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밸런싱이 중요하다는데는 공감하고 여러책에서 소개해주고 있는데, 상대적으로 리밸런싱의 주기와 타이밍에 대해서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언제가 최적 리밸런싱의 타이밍일까요? 단순히 1년에 한번하는 것이 나을지? 자산의 상관관계 값의 차이가 벌어질 때 진행할지? 특정자산이 상대적으로 낮아질 때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게 좋을지? 어떤 방법으로 하면 편차는 낮게 유지하면서 시장 수익에 소외받지 않고 적절한 수익률을 얻을 수 있을까요? 아니면 이런 주제로 책을 써주실 수 있나요? ^^
장기적 관점에서는 채권가격이 분명히 우상향하고, 리벨런싱 하는 입장에서는 가격의 높낮이는 신경쓸 부분이 아닐수 있지만... 자산배분을 처음 시작하는 입장에서는 진입하기에 부담스런 채권가격이다 보니 나온 질문인듯합니다 2017년 주가 상승기에 채권가격 하락폭을 보면 결코 적지 않은 수준입니다 아무리 장기 투자라지만 초기 진입가격이 중기적 고점이라면 자산의 역상관관계만 믿고 진입하기에는 그리 유쾌한 상황은 아닌것이겠지요 최근 미주식과 국채는 음의 상관관계가 사라져 자산배분의 의미가 애매해졌지요 이럴때는 자산배분에 모멘텀 전략을 살짝 곁들여 주면 보완이 되려나요 ^^;
채권쪽은 완전 초보라서요. 영상보면서 열심히 공부하고 있습니다. 저는 한국주식과 함께 헷지목적으로 자산배분을 위해 미국채권ETF 매수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미국채권ETF회사에서는 채권을 매수해서 이자만 먹다가 나중에 만기가 되면 미국채를 돌려주면 되므로... 미국채 가격의 상승과 하락에 관계없이 미국채권에 투자한 ETF는 무조건 수익만 나는 구조가 아닌가요? 채권투자를 했는데 손실이 날수 있다는것이 조금 이해가 되지 않아서 문의드립니다. 미국채권이라는 똑같은 물건인데 빌려줄때 가격과 돌려받을때 가격을 다르게 평가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아파트 담보로 대출을 받으면 아파트 시세와는 관계없이 무조건 이자수익이 나는 은행으로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
평소에많이 궁금하던 점이고 어떤 견해를가지고계시는지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스위스나독일국채는 마이너스까지내려가는데 미국채가 현시점에서 고평가인지 저평가인지는 평가가 쉽지 않은 일이지 십습니다. 지난 수년간도 수익율자체가 낮다고 해도 보관용이성 자산배분 시세차익기대수요 등으로 국고채가 최근 수년간 올라왔으니까요. 뿐만아니라 주식 부동산 등 거의 모든 자산이 동시에 올라 다른 자산 수익율도 같이 내려가서 채권이 상대적으로 고평가인지 평가에 난해성이 있는것같습니다. 일반인 입장에서는 자산 자체의 평가나 방향성 예측보다는 포트폴리오로 가져가는게 맞는 선택이라 생각하고있습니다. 리밸런싱자체만으로도 수익률개선이있다고 지난번 김성일작가님 방송분 잘보았습니다. 허나 한국의 경우 해외주식 양도차익과세 등을 생각해보면 과세이연효과를 못가져가게 되어 리밸런싱자체로도 비용이 많이 상승하는 느낌입니다. 과세를 포함한 리밸런싱 주기에 따른 수익율 백테스팅을 비교 해보고 싶지만 엄두가안나는 군요.ㅎㅎ 김성일작가님 나중에 또오시면 이런 걸 궁금해하는 시청자가 있었다고 말씀해주십시요. ^^ 항상 아침마다 좋은 방송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오늘 운좋게 자산배분 전략가이신 홍박사님 강의를 듣고 아 진정한 고수의 강의를 들었구나! 넘 대박이다 싶었어요^^ 원리와 실전에 다 통달하시고 그걸 쉽게 전달하는 선생님이 그렇게 많지 않쟎아요 그런데 생각보다 많은 유튜브로 이렇게 궁금해했던부분도 알려주시고 계셨다니~ ^^ 오늘은 인생의 배움에 있어 좋은 발 돋움데이였어요^^
영상 중 ief에 주목하신다고 언급하셔서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expense ratio가 다른 경쟁 중기채 etf인 schr나 vgit에 비해 2배가까이 비싼데도 ief를 보신 이유가 따로 있으신가요?
예를 들어 ief는 0.15%인데 이와 비슷한 중기채 etf인 뱅가드의 vgit는 0.07%였습니다. 거래량 차이가 크긴 했지만 vgit 또한 일평균 2000만 달러였구요. 분배금이 살짝 차이 났지만 듀레이션에 따른 결과 아닌가 생각되었습니다. 그럼에도 저같은 초보자보다 똑똑할 박사님 포함 수많은 사람들이 ief를 훨씬 많이 보유하고있기에 미처 생각 못한 이유가 있을까하여 질문드립니다!
작가님 안녕하세요. 환율의미래 최근 읽고있는데요. 질문 하나 드리겠습니다. 책 72페이지에 '물가가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지면, 금리는 항상 상승하게 마련이다. 이는 정부의 부채 가치 하락으로 연결된다.' 이 부분이 잘 이해되지 않는데 정부 부채 가치 하락으로 어떻게 연결되는건지 부연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이제 채권 금리가 마이너스로 가는 것 말고는 갈 길이 없고 박사님 말씀대로 전세계가 일본화가 된다면 일본의 기준금리가 그러했듯이 전세계 채권금리가 마이너스에서 0.25 사이를 왔다갔다 한다면 채권에 투자하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나요? 채권의 가격은 박스권 안에서 왔다갔다 할 것이고 이자는 이게 이자를 받는 건지 아닌 건지 하는 수준이 상당기간 유지가 될 것 같은데요. 제가 잘 못 알고 있는 걸까요?
@SunggukLim 8
2019년 12월 31일 23:51선생님 잘 보고 있습니다. 유튜브에 주식영상은 많은데 채권이나 국채 영상은 없네요.. 어려워서 그런거지.. 채권에 더 다뤄주시면 좋을것같아요~
@100행운 3
2019년 11월 07일 07:25반복해서 듣고 있습니다. 덕분에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kt1293 3
2019년 11월 07일 08:20저도 궁금하던 내용이었는데 답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Juni_rang 3
2019년 11월 07일 07:38리밸런싱이 중요하다는데는 공감하고 여러책에서 소개해주고 있는데, 상대적으로 리밸런싱의 주기와 타이밍에 대해서는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언제가 최적 리밸런싱의 타이밍일까요? 단순히 1년에 한번하는 것이 나을지? 자산의 상관관계 값의 차이가 벌어질 때 진행할지? 특정자산이 상대적으로 낮아질 때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게 좋을지? 어떤 방법으로 하면 편차는 낮게 유지하면서 시장 수익에 소외받지 않고 적절한 수익률을 얻을 수 있을까요? 아니면 이런 주제로 책을 써주실 수 있나요? ^^
@changbae633 2
2019년 11월 07일 16:17국채 버블에 대해서는 미래를 예측하지 말자고 하셨는데, 미 국채는 제외하지 않는다는 두루뭉술한 결론이네요
단기적으론 당연히 투자하면 안되고, 장기적으로는 보유하는 게 맞는 거겠죠.
@suyoung8411 2
2019년 11월 07일 07:53안그래도 미국 국채 버블이라는 말들이 많아서 궁금했던 내용입니다..원래 제가 알던대로 가면 되는거였군요 감사합니다^^
슬로우 2
2019년 11월 07일 07:44장기적 관점에서는 채권가격이 분명히 우상향하고, 리벨런싱 하는 입장에서는 가격의 높낮이는 신경쓸 부분이 아닐수 있지만...
자산배분을 처음 시작하는 입장에서는 진입하기에 부담스런 채권가격이다 보니 나온 질문인듯합니다
2017년 주가 상승기에 채권가격 하락폭을 보면 결코 적지 않은 수준입니다
아무리 장기 투자라지만 초기 진입가격이 중기적 고점이라면
자산의 역상관관계만 믿고 진입하기에는 그리 유쾌한 상황은 아닌것이겠지요
최근 미주식과 국채는 음의 상관관계가 사라져 자산배분의 의미가 애매해졌지요
이럴때는 자산배분에 모멘텀 전략을 살짝 곁들여 주면 보완이 되려나요 ^^;
@Blue_gangnaeng_sashimi 2
2019년 11월 07일 18:04너무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MyTimeMoments-t4b 2
2019년 11월 08일 07:05왜 이제 알았나 싶네요 ㅜㅜ
@tmongtv2327 2
2019년 11월 15일 01:59질문들이 인간의 무식함의 끝은 어디인가 ㅎㅎ
@yghong3327 1
2020년 8월 30일 14:13채권쪽은 완전 초보라서요. 영상보면서 열심히 공부하고 있습니다.
저는 한국주식과 함께 헷지목적으로 자산배분을 위해 미국채권ETF 매수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미국채권ETF회사에서는 채권을 매수해서 이자만 먹다가 나중에 만기가 되면 미국채를 돌려주면 되므로... 미국채 가격의 상승과 하락에 관계없이 미국채권에 투자한 ETF는 무조건 수익만 나는 구조가 아닌가요? 채권투자를 했는데 손실이 날수 있다는것이 조금 이해가 되지 않아서 문의드립니다.
미국채권이라는 똑같은 물건인데 빌려줄때 가격과 돌려받을때 가격을 다르게 평가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아파트 담보로 대출을 받으면 아파트 시세와는 관계없이 무조건 이자수익이 나는 은행으로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
@찬희-s9n 1
2020년 2월 12일 15:346:36 한국주식과 미국국채의 상관성이 낮다고 말씀해주셨는데요. 한국국채는 어떤가요? 미국국채에 대해 안전자산으로 추천하는 정보들은 많은데 한국국채에 대한 데이터나 정보는 찾아보기가 힘든 것 같아요.
@오유미-n6y 1
2019년 11월 07일 10:09미래 예측 NO~~!^^
오늘 영상 넘 좋아욤~감사합니당♡
@makebull2121 1
2019년 11월 10일 10:58전 학생인데 재테크 배워야힐까요 박사님은 흙수저라 하셨는데 지금은 삶이 풍부해지졌나요 경제란걸 배우고?
@rnthsla 1
2019년 11월 07일 18:19아 너무 감사합니다~~~역시 우상향하는 자산군의 배분은 재밌어요
@피구왕-g5v 1
2019년 11월 07일 08:12평소에많이 궁금하던 점이고 어떤 견해를가지고계시는지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스위스나독일국채는 마이너스까지내려가는데 미국채가 현시점에서 고평가인지 저평가인지는 평가가 쉽지 않은 일이지 십습니다. 지난 수년간도 수익율자체가 낮다고 해도 보관용이성 자산배분 시세차익기대수요 등으로 국고채가 최근 수년간 올라왔으니까요. 뿐만아니라 주식 부동산 등 거의 모든 자산이 동시에 올라 다른 자산 수익율도 같이 내려가서 채권이 상대적으로 고평가인지 평가에 난해성이 있는것같습니다. 일반인 입장에서는 자산 자체의 평가나 방향성 예측보다는 포트폴리오로 가져가는게 맞는 선택이라 생각하고있습니다.
리밸런싱자체만으로도 수익률개선이있다고 지난번 김성일작가님 방송분 잘보았습니다. 허나 한국의 경우 해외주식 양도차익과세 등을 생각해보면 과세이연효과를 못가져가게 되어 리밸런싱자체로도 비용이 많이 상승하는 느낌입니다. 과세를 포함한 리밸런싱 주기에 따른 수익율 백테스팅을 비교 해보고 싶지만 엄두가안나는 군요.ㅎㅎ 김성일작가님 나중에 또오시면 이런 걸 궁금해하는 시청자가 있었다고 말씀해주십시요. ^^ 항상 아침마다 좋은 방송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dunyalmapper2402
2022년 3월 05일 02:05요즘 소배 액 팅 이라고 주식,코인보다 좋다고 하던데요?
Kadir Çelik
2022년 3월 05일 02:05주식좀 해볼까하고 찾아보는데 너무어려워서 포기.. 그런와중에 소 베액 팅 은 진짜 혜자 인정;;
@YK-sy1xj
2019년 11월 07일 22:16오늘 운좋게 자산배분 전략가이신 홍박사님 강의를 듣고 아 진정한 고수의 강의를 들었구나! 넘 대박이다 싶었어요^^ 원리와 실전에 다 통달하시고 그걸 쉽게 전달하는 선생님이 그렇게 많지 않쟎아요 그런데 생각보다 많은 유튜브로 이렇게 궁금해했던부분도 알려주시고 계셨다니~ ^^ 오늘은 인생의 배움에 있어 좋은 발 돋움데이였어요^^
@라이언-n3c9i
2019년 11월 07일 09:51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리벨런싱 방법에 대한 댓글 내용도 참 좋았습니다~^^
@balance1104
2020년 6월 10일 21:46주식공부를 시작한지 얼마 안되었습니다. 채권을 꼭넣어야하나 고민했는데 넣어야겠군요. 리밸런싱이 이렇게 효과적이란걸 확실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seknj
2020년 2월 29일 23:40안녕하세요. 박사님 항상 좋은영상과 글 잘보고 있습니다. 본 영상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제시예에서 리밸런싱한경우 마법처럼 수익률이 stock1+stock2를 산경우보다 높다고소개해주셨는데 리밸런싱의 거래비용을 감안했을때도 그런가요? 거래비용을 고려하고도 리밸런싱의효과를 보려면 빈번한 리밸런싱보다는 일전수준 도달했을경우에 한번씩하는게 좋을텐데요. 그런기준도 있을까요?
@lehavre7156
2019년 11월 10일 09:56안녕하세요~ 요즘 자산배분 투자를 공부해보는 중인데 좋은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영상 중 ief에 주목하신다고 언급하셔서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expense ratio가 다른 경쟁 중기채 etf인 schr나 vgit에 비해 2배가까이 비싼데도 ief를 보신 이유가 따로 있으신가요?
예를 들어 ief는 0.15%인데 이와 비슷한 중기채 etf인 뱅가드의 vgit는 0.07%였습니다. 거래량 차이가 크긴 했지만 vgit 또한 일평균 2000만 달러였구요. 분배금이 살짝 차이 났지만 듀레이션에 따른 결과 아닌가 생각되었습니다.
그럼에도 저같은 초보자보다 똑똑할 박사님 포함 수많은 사람들이 ief를 훨씬 많이 보유하고있기에 미처 생각 못한 이유가 있을까하여 질문드립니다!
@lllyoungj
2019년 11월 07일 14:51고맙습니다^^
@팡팡-i7y
2019년 11월 17일 01:58작가님 안녕하세요. 환율의미래 최근 읽고있는데요. 질문 하나 드리겠습니다.
책 72페이지에 '물가가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지면, 금리는 항상 상승하게 마련이다. 이는 정부의 부채 가치 하락으로 연결된다.' 이 부분이 잘 이해되지 않는데 정부 부채 가치 하락으로 어떻게 연결되는건지 부연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SteveJobs_
2019년 11월 29일 22:55주식과 채권 둘다 버블이 없을 때 5:5이고.. 채권이 만약 버블이라면 주식과 채권을 7:3정도로 조절해야 의미가 있지 않나요.
@nabundayi4558
2022년 3월 05일 02:05요즘 재테크 하는게 유행인데 찾아보다가 소배 액팅 쳐보고나서 95%수익 내고있어요!
@baskabirac3649
2022년 3월 05일 02:05시간만 있으면 넉넉하게 재테크 할수있는게 소베 액 팅 이죠 ㅇㅈ
baone ak
2022년 3월 05일 02:05소 배 액팅은 워낙 유명해서 앞전부터 핫했는데 이게 지금 뜨네요 ㅎㅎ
@Whyyshoulditbe
2022년 3월 05일 02:05아아 그거 저도 알아요 소 배 액 팅 ㅎㅎ 어려운것도 없고 간단한 지식만으로 할수있다던데
قيف اوي
2022년 3월 05일 02:05소배 액팅 알고나서부턴 왜 내가 직장다니면서 뼈빠지게 일했을까 생각이 듭니다 일찍시작할껄 ㅠㅋㅋ
@igozoa
2022년 4월 16일 01:24요즘 채권 관련 내용들 정주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채권 폭락과 국내증시 외국인 매도 및 환율하락과 관련성이 있는건 아닌지.. 채권폭락이 자산붕괴의 트리거가 될 가능성은 없는지 검토 부탁드려요.
@knkworldsz
2019년 11월 08일 00:30정말 좋은 영상입니다!
혹시 국채금리와 가격의 움직임에 대해서 궁금한분들!
숟가락경제 채널 3번째 영상에서 쉽게 준비 해놨습니다!
@hyanggiJ
2020년 8월 01일 17:07선생님 제가 현금을 갖고있다가 부동산이 조정되면 기다렸다 집을 살생각인데요
올하반기에 중국발금융위기로 중국자본이 빠져서 우리나라도 그영향으로 금리가많이 오르고 경제위기가 온다는 정보를 들었어요
그런데 또 미국은 인플레이션이와서 당분간 달러가치가 떨어질거같은데
현금을 어떻게 투자하는게 가장좋을까요?
경제지식이 없으니 머리아프네요
금리오르고 경제폭락하면 원화가치는 떨어지는건데
또 미국은 인플레이션이온다면 원화와 달러환율이 어떻게되는걸가요?
제가말한 상황이 온다면 미국국채 투자는 어떤까요?
3년정도후에 집을살생각이거든요
금도 계속오를거같긴한데 환율문제가 걸리네요
@김만-t1s
2019년 12월 04일 14:30박사님 강의듣고 상반되는 투자처에 투자할려고 하고있습니다 미국주식sp500와 미국국채 ief에 50대 50으로 투자하고 10%로 이상 비율이 차이날때 리밸런싱할려고합니다 그런데궁금한것은 미국주식과 미국채가 상반되는 상품이 맞는지요?
@suniljm41
2019년 11월 14일 10:09홍박사님 투자클럽을 만들어 주시면 어떨까요?
@공부해라-u2t
2020년 2월 13일 02:23리밸런싱 이라는 것은 50 50사서 후자가 올라 80 이되고 전자가 30이 되면 다시 후자를 일부분 팔아 금액적인 부분에서 반반을 맞추는 것인가요??
@oyunforumturkce
2022년 3월 05일 02:05주변에서 다들 소 베 액팅 말하던데 아무것도몰라도 할수있나요?? ㅠ
@xxmjchjh259
2022년 3월 05일 02:05나라에서는 해주는것도 없고 자영업자인데 해당도 안되는와중에 소 배 액팅 알고나서 아빠노릇합니다..ㅋ
@karsimm8461
2022년 3월 05일 02:05소 배 액팅 그냥 아무대나 쳐봐도 나와요? 어디서 찾아들어가는거지
@pgtvmmmmmgh
2022년 3월 05일 02:05주식하기엔 너무 까막눈이라 찾던와중에 저도 소 베 액 팅 추천받아서 쳐봤는데 너무좋네요 ^^
@omeryusufavcı
2022년 3월 05일 02:05그냥 아무곳이나 쳐도 소 배 액 팅 주소 알수있어요 ㅎㅎ 워낙에 믿을만한곳이라
@boxhealing_
2019년 11월 08일 09:24정말항상박사님말씀들을때마존경함천만프로이상입니다!!!감사합니다~~~
@wekspactv936
2022년 3월 05일 02:05소베액 팅 많이 유명하죠 그냥 쳐보기만해도 바로나오니까 ㅎㅎ
Moon Kim
2019년 11월 08일 00:10박사님, 항상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한국에 가면 꼭 만나고 싶네요. 감사합니다. :)
@graceshin4933
2020년 1월 16일 08:45가격변화가 반대방향인 자산은 무슨 뜻인가요?
@박쥰
2020년 3월 29일 21:56굿굿굿
동남풍
2019년 11월 12일 23:07국채금리가 마이너스를 넘나드는 상황에서 국채가격이 우상향한다는건......채권의 기본성격을 벗어나는거 같아요. 다시말해, 국채금리가 마이너스 무한대로 간다는 말도안되는 전제를 깔아야 한다는거죠.
Nathan Hwang
2020년 4월 26일 18:11이제 채권 금리가 마이너스로 가는 것 말고는 갈 길이 없고 박사님 말씀대로 전세계가 일본화가 된다면 일본의 기준금리가 그러했듯이 전세계 채권금리가 마이너스에서 0.25 사이를 왔다갔다 한다면 채권에 투자하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나요? 채권의 가격은 박스권 안에서 왔다갔다 할 것이고 이자는 이게 이자를 받는 건지 아닌 건지 하는 수준이 상당기간 유지가 될 것 같은데요. 제가 잘 못 알고 있는 걸까요?
@D.octopus
2021년 1월 30일 11:07선생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CH_Sudal
2019년 11월 09일 07:15오오오오오 굿
@白頭山族
2021년 7월 21일 15:13잘보았습니다.
@이성열-g9b
2020년 6월 09일 15:05감사합니다. ㅎㅎ 조금씩 알아 가는 거 같내요
@krosmamo
2022년 3월 05일 02:05펀드니 주식이니 코인이니 다필요없는거같음 어렵기만하고 ㅠ 소 배 액 팅 은 어려운게없음
@라이언-n3c9i
2019년 11월 07일 10:12자산배분과 리벨런싱을 자동으로 관리해주는 etf 를 소개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despairest
2019년 12월 23일 06:12자산배분에 대해서 검색하던중에, 친숙한 홍박사님 영상이 있어서 들어왔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실제로 IEF와 TLT로 분산투자 해보려고 하는데, 배분 컨트롤에 신경쓴다면 TLT가 좋을까요?
DJ FERRARI SC
2022년 3월 05일 02:05저는 요즘 코로나때문에 직장도 힘들어졌는데 소배 액팅 알고나서 부업으로 용돈법니다 ㅠ ㅎㅎ
@harunhanifem2224
2022년 3월 05일 02:05아 소 배 액팅 들어봤어요 초보자들도 쉽게 접목할수 있다던데
TMA BURSA
2022년 3월 05일 02:05어제 소소하게 소배 액팅 쳐보고 들어가서 3만원으로 10만원만 벌고 나왔어요 시간없어서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