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 내일을 위해 지금 반드시 해야할 일 | 강신욱 통계청장 | 인구주택총조사 질문 미래 | 세바시 1240회
이 강연은 통계청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 인구주택총조사는 우리나라의 모든 인구와 주택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여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입니다. 국민대표 ......
이 강연은 통계청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 인구주택총조사는 우리나라의 모든 인구와 주택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여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입니다. 국민대표 ......
@annflyoon 21
2020년 9월 21일 18:20인구주택총조사 왜 참여하는지 이해 못했는데ㅜㅜ 청장님께서 설명해주시니까 귀에 쏙쏙 들어오고 좋아요! 앞으로 조사 참여할 수 있게되면 적극적으로 참여하겟습니다
이진철 11
2020년 9월 21일 18:21이제는 서른즈음에가 아니라 마흔 즈음에라고 해야 하는 건가요? 너무 슬퍼요 ㅠㅠ
@user-yi9bi3vk3o 10
2020년 9월 21일 20:04아 인구주택총조사가 이런거였군요...... 왜하나했어요 통계청장님이 의외로(?)젠틀하시고 핸섬하신 분이셨네요
@DDaDok_stureadingkorea 9
2020년 9월 21일 21:051. 강신욱 통계청장님. 미래의 삶을 바꾸는 통계학 데이터
2. 시대별 중위연령(1994년도 : 28세 2000년도 : 43.7세 2050년 : 56세)
3. 인구센서스 조사 : 당시 시대상을 반영
4. 올해 조사 : 반려동물 소유유무
5. 정보 활용 주체 : 기업, 정부(국가)
6. 인구주택총조사 : 2020중순 시작
내일의 변화는 당신으로부터라는 슬로건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정책을 만드는데 하나하나의 데이터가 중요히 활용된다는 것이 인상적이기도 했습니다.
세바시를 통해 오늘도 좋은 통찰을 얻습니다
감사합니다
@kooster91 7
2020년 9월 21일 21:20이야기하면 바뀐다, 문제가 해결된다란 말이 너무 공감됩니다. 정말 사실입니다~
@teraohyeon 7
2020년 9월 26일 12:52반려동물을 키우는가?라는 질문이 새로 추가 되었다는게 기억에 남네요!! 인구주택총조사를 통해 요새 트렌드를 알 수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carajeong8518 6
2020년 9월 21일 18:48사례로 들으니까 이해가 잘 되네요~ 시대의 흐름이 통계로 읽어지는 것이 흥미로워요👍
@our_time_yuri 6
2020년 9월 21일 19:41장관님 말이 일케 재밌다니!!!!
@lucky7hn 5
2020년 9월 22일 21:31평소 바쁘다는 핑계로 인구센서스 조사도 지나칠 때가 많았고 나 혼자 무언가를 추진하면 무언가 궁극적 결과가 나올 줄 알았는데 이제는 제얘기를 들려줄 때인 것 같습니다 인구센서스 조사는 미리 개인에게 공지가 되나요? 조사는 연간단위로 이루어지는지 그 시기도 궁금합니다
최준영 5
2020년 9월 21일 18:20저도 반려인구로서 인구주택총조사 꼭 참여해야겠어요!!
@83lenya 5
2020년 9월 22일 02:27센서스 정보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해서 알게 되어서 참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감사합니다
@user-rw1mn9lz2j 5
2020년 9월 23일 21:47여러분이 들려주는 15분의 이야기가 모여 세상을 바꿀수 있다는 마지막 말씀이 가슴에 남습니다~^^ 이런 깊은 의미가 있는지 정말 몰랐습니다. 많은 사람들도 알아갔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jane_zhiren 4
2020년 9월 21일 19:14지금 2020년대 인구의 나이의 중간이 40대 인줄은 정말 몰랐습니다~
20대(여자) 인데 정말 불안해 하며 취업도 못하고 하루하루 살아가고 있는데..
정말 인구주택 총 조사를 하고 있는지도 몰랐고 필요한건지도 모르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시대별 년도별로 묻는 질문이 다른지도 오늘에서야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저도 2020 인구주택총조사를 참여해야 겠습니다~
강신욱 통계청장님 정말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알게 해주시고 이벤트 기회를 주신 세바시에 정말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좋은 얘기 많이 해주세요~~~ 그리고 좋은 영상 잘 부탁드립니다~
다음에 정말 좋은 기회로 세바시를 직접 볼 수 있는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ㅜㅜ
@sebasi15 4
2020년 9월 21일 16:55[책이벤트] 강신욱 강연자에게 질문 또는 시청소감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추첨을 통해 세바시 강연자들의 책을 선물로 보내드립니다. (참여기간 9/21~9/25, 당첨발표 9/28)
@user-rg9rq8cq5y 4
2020년 9월 21일 19:11와 그런의미가 있었군요
총조사 그런거에 역사들
그리고 생각도 못했는데 ㅎㅎ
@user-tc3yr2tj3e 4
2020년 9월 21일 19:36작년에 말이죠~인구주택설문에 참여하고 상품권 못 받았어요~ 억울~ 성실히 참여했는데~ㅠ.ㅠ
@user-lm3zf2wu9w 4
2020년 9월 22일 17:02어릴 적에 했던 기억이 있는데...시대를 반영하는 질문과 정보 였네요
인구센서스 조사에 적극적으로 정직하게 참여하고 싶습니다
뷁훫췂wvwvwwvvww 3
2020년 10월 14일 09:49요역:
빅데이터화 해서
좋은쪽 쓸꺼다.
협조해라.
개인정보를 캐묻는게 아니다.
너님들의 이야기를 듣고싶은거다.
@JO-pv4uu 3
2020년 9월 21일 18:02기대됩니다!!
점점 더 높아지는 연령 등..조사에는 뭐든 의미가있군요!!
세상을 넓게 볼수있게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pu2zn1ms7y 3
2020년 9월 21일 18:38인구주택총조사가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느끼게 되네요!
@user-qt8pe3pd1t 3
2020년 9월 21일 20:04인구통계조사원으로 2005년 참여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가가호호 방문해서 질문지를 작성 받아야 할 때 집에 없기도 하고, 왜 그걸 적어야 하냐며 부정적인 반응도 있었습니다. 이걸 해야 하는 명확인 이유를 뒤늦게 듣고 보니 참 보람된 일이었다는 사실을 깨닫고 뿌듯하네요~^^ 국가가 하면 무조건 반대부터하는 모습에서 벗어나 내일을 위해 15분 투자하는 걸 소중히 여겨야 함을 깨닫습니다.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seonk-kj2kl 3
2020년 9월 22일 12:23‘내일의 변화는 당신의 이야기로부터’
지금의 우리 삶이 인구주택총조사에 영향을 주고, 인구주택총조사로 얻어진 정보는 또다시 우리 미래의 삶에 영향을 주는 거네요. 나의 이야기가 내일을 변화시키고, 주변인들에게 도움을 준다면 하지 않을 이유가 없는 것 같습니다! 그러니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지금 반드시 해야 할 일’은, 10월에 있을 인구주택총조사 날이 오기만을 기다리는 것이겠네요 ㅎㅎ 이 강연을 통해 인구주택총조사가 왜 이뤄지는지, 그 조사가 다시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쉽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soyounkim9010 3
2020년 9월 21일 18:29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ysjung4009 3
2020년 9월 21일 22:37그냥 관청의 홍보 영상이네요 현재 이슈에 대한 고민이나 디테일한 또는 청중이 관심 가질 이야기를 기대했었습니다
oo1n 2
2020년 9월 21일 18:18오~
@user-yy9ve2nf1z 2
2020년 10월 14일 08:32통계는 과학의 발전이고
인류의문화를향상시킬수있습니다
@user-jc8ti6mb8d 2
2020년 9월 21일 19:19사회적 조직 과 개인은 결국 조직에 의해 개인적 희생이나 조직적인 조작 이 조직을 위해 필요한 조건 인가.
그 조작의 의도와 무관 하게 그조작을 통해서 이익을 취하는자 손해를 보는자 로 나눠질때 그걸 나누는 기준에서 그결과 가 선한의도 선한 영향력을 미쳤다 결과론적 결과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이성적 으로 정의롭지 못 하거나 부도덕적 인 행위 불법적 행위 를 묵인 하거나 방조 방관 적극적 협조 의 공범 에 대해 과연 비난의 대상 이고 비난 해야 하는가.
만일 비난의 대상 일때 그 비난 을 하는 자에 대해 그 사회나 조직이 관대 하게 받아들이고 경청 할수 있는가.
아님 그 개인이 제거의 대상 이여야 하는가 국가나 조직에 대한 도전 으로 받아 들이는게 합당 한가.
또다른 개인이 국가나 조직을 속여 사익을 취하고자 할때 이에 속거나 묵인하고 적극 협조 하는 국가기관 이거나 그 개인을 어느정도 보호 해줘야 하는 것인가 말아야 하는가 그 사회적 신분에 따라.
일반적 으로 차별이란 부정적 의미나 이미지로 차별이 없거나 평등해야 한다고 말한다.
차별을 과연 타파의 대상 으로 삼아 그리 봐야만 하는가.
노력 성과 나와는 무관 하게 주어진 걸 가지고 태어난 모든것 을 불평등 차별로 인지하는 가치관에 는 문제가 없는 것인가.
나와 다른 타인을 인정 하지 못하는것.
다른 환경 즉 다른 나라 다른 부모 다른 경제적 수준 다른 학교 학벌 등등...
한국사회 에서 다양성 을 말 하고 차별 타파를 원하고 말하지만.
대학을 나와 검사 판사 의사 등 사회적 특권 을 가지거나 누리는 자리을 위한 획일화된 사회구조 인물을 위해 시스템이 작동하는게 아닌가 개인적 으론 그리본다.
차별을 용납 할수 없는 개인이 차별적 대우를 받기위해 공부를 하고 경쟁을 하고 그 들과 다른 환경 조직 연고 학벌 에 의해 조직적 으로 합의 담합 묵인 국가적 공적 개인 혹은 그 이상 조직적 협조 에 대한 비난 을 해야 한다고 할때 그 자격을 따져야 하는가 그 자격이 필요하다 한다면 그 기준을 과연 누가 나누고 부여 해야 하는가.
차별은 존재 해야 한다 생각한다.
타고난 재능에 따라 성과에 따라 그 공과 는 달라야 한다. 단지 그 차별을 부당하게 이용하여 특정 조직 신분을 유지하고 누리기 위함이 아니여야 한다는 조건 이 필요하다.
위인을 위인으로써 인정 하고 존경 한다는 것 나와 다른 존재 이기에 이를 인정 하고 나와 차별 하고 차별 대우를 하는것 이다 당연한 것 아닌가.
평등 차별등 을 운운 하여 이를 무시하는 자들의 의도나 수준 으로 사회적 학습 학교 대학 직장 사회생활 즉 그런 사회에 익숙해 인지 하지 못하는 나 또한 포함 타인을 이해 할수있는 가 모를 일이다. 나또한 타인의 삶에 대한 인지 능력이 타인의 존재 가치를 인정 해주기 힘들 일이다.
@user-ry2ux2eu6y 2
2020년 9월 24일 01:01인구센서스가 뭔지도 잘 몰랐던 사람이고 사실 소개에 통계청이 있길래 통계 쪽엔 관심도 없어 영상을 틀어놓고 다른 일을 하면서 들어야겠다 하면서 영상을 켰습니다. 그런데 들을수록 흥미로운 얘기들이 많았고 인구센서스가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처음 알게 됐습니다. 개인적으로 통계들을 들어가면서 한국의 역사를 다시 보는 기분도 들었고 통계를 보면서 재밌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가장 인상깊었던 것은 강신욱 강연자님께서 그냥 열심히 하면 남들이 알아봐줄 것 같다는 얘기를 하셨을 때였습니다. 저도 그렇게 생각했던, 생각하고 있는 사람이거든요. 개인적인 얘기를 인구센서스와 연관지어 설명하시는 점도 너무 인상 깊었습니다. 특히나 마지막에 세바시라는 단어(?)와 연관지어 말하신것도 제가 세바시 강연을 많이 보진 않았지만 지금까지 본 강연들 중 처음으로 말하신 부분이라 새삼 놀랍기도 했습니다. 강연 잘 들었습니다!
@jihyejin0188 2
2020년 9월 27일 16:09헐 통계청장님이 이렇게 젠틀하고 멋있다뉘...
반칙이양!!
@user-jc8ti6mb8d 2
2020년 9월 21일 20:21통계또한 누가 보고 어떻게 이해 하느냐 에 따라 그 숫자적 통계 의 모호성 을 가지며 어떤 경우 는 권력을 위해 왜곡 하고 설파한다.
때론 평균치 란 교묘한 방법론 을 말 하고 빠지게 하며
어떤 개인이 모든 분야 에 통달해 통계 를 만든다 해도 그걸 보는 자의 모든 자들이 그 정도의 수준에 이르지 못하기 때문에 늘 사익 즉 개인의 이익 조직의 이익 권력에 의해 이용당 하거나 스스로 복종을 원하기도 한다.
@amalialee 2
2020년 9월 21일 18:02I really love this program, Thanks for sharing. I'm learning a lot as a mom.
@user-mq6zk4gv3k 1
2020년 9월 22일 07:02통계라는 부분이 이렇게 삶의 변화를 볼 수 있는것이 었네요.
참으로 귀한강의 입니다
세번째 듣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주미 1
2020년 9월 29일 18:5115:47
@user-fg3qk5qr5j 1
2020년 10월 12일 10:02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James Kim 1
2020년 11월 17일 20:51강신욱씨는 마음이 맑네요
감사행복함 1
2020년 9월 30일 08:027:00
@tjdrhdjeon9805 1
2020년 9월 27일 22:01인구주택총조사의 역사를 포함하여 알기 쉽게 잘 이해하였습니다. 인구센서스 참여는 대한민국을 올바른 길로 향하게 하는 등대와도 같다는 생각을 갖게 합니다. 말씀 감사 합니다.
@book1098 1
2020년 9월 21일 18:13실방참여 영광입니다~반갑습니다 😁
@southcairo 1
2020년 12월 03일 16:43왜 우리 삶에 스토리 가 필요한지 느끼는 시간이네요. 호구조사를 이야기로 풀어내어 매력적인 강연으로!!
@user-et2xo4eh9c 1
2020년 9월 21일 18:23책이벤트] 더 나은 내일을 위해 지금 반드시 해야할 일 | 강신욱 통계청장 | 인구주택총조사 질문 미래 | 세바시 1240회잘보았습니다.{오뚜기아빠}
1000명9독달성
4000시간라이브.의리
DH L 1
2020년 9월 24일 17:00무지한 한 대학생이 지적하나 하자면요. 고령화도 고령화지만, "저출산 문제"가 심하기 때문에 중위연령이 높아진 것 아닐까요? 인간 수명은 3만년 전이나, 현재나 최대로 살수있는 수명은 70, 80세에서 115세라는게 사실입니다. 의료의 발달로 유아사망률이 줄어든 것과, 젊은시절의 삶이 풍요롭고 안전해져서, 젊었을 때 죽지 않는 현상과 풍요로운 식사환경등의 여러 요소로인해, 마치 "평균"수명이 늘어난것처럼 보이는거죠. 기본 수명은 변함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여러 사람들을 기준으로 만든 통계자료와, 실제 한 개인의 일생의 길이를 동일하게 취급하는 것 자체가 오류라고 생각합니다 ㅎㅎ 좋은 강연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bn8kg6pz5d 1
2020년 9월 21일 21:41인구 조사원들이 찾아 오면 나름 열심히
대답을 해주곤 했는데 인구 조사하는건
중요한 자료가 되겠네요
시간이 지나고 나서 여러가지 정보
그때 당시에 필요한게 무엇인지
쉽게 알아 볼수 있는거 같아요
쉽게 이야기로 이해 할수 있는 좋은
강연이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user-kr3ev4vj9f 1
2020년 9월 22일 09:07인구 센서스 조사는 국가 정책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user-dn7pi8rz4f 1
2023년 1월 29일 13:11좋은 통계로 임명권자에게 보답하겠다는 통계청장이 여기 나왔네
레모나
2020년 10월 07일 12:47오...
@user-jl7sh5hh7f
2020년 9월 25일 17:15저도 평소에 인구주택총조사를 별거 아니고 귀찮은 거라 생각했었는데 그 의미를 알게 됐어요.
올해는 조사에 잘 응하고 그 조사가 나라 일에 잘 쓰여쓰길 바랍니다
@Squirreltaylor85
2020년 9월 21일 23:34저녁에듣는데 많이배우게됬네요
김혜정
2020년 9월 23일 18:25인구주택총조사가 이런 의미였군요... 잘 들었습니다~~
@happinesswow4331
2020년 9월 21일 21:39말씀을 정말 잘하시네요!!!
@user-iu2vv1be5x
2022년 8월 02일 00:23저도 어렸을 때 남들이 알아주는 대학에만 가면 인생이 탄탄대로를 걷는 줄만 알았습니다.
하지만 대학에 와보니 여기서도 더 공부를 해야하고 그마저도 탄탄대로는 대학이 그려주는게 아닌 제가 하나하나 그려가야 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지금은 졸업하기 위해 학교를 다니고 있지만 그러면서도 놓치않는 것이 새로운 사람 만나서 대화하기입니다.
좋은 강의로 제가 살아가고 있는 것들에 의미를 가질 수 있게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do8fe1bp1g
2020년 9월 28일 12:59밝은 미래 만세만세
@user-eo2xy6ou7o
2020년 9월 23일 20:28함수를 엉터리로 가르치는 한국수학교육
함수는 매우 중요한 개념인데 고교생 99%가 함수 관련 내용을 어려워하고 함수 관련 수학문제를 쉽게 풀지 못하는 현실 함수때문에 수학포기자가 되었다는 겁니다
이유는 수학선생이나 강사들이 함수를 그저 교과서 내용 그대로 앵무새처럼 엉터리로 가르치기 때문이죠 이는 수학선생 자신도 사실은 함수가 뭔지 잘 모르기 때문에 그냥 교과서를 그대로 읽으며 설명하기 때문이죠
이렇게 우리는 수학을 엉터리로 가르치는 바보같은 짓을 70년 이상 똑같이 반복하고 있는 겁니다 함수는 서양수학에서 등장했고 동양수학에서 등장하지 않았습니다 한때 서양보다 월등하게 고차 방정식도 풀어냈던 동양에선 왜 함수가 결코 등장하지 않았는지 그 이유를 아는 사람은 없다
유주홍
2020년 9월 22일 07:09ㅇ.?
이한승
2020년 9월 21일 17:50안녕하세요
공수래-공수거
2020년 10월 17일 15:17민감한 개인정보까지 의무적으로 적으라는건 반인권적인거 같아 기분이 매우 나쁘네요
@yubinsong2488
2020년 9월 25일 11:50잘 들었습니다~
@user-bw8rn5mq2f
2020년 9월 23일 19:08인구주택총조사 좀 귀찮기도 하고 제대로 대답할 사람도 없지 않을까 싶었는데 필요성을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Aristra
2020년 9월 26일 11:52인구주택총조사의 질문이 시대를 반영하고 있었군요 통계를 보니 저는 갓 중위를 넘었고요 고령화가 피부로 와 닿습니다 그나저나 통계청장님 너무 멋지심 ^^ 인구주택총조사에 적극 응하겠습니다 🙌
@user-nk1sm9dz5w
2020년 9월 21일 22:20감사합니다~
@user-ku1ns9pd1t
2020년 10월 05일 16:28역시 뭉클하게 가슴을 움직이게 하는 재주가 있으신 분이시다
@drato6229
2020년 9월 24일 16:45인터넷으로 조사 참여할께요.^^ 코로나로 힘든 시기 잘 이겨냅시다
@user-hz4lz8po8c
2020년 10월 14일 23:10매년 혹은 몇년마다하는 여러 조사들에 대해 사람들은 무지한 부분이 많아요 어떤 조사이며 왜 하는지 다양한 조사들에 대해서도 소개되면 좋겠어요 / 홈피에 안내가 잘 되어 있지만 읽는 사람은 잘 없고 ㅜ 부정적인 태도, 거부의 의사, 약간의 거짓으로 응답하는 사람들도 많아요 / 조사라고하면 의심의 눈초리로 바라보는 사람들 많지요
@daheajung3354
2020년 9월 24일 18:19시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시대를 사는 인간과 그 이야기를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겠지요.이 강의를 통해 인구센서스 조사 결과만 잘 이해해도 모든 역사, 그리고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를 좀 더 거시적인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귀중한 강의 너무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민경
2020년 9월 23일 00:06좋은말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