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을 드립니다. 일본의 비금융부문 부채(gdp 대비) 380% 정도입니다. 그런데 방송 중에 박사님은 200% 정도가 BOJ가 보유한다고 말했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비금융부문 이라고 함은 민간,기업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이런 정의가 잘못된 것인지 아니면 BOJ가 어떤 정책으로 비금융부문 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박사님 너무 좋은내용 잘 봤습니다. 부채와 GDP규모를 같이 봐야 된다는 말씀에 대해서 한가지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다른 경제 강의에서 세계 경제에서 부채규모의 심각성을 이야기 하면서 부채로 이끌어가는 경제 덕에 앞으로 금리인상에 대한 어려움을 이야기 하고 있는데.. 단순하게 부채가 많아도 금리가 0이라면 금융비용에 대한 부담이 없지만 금리가 높다면 엄청난 부담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앞으로 금리를 올리는 것은 세계경제에 뇌관이 된다. 라고 이야기 했습니다(물론 GDP 성장 수준 정도 내에서는 올릴 수 있다) 세계 경제 부채와 금리방향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 하고 있는데..어떻게 생각하고 계시는지 묻고 싶습니다.
박사님 영상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어려운 내용도 쉽게 설명해주셔서 꼬박꼬박 챙겨보고 있습니다. 궁금한게 있는데 최근 미국 채권과, 주식 , 금의 5년치 그래프를 보면 세 자산 모두 상당히 고점에 있는 모습인데요, 보통 채권과 주식은 반대로 움직인다고 하는데, 금리인하 영향으로 채권 가격은 올라가면서도 동시에 미주식도 신고가를 경신하는 상황, 그리고 대외적 리스크로 금가격 역시 올해 최고점 대비 약간밖에 하락하지 않았는데 이런 현재 상황을 본다면, 현재 자산가격이 전체적으로 비싸졌다라고 볼 수 있는건지요? 늘 건강하셔요^^
항상 객관적 입장의 좋은 글 감사합니다. 금융위기의 중요한 요인중 하나가 CDO로 알고 있는데 이와 유사한 파생상품의 CLO 규모가 금융위기 당시의 CDO와 유사한 수준이라는 기사를 봤습니다. 실제로 CLO가 또다른 금융위기의 진원지가 될 정도로 심각한 상태인지 궁금하네요???
박사님! 영상 너무 잘 봤습니다. 금융위기를 막기 위해 부채를 늘린다는 건, 양적완화까지도 갈수있는 가능성도 열어놓을 수 있단거겠죠. 근데, 자료상으로는 2008년도 금융위기로 인한 트라우마(?)때문에,, 급격한 부채증가를 만들 양적완화는 안할거라 보시는건가요? 미중무역전쟁의 경우, 미대선이후 트럼프의 행동도 변수일 듯 한데..
대선 이후 정말 미/중이 충돌하면..금융위기나 침체로 인한 MMT나 무한양적완화가 이루어질 거라는 사람들도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한번 주제로 다뤄주시면 재미날 것 같네요
@jaehakjung2462 2
2019년 11월 17일 11:57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을 드립니다.
일본의 비금융부문 부채(gdp 대비) 380% 정도입니다.
그런데 방송 중에 박사님은 200% 정도가 BOJ가 보유한다고 말했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비금융부문 이라고 함은 민간,기업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이런 정의가 잘못된 것인지 아니면 BOJ가 어떤 정책으로 비금융부문 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RICHDADDYRAONSARANG 1
2019년 11월 17일 11:08고맙습니다~ 일요일 아침 생각거리를 주는 영상이네요^^ 좋은 주말보내세요~
@보타쿠-z5m 1
2019년 11월 17일 14:24박사님 너무 좋은내용 잘 봤습니다. 부채와 GDP규모를 같이 봐야 된다는 말씀에 대해서 한가지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다른 경제 강의에서 세계 경제에서 부채규모의 심각성을 이야기 하면서 부채로 이끌어가는 경제 덕에 앞으로 금리인상에 대한 어려움을 이야기 하고 있는데.. 단순하게 부채가 많아도 금리가 0이라면 금융비용에 대한 부담이 없지만 금리가 높다면 엄청난 부담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앞으로 금리를 올리는 것은 세계경제에 뇌관이 된다. 라고 이야기 했습니다(물론 GDP 성장 수준 정도 내에서는 올릴 수 있다) 세계 경제 부채와 금리방향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 하고 있는데..어떻게 생각하고 계시는지 묻고 싶습니다.
@jinwooyang9572 1
2019년 11월 17일 09:13박사님 영상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어려운 내용도 쉽게 설명해주셔서 꼬박꼬박 챙겨보고 있습니다. 궁금한게 있는데 최근 미국 채권과, 주식 , 금의 5년치 그래프를 보면 세 자산 모두 상당히 고점에 있는 모습인데요, 보통 채권과 주식은 반대로 움직인다고 하는데, 금리인하 영향으로 채권 가격은 올라가면서도 동시에 미주식도 신고가를 경신하는 상황, 그리고 대외적 리스크로 금가격 역시 올해 최고점 대비 약간밖에 하락하지 않았는데 이런 현재 상황을 본다면, 현재 자산가격이 전체적으로 비싸졌다라고 볼 수 있는건지요? 늘 건강하셔요^^
@heavensky1
2019년 11월 18일 09:26항상 객관적 입장의 좋은 글 감사합니다. 금융위기의 중요한 요인중 하나가 CDO로 알고 있는데 이와 유사한 파생상품의 CLO 규모가 금융위기 당시의 CDO와 유사한 수준이라는 기사를 봤습니다. 실제로 CLO가 또다른 금융위기의 진원지가 될 정도로 심각한 상태인지 궁금하네요???
@nameiswhat
2019년 12월 24일 19:37박사님! 영상 너무 잘 봤습니다. 금융위기를 막기 위해 부채를 늘린다는 건, 양적완화까지도 갈수있는 가능성도 열어놓을 수 있단거겠죠. 근데, 자료상으로는 2008년도 금융위기로 인한 트라우마(?)때문에,, 급격한 부채증가를 만들 양적완화는 안할거라 보시는건가요? 미중무역전쟁의 경우, 미대선이후 트럼프의 행동도 변수일 듯 한데..
대선 이후 정말 미/중이 충돌하면..금융위기나 침체로 인한 MMT나 무한양적완화가 이루어질 거라는 사람들도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한번 주제로 다뤄주시면 재미날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suyoung8411
2019년 11월 18일 19:38세계경제가 부채부문에서 안정적 구간에 들어섰다면 글로벌 금융위기도 발생할 확율이 아직 없어 보이네요
밝은 모습의 박사님 강의 잘 들었습니다 ^^
@SunghooP
2019년 11월 19일 21:10알찬 방송 감사드립니다~ 아래 댓글들 읽다가 궁금한게 생겼는데요. 만일 중국 부채 숫자가 중국에서 발표한 수치보다 더 큰상태라면 중국발 글로벌금융위기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을수 있을까요?
@kt1293
2019년 11월 17일 12:39오늘도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아직 목소리가 안 좋으시네요.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정솜결
2019년 11월 17일 10:02늘 좋은영상 감사합니다ㆍ솜결
@Blue_gangnaeng_sashimi
2019년 11월 19일 09:10박사님~목감기가 조금 좋아지셔서 다행입니다
겨울건강 조심하시구요~
언제나 감사합니다!!!!!
@belleepoquela3271
2019년 11월 27일 03:35와 진짜 궁금하던 거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