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이 사람을 대체하는 사회에 우리는 놓여있습니다. 모든 일자리가 조금만 있으면 사람이 아닌 인공지능이 할 수 있다라는 말은 이제는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습니다. 이런 사회에서 인공지능을 더 잘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사람들이 늘어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영화에서 볼수 있었던 상상속의 로봇들이 현실속에서 많은 분야에서 실용화 되어있고 다양하게 쓰이고 있죠 앞으로도 더 많은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해서 더 쓰임새 있는 것들이 나오겠죠 좌놔 우뇌가 공감하고 소통하고 있네요 어려운거 같으면서도 이해가 되는 내용들 좋은 강연 잘 듣고 갑니다 ^^
AI는 하루가 다르게 나날이 발전하며 우리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누군가는 AI로 인해 직업을 ‘단번에’ 잃기도 하고, 자신의 자리를 ‘서서히’ 빼앗기기도 하지요. 우리의 자리를 꿰차고 들어오는 듯한 AI가 원망스러운 분들도 많을 듯합니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의 시기에 AI는 이제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가 되었습니다. 좋든 싫든, 우리는 인공지능과 함께 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시대 속에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을, 새로운 변화를 받아들이고 적응하는 것입니다. 우리 인간이 인공지능보다 잘 할 수 있는 것을 찾아, 그 일을 해내야 하는 것입니다. 이 강의에서, 그 일은 바로 ‘공감과 경험을 통한 창의성’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도 대체할 수 없는, 우리가 잘 해낼 수 있는 일. 타인의 감정에 공감할 수 있는 우뇌, 경험을 분석하여 정보를 더 하는 좌뇌, 이 두 뇌를 사용하여 인공지능도 범접할 수 없는 창의력을 만들어나가야 하는 게 우리의 과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아직도 제게는 너무 어려운 AI이지만 이 강연을 통해 우리 인간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조금 알게 된 것 같아요. 우리의 좌뇌, 우뇌를 동시에 사용할 때에 행복해질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고요. 빠르게 변하는 지금의 우리 사회에, 이러한 유익한 강연을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로봇개발자는 인간을 닮은 로봇과 인간을 닮은 AI를 연구개발하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기울인다. 저절로 되었다고 하면 미쳤다고 할 것이다. 그런데 이런 뛰어난 인간은 단세포 생물에서 스스로 진화되었다고 저절로 되었다고 믿고있다. 누군가가 설계했다는 것을 신화로 생각한다. DNA는 설계도이다. 그렇다면 설계자가 있다는 증거이다. 성경은 말씀한다. 태초에 하나님이 창조하셨다.
@user-pu2zn1ms7y 6
2020년 9월 24일 18:38인공지능과 인간의 공존에 대해 항상 생각을 하게 되는데 그것에 대해서 연구의 방향이 어떻게 가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kooster91 4
2020년 9월 24일 20:08좌뇌형이냐 우뇌형이냐 따지곤 하는데, 뇌마저 좌뇌와 우뇌가 소통하고, 공감하고 있군요. 게다가 인공지능도 그런 방향으로 가고 있고. 인공지능시대 정말 중요한 게 무엇인지 잘 배웠습니다~
유남생 3
2020년 10월 01일 23:13목소리가 귀에 쏙쏙 박히네요. 감사합니다! AI가 발전한 것은 좋지만 한편으로는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는다는 게 두렵네요. 서로 공존할 좋은 방법이 있었으면 좋겠어요
@user-kb1yf5yc6s 2
2020년 10월 01일 21:54미래사회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설레임을 동시에 느껴야 하는 시대에
인공지능대해 좀 더 이해할 수 있었던 강의였습니다.
감사해요~
세바시덕분에 지식과 공감 능력을 많이 키우게 되는것 같아요 ^^
감사합니다!
@user-qo7xs4gh2o 2
2020년 10월 03일 22:00AI 발전이 마냥 즐겁지만은 않은듯 합니다.우리가 정을 느낄수 있는 것들이 사라져 간다는것이 너무 서글퍼집니다. 하지만, 시대적 흐름이라면 거부할수 없듯이 받아들여야죠. 어디까지 발전하게 될런지는 모르겠지만 휴머니즘에 기반한 AI가 발전하길 개인적으로 기대합니다.
@sebasi15 2
2020년 12월 23일 16:53⭐️ 세바시 대학에 입학하세요.
내일을 바꾸는 배움은 물론, 여러분도 스피치의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 👉🏻 https://bit.ly/3gAQXT6
@oo1n368 2
2020년 9월 24일 22:44ai가 한단계 더 발전했다니. 놀랍군요.
공감과 경험을 통한 창의성이 인공지능을 능가하는 인간의 능력이고,
다른 방법이 없다고 생각이 드는군요.
상담직은 점점 줄어들겠느데요.
@user-tg2vc5il7z 1
2020년 9월 24일 20:20세상은 요지경. 이렇게 말하면 꼰대가 맞죠?? 급변하는 세상에서 요즘 젊은이들은 너무 안타깝습니다. 저희 세대는 다방구하고 고무줄하고 다 놀아도 공부는 나름대로 했는데. 그래도 뒤쳐지면 안되니 저도 유튜브 개설한지 3주된 58세 아줌씨입니다. 젊은이들이여 화이팅 힘내세요. 우리는 이제 뒷물결입니다.
최준영 1
2020년 9월 24일 19:07나중엔 인공지능과 관련한 인구주택총조사 질문이 생기겠죠?
1
2021년 2월 03일 11:51흥미롭다.
SM 1
2021년 9월 13일 21:46좋은 회사같은데 주가도 좀 관리해주세요 ㅋ
@SagaciousSophie 1
2020년 9월 24일 18:31안그래도 영상참여 하시는거 보았는데 다음번에는 저도 함께하고 싶네요!
@jjonge0709 1
2020년 10월 03일 04:02인간이 잘 할 수 있는 공감과 경험을 통한 창의성. Ai와 함께 살아가는 시대에 매우 임팩트 있는 강의였습니다.
S_S 1
2020년 12월 16일 18:19우리의 좌뇌, 우뇌를 동시에 사용할 때에 행복해질 수 있다는 것이 정말 신기하네요. 지금 좌뇌와 우뇌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행복한 것 아닐까요?
@annflyoon 1
2020년 9월 24일 19:08요즘 인공지능 관련된 게임을 하고 있어서 더 흥미롭게 들었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seung-heelee314 1
2020년 10월 01일 08:23오 4차산업혁명과 인공지능에 관한 유익한 강연 감사합니다. 강연자의 도서 읽고 싶어요
@SagaciousSophie 1
2020년 9월 24일 18:02잠시후면 시작하네요! 저녁준비하며 힐끔힐끔 봐보렵니다!
@oaknel2 1
2020년 9월 24일 20:00역전파의 특징과 한계를 잘 알고 계신 분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user-do8fe1bp1g
2020년 9월 28일 12:26아이들이 있는 그대로 클 수 있는 세상이 빨리 왔으면 좋겠어요. 공감을 할 수 있는 사람들이 세상을 아름답게 빛내는 사회에서 살고 싶네요
@leesanghong80
2023년 4월 06일 18:50Cd6b
@user-pm9ur3zo4y
2021년 9월 28일 09:53인공지능에 대해 좀 더 이해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좋은강의 잘 들었습니다.
@user-iu2vv1be5x
2022년 8월 02일 00:16인공지능이 사람을 대체하는 사회에 우리는 놓여있습니다.
모든 일자리가 조금만 있으면 사람이 아닌 인공지능이 할 수 있다라는 말은 이제는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습니다.
이런 사회에서 인공지능을 더 잘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사람들이 늘어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rg9rq8cq5y
2020년 9월 26일 17:32인공지능에 대해 막연하게만 생각했던
것을 조금이나마 해소할수
있는기회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bn8kg6pz5d
2020년 9월 25일 07:29영화에서 볼수 있었던 상상속의 로봇들이
현실속에서 많은 분야에서 실용화 되어있고
다양하게 쓰이고 있죠 앞으로도 더 많은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해서 더 쓰임새 있는 것들이 나오겠죠
좌놔 우뇌가 공감하고 소통하고 있네요
어려운거 같으면서도 이해가 되는 내용들
좋은 강연 잘 듣고 갑니다 ^^
@seonk-kj2kl
2020년 9월 28일 00:39AI는 하루가 다르게 나날이 발전하며 우리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누군가는 AI로 인해 직업을 ‘단번에’ 잃기도 하고, 자신의 자리를 ‘서서히’ 빼앗기기도 하지요.
우리의 자리를 꿰차고 들어오는 듯한 AI가 원망스러운 분들도 많을 듯합니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의 시기에 AI는 이제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가 되었습니다.
좋든 싫든, 우리는 인공지능과 함께 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시대 속에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을, 새로운 변화를 받아들이고 적응하는 것입니다.
우리 인간이 인공지능보다 잘 할 수 있는 것을 찾아, 그 일을 해내야 하는 것입니다.
이 강의에서, 그 일은 바로 ‘공감과 경험을 통한 창의성’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도 대체할 수 없는, 우리가 잘 해낼 수 있는 일.
타인의 감정에 공감할 수 있는 우뇌, 경험을 분석하여 정보를 더 하는 좌뇌,
이 두 뇌를 사용하여 인공지능도 범접할 수 없는 창의력을 만들어나가야 하는 게
우리의 과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아직도 제게는 너무 어려운 AI이지만
이 강연을 통해 우리 인간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조금 알게 된 것 같아요.
우리의 좌뇌, 우뇌를 동시에 사용할 때에 행복해질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고요.
빠르게 변하는 지금의 우리 사회에, 이러한 유익한 강연을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user-nk1sm9dz5w
2020년 9월 25일 18:44감사합니다 ~
@user-hm5nb5fp1c
2021년 5월 07일 06:13감사합니다
하성호
2020년 9월 28일 19:04감사합니다~
@vitamin3751
2020년 9월 25일 14:19로봇개발자는 인간을 닮은 로봇과 인간을 닮은 AI를 연구개발하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기울인다.
저절로 되었다고 하면 미쳤다고 할 것이다.
그런데 이런 뛰어난 인간은 단세포 생물에서 스스로 진화되었다고 저절로 되었다고 믿고있다. 누군가가 설계했다는 것을 신화로 생각한다.
DNA는 설계도이다. 그렇다면 설계자가 있다는 증거이다. 성경은 말씀한다.
태초에 하나님이 창조하셨다.
@lolb7250
2020년 9월 25일 13:07너무 좋은 강연 고맙습니다👍👍👍
@Shakhan7902
2020년 9월 25일 21:26솔트룩스 ㄱㄱ
@yellowfoxanimationstudio4808
2020년 9월 25일 13:01전통적인 교육방식은 이렇게 빠르게 바뀌는 사회를 따라갈수 없다고 봐요. 창의성을 중요시하는 교육과 각자의 재능을 살릴수 있는 교육이 되기를 정말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