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배워도 / 아무리 해봐도 모르는 것이 있었습니다. - 그것은 100개의 방법이 있다고 가정 했을 때, 그중에 1개를 배웠던 것이 었습니다.
* 예를 들어 목적지로 가는 방법 중 1개의 경로를 알고 이렇 게 가면 여기서 여기서 ‘함정’이 있고, ‘여기선 이렇게 하면 망친다’를 그리고 여기선 몇 분이 걸린다. 그러니 ‘함정’을 조심하고 가면 목적지에 갈 수 있다.
그렇게 100개 중 1개를 배웠습니다. 결과도 알았고, 하면 안 된다는 것도 배웠습니다. 이렇게 그들은 경험한 것을 나누고 알려주면서 1개를 필요 로 하는 사람들에게 시간을 아껴주었습니다. ‘99개를 알아 볼 힘을 내면 되는 것’이었습니다. ‘여기서 1개에서 배운 것을 이용해서 말이죠.’ 말을 안 했을 뿐, 99개 방법에서도 ‘함정을 조심’하고, ‘너에게 맞게 상황에 맞게 찾아가라고 알려 주었다’는 것을요. ‘경험을 하고 나니 알게 됩니다.’ * 우리에게 ‘100개 중 1개 아니 20개 아니 30개’를 먼저 경험하고 도전하고 ‘이런 곳에선 이렇습니다.’ 를 알려 주는 것만으로도 우리에게 얼마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해준 것인지, 느끼고 나니 ‘배웠던 잊었던 것’이 생각이 나게 되었습니다. * 이 영상을 통하여 맨달을 다잡고, 또 그때의 마인드를 되새겨 봅니다.
맞습니다 누구나 competence fallacy를 갖고 있고 내가 생각하는 실력과 실제 실력과의 간극을 줄이려면 결국 머슬메모리와 메타인지밖에 믿을 게 없죠.. 그게 귀찮고 고통스럽고 어렵기 때문에 더 좋은 방법을 찾는다던가 강의진도에 집착한다던가 이론을 꼼꼼히 본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회피하게 되고요
derimourian tito 13
2020년 8월 25일 18:06남는게 없음은 간단함..공부하는 방법이 잘못되어서 그럼..
J리더-최고의 하루를 위한 이야기 12
2020년 8월 26일 12:52인생은 실전이야 ...
김성규 11
2020년 8월 25일 18:12효율적으로 공부하려면 토론, 참여
즉, 경험
변수가 너무 많다 (테크닉<보편적>의 영역이 아닌 Art<독창적>의 영역)
테크닉은 기본
박순화 9
2020년 8월 25일 17:55마음에 콕 박힙니다.
연습문제는 꼭 풀어봐야 한다는 그 사소한 진리를 깨닫습니다.
수박을 먹는것은 수박 겉핧기를 하는게 아니라 수박을 깨서 먹는거다.
노정민 8
2020년 8월 25일 17:12맞는말대잔치..
위대한 인사이트 8
2020년 8월 25일 18:02#훈련 은 #실전처럼 ! #실전 은 #훈련처럼 !
이론(형식지)과 실전(암묵지)은 둘 다 꼭 필요하다
이론과 실전의 연관성은 머리가 아닌 몸이 알고있다
이론에 매몰되어 실행의 저주에 빠지면 안 되고
실전에 매몰되어 지식의 저주에 빠지면 안 된다
투입물과 산출물의 균형이 제일 중요하다
그러나 대부분 실행의 저주에 빠져 있을 수밖에
없는 환경이니 몸으로 부딪쳐보는 데 집중해야 한다
삶은 복잡계영역이라 똑같은 일도 미묘하게 다르고
책은 선형계영역이라 둘의 공존 자체가 불가능하다
두 영역의 간격을 좁혀가는 게 실전이고 실력이다
모든 이론을 다 섭렵하기보단 문제에 부딪혀 보고
나에게 필요한 중요한 이론만 참고해도 충분하다
JY 7
2020년 8월 26일 00:06훈련은 실전처럼! 실전은 훈련처럼!
두려움을 이기고 바로 행동하자!!
충신 6
2020년 8월 25일 18:15말을 잘 하려면 말 하는 연습을
글을 잘 쓰려면 글 쓰는 연습을
꾸준한긍정 5
2020년 8월 25일 19:44신박사님과 고작가님 콜라보로 정말로 좋은 말씀해주신깐 항상 동기부여 되어서 더 열심히 살고 싶고 힘이납니다!!!! 훈련은 실전처럼 실전은 훈련처럼, 일단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생활에 정말로 도움되는 거라서 좋은 말씀 새기고 갑니다^^
유튜브꽃잎 5
2020년 8월 26일 07:29맞는 말입니다. IT공부를 하면 뼈저리게 느끼는데 코딩 문법만 배우고 작은 작품이라도 안 만들면 다 까먹죠. 반대로 작은 작품이라도 한번만 만들어도 나중에 까먹어도 쉽게 기억나구요.
식빵 4
2020년 8월 25일 17:581분 같은 8분이었다..
축구조각가football sculptor 4
2020년 8월 25일 17:15스킬은 기본이다, 아트는 스킬을 바탕으로 생선된다!
민민 4
2020년 8월 26일 01:41bgm이 너무 요란해서 잘안들려요
해피혀니 4
2020년 8월 25일 17:32움직임의 힘! 행동의 힘! 이 함께 하지 못한다면 허공속의
메아리 허공속의 독서일뿐! 뼈저리게 느끼는 요즘입니다
호에에 3
2020년 8월 26일 12:12이번 영상은 진짜진짜진짜 좋네요
남재현 3
2020년 8월 25일 18:08공감합니다
제가 양빵 배우기 위해 경주까지 제 친구랑 내려가본적 있었죠
공복유산소 3
2020년 8월 26일 13:24인생공부 팟방 다시 부활했으면 좋겠다...
감성이 너무 좋아요
thanks 3
2020년 8월 26일 15:43실천이 답이다.~~🍀🍀
지난 1년간 철저하게 자기 반성하고
회피,핑계와 비교를 거두었습니다.
다양한 분야의 독서와 글쓰기를 통해
굴절굴절~ 유연함을 키우며,
실력을 증강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일상을 실행가로 살아가는 힘을 주는
동기부여 영상 감사합니다.^^
A.Bhardwaj 2
2020년 9월 14일 17:45Please add eng sub🙏🏻🙏🏻🙏🏻
Storm, Hong 2
2020년 8월 25일 18:17* 경험하고 나니 이야기가 확 와닿습니다. (다시 들으니 잊었던 마인드를 다잡아 봅니다.)
아무리 배워도 / 아무리 해봐도 모르는 것이 있었습니다.
- 그것은 100개의 방법이 있다고 가정 했을 때, 그중에 1개를 배웠던 것이 었습니다.
* 예를 들어 목적지로 가는 방법 중 1개의 경로를 알고 이렇
게 가면 여기서 여기서 ‘함정’이 있고, ‘여기선 이렇게 하면
망친다’를 그리고 여기선 몇 분이 걸린다. 그러니 ‘함정’을
조심하고 가면 목적지에 갈 수 있다.
그렇게 100개 중 1개를 배웠습니다. 결과도 알았고, 하면
안 된다는 것도 배웠습니다. 이렇게 그들은 경험한 것을 나누고 알려주면서 1개를 필요
로 하는 사람들에게 시간을 아껴주었습니다. ‘99개를 알아
볼 힘을 내면 되는 것’이었습니다. ‘여기서 1개에서 배운 것을 이용해서 말이죠.’ 말을 안 했을 뿐, 99개 방법에서도 ‘함정을 조심’하고,
‘너에게 맞게 상황에 맞게 찾아가라고 알려 주었다’는
것을요. ‘경험을 하고 나니 알게 됩니다.’
* 우리에게 ‘100개 중 1개 아니 20개 아니 30개’를 먼저
경험하고 도전하고 ‘이런 곳에선 이렇습니다.’ 를 알려
주는 것만으로도 우리에게 얼마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해준 것인지, 느끼고 나니 ‘배웠던 잊었던 것’이
생각이 나게 되었습니다. * 이 영상을 통하여 맨달을 다잡고, 또 그때의 마인드를
되새겨 봅니다.
치즈롤케익 2
2020년 8월 25일 18:56행동의중요성이군요
ContacT M 2
2020년 8월 25일 17:47시험을 치고 서열을 매기고 신분상승을 위한 공부를 했으므로 실력으로 남는건 없다.
김민규 2
2020년 8월 25일 18:57내가 느끼고 생각하던 것과 똑같네
인턴할때 명문대애들 진심으로 바보랑 대화하는줄 알았다.....
김태윤 2
2020년 8월 26일 08:36남이 억지로 시키는 공부 즉, 내신,대학교,사교육 등등 막장부모가 사람을 망침 ㅋㅋㅋㅋㅋ
장문 쓰는 일반IN 2
2020년 8월 25일 17:03이거지
유복매 1
2020년 8월 27일 08:22🍉🍉🍉🍉🍉哈哈😄 먹고 싶은 마음이 생기다
신나는시골아이들의야기 1
2020년 8월 25일 20:250:09 똥으로 나오기 때문입니다
김민규 1
2020년 8월 25일 21:18두려워 않고 몸으로 실천하겠습니다!
Blake Sim 1
2020년 8월 26일 22:19맞습니다 누구나 competence fallacy를 갖고 있고 내가 생각하는 실력과 실제 실력과의 간극을 줄이려면 결국 머슬메모리와 메타인지밖에 믿을 게 없죠.. 그게 귀찮고 고통스럽고 어렵기 때문에 더 좋은 방법을 찾는다던가 강의진도에 집착한다던가 이론을 꼼꼼히 본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회피하게 되고요
Keigo Kim 1
2020년 8월 25일 19:14머리가 나쁘면 몸이 고생한다? 머리로 생각하는 이론 보다 몸으로 먼저 부딧쳐 보라는거군요
가수지왕 YOUTUBE 1
2020년 8월 25일 17:43다이한민국의 교육이 썩었다 이마리야
Brrr 1
2020년 8월 26일 12:12실행가가 되겠습니다!
수호 1
2020년 8월 26일 11:08오늘 같은 영상 넘 조아요 ㅎㅎ
내가 좋아하는 게 뭘까 1
2020년 8월 25일 22:24너무 좋네요 콘텐츠
실천으로 많이 빨리 부딪히며
체득하고
책을 읽는 것이 능사는 아니며
옆에 끼고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것!
두고두고 많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백
2020년 8월 25일 19:37님들 그냥 완공한번 읽으십시오...
미운요리세끼 Ugly daily meal
2020년 8월 27일 14:35수박 맛있게 먹으면 된다!
부자대디
2020년 8월 25일 19:00몸으로 체득하자
감사합니다
Angry Villain
2020년 9월 07일 17:54ㄹㅇ 책읽기만해서는 안됌 직접 적용해보고 부딪혀봐얒
멘탈코디
2020년 8월 26일 14:54음식은 맛으로 먹기도 하지만
때로는 포만감에 행복을 느낍니다.
공부는 머리로 하는게 맞지만
때로는 정서의 풍족함에 안정을 느낍니다.
공부는
기억을 하고 못하고가 기준은 아닌것 같습니다.
욱이
2020년 8월 25일 18:46고맙습니다
user1
2020년 8월 25일 18:15크ㅡㅡ 맞는말만 하시네요
Earl Grey
2020년 8월 25일 18:06관통상 입었어요 ^^
정주
2020년 8월 28일 19:42혹시 몸으로 공부한 결과, 20% 향상된 결과에 대한 분석을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 참고문헌으로 사용하고 싶어서요
JUST
2020년 8월 25일 17:11가슴에 뼈가 시리네요. 감사합니다.🙏
kimchiandcandy
2020년 11월 14일 08:11공부를 하는 이유를 모르니까 남는게 없지 ㅋㅋㅋ
CHAD
2020년 8월 28일 11:37bgm 볼륨을 줄이는 연습좀..
박성준
2020년 8월 26일 09:25저분들 뭐하시는 분들인가요?
직업이 따로 있으신가요? 그냥 유튜버?
리나
2023년 1월 28일 10:43고작가님 엔지니어 였군요, 두분다 이공계인데 영역을 가리지 않네요 대단하세요
이정민
2020년 8월 25일 19:26감사합니다
선비생생정보통
2020년 8월 27일 09:5070만명 이네
잿빛날개
2020년 8월 25일 20:27필명은 버지니아 울프.... 제가 좋아하는 인물... ㅠㅠㅠ
알파천국
2020년 8월 26일 02:30공부란 캐쉬플로우랑 다르니깐....cash flow forever!
U D
2020년 9월 02일 10:14결국 체화라는 이야기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