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많이 길지만 읽어주시면 감사합니다. 금감원, 타 유투버의 여러 영상에서 많이뵀고 첫 경제학 책으로 "유쾌한 이코노미스트의 스마트한 경제학"을 읽었습니다. 저는 가벼운 마음으로 세상 물정을 알기위해 경제를 찾아보기 시작하다가 경제학에 빠진 2학년 공대생입니다. 소위말하는 전화기처럼 주류 공대는 아닙니다. 경제를 알기 전까지는 저 답게 살지 않고 그저 취업=공대 라고 생각하며 전공을 저에게 맞춰살아왔습니다. 하지만 저는 예전부터 이과보단 문과적인 성향이었지만 수학(돈 관련)에 강했습니다. 일상에서 사소한 어떤 것이라도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행동하는 성향도 있습니다. 이게 제 성향과 우연히 잘맞아서인지 경제책을 처음 접하고, 유투브로 미시경제학, 한은에서 운영하는 경제강의영상을 보고나서 '이게 진짜 공부다'라고 느끼는중입니다. 물론 진입장벽이 높고 어려운 학문인 것 같지만 어려워서 짜증나기보다는 더 알고싶고 이해하고 싶은 학문입니다. 하지만 저는 명문대도 아니고 단지 부산의 모 국립대생인데 이미 과포화상태인 경제학과로 전과하는게 옳은걸까요? 아니면 저의 이상일 뿐일까요. 물론 어딜가든 분야의 상위권은 잘 가는거 알지만 저는 곧 24살이고 새로운 전공으로 돌리는게 늦은건 아닐까 생각도 들었습니다. 하지만 이대로 공돌이로 사는것은 저에게 맞지도 않고 불행할 것 같습니다. 고뇌합니다. 물론 박사님도 사학과 학부를 끝내고 석사과정에서 늦은나이에 경제학을 시작하셨지만 학부가 연세대였으니까요. 현실적으로 고대 경제대학원에 발을 디딜수있었던건 연세대의 힘도 있지않았을까요? 분야의 전문가로서 현실적인 조언해주길 부탁드립니다
1. 부동산(주택)은 주식보다 경쟁의 난이도가 낮아 진입이 비교적 쉽다 2. 투자 성과 연이율5% 이상을 낼수 있다면 전세보다 월세가 났다. 3. 집 구매결정 하기전에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만들어보고 원리금 상환, 이자부담, 이후 닥칠수있는 리스크에도 버틸수 있는가 판단
나니 2
2019년 11월 05일 06:37안녕하세요. 많이 길지만 읽어주시면 감사합니다.
금감원, 타 유투버의 여러 영상에서 많이뵀고 첫 경제학 책으로 "유쾌한 이코노미스트의 스마트한 경제학"을 읽었습니다. 저는 가벼운 마음으로 세상 물정을 알기위해 경제를 찾아보기 시작하다가 경제학에 빠진 2학년 공대생입니다. 소위말하는 전화기처럼 주류 공대는 아닙니다. 경제를 알기 전까지는 저 답게 살지 않고 그저 취업=공대 라고 생각하며 전공을 저에게 맞춰살아왔습니다. 하지만 저는 예전부터 이과보단 문과적인 성향이었지만 수학(돈 관련)에 강했습니다. 일상에서 사소한 어떤 것이라도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행동하는 성향도 있습니다. 이게 제 성향과 우연히 잘맞아서인지 경제책을 처음 접하고, 유투브로 미시경제학, 한은에서 운영하는 경제강의영상을 보고나서 '이게 진짜 공부다'라고 느끼는중입니다. 물론 진입장벽이 높고 어려운 학문인 것 같지만 어려워서 짜증나기보다는 더 알고싶고 이해하고 싶은 학문입니다. 하지만 저는 명문대도 아니고 단지 부산의 모 국립대생인데 이미 과포화상태인 경제학과로 전과하는게 옳은걸까요? 아니면 저의 이상일 뿐일까요. 물론 어딜가든 분야의 상위권은 잘 가는거 알지만 저는 곧 24살이고 새로운 전공으로 돌리는게 늦은건 아닐까 생각도 들었습니다. 하지만 이대로 공돌이로 사는것은 저에게 맞지도 않고 불행할 것 같습니다. 고뇌합니다. 물론 박사님도 사학과 학부를 끝내고 석사과정에서 늦은나이에 경제학을 시작하셨지만 학부가 연세대였으니까요. 현실적으로 고대 경제대학원에 발을 디딜수있었던건 연세대의 힘도 있지않았을까요? 분야의 전문가로서 현실적인 조언해주길 부탁드립니다
@박평-z4n 1
2019년 11월 04일 08:59목소리작아 잘 안들리니ㅡ크게 말하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arisboy
2019년 11월 05일 18:27부동산계의 미남이 출연하셨군요 ^^ 잘 보겠습니다.
@lucy-gn8my
2019년 11월 05일 22:44좋은 영상 잘 보았습니다!
Lee Kwang
2019년 11월 12일 10:56왜 새벽에 일어나서 공부해야하는 이유와 결심을 밀고 나갈 힘을 주시는 시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slee8601
2019년 11월 05일 10:35잘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테북
2019년 11월 04일 09:00숫자를 정말 자유자재로 다루시네요~~
파운
2019년 11월 06일 00:32업자 불러다가 부동산 사냐 마냐 묻는 건... 치킨집 사장 불러다가 야채위주 식단이 좋냐 단백질도 섭취해야 되냐 묻는 꼴 아닌가 싶다.
@김현교-d3s
2021년 6월 10일 20:281. 부동산(주택)은 주식보다 경쟁의 난이도가 낮아 진입이 비교적 쉽다
2. 투자 성과 연이율5% 이상을 낼수 있다면 전세보다 월세가 났다.
3. 집 구매결정 하기전에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만들어보고 원리금 상환, 이자부담, 이후 닥칠수있는 리스크에도 버틸수 있는가 판단
김제니
2019년 11월 04일 17:03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루핀-l2j
2019년 11월 05일 09:07시네케라님 방가워요
!
@prettymuchthesame
2019년 11월 22일 15:27옆에 사과가 많이 떨어져있는데 저 높은 사과만 처다보는 격이로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