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네요. 기회비용! 어찌보면 시간이 돈이되는 원리네요. 전 그래서 자동차보다 전철을 이용합니다. 차로가나 전철로가나 시간은 동일하고 나름 그 기회비용을 다른곳에 사용하려고요. 정말 교통망만 편리해도 많은 도움이 되지요~~ 곳곳에 전철좀 많이 만들어주셨음 좋겠네요.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시간을 잘 활용하는 습관을 들여야 겠네요. 오늘 강의도 재밌었습니다^^
한 동네에서 15년쯤 살고있는데, 정부가 주태공급 충분하다고 하는 말의 의미를 알 것 같기는 한게.. 2015년까지 신축빌라 2.5 ~ 4억. 구축아파트 3 ~ 4억 신축아파트 6억정도 하는 동네였는데 지난 5년사이 신축아파트는 11억으로 올랐고 구축아파트는 5~6억원으로 올랐거든요. 근데 빌라는 구축이든 신축이든 거의 가격이 제자리이고, 동네 재개발한다고 신축빌라는 많이 지어놨는데 1년 넘게 분양중이라고 현수막 걸어놓은 곳이 수두룩합니다. 거주할 곳이 부족하면 이런곳도 오를텐데 시장이 아파트 / 비아파트로 아예 양분된 것 같아요. 같은 동네의 빌라보다 아파트가 3배까지 비싼거는, 입지보다는 아파트 선호현상의 역대급 쏠림으로 해석해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실제로 노원구마저도 아파트는 10억 찍은곳들 생겼는데 10억 들고가면 지금 당장에도 강남의 비아파트는 거주할 수 있는..
개인적으로는 교통 좋은곳에 신축아파트 하나 들고있는데, 곧 해외로 가족이 모두 이주할 계획이어서 양도세 면제기간에 팔아야할지 아니면 반전세로 돌려서 꾸준히 임대소득을 벌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거의 전재산이 집 하나에 들어가잇기 때문인지 향후 조정장이 올 거라는 불안한 마음이 자꾸 드는게 어쩔 수가 없네요. 공급부족이 계속된다 할지라도 이미 그게 선반영된 가격이 아닌가 싶거든요 (실제로 입주물량은 올해까지는 부족하지 않으니..)
현재 정부가 내놓는 정책들을 단순히 판단하면 집을 사는것보다 전세로 살아가는게 합리적이라는 판단을 무주택자들에게 전한다. 반대로 다주택 임대업자들은 사업의 매력이 없어지기에 규모를 축소하거나 폐업하고 있다. 수요와 공급이 더욱 반대로 가고 있으니 전세는 귀해지고 가격은 결국 오른다!!
전세가 안정을 위해선 반대로 정책을 했어야 한다!!
우선 전세자금 대출제도를 전면 폐지하면 집값은 현실화 될것이다!!
전세사는 무주택자 지원정책이 도리어 전세가 상승과 집값 상승하는 이유가 된것이다!!
현재 서울과 수도권에도 노후된 빌라 다세대 다가구주택에 공실이 넘쳐 납니다!! 이유는 저리의 전세대출 제도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일본만 가봐도 집값과 월세값이 매우 세분화되어 있다!! 우리같은 전세대출(전세도 없지만 ㅋ) 월세지원제도가 없다!! 반대로 집을 구매할때는 거의 90% 이상 40년 장기대출제도등 지원책이 많다!!
리베로날다 8
2020년 8월 13일 08:35그렇네요. 기회비용! 어찌보면 시간이 돈이되는 원리네요. 전 그래서 자동차보다 전철을 이용합니다. 차로가나 전철로가나 시간은 동일하고 나름 그 기회비용을 다른곳에 사용하려고요. 정말 교통망만 편리해도 많은 도움이 되지요~~ 곳곳에 전철좀 많이 만들어주셨음 좋겠네요.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시간을 잘 활용하는 습관을 들여야 겠네요. 오늘 강의도 재밌었습니다^^
/헤어워시 6
2020년 8월 13일 07:34파주 운정 현재 GTX 공사중 개통시 서울역15분 삼성역 23분 입니다.
아직 GTX역세권 7억입니다.
개통시 천지개벽합니다.
창고로 광교가 삼성역까지 40분 잡아야죠
거기 평당 4000정도 하지 않나요.
임세준 2
2020년 8월 13일 15:50한 동네에서 15년쯤 살고있는데, 정부가 주태공급 충분하다고 하는 말의 의미를 알 것 같기는 한게..
2015년까지 신축빌라 2.5 ~ 4억. 구축아파트 3 ~ 4억 신축아파트 6억정도 하는 동네였는데 지난 5년사이 신축아파트는 11억으로 올랐고 구축아파트는 5~6억원으로 올랐거든요.
근데 빌라는 구축이든 신축이든 거의 가격이 제자리이고, 동네 재개발한다고 신축빌라는 많이 지어놨는데 1년 넘게 분양중이라고 현수막 걸어놓은 곳이 수두룩합니다. 거주할 곳이 부족하면 이런곳도 오를텐데 시장이 아파트 / 비아파트로 아예 양분된 것 같아요. 같은 동네의 빌라보다 아파트가 3배까지 비싼거는, 입지보다는 아파트 선호현상의 역대급 쏠림으로 해석해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실제로 노원구마저도 아파트는 10억 찍은곳들 생겼는데 10억 들고가면 지금 당장에도 강남의 비아파트는 거주할 수 있는..
개인적으로는 교통 좋은곳에 신축아파트 하나 들고있는데, 곧 해외로 가족이 모두 이주할 계획이어서 양도세 면제기간에 팔아야할지 아니면 반전세로 돌려서 꾸준히 임대소득을 벌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거의 전재산이 집 하나에 들어가잇기 때문인지 향후 조정장이 올 거라는 불안한 마음이 자꾸 드는게 어쩔 수가 없네요. 공급부족이 계속된다 할지라도 이미 그게 선반영된 가격이 아닌가 싶거든요 (실제로 입주물량은 올해까지는 부족하지 않으니..)
양정 2
2020년 8월 13일 06:53지방도시들 이야기좀 해주시오. 뭔맨날 서울 수도권, 아파트 이야기만 주구장창 하는가? 단독주택, 타운하우스등, 전원주택등도 많은데
Junyoung Yoo 2
2020년 8월 13일 07:31영상정말 감사합니다,박사님 !!!
이브이 2
2020년 8월 16일 18:31왜이렇게 문정부는 수도권토건사업에부정적인지 모르겠네요. 근데 지역균형발전이라는명목으로. 지방은 예타면제 ㅋ
sigeol kim 2
2020년 8월 13일 07:01오늘도 잘 봤습니다!!
Soo Shin 1
2020년 8월 13일 09:03감사합니다.
검바위아재 1
2020년 8월 19일 21:33현재 정부가 내놓는 정책들을 단순히 판단하면 집을 사는것보다 전세로 살아가는게 합리적이라는 판단을 무주택자들에게 전한다. 반대로 다주택 임대업자들은 사업의 매력이 없어지기에 규모를 축소하거나 폐업하고 있다. 수요와 공급이 더욱 반대로 가고 있으니 전세는 귀해지고 가격은 결국 오른다!!
전세가 안정을 위해선 반대로 정책을 했어야 한다!!
우선 전세자금 대출제도를 전면 폐지하면 집값은 현실화 될것이다!!
전세사는 무주택자 지원정책이 도리어 전세가 상승과 집값 상승하는 이유가 된것이다!!
현재 서울과 수도권에도 노후된 빌라 다세대 다가구주택에 공실이 넘쳐 납니다!! 이유는 저리의 전세대출 제도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일본만 가봐도 집값과 월세값이 매우 세분화되어 있다!! 우리같은 전세대출(전세도 없지만 ㅋ) 월세지원제도가 없다!! 반대로 집을 구매할때는 거의 90% 이상 40년 장기대출제도등 지원책이 많다!!
Daniel Lee 1
2020년 8월 14일 19:33굳굳. 위례 신도시 생긴지 한참 되었는데 위신선 안 뚫어주는 정부의 무능... 바로 연상되네요.
이수연 1
2020년 8월 16일 08:31박사님^^ 매번 진정성있는 좋은 강연 듣고 또 공부하고 갑니다~ 화이팅!
아팬TV 1
2020년 8월 13일 20:38대충 알던걸 정리 감사합니다.
혜령정 1
2020년 8월 13일 11:18영상 잘보고있습니다~
특히 쉬운 설명으로 경제기초가 쌓이는중 ᆢ감사합니다~!
월간경제 tv 1
2020년 8월 15일 20:29사회전체로 보면 그 사람의 생산성으로 생각해야 돼지 않나 일은 안 해도 소득은 높은 나이드신 어른이 많은 노인이 사는거는 사회 생산성을 떠러 뜨리지 않나 그러니 고가 주택에는 높은 보유세를 내야지
보노보노
2020년 8월 15일 13:52당연한 얘기보다는 예전에 했던 주제를 data업데이트해서 올리는 게 나을 거 같아요
아투연_아파트형공장투자연구소지식산업센터
2021년 1월 05일 17:30부동산 시장 흐름은 참 직관적인것 같습니다ㅎㅎ
sg lee
2020년 8월 16일 15:52박사님~늘 잘보고 잇구
.덕분에 하나씩 배워가고 잇음니닷, 무더운 날씨에 건강잘 챙기셔욤~ㅎ.ㅎ
DH Kim
2020년 8월 17일 02:46동의합니다. 교통확충. 그리고 더하여 부도심 새도심 직장의 재배치도 필요합니다
Strawberry Kim
2021년 1월 03일 10:18유익한 내용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