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 교양 경제원론 수준으로 복잡다단한 경제현상을 설명하려하니 참 무리수가 많네요. 결국 임대차3법이 전월세를 폭증시키고 종국에는 갭투기 수요 증가로 집값 오를거란 기대심리 부추기시는데, 그래서 갭투기 매력을 급감시키는 세제 금융 규제들이 쏟아져 나왔잖아요? 현규제하에서 갭투기가 실질적 매력이 있다고 보시나요? 기존 임차인이 5프로 상한으로 재계약 하는게 공개되는데 신규 임차인에게 바가지 왕창 씌울 수 있을까요? 같은 단지에 그렇게 이중 가격 구조가 유지될 수 있을까요? 백번양보해서 갭투자 수요가 다시 늘어나면 전세공급은 늘어나는거 아닌가요? 그럼 전세가는 떨어지겠네요?
임대차 3법만 보면 이런 설명이 가능하지만, 더 멀리 보셔야합니다. 최근 세법개정으로 보유세 증가로 인한 갭투자는 분명 줄어들것이며 3기신도시 등등 주택공급 은 2025년까지 엄청 늘어날것입니다. 분명 주택값은 떨어질수 밖에 없고 잠시 전세급등이 있을순있으나 오래가진 못할겁니다.
전세자금 대출 금리와의 연관성도 중요할지 않을까 싶습니다. 100% 자기 자금으로 전세를 살고 있는 사람은 상관 없지만, 대출을 받아서 전세를 살고 있다면 2년전에 비해서 대출 금리가 20%정도는 떨어진 상태입니다. 즉 대출로 나가는 돈이 일정할때 전세자금을 더 많이 빌릴수 있겠죠. 금리가 내려가고 있는 상태에서 전세금의 상승은 당연한거 아닌가요?
최근 정책을 예시로 경제의 기초를 설명해주시고 예측까지ㅋㅋ 너무 알차고 좋습니다. 정책을 시행하면서 파급효과에 대해 충분히 대비하는 게 항상 중요한것같아요. 물론 위기일때는 빠르게 시행하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경제처럼 복잡하고 유기적인 곳은 역효과나 어떤 치명적인 부작용이 생길수도 있으니까요. 최근에 논란이 많은 의료인에 대한 정책도 그래서 참 걱정이 많이 되네요... 감사합니다~
아니 이상한게 자꾸 갭투자갭투자 사람들 글 달리는거 보니 히안하네요 누가 가르쳐서 교육 받았어요^^;;; 실제로 갭투자 많이 없어요 그 사람들이 집값을 움직이지도 못합니다 부동산이나 좀 다녀보세요 이상한 사람들 말 듣지말고 참 안타깝네 저런 생각을 종교처럼 믿다니...갭투자 ㅋㅋㅋㅋ
서울 집값이 오르는건 수요 공급 문제도 있는데 대출을 열어줘서 투기하기 쉬운 환경을 만들어준게 가장 큰 문제라 생각됩니다. 갭투자를 한다고 해도 집값 대비 전세대출 + 신용대출 비중을 축소해버리면 갭투자 가능한 사람 많지 않아요.. 예를 들어 6억 아파트 매입하려는데 대출한도가 총 3억이면 과연 갭투자가 가능한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진작에 대출 규제만 했어도 지금처럼 임대인 세입자 모두 고통받는 환경이 생기진 않았을거 같아서 좀 아쉽네요..
현재 정부가 내놓는 정책들을 단순히 판단하면 집을 사는것보다 전세로 살아가는게 합리적이라는 판단을 무주택자들에게 전한다. 반대로 다주택 임대업자들은 사업의 매력이 없어지기에 규모를 축소하거나 폐업하고 있다. 수요와 공급이 더욱 반대로 가고 있으니 전세는 귀해지고 가격은 결국 오른다!!
전세가 안정을 위해선 반대로 정책을 했어야 한다!!
우선 전세자금 대출제도를 전면 폐지하면 집값은 현실화 될것이다!!
전세사는 무주택자 지원정책이 도리어 전세가 상승과 집값 상승하는 이유가 된것이다!!
현재 서울과 수도권에도 노후된 빌라 다세대 다가구주택에 공실이 넘쳐 납니다!! 이유는 저리의 전세대출 제도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일본만 가봐도 집값과 월세값이 매우 세분화되어 있다!! 우리같은 전세대출(전세도 없지만 ㅋ) 월세지원제도가 없다!! 반대로 집을 구매할때는 집값 90% 이상 40년 장기대출제도등 지원책이 많다!!
저기요...집값은 경매 대란 후에 떨어집니다....지금 신규 매물 폭발적으로 경기, 인천 지역 나오는건 알고 떠드는거에요.??? 아니 진짜 TV 좀 나왔다가 하는 유튜버 분들 좀 정신 차리세요.....인천, 경기 소수 특정 지역 빼고, 전세 매물, 가격 변동 없어요....아니 지금 빚내서 집사신 분들 조만간 원금 분할 상환 하면, 경매 대란 대폭발 입니다........아놔 먼 전세값 오른다는 타령하고 자빠졌어요.....지금 장난 합니까~??? 좀 부동산 말씀을 하실려면 다주택자 입장에서 말하는 것도 좋은데 현실 좀 파악하고 말하세요....아놔 아니 먼놈에....서울, 경기 특정 지역 찝어서 말하고 날리야......나원참...ㅡㅡ
단기에 전세값오르는건 정부도 예측한 건이줘. 그런데 매매가로 전이는 이시국에 참 어려워 보이네요. 임대사업자가 끝나서 인제 다주택은 세금때매 안되고 무주택수요자는 지금가격 너무 높아 분양많이 기다리고 1주택 이주는 양도세가쎄서 못움직이고..상황이 매매 활성화가 되기 어려운거 같아요. 오히려 밥인과 4년임대 매물이 나오는 형국인듯한데 수요가 다 죽어서...어떻게될지
구독자가 많이 늘었네요. 축하합니다. 증세없는 복지는 가능하냐고 질문을 드렸고,박사님은 415선거 이후에 답변을 주신다고 했습니다. 중간에 한마디 드렸습니다만 답이 없었고 그래서 다시 여쭈어 봅니다. 저는 경제는 뭐든 전문가가 아님니다. 초딩출신도 안되는 사람입니다. 그렇다고 아이디어가 없는건 아니겠죠. 저가 대단하다 이런걸 박사님께 인증받고자 하는건 더더욱 아님니다. 왜냐면 나름 자존심이 있으니,,,,,,,,ㅎ,ㅎ 근래에 제 생각과 같은 의도를 가진 나라들이 있더군요. 뭐 다름이 있겠지만,,,,,,,,,ㅎ ,,,,,,, 이번에도 답변을 주시지 않으면 제가 생각을 답을 말씀드리고 박사님이 진단해 보시길 바람니다. ,,,,,, 제가 차트 신봉자인데 주식관련에 물을 먹은 사람들은 챠트를 끼고 사는군요 ㅎㅎ 어쩌튼 영상으로 만들어 주시면 고맙겠지만 아니면 다음 영상에서 증세없는 복지가 가능하다에 대해서 한마디 드리겠습니다 ㅎ
정부의 임대주택 공급과 다주택자 제한을 통한 집값 안정정책은 금리를 올리지 못하는 현재 상황과 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서 집값 상승을 잡았던 오스트리아의 임대주택 공급정책을 떠올리게 합니다. 너무 많은 정책으로 방향성을 알 수 없는 누더기정책이 되어서 공급자와 수요자 모두에게 불만족스러운 정책인데 과연 누가 그 옷을 입고 싶어할까요?
전세를 하나의 재화로 보고 분석하셨습니다 일반적인 분석이라는데 동의합니다 추가로 전세를 하나의 긍융거래로 보고 분석해 보시는 것도 요청드립니다 만약 전세가 임차인이 임대인에 무이자부 대출을 제공하는 대가로 일정기간 주거 및 사용할 권리를 가지는 금전대차거래라면 다른 중요한 외생변수가 생깁니다 바로 집주인의 Credit RIsk(돌려 받아야 하니까요). 다른 요인으로 담보인 집값이 급락하면 이 상황에서 전세가는 어찌될까요?
스텐터GunKim 8
2020년 8월 17일 07:27왜 정부는 기본적 수요 공급 곡선의 이동조차 무시하는걸까요...영상 감사합니다
승열이 8
2020년 8월 17일 11:58대학교 교양 경제원론 수준으로 복잡다단한 경제현상을 설명하려하니 참 무리수가 많네요. 결국 임대차3법이 전월세를 폭증시키고 종국에는 갭투기 수요 증가로 집값 오를거란 기대심리 부추기시는데, 그래서 갭투기 매력을 급감시키는 세제 금융 규제들이 쏟아져 나왔잖아요? 현규제하에서 갭투기가 실질적 매력이 있다고 보시나요? 기존 임차인이 5프로 상한으로 재계약 하는게 공개되는데 신규 임차인에게 바가지 왕창 씌울 수 있을까요? 같은 단지에 그렇게 이중 가격 구조가 유지될 수 있을까요? 백번양보해서 갭투자 수요가 다시 늘어나면 전세공급은 늘어나는거 아닌가요? 그럼 전세가는 떨어지겠네요?
해피윤 8
2020년 8월 17일 10:28박사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너무 세입자 입장에 기울어진 정책입니다. 균형잡힌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jm love 7
2020년 8월 17일 08:15임대차 3법만 보면 이런 설명이 가능하지만, 더 멀리 보셔야합니다. 최근 세법개정으로 보유세 증가로 인한 갭투자는 분명 줄어들것이며 3기신도시 등등 주택공급 은 2025년까지 엄청 늘어날것입니다. 분명 주택값은 떨어질수 밖에 없고 잠시 전세급등이 있을순있으나 오래가진 못할겁니다.
라니아케아 6
2020년 8월 17일 12:31전세자금 대출 금리와의 연관성도 중요할지 않을까 싶습니다. 100% 자기 자금으로 전세를 살고 있는 사람은 상관 없지만, 대출을 받아서 전세를 살고 있다면 2년전에 비해서 대출 금리가 20%정도는 떨어진 상태입니다. 즉 대출로 나가는 돈이 일정할때 전세자금을 더 많이 빌릴수 있겠죠. 금리가 내려가고 있는 상태에서 전세금의 상승은 당연한거 아닌가요?
Borderlands 6
2020년 8월 18일 12:16정부도 이걸 모르고 이러는게 아닌것 같습니다.과도하고 비합리적인 방식으로 공급자를 조여서 공급이 줄어드는 자연스런 이유를 속칭 다주택자들의 탐욕에의한 횡포라고 덮어씌우고 임차인 임대인 편가르기 프레임으로 가려고 이러는 것 같습니다.
엘시에더리 5
2020년 8월 17일 07:09최근 정책을 예시로 경제의 기초를 설명해주시고 예측까지ㅋㅋ 너무 알차고 좋습니다. 정책을 시행하면서 파급효과에 대해 충분히 대비하는 게 항상 중요한것같아요. 물론 위기일때는 빠르게 시행하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경제처럼 복잡하고 유기적인 곳은 역효과나 어떤 치명적인 부작용이 생길수도 있으니까요. 최근에 논란이 많은 의료인에 대한 정책도 그래서 참 걱정이 많이 되네요...
감사합니다~
빠꾸없다 5
2020년 8월 17일 11:47아니 이상한게 자꾸 갭투자갭투자 사람들 글 달리는거 보니 히안하네요 누가 가르쳐서 교육 받았어요^^;;; 실제로 갭투자 많이 없어요 그 사람들이 집값을 움직이지도 못합니다 부동산이나 좀 다녀보세요 이상한 사람들 말 듣지말고 참 안타깝네 저런 생각을 종교처럼 믿다니...갭투자 ㅋㅋㅋㅋ
박용호 5
2020년 8월 17일 10:51한미디로 말하면
무식한 정권이라서
급등하는거랍니다.
Je Cha 4
2020년 8월 17일 15:27전세 구하기 어려운 사람이 집사는 대신 갭투자를 한다는 건가요?? 이부분은 잘 이해가 안가네요...
갭투자 하는 사람들이 전세 놓은 이득이 없어서 파는데 전세 사는 사람이 갭투자에 뛰어든다니... 잘 이해가 안가요.. ㅠㅠ
스트릿패션 4
2020년 8월 17일 11:26서울 집값이 오르는건 수요 공급 문제도 있는데 대출을 열어줘서 투기하기 쉬운 환경을 만들어준게 가장 큰 문제라 생각됩니다. 갭투자를 한다고 해도 집값 대비 전세대출 + 신용대출 비중을 축소해버리면 갭투자 가능한 사람 많지 않아요.. 예를 들어 6억 아파트 매입하려는데 대출한도가 총 3억이면 과연 갭투자가 가능한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진작에 대출 규제만 했어도 지금처럼 임대인 세입자 모두 고통받는 환경이 생기진 않았을거 같아서 좀 아쉽네요..
검바위아재 3
2020년 8월 19일 20:45현재 정부가 내놓는 정책들을 단순히 판단하면 집을 사는것보다 전세로 살아가는게 합리적이라는 판단을 무주택자들에게 전한다. 반대로 다주택 임대업자들은 사업의 매력이 없어지기에 규모를 축소하거나 폐업하고 있다. 수요와 공급이 더욱 반대로 가고 있으니 전세는 귀해지고 가격은 결국 오른다!!
전세가 안정을 위해선 반대로 정책을 했어야 한다!!
우선 전세자금 대출제도를 전면 폐지하면 집값은 현실화 될것이다!!
전세사는 무주택자 지원정책이 도리어 전세가 상승과 집값 상승하는 이유가 된것이다!!
현재 서울과 수도권에도 노후된 빌라 다세대 다가구주택에 공실이 넘쳐 납니다!! 이유는 저리의 전세대출 제도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일본만 가봐도 집값과 월세값이 매우 세분화되어 있다!! 우리같은 전세대출(전세도 없지만 ㅋ) 월세지원제도가 없다!! 반대로 집을 구매할때는 집값 90% 이상 40년 장기대출제도등 지원책이 많다!!
K Director 3
2020년 8월 18일 04:13저기요...집값은 경매 대란 후에 떨어집니다....지금 신규 매물 폭발적으로 경기, 인천 지역 나오는건 알고 떠드는거에요.??? 아니 진짜 TV 좀 나왔다가 하는 유튜버 분들 좀 정신 차리세요.....인천, 경기 소수 특정 지역 빼고, 전세 매물, 가격 변동 없어요....아니 지금 빚내서 집사신 분들 조만간 원금 분할 상환 하면, 경매 대란 대폭발 입니다........아놔 먼 전세값 오른다는 타령하고 자빠졌어요.....지금 장난 합니까~??? 좀 부동산 말씀을 하실려면 다주택자 입장에서 말하는 것도 좋은데 현실 좀 파악하고 말하세요....아놔 아니 먼놈에....서울, 경기 특정 지역 찝어서 말하고 날리야......나원참...ㅡㅡ
Blue Ocean 2
2020년 8월 21일 20:15전세없다고?당분간없겠지.천만에앞으로 공실이넘처날걸요.기다려보심
Hope 2
2020년 8월 18일 19:03최근 전세가격 상승을 수요공급 곡선으로 설명.. 이해 쉽네요.
Y Lee 2
2020년 8월 17일 08:16이에 대한 문재인의 대책: 전세 가격 통제를 6년 또는 무한정으로 더욱 더 강화해서 전세를 매력적으로 만들고 공급자들을 더 힘들게 만들겠다는 것.
박멸토왜 2
2020년 8월 18일 16:19이미.갭이.엄청난데... 전세좀 올랐다고 20억짜리 집값이 30억 되냐????
A L 2
2020년 8월 18일 01:48전세 공급에 인세티브를 주는 정책이 무엇인지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해주시겠습니까?
또한 전세에 대한 선호도가 공급자입장에서 줄어든다면 이들은 월세로 돌리는가요? 결국 반전세나 월세의 공급이 늘어나고 수요도 따라가는게 되지 않을까 싶네요.
차바른 1
2020년 8월 20일 07:02은행이자14프로까지 받는데 은행부터 고쳐라
Kennith Park 1
2020년 8월 18일 22:01주거의 유동성이 없어지고.
시장이 경직될 것 같네요.
무주택자도 다주택자도 1주택자도 불만...
부동산을 모르는 불만만 많은 무주택자들은 환호 하더군요.
사회정의로운 1
2020년 8월 17일 14:44단기에 전세값오르는건 정부도 예측한 건이줘. 그런데 매매가로 전이는 이시국에 참 어려워 보이네요. 임대사업자가 끝나서 인제 다주택은 세금때매 안되고 무주택수요자는 지금가격 너무 높아 분양많이 기다리고 1주택 이주는 양도세가쎄서 못움직이고..상황이 매매 활성화가 되기 어려운거 같아요. 오히려 밥인과 4년임대 매물이 나오는 형국인듯한데 수요가 다 죽어서...어떻게될지
whitewind1 Han 1
2020년 8월 17일 11:40전세/매매 그래프와 설명에 차이가 많네요. 2010년 이후 전세가 상승후 매매가 상승까지 갭이 너무 커요. 거의 5년후에 매매가 상승이 나온건데. 둘의 상관관계가 너무 적다고 생각되네요.
초코초코 1
2020년 8월 26일 17:58설명 잘 들었습니다.^^
정부가 임대인을 악으로 규정하고 사유재산권에 심각한 침해를 입히니 누가 집을 전월세로 내놓을까요? 그럼에도 탄압만 하는 정부 그 끝이 궁금하네요.
daniel 1
2020년 8월 17일 13:47전세사기 너무 많고 세입자 전세자금 먹튀하는 놈덜 너무 많다
울나라에만 있는 전세 제도 이제 없어져야함
Kris Kwon 1
2020년 8월 20일 17:58전세물량도 줄어들어 문제지만 이렇게 세금과 규제로 쪼이면 코로나바이러스 이후에 소비가 위축되어 경기가 회복하기 힘듭니다. 문통은 이념만 앞세우다 부작용도 많고 나중에 경기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할 겁니다.
깔끔남 1
2020년 8월 17일 10:29마스크가 없으면 마스크가격이 올라갑니다. 시장에 물건이 흔해야 가격이 안정됩니다. 역설적으로 임차인은 2년마다 이사갈수 있어야 가격이 안정되고 오래살수있다고 봅니다.
josch 1
2020년 8월 17일 12:00이렇게 힘든데 야당은 아무짓도 안하고, 이것들 뭐하는건지 모르겠다.
슈퍼차차TV
2020년 8월 17일 21:23전세 공급이 준다는건 다주택자가 보유한 물건이 없어 지는게 아니고 월세나 매물로 나오지 않을까요? 박사님~
다주택자가 전세 주는게 매력이 없다고 공실로 비워 둘수는 없지 않을까요?
봉 생산자[Candle producer]
2020년 8월 22일 07:40구독자가 많이 늘었네요.
축하합니다.
증세없는 복지는 가능하냐고 질문을
드렸고,박사님은 415선거 이후에 답변을
주신다고 했습니다.
중간에 한마디 드렸습니다만 답이 없었고
그래서 다시 여쭈어 봅니다.
저는 경제는 뭐든 전문가가 아님니다.
초딩출신도 안되는 사람입니다.
그렇다고 아이디어가 없는건 아니겠죠.
저가 대단하다
이런걸 박사님께 인증받고자 하는건
더더욱 아님니다.
왜냐면 나름 자존심이 있으니,,,,,,,,ㅎ,ㅎ
근래에
제 생각과 같은 의도를 가진 나라들이 있더군요.
뭐 다름이 있겠지만,,,,,,,,,ㅎ
,,,,,,,
이번에도 답변을 주시지 않으면
제가 생각을 답을 말씀드리고 박사님이
진단해 보시길 바람니다.
,,,,,,
제가 차트 신봉자인데
주식관련에 물을 먹은 사람들은 챠트를
끼고 사는군요 ㅎㅎ
어쩌튼
영상으로 만들어 주시면 고맙겠지만
아니면 다음 영상에서
증세없는 복지가 가능하다에 대해서
한마디 드리겠습니다 ㅎ
화이팅
2020년 8월 17일 14:18맞말👏👏 공감합니다👍
다미와여행기
2020년 8월 20일 22:14안녕하세요
임차인이 법인인 경우(중소기업 아님) 임대차보호법이 적용 안된다고 알고있는데요.
그렇다면 임대차3법 또한 적용 안되어 5프로 이상 임대료를 올릴 수 있는건가요?
judi k
2020년 10월 22일 01:47전세는 어짜피 받는돈.. 은행은 마이너스 5억 놔봤자.얼마안됌
폭등 전세 싫으면
월세 살아
Ki Joung Ahn
2020년 11월 11일 07:03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Temp/szhx1Z
이분도 잘 모르시네. ..
매매가.전세가가 올라가는 근본원인은 위의 청와대청원글에 있습니다.
청원을 보시고 수긍이 되시면 동의를 꼭 해주세요.
주택임대인의 전세보증금에 과세를 하지않는데
ghdi
2021년 1월 05일 14:04다주택자가 전세 매력이 없어서 전세를 안내놓으면 전세값이 오르고,
전세값이 오르면 집값이 오른다? 언제까지?
다주택자는 그럼 동가숙 서가식 하면서 여러집에서 산다는 얘기인가?
뭔 얘기를 반전 직전에 끝냄?
참 애 쓰십니다......
judi k
2020년 10월 22일 01:49정책들이 다 넘 더티해.
아르헨티나가 왜 망했을ㅈ까? 한때 세계 10 위 경제국
이브이
2020년 8월 17일 13:21공급물량은한정되고 임대공급은억죄니까 임대료가오르죠 전세1.5억올려달라고해서 그냥 집샀습니다, 근데. 주변에공급이없어서 전세도못구해요
/헤어워시
2020년 8월 17일 19:02차분하게 설명 감사드립니다.
박사님 그외에도 M1 M2도 역사상 최고점으로 치닫고 있는거 같은데 M1 M2 지수와 매매가에 대한 상관관계도 설명 부탁드릴수있을까요?
Roy Choi
2020년 8월 18일 23:03홍대표님, 항상 감사하고 많이배웁니다~
8.4 공급대책에 대한 견해도 듣고싶은데
혹시 계획이 있으신지요?
Hee Brothers
2020년 8월 17일 10:50전세가격이 오르고 뒤이어 매매가가 오른다면 갭투자하기 딱 좋은 상황이네요
강현성
2020년 8월 18일 07:23정부의 임대주택 공급과 다주택자 제한을 통한 집값 안정정책은 금리를 올리지 못하는 현재 상황과 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서 집값 상승을 잡았던 오스트리아의 임대주택 공급정책을 떠올리게 합니다. 너무 많은 정책으로 방향성을 알 수 없는 누더기정책이 되어서 공급자와 수요자 모두에게 불만족스러운 정책인데 과연 누가 그 옷을 입고 싶어할까요?
Henry Jo
2020년 8월 17일 10:39저번 SBS에서 뵈서 반가웠습니다 ㅎ
슬기로운 수의생활:)
2020년 10월 23일 14:39집값잡으랴고 법시행해서 전세 매매가 더 쏙쏙 올려놓는 진짜 한번도 경험해보지못한 나라...크
Junyoung Yoo
2020년 8월 17일 09:37영상 정말 감사합니다,박사님 !!!
이춘희
2020년 8월 19일 20:23홍박사님 중고등학생 경제교육특화되어있는 학교를 한번 만드시는건 어떨까요?
그아이들은 행운아일겁니다
김JSHY
2020년 8월 17일 08:37전세를 하나의 재화로 보고 분석하셨습니다 일반적인 분석이라는데 동의합니다 추가로 전세를 하나의 긍융거래로 보고 분석해 보시는 것도 요청드립니다 만약 전세가 임차인이 임대인에 무이자부 대출을 제공하는 대가로 일정기간 주거 및 사용할 권리를 가지는 금전대차거래라면 다른 중요한 외생변수가 생깁니다 바로 집주인의 Credit RIsk(돌려 받아야 하니까요). 다른 요인으로 담보인 집값이 급락하면 이 상황에서 전세가는 어찌될까요?
파디프
2020년 10월 14일 17:07홍박사님 현재 인권유린에 민족말살 등 양아치짓으로 글로벌에서 점점 왕따가 되고있는 중국의 현실은 애써 무시하시는건가요? 국내의 수많은 친중이코노미스트 중 한명이셨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