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말라는 말의 기원은 돈키호테라고 합니다. 돈키호테 원문에서는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말라고 씌여있지 않지만, 번역하는 분이 뜻의 이해를 돕기위해서 비유를 한글로 쓰다보니 그렇게 바뀌였다고 하네요. 그 이후에는 증권가에서 구루들이 말 하면서 널리 퍼졌다고 합니다.
워렌버핏도 투자할때 사업가 마인드로 투자하고 한국의 2천억 주식농부 박영옥님도 투자의 마지막 레벨은 사업가적 마인드로 투자하는거라 합니다. 그리고 투자는 말씀하신대로 운이 맞는것 같습니다. 사업이 운이니까요. 10년뒤에 삼성이 어찌될지는 이재용도 모를테죠 ㅎㅎ 한가지 말씀드리고 싶은건 자산배분 성향도 개인별로 다 다를거에요. 자산배분을 많이 하고 리스크테이킹을 적게할 수록 안정적인 작은 부자가 될 가능성이 높고 자산배분을 적게 하고 리스크 테이킹을 많이 할수록 큰 부자가 될 가능성이 있지만 작은부자도 못될수도 있죠. 투자한 회사의 사업이 성공하지못한다면. 아마존의 제프 베조스,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도 사업이 실패했다면 결국 빚에 못이겨 파산하고 작은부자도 못됬을테지만 사업으로 인해 큰부자가 되었다고 봅니다. 결론 - 자산배분 투자 -> 안정적 작은부자 집중해서 몰빵 투자 -> 큰 부자 or nothing. 단 집중투자도 지분투자개념이 아닌 트레이딩으로 사고팔기했다간 사업은 성공해도 본인은 돈만잃을수 있다는점 주의..
위대한 인사이트 19
2020년 8월 17일 14:42주식의 쓸모 제오부. 자산 배분의 이유와 방법
채권에 자산배분을 해야 하는 이유
03:33주식시장은 복잡계다
06:42채권은 주식이 내려갈 때 올라간다
부연 설명
00:27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01:05자산배분이란 위험을 낮추기 위한 게임과 같다
01:16투자는 장기전인데 수비를 안 하다 결국 망한다
01:40공격이 최선의 방어라는 말이 있는데 그러려면
위험성(변동성, 낙폭)에 흔들리지 않아야 한다
02:11그러나 사람은 누구나 흔들릴 수밖에 없다
02:30우선 부자가 되기보단 빈자가 되는 걸 막아라
02:34전세계를 통틀어 주식으로 부자된 사람은 없다
02:55창업을 한 회사 주식이 올라 부자가 된 것을
사람들은 주식을 해 부자가 됐다고 생각한다
03:05돈 많이 벌려면 창업을 해라 주식은 장기적
안전지대를 하나 더 만들기 위한 것일 뿐이다
03:23물론 단기간에 돈을 벌 수 있다 그러려면
단기간에 찾고 적절한 순간에 넣어야만 가능
한데 그렇게 한다고 해도 운이 큰 작용을 한다
03:41방법을 몰라 실패하는 시대는 끝났다 결국
알면서도 실행에 옮기지 못해 실패할 뿐이다
04:33개인투자자 중 장기적 수익을 낸 경우는 없다
는 말은 장기투자한 투자자가 없기 때문이다
자산 배분하는 방법
나이에 비례해 주식과 채권 투자(해외 7, 자국 3)
부연 설명
06:17채권투자는 국채와 회사채가 있는데 국채는
06:23나라에 돈을 빌려주는 인덱스 펀드가 있다
07:17채권은 주식하락 구간일 때 버틸 힘이 되니
07:30나이에 비례한 비율로 하면 된다(30대면 30%)
(단 주식과 채권을 모두 통달했을 때의 말이다)
08:38그래도 난 성격상 해야겠다면 반반으로 해라
10:18인덱스 펀드의 비율은 신흥 강자(국가)에 30%
11:00절대강자에 70%를 투자하면 된다
11:10이때 환 노출을 적용하면 이윤이 더 남는다
스터디언 7
2020년 8월 17일 13:33🎤김성일 작가의 책터뷰 영상 더 보기
📕책 제목: <주식의 쓸모>
1부: 부자가 되는데 반드시 필요한 2가지 사고방식
▶https://youtu.be/NCxhhkybAS4
2부: 잘 빚내는 법
▶️https://youtu.be/pWY3wCpXdDI
3부: 부자가 되는 가장 빠른 방법
▶️https://youtu.be/eDrUnfiqdmw
J AR 6
2020년 8월 17일 14:08마법의연금굴리기, 주식의 쓸모 투자에 참고할만한 좋은 책들을 알게되어서 좋네요. 감사합니다~^^
위험을 낮추는 자산배분의 중요성에대해서 한번더 말씀해주셔서 주식투자'만'으로는 어렵다는것을 다시한번 알게해주셔서 유익한것같습니다~^^
폽스 6
2020년 8월 17일 14:49개인적으로 많은 도움 얻은 책입니다.
~주식의 쓸모~
김현숙 5
2020년 8월 17일 16:07유명한 (분산투자)! 포트폴리오!
오늘도, 김성일 작가님! 수은PD님! 어려운 내용을 쉽게~
재미있게~ 잘 설명 해 주셔서, 정말 좋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에이루비루 4
2020년 8월 18일 00:54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말라는 말의 기원은 돈키호테라고 합니다. 돈키호테 원문에서는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말라고 씌여있지 않지만, 번역하는 분이 뜻의 이해를 돕기위해서 비유를 한글로 쓰다보니 그렇게 바뀌였다고 하네요. 그 이후에는 증권가에서 구루들이 말 하면서 널리 퍼졌다고 합니다.
미라클 지원 4
2020년 8월 17일 16:27주식 장기로, 분산 투자하라.
주식 쉽지 않은 것 같아요.ㅎ
채권도 가져 가는 것이 좋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J J 3
2020년 8월 17일 22:07유익한
정보감사합니다
Junyoung Yoo 3
2020년 8월 17일 16:08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
이장호 3
2020년 8월 17일 17:19나도 부자 되고 싶어요
jw k 3
2020년 8월 17일 23:04.부자이십니까?
Bumhee Lee 2
2020년 8월 17일 22:05요즘같이 통화량이 급증한 상태에서 채권투자가 오히려 더 위험하지 않나요?
헷지로 현금이 차라리 나아보입니다.
지난 3월 마진콜 사태에서는
금, 채권,주식,원자재 다 박살났었죠..
Koo Koo 1
2020년 8월 20일 01:40워렌버핏도 투자할때 사업가 마인드로 투자하고 한국의 2천억 주식농부 박영옥님도 투자의 마지막 레벨은 사업가적 마인드로 투자하는거라 합니다.
그리고 투자는 말씀하신대로 운이 맞는것 같습니다. 사업이 운이니까요. 10년뒤에 삼성이 어찌될지는 이재용도 모를테죠 ㅎㅎ
한가지 말씀드리고 싶은건 자산배분 성향도 개인별로 다 다를거에요.
자산배분을 많이 하고 리스크테이킹을 적게할 수록 안정적인 작은 부자가 될 가능성이 높고 자산배분을 적게 하고 리스크 테이킹을 많이 할수록 큰 부자가 될 가능성이 있지만 작은부자도 못될수도 있죠. 투자한 회사의 사업이 성공하지못한다면.
아마존의 제프 베조스,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도 사업이 실패했다면 결국 빚에 못이겨 파산하고 작은부자도 못됬을테지만 사업으로 인해 큰부자가 되었다고 봅니다.
결론 - 자산배분 투자 -> 안정적 작은부자
집중해서 몰빵 투자 -> 큰 부자 or nothing.
단 집중투자도 지분투자개념이 아닌 트레이딩으로 사고팔기했다간 사업은 성공해도 본인은 돈만잃을수 있다는점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