아닌 것 같아 질문 드려봅니다. 신 산업 중에 경기를 덜 타는 수출 산업(?)이 있을까요?
나니
2019년 11월 21일 07:44감사합니다. 결국 중국 원자재 수요가 증가하면 국제유가가 상승하고 그러면 수출이 증가하여 한국 경제성장률이 상승하고 주식 가격이 오른다는거군요.
@ovErwhElming.
2019년 11월 23일 05:29감사합니다
@RICKYMEELY
2019년 11월 21일 18:26msci편입 외인 매물폭탄에 어제 오늘 한국시장만 폭락한 것 같네요. 미국시장은 호재에 반응하고 한국시장은 악재만 바라보고.
과연 한국시장이 2006~2007년 과거처럼 지수가 급등해 연평균 수익률을 끌어 올릴 일이 앞으로 가능할지 고개가 절레절레 흔들리는 하루네요. 이러니 한국은 부동산 최고라는 말이 나오나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