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기성세대들이 노력하는 자는 즐기는 자를 못 따라간다."라는 말을 하는데, "즐기면 다 된다"라고 말하는데 나는 그 말에 분노를 느낀다. why? 과정은 즐거운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즐거운 것이 아닌데 즐기라는 것은 애초부터 말이 안되는 말이다. 그러니까 이런 말들을 좇으면 안 된다.(feat.서장훈 + 웅이사)
#목표는 내가 꿈꾸고 기대하는 것이고, 내가 정말 더 바라는 모습이기 때문에 어려운 것이다.
#이 과정이 쉬웠다면 다 멋지고, 다 똑똑해져서 좋은 학교, 좋은 직장 들어갔을 것이고, 모두 다 부자가 되고 성공했을 것이다.
#돈 많이 못벌어도 생각한다면(목표가 낮거나 현재에 만족하는 사람이라면) 그렇게 하면(즐기면서 살아도)된다. 과정에서 즐겨도 된다는 말이다. why? 목표가 낮으니까.
고등학교때 누구나 알만한 이름 대학교 가는줄 알았습니다. 공부도 개뿔 안한 저는 초대졸(전문대) 입학했고 , 그 당시 반도체 붐이 있어서 부모님의 추천으로 막연하게 반도체과(전자과)를 갔습니다. 운이 좋게 입학 당시 4년제에서 전문대로 유턴한 형, 동생들과 어울리면서 괜찮은 점수를 유지하다가 군대 입대 후 미래에 대한 생각만 하다가 제대를 합니다. 복학 후 같이 지내던 형들은 국내 5대기업권 현장직으로 다들 취업해서 좋은곳들로 입사를 하였고 저도 2학년 2학기 조기취업을 하게되었습니다. 그래도 업계에서는 인지도가 있던곳이지만 매일 같은 잔업 하루에도 개당 20kg이나 되는 원료를 20~30개씩 날랐습니다. 7~8개월동안 일하면서 진짜 사람이 공부를 해야 하는구나를 느끼면서 퇴사 하고 모았던 돈 600만원으로 당장 자격증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산업기사 1개 + 한국사 1급 취득 그리고 운이 좋게 중견기업 현장직(생산)으로 입사를 하였습니다. 처음에는 배우는것도 사람들과 어울리면서 정말 재미있었고 , 일을 배우는게 보람차고 즐거웠습니다. 하지만 교대로 인한 불면증 , 피로감 , 인원은 줄지만 늘어가는 업무량 등등 점점 힘들고 우울감 등 진정으로 하고 싶은 업무가 무엇인가에 대해 고민하면서 1년 7개월정도를 보냈습니다. 그렇게 화학계통으로 가고자 목표를 잡고 회사를 다니면서 기사자격증 2개 + 컴활1급 취득 후 다른곳 화학회사에서 2년을 다니고 경력직으로 현 회사에 이직을 하여 다니고 있습니다.
나이 : 32살 / 초대졸 / 전공 : 반도체 장비
주간근무 , 10대기업(계열사) , 연봉 5천 등등 너무 만족스럽고 현재 상황에 감사합니다.
혹 누군가는 단지 운이 좋아서 또는 부모님 빽이 있거나 인맥으로 들어갔을거야라고 하는 분들도 있겟지요. 하지만 단언컨데 그런건 없습니다. 첫 직장부터 3조2교대 , 3조3교대 근무하면서 쉬는날을 제외하곤 4시간 이상을 잔적이 없습니다. ( 그나마 잔게 진짜 힘들면 쉬는시간에 밥 안먹고 잔겁니다. / 예외로 쉬는날은 8시간정도 잤습니다.) 지난 5년 되돌아보면 남들 쉬는날에 독서실에 박혀서 공부만 죽어라 했습니다. 정말 머 같은 이 상황을 돌파할 기회는 공부말고는 없다고 생각했거든요. 아직도 제 주위에서는 형 이제 공부 그만해도 되지 않냐고 하지만 이게 계속 노력하다보면 천천히 결과가 보이다보니 욕심이 생깁니다. 그래서 기술사 준비중에 있습니다.
저도 한때 부정적인 사람이었고 누구보다 나태한 사람중에 한명이었습니다. 하지만 노력도 안해보고 나는 안된다. 세상이나 주변을 원망하시지 마시고 정말로 난 열정을 다 쏟아 부었나? 한번 생각하시고 임해주셨으면 좋을듯 합니다.
찐실력이란 감정의 기복이나 외부환경 외부 요인이 있더라도 졸꾸정신을 실천하는게 찐졸꾸정신이겠죠? 자신의 감정을 추수른다는게 참 어렵고 힘듭니다 힘듬을 참아내고 이겨내는게 멘탈관리이고 졸꾸 정신이겠죠 자신과의 싸움에서 이기는 과정의 반복속에 지치기도 하는것 같아요 신박사님과 고작가님 두분이 계셔서 많은 힘을 얻습니다 질보다 양 이해보다 실천적 과제가 결과를 만들겠죠 찐졸꾸하겠습니다 솔밭공원 달리기 5바퀴부터 하루를 시작합니다
전 살짝 추구하는게 다릅니다.전 즐기는게, 정확히 표현하면 '즐길 수 있는' 종목을 선택해야한다고 봐요. 말씀하셨듯이 과정은 고통스럽고 최고(저~끝)가 되기는 더 어렵죠.그런데 그걸 싫어하는일을 하면서 할 수 있을까요?전 아니라고봐요. 과정 그 자체가 재밌진 않을지언정 적어도 그 활동을 하면서 순간순간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종목에 최선을 다해야한다고 생각해요. 예를들면 전 심리학에 관심이 많아요.그런데 뭐 심리학이론하나를 세우려면 하루에도 열몇시간씩 몇날며칠 길게는 몇년을 고민해야겠죠 그래도 그 과정속에서 뭔가 조금씩 내가 생각했던 결론에 다가가고 있을때 전 즐거움을 느낄거 같아요.제가 좋아하지 않는걸 14시간씩 하라고 하면 전 못할거예요. 과정 자체는 고통스럽지만 그 사이사이에서 앞으로 나아갈때 그게 정말 진심으로 자신에게 즐거운 그런 종목을 해야한다고 생각해요.
두분 모두 정말 옳은 말씀이십니다 너무나 공감하면서 들었습니다. 저 역시 아직 서른다섯해를 산 젊은이에 불과하지만 그래도 감히 저보다 어린 20대의 학생들에게 해주고싶은 말이 있다면 자신의 인생에 최선을 다하는 사람이 되라는 말을 해주고싶네요.. 정말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영상내용 모두 동의하고 좋지만, 한 가지 조금 오해가 있는 부분이 있는듯 합니다. "즐기는 사람은 이길 수 없다." 는 것의 의미는 그런 것이 아닙니다. 즐긴다는 대상을 잘못 인식하신듯 합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즐긴다고 하면 노는것을 떠올리실 것이니 오해의 소지가 있습니다만, 여기서 "즐기는 사람은 이길 수 없다" 라고 하는 말은 "노력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을 이길 수 없다." 는 말입니다. 타인이 보기에는 엄청 열심히 노력하는데, 본인은 그걸 노력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정도로 즐긴다는 말입니다. 사실 타인이 볼 때 좀 이상해 보이긴 합니다. 엄청 열심히 노력하는데 즐거워 보이니... 즐기는 것은 결국 자신이 들이는 노력에 동기부여를 극대화 시켜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남들보다 노력하는 것에 대한 부담이 훨신 덜합니다. 즉, 더 쉽게 노력할 수 있습니다. 사실 노력하기를 즐긴다는 말은 누구나 할 수 있는 말이 아닙니다. 어떻게 노력하는 것을 즐기겠습니까? 하지만, 정말 최상위의 사람들을 보면 자신이 하는 것을 정말로 즐깁니다. 하기 싫은 것을 억지로 노력하여 실력을 높이다 보면 마음의 여유가 없어서 스스로 자신의 상태를 알기도 어렵고 자신이 하고 있는 노력이 정말 가치있는 것인지 의심하게 됩니다. 심지어 자신의 노력에 전략조차 생각하기가 어려워 집니다. 가장 큰 문제는 노력을 하기 위해 상당히 큰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이며 이때문에 심적 부담이 커진다는 것입니다. 반면, 내가 하고자 하는 일을 즐긴다면, 다시말해 어떤일에 노력하는 것을 즐긴다면, 앞뒤 가리지 않고 즐거우니까 그냥 하게 됩니다. 내가 즐거운 일을 하는 것이기에 마음에 부담이 없으며, 다시 시작하더라도 큰 노력을 들인다는 부담감 전혀 없이 이전에 하던 것에서 이어서 합니다. 비유하자면 공부를 싫어하는 사람들은 공부하기 위해 자리에 앉기까지도 상당한 준비과정을 거치고 어떤 큰 일을 하듯 심적 부담감을 느끼며 공부에 임합니다. 하지만 정말 소수의 사람들이지만, 공부를 좋아서 하는 사람들은 공부를 어디서든 합니다. 자리를 따지지 않으며 필요하다면 노트나 필기구를 사용하겠지만, 대부분 그냥 머릿속으로 생각하며 공부합니다. 사실 본인들은 공부라고 생각조차 하지 않습니다. "그냥 공부하던 내용이 생각났다" 혹은 "그냥 이렇게 해보면 어떻게 될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라고 말할 뿐입니다. 딱히 공부하는 것에 노력을 들인다는 생각은 물론 공부를 한다는 자각조차 하지 않습니다. 때문에 언제든 어디서든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습니다. 남들보다 우월한것을 좋아하는게 아니라 그냥 공부하는것 그 자체가 재밌으니까, 그냥 합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공부를 억지로 하는 사람은 조금만 해도 심적 부담감이 아주 커지고 공부를 즐기는 사람은 저렇게 하루종일 공부해도 심적 부담감이 전혀 없다는 것입니다. 체력의 한계 때문에 잠을 자게 될 뿐입니다. 즐기는 사람은 심적 여유가 있어 메타인지까지 하게 되고 스스로의 행동이나 사고관 까지 관리하게 됩니다. 즐긴다는 것 만큼 명확하고 지속가능한 동기부여가 없습니다. 다만 정말로 노력하기를 즐긴다는 것이 아무나 할 수 없는 것이라는 문제입니다. 이는 게임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납니다. 정말로 그 게임이 즐거워서 하는 사람과 단순히 그 게임을 남들보다 잘한다는 우월감을 즐기는 사람들의 플래이 기록을 보면 노력의 양과 실력의 차이가 상당합니다. 그리고 심지어 즐기는 사람들은 기록상으로 노력의 양이 어마어마한데 본인은 그냥 재밌으니까 했다 정도의 말이 나옵니다.
고된일을 계속 반복적이고 몇주일 몇개월 몇년을 하는데 재미있을 수가 있겠습니까? 칭찬도 3번 이상 들으면 지겹다는데. 반복적이고 지루한건 재미없고 지겨운데 "즐겨라"라고 말하는건 목표는 정해졌고 그것을 달성해야만 자신이 바뀌고 주변이 바뀌고 미래가 바뀌니 감내하고 중단하지 말고 계속하기 위해서 그 와중에도 즐길만한 요소를 찾아서 계속해봐 라는 말이지 정말 재미있을 수 있을가요? 중요한건 계속해서 전진하라는 얘기죠, 중단에 포기하지 말고.
어느 위인을 보던간에 그 사람은 꼭 시련을 겪었음 그 말은 성공에는 반드시 고통과 시련이라는 재료가 있어야함 인정하기 싫겠지만 이게 ㄹㅇ 팩트고 또한가지 팩트는 누군가는 평생 시련과 고통만 받다가 인생하직하는경우도 많다는것 시련과 고통을 받아들이되 그것을 긍정적인 자세로 받아들여야 할듯 ㅅ박 그게 정말 쉽진 않겠지만... 모두 파이팅!!
"즐기는 자"를 통해 말하려는 의도는 동일한 업무라도 직업이라는 의무감을 넘어서 즐기는 마음으로 해치우는 걸 말하려는 거아닐까요? 프로그램밍을 하다가 버그나 난제를 만났을 때, 게임처럼 달려드는 사람들을 이길 수 가 없지요. 그렇게 즐길 수 있는 마음은 그렇게 하려는 자세를 갖으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또는 신박사님의 말씀처럼 어려운 과정을 극복하는 단계에서 얻어지는 선물같은 기분이겠지요.
혹시 4분 14초 즈음에 나오는 실천이라는 것의 의미에 대해서 아시는 분이 계신가요? 이해도는 해당 분야에 대해서 이해하는 정도라고 해석이 되는데 실천은 해당분야에 대해서 실천을 한다? 실천을 하는 정도? 인걸까요? 무엇을 실천하는 걸까요? 알고 있는 지식을 실무에 적용하는 것을 말하는 것일까요????
이게 진짜 좋은 영상인 이유가 겉으로 깨작 배운사람들이 자기보다 잘나가고 잘버는사람 보다 대단한양 시기질투하면서 훈수두고 정작 자신은 제자리인데 그 백지장 조금 차이나는게 얼마나 차이가 나고 금같은 노력의 차이인지를 모르고 뒤에서 대단한척들 하는사람들이 있죠..! 영상 너무좋아요
즐기려는 생각하지말고 목숨걸고 피토하면서 해라. 제가 제일 싫어하는 말입니다. 제 생각에 그런사람들은 사회적으로 성공할 수는 있어도 행복하기는 어렵지 않을까합니다. 가장 좋은건 노력하는 것, 성과를 이뤄내는것 자체를 즐기면서 몰두하는것이 아닐까 합니다. 하기싫은것들을 참으면서 하는게 아니라 그런 일들을 해내는것이 점점 익숙해지고 즐거워지게 만들어야 건강한 것이 아닐까 합니다. 신념이란 바뀔수도 있는거지만..저는 그렇게 당분간 그렇게 믿고 살아보려고 합니다.
개주둥이 204
2020년 9월 24일 20:49상식적으로 어떤 미친인간이 노력하는 과정에서 계속 하루종일 행복하겠음 자기가 진짜로 좋아하는 무언가를 하기위해 하기싫은 그 과정을 참아내는거지
정가랑 117
2020년 9월 24일 17:14#세상에 유망한 직종은 없다.
#유망한 곳으로 사람들은 모두 다 몰리고, 그 곳은 경쟁이 엄청 치열하다.
#어설픈 실력은 다 도태된다.
#어느 분야건 실력이 없으면 안 모셔간다.
#진입장벽이 낮은건 누구나 할 수 있다는 것(뜻)이다.
#어느 분야를 가든 성장 곡선이 포화가 된다.
#자신의 값어치(or인정)가 성장곡선과 똑같이 가는게 아니기 때문에 인생이 괴롭게 느껴지는 것이다.
#성장이 기하급수적으로 일어날 때 임금곡선은 (동시에) 올라가지 않는다. 포화가 일어나는 순간부터 임금 곡선이 올라가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노력의 이해라는건 이해가 되는 수준까지만 (세상은) 해석된다.
#전문가를 얼핏 봤을 때 별거 없어보이지만 그들은 포화상태에서 지루함을 이겨낸 사람들이다. 그렇게 노하우와 디테일을 쌓아온 것이다.
#공부를 많이 한다고해서 누구나 다 똑똑해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체력이 좋아서 오래 일할 수 있다면 노력해서 돈을 많이 벌 수 있다.(최저 시급으로도 어느정도 비례하게 벌 수 있음. 하지만 한계가 명확함)
#이해도는 포화가 빨리온다. 그러나 실천은 포화가 빨리 오지 않는다.
#상단까지 노력하는 사람이 별로없다. 그래서 이런 사람들이 기업에서 임원 또는 부장이 되는 것이다.(자영업으로 조금 성공하거나)
#상단보다 조금 더 노력하면 시대에서 획을 긋는 사람 or 분야에서 최고가 된다.
#실력에서 '실'이라는 건 실재로 존재하는 것이다.
#실력 = 실천 *이해도
#이해대비 실천을 열심히 하는 사람은 더 돈을 빨리 벌 수 있다. 그래서 완벽하게 이해하고 조금 실천하는 것보다 덜 이해했더라도 완벽한 실천이 더 나은 것이다.
#실력의 핵심은 실존하는 것이다. 이해라는 것은 추상적인 영역이다(but.중요하다)
#실천과 이해의 차이는 보상이 다르다는 것이다.
#이해는 되게 멀리가서 보상이 오지만 실천은 생각보다 빨리 따라가서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가서)부지런히 실천하고 그와 동시에 이해까지 하면 진짜 기하급수적인 성공을 거두게 된다.
#이 과정이 쉬웠다면 세상 모든 사람들이 멋진 사람이 되었을 것이다.
#목표달성이 어려운 것은 그 앞단에 있는 '과정'이 어렵다라는 말(뜻)이다.
#"즐겨서는 절대 안됩니다.즐겨서 되는 것은 단 한번도 본적이 없습니다."(feat.농구선수 서장훈)
#내가 슬퍼도, 외로워도, 힘들어도, 지치고 쓰러질 것 같아도 한번 더 일어나서 슛한번 더 던지고,패스 연습한 번 더 하고, 드리블 한번 더 치는 겁니다.(feat.서장훈)
#감정에 상관없이 과정을 충실하게 밟아가는 것이다.
#"일부 기성세대들이 노력하는 자는 즐기는 자를 못 따라간다."라는 말을 하는데, "즐기면 다 된다"라고 말하는데 나는 그 말에 분노를 느낀다. why? 과정은 즐거운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즐거운 것이 아닌데 즐기라는 것은 애초부터 말이 안되는 말이다. 그러니까 이런 말들을 좇으면 안 된다.(feat.서장훈 + 웅이사)
#목표는 내가 꿈꾸고 기대하는 것이고, 내가 정말 더 바라는 모습이기 때문에 어려운 것이다.
#이 과정이 쉬웠다면 다 멋지고, 다 똑똑해져서 좋은 학교, 좋은 직장 들어갔을 것이고, 모두 다 부자가 되고 성공했을 것이다.
#돈 많이 못벌어도 생각한다면(목표가 낮거나 현재에 만족하는 사람이라면) 그렇게 하면(즐기면서 살아도)된다. 과정에서 즐겨도 된다는 말이다. why? 목표가 낮으니까.
#목표가 낮다면 그냥 즐기면서 살아도 된다.
#그런데 자신이 원하는 목표 수준까지 가보고 싶은 사람에게는 "즐겨라"라는 말은 얼토당토 않는 말이다.
#실력이 받쳐줘야 좋은 조직문화를 만들 수 있다.
#회사에 있는 꼰대들도 입사 초기 때는 모두 열정과 패기가 넘쳤을 것이다.
#그들(꼰대)은 문화에 휩쓸려 도태된 것이다. (그렇게 꼰대가 된 것이다)
#실력을 키워야한다. 점점 승자독식의 사회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실력을 안 키우면 큰 일 납니다.(좋은게 좋은거다?그런 말 하지 마세요)
오늘도 가슴이 뜁니다.
감사합니다. 신박사님, 웅이사님 ^-^
@goodgood5497 78
2020년 9월 29일 20:57고등학교때 누구나 알만한 이름 대학교 가는줄 알았습니다. 공부도 개뿔 안한 저는 초대졸(전문대) 입학했고 , 그 당시 반도체 붐이 있어서 부모님의 추천으로 막연하게 반도체과(전자과)를 갔습니다.
운이 좋게 입학 당시 4년제에서 전문대로 유턴한 형, 동생들과 어울리면서 괜찮은 점수를 유지하다가 군대 입대 후 미래에 대한 생각만 하다가 제대를 합니다.
복학 후 같이 지내던 형들은 국내 5대기업권 현장직으로 다들 취업해서 좋은곳들로 입사를 하였고 저도 2학년 2학기 조기취업을 하게되었습니다. 그래도 업계에서는 인지도가 있던곳이지만 매일 같은 잔업 하루에도 개당 20kg이나 되는 원료를 20~30개씩 날랐습니다. 7~8개월동안 일하면서 진짜 사람이 공부를 해야 하는구나를 느끼면서 퇴사 하고 모았던 돈 600만원으로 당장 자격증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산업기사 1개 + 한국사 1급 취득 그리고 운이 좋게 중견기업 현장직(생산)으로 입사를 하였습니다. 처음에는 배우는것도 사람들과 어울리면서 정말 재미있었고 , 일을 배우는게 보람차고 즐거웠습니다. 하지만 교대로 인한 불면증 , 피로감 , 인원은 줄지만 늘어가는 업무량 등등 점점 힘들고 우울감 등 진정으로 하고 싶은 업무가 무엇인가에 대해 고민하면서 1년 7개월정도를 보냈습니다. 그렇게 화학계통으로 가고자 목표를 잡고 회사를 다니면서 기사자격증 2개 + 컴활1급 취득 후 다른곳 화학회사에서 2년을 다니고 경력직으로 현 회사에 이직을 하여 다니고 있습니다.
나이 : 32살 / 초대졸 / 전공 : 반도체 장비
주간근무 , 10대기업(계열사) , 연봉 5천 등등 너무 만족스럽고 현재 상황에 감사합니다.
혹 누군가는 단지 운이 좋아서 또는 부모님 빽이 있거나 인맥으로 들어갔을거야라고 하는 분들도 있겟지요. 하지만 단언컨데 그런건 없습니다. 첫 직장부터 3조2교대 , 3조3교대 근무하면서 쉬는날을 제외하곤 4시간 이상을 잔적이 없습니다. ( 그나마 잔게 진짜 힘들면 쉬는시간에 밥 안먹고 잔겁니다. / 예외로 쉬는날은 8시간정도 잤습니다.) 지난 5년 되돌아보면 남들 쉬는날에 독서실에 박혀서 공부만 죽어라 했습니다. 정말 머 같은 이 상황을 돌파할 기회는 공부말고는 없다고 생각했거든요.
아직도 제 주위에서는 형 이제 공부 그만해도 되지 않냐고 하지만 이게 계속 노력하다보면 천천히 결과가 보이다보니 욕심이 생깁니다. 그래서 기술사 준비중에 있습니다.
저도 한때 부정적인 사람이었고 누구보다 나태한 사람중에 한명이었습니다. 하지만 노력도 안해보고 나는 안된다. 세상이나 주변을 원망하시지 마시고 정말로 난 열정을 다 쏟아 부었나?
한번 생각하시고 임해주셨으면 좋을듯 합니다.
@jkyoo8330 68
2020년 9월 24일 18:59억지웃음, 억지힐링, 억지즐거움..요즘은 이런게 대세죠..세상의 이치는 그런게 아닌데, 그냥 어려움을 회피하려는 현실부정의 주문들이 난무하는 거 같습니다.
@user-pz1hl4kf5z 63
2020년 9월 24일 17:23찐실력이란 감정의 기복이나 외부환경
외부 요인이 있더라도 졸꾸정신을 실천하는게
찐졸꾸정신이겠죠? 자신의 감정을 추수른다는게 참 어렵고 힘듭니다 힘듬을 참아내고 이겨내는게 멘탈관리이고 졸꾸
정신이겠죠
자신과의 싸움에서 이기는 과정의 반복속에
지치기도 하는것 같아요 신박사님과 고작가님
두분이 계셔서 많은 힘을 얻습니다
질보다 양 이해보다 실천적 과제가 결과를 만들겠죠 찐졸꾸하겠습니다 솔밭공원
달리기 5바퀴부터 하루를 시작합니다
Miracle Yolo 43
2020년 9월 24일 19:27항상 해피하지는 못 하겠지만 최소한 그 과정에서 내가 느낄 수 있는 즐거움은 필요하지 않을까요?? 아예 노잼인 필드에서 성공하는 것보다 약간의 즐거움을 느끼는 필드에서 성공할 확률이 높을거 같애요.
@KoongYe 39
2020년 9월 24일 18:17힘들면 내가 안좋아 하는 일이라고 생각할수도 있는데, 좋아하니까 힘들어도 버틸 수 있는거라 생각합니다.
Mike Sohn 28
2020년 9월 24일 21:06아무리 얘기해도 안하는 넘들은 안해요. 주제 파악도 못하고 불만만 가지고 다른 사람들 깎아내리다가 갑니다... 노력은 한 번도 해보지도 않은 넘들이... ㅋ
루샤 27
2020년 9월 24일 18:07전 살짝 추구하는게 다릅니다.전 즐기는게, 정확히 표현하면 '즐길 수 있는' 종목을 선택해야한다고 봐요. 말씀하셨듯이 과정은 고통스럽고 최고(저~끝)가 되기는 더 어렵죠.그런데 그걸 싫어하는일을 하면서 할 수 있을까요?전 아니라고봐요. 과정 그 자체가 재밌진 않을지언정 적어도 그 활동을 하면서 순간순간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종목에 최선을 다해야한다고 생각해요. 예를들면 전 심리학에 관심이 많아요.그런데 뭐 심리학이론하나를 세우려면 하루에도 열몇시간씩 몇날며칠 길게는 몇년을 고민해야겠죠 그래도 그 과정속에서 뭔가 조금씩 내가 생각했던 결론에 다가가고 있을때 전 즐거움을 느낄거 같아요.제가 좋아하지 않는걸 14시간씩 하라고 하면 전 못할거예요. 과정 자체는 고통스럽지만 그 사이사이에서 앞으로 나아갈때 그게 정말 진심으로 자신에게 즐거운 그런 종목을 해야한다고 생각해요.
@j-2728 24
2020년 9월 25일 11:10모든 사람이 성공할수 없지만
모든 사람 중 누구든 성공할 수 있습니다
@user-jhp86 17
2020년 9월 24일 18:49두분 모두 정말 옳은 말씀이십니다
너무나 공감하면서 들었습니다.
저 역시 아직 서른다섯해를 산 젊은이에 불과하지만
그래도 감히 저보다 어린 20대의 학생들에게 해주고싶은 말이 있다면
자신의 인생에 최선을 다하는 사람이 되라는 말을 해주고싶네요..
정말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92pobby 16
2020년 12월 12일 01:12''미친놈 소리들어야돼 다른 사람이 니가 미친놈이라할때 넌 진짜 미친놈이된거다''
@user-gw4kg4se6f 11
2020년 9월 27일 07:23손흥민 선수가 세계 정상급 선수로 가는데 쏟은 노력과 역경은 물론 끔찍하게 힘들겠지만 손흥민선수는 이렇게 말했죠
' 전 축구를 하는 매 순간이 행복합니다 '
@clomia7245 11
2020년 9월 24일 17:14점점 승자독식의 사회가 될꺼다
명심하겠습니다
@user-ou8ik2pt8k 10
2020년 11월 27일 14:06이야 좋은 말씀 잘 듣고 갑니다! 즐기는 건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 과정에서 고꾸라졌을 때 다시 일어나는 그 순간이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만큼 내가 좋아하는 것을 해야 한다는 게 전제되어야 하는 거죠.
LH 777 10
2020년 9월 24일 19:20로마에가면 로마 법을..
도태된 기업문화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도태된 마인드를 가져야 한다는게 아이러니 입니다.
@joainfp 9
2020년 9월 24일 17:58#생존 하기 위해 #실력 을 키워야 하는 #이유
#유망한직업 은 없고 아무도 모른다 미래는 #복잡계
유망하면 다 몰린다 그때 시작하면 늦어 #도태 된다
#심층학습(컴퓨터에 사람의 사고방식을 가르침)
#딥러링 은 아직도 실력있는 #인재 가 #부족 하다
#성장곡선 은 언젠가 #포화 된다 사회는 성장곡선의
#임계점 을 한참 지난 사람에게 #돈 을 #몰아준다
#전문가 란 임계점을 넘어 끝없이 달리며 자기만의
#비법 으로 #사소한차이 를 만들어 낸 사람들이다
#실천과노력의포화 는 #이해의포화 보다 빨리 온다
이해가 안 될 정도로 #노력한사람 만이 살아남는다
#실력 이란 #실천 x #이해도 다
남보다 이해를 더 많이 한 사람이 돈을 버는 게 아닌
남보다 실천을 더 많이 한 사람이 돈을 버는 것이다
#실천 만으로 #물질세계 를 #변화 시킬 수 #있다
#이해 만으로 #물질세계 를 #변화 시킬 수 #없다
#실천차이 의 #보상 은 #처음 부터 받을 수 있지만
#이해차이 의 #보상 은 맨 #마지막 에 몰아받는다
이것이 #기하급수적성장 의 #원리 이자 #법칙 이다
#목표달성 이 어려운 이유는 #과정 에 있다
그 과정은 정말 외롭고 힘든 #자신과의싸움 이다
즐겨서 되는 걸 한 번도 본 적이 없다 #서장훈
그 누구도 #패자 같이 살고 싶었던 사람은 #없다
인생 #즐기고 싶다면 #목표수준 을 #낮추면 된다
즐기며 목표달성을 할 수 있던 시대는 #끝났다
그런 시대를 다시 만들려면 #실력 이 있어야 한다
처음부터 #열정 과 #패기 가 없었던 사람은 #없다
#시대적풍파 속에 #도태 되어 잠시 쓰러진 것뿐이다
실력을 #다시 키워야 한다 #적자생존 의 시대에서
#승자독식 의 #시대로 넘어가고 있다 좋은 게 좋은
거다! 하고 넘어가기엔 #시대가 너무 많이 #변했다
Jisun Kim 8
2020년 9월 24일 17:232*2=6 수입은 레버리지처럼 증가하지만 처음 노력은 역레버리지.. 지금의 노력은 미래 눈에보이지않는 수입을 만들어 나가는중.
@son77770 7
2020년 11월 09일 08:32운도 어느정도 따라줘야한다고 생각합니다..
@user-bx9bz8bq9r 7
2020년 9월 24일 21:46마지막 말이 와닿네요. "실력을 안키우면 큰일납니다."
@polarkimbyul 7
2020년 9월 24일 17:15어설픈 위로보다 따뜻하네요 감사해요❤
Hyung-seok Choi 6
2020년 10월 21일 11:24영상내용 모두 동의하고 좋지만, 한 가지 조금 오해가 있는 부분이 있는듯 합니다. "즐기는 사람은 이길 수 없다." 는 것의 의미는 그런 것이 아닙니다. 즐긴다는 대상을 잘못 인식하신듯 합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즐긴다고 하면 노는것을 떠올리실 것이니 오해의 소지가 있습니다만, 여기서 "즐기는 사람은 이길 수 없다" 라고 하는 말은 "노력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을 이길 수 없다." 는 말입니다. 타인이 보기에는 엄청 열심히 노력하는데, 본인은 그걸 노력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정도로 즐긴다는 말입니다. 사실 타인이 볼 때 좀 이상해 보이긴 합니다. 엄청 열심히 노력하는데 즐거워 보이니... 즐기는 것은 결국 자신이 들이는 노력에 동기부여를 극대화 시켜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남들보다 노력하는 것에 대한 부담이 훨신 덜합니다. 즉, 더 쉽게 노력할 수 있습니다. 사실 노력하기를 즐긴다는 말은 누구나 할 수 있는 말이 아닙니다. 어떻게 노력하는 것을 즐기겠습니까? 하지만, 정말 최상위의 사람들을 보면 자신이 하는 것을 정말로 즐깁니다. 하기 싫은 것을 억지로 노력하여 실력을 높이다 보면 마음의 여유가 없어서 스스로 자신의 상태를 알기도 어렵고 자신이 하고 있는 노력이 정말 가치있는 것인지 의심하게 됩니다. 심지어 자신의 노력에 전략조차 생각하기가 어려워 집니다. 가장 큰 문제는 노력을 하기 위해 상당히 큰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이며 이때문에 심적 부담이 커진다는 것입니다. 반면, 내가 하고자 하는 일을 즐긴다면, 다시말해 어떤일에 노력하는 것을 즐긴다면, 앞뒤 가리지 않고 즐거우니까 그냥 하게 됩니다. 내가 즐거운 일을 하는 것이기에 마음에 부담이 없으며, 다시 시작하더라도 큰 노력을 들인다는 부담감 전혀 없이 이전에 하던 것에서 이어서 합니다. 비유하자면 공부를 싫어하는 사람들은 공부하기 위해 자리에 앉기까지도 상당한 준비과정을 거치고 어떤 큰 일을 하듯 심적 부담감을 느끼며 공부에 임합니다. 하지만 정말 소수의 사람들이지만, 공부를 좋아서 하는 사람들은 공부를 어디서든 합니다. 자리를 따지지 않으며 필요하다면 노트나 필기구를 사용하겠지만, 대부분 그냥 머릿속으로 생각하며 공부합니다. 사실 본인들은 공부라고 생각조차 하지 않습니다. "그냥 공부하던 내용이 생각났다" 혹은 "그냥 이렇게 해보면 어떻게 될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라고 말할 뿐입니다. 딱히 공부하는 것에 노력을 들인다는 생각은 물론 공부를 한다는 자각조차 하지 않습니다. 때문에 언제든 어디서든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습니다. 남들보다 우월한것을 좋아하는게 아니라 그냥 공부하는것 그 자체가 재밌으니까, 그냥 합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공부를 억지로 하는 사람은 조금만 해도 심적 부담감이 아주 커지고 공부를 즐기는 사람은 저렇게 하루종일 공부해도 심적 부담감이 전혀 없다는 것입니다. 체력의 한계 때문에 잠을 자게 될 뿐입니다. 즐기는 사람은 심적 여유가 있어 메타인지까지 하게 되고 스스로의 행동이나 사고관 까지 관리하게 됩니다. 즐긴다는 것 만큼 명확하고 지속가능한 동기부여가 없습니다. 다만 정말로 노력하기를 즐긴다는 것이 아무나 할 수 없는 것이라는 문제입니다. 이는 게임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납니다. 정말로 그 게임이 즐거워서 하는 사람과 단순히 그 게임을 남들보다 잘한다는 우월감을 즐기는 사람들의 플래이 기록을 보면 노력의 양과 실력의 차이가 상당합니다. 그리고 심지어 즐기는 사람들은 기록상으로 노력의 양이 어마어마한데 본인은 그냥 재밌으니까 했다 정도의 말이 나옵니다.
나는 말이 많다_i have lots of horses 6
2020년 10월 02일 21:37힘들고, 지치고, 쓰러지고, 죽어라 노력해도 성공하기 힘든데 즐기면 되겠냐? 어른들은 다 꼰대라는 말을 하지마라. 니들이 꼰대다.
@yoona7370 6
2020년 9월 24일 18:54다시한번 그 과정의 인내에 대해 배우고갑니다. 실천을 꾸준히. 인내하는자. 버텨내는 자. 묵묵히 그 길을 닦는자에게는 반드시 그 생각의 폭과 시야가 넓어져 상상치 못한 현실을 마주할것임을 확신해봅니다.
@user-lr7iu4pm6z 5
2020년 9월 27일 08:57정말 좋은 말씀이신 것 같습니다. 이해도가 있어도 실천이 기반이 되어야한다. 모든 일에는 꾸준함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앞으로 저도 꾸준히 노력하겠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ux2gz7sm6z 4
2020년 10월 06일 03:24이번영상은 진짜 와닿네요. 중고등학교떄 이정도만 하면 좋은대학교는 가겠지 라고생각했는데 생각보다 성적이 안나와서 실망하던게 생각나네요. 자기가 충분하다고 생각할정도는 남들도 다 한다는걸 깨닿는데 너무 오래걸렸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Muapi 3
2020년 11월 15일 02:45서장훈이 나는 한번도 농구를 즐긴적이 없다. 이 말이 난 정말 인생의 진리라고 봄
김상범 3
2020년 9월 26일 21:08사람들 꿈팔아 돈 버는 것도 실력인가요?
각자도생 3
2020년 9월 27일 10:47즐기는게 웃기다? 그 즐긴다는 의미를 어떻게 받아 들이느냐가 중요할듯.. 과정속 고통과 역경까지도 즐긴다는 느낌으로 실패와 두려움 까지도 피하지 않고 즐긴다는 느낌으로 이해하는 즐김이냐 아니면 단순하게 즐긴다는 느낌이냐 그 차이일듯..
@Reading_the_Bible 3
2020년 9월 24일 21:56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편안한 밤 되세요~^^
자연인 3
2020년 9월 24일 20:45핵심입니다.
실력을 키워야 합니다.
메시,호날두가 연봉이 천억 입니다.
저는 많다고 생각 안합니다.
저들이 얼마나 노력 하겠어요.
축구 신들과 경쟁을 하는데 그 신보다 더 노력하기 때문입니다.
Yu Mu 2
2020년 11월 17일 14:33고된일을 계속 반복적이고 몇주일 몇개월 몇년을 하는데 재미있을 수가 있겠습니까? 칭찬도 3번 이상 들으면 지겹다는데. 반복적이고 지루한건 재미없고 지겨운데 "즐겨라"라고 말하는건 목표는 정해졌고 그것을 달성해야만 자신이 바뀌고 주변이 바뀌고 미래가 바뀌니 감내하고 중단하지 말고 계속하기 위해서 그 와중에도 즐길만한 요소를 찾아서 계속해봐 라는 말이지 정말 재미있을 수 있을가요? 중요한건 계속해서 전진하라는 얘기죠, 중단에 포기하지 말고.
매혹적인사람 2
2020년 9월 30일 02:04즐기면 다된다??ㅋㅋㅋㅋㅋ 요즘은 진짜 사람들이 성공하고 싶어서 성공에대한 답을 아무거나 일단 내고 보는듯 근데 이제까지 제대로된 답은 못봤다
쌀목 2
2020년 10월 27일 08:35어느 위인을 보던간에 그 사람은 꼭 시련을 겪었음 그 말은 성공에는 반드시 고통과 시련이라는 재료가 있어야함 인정하기 싫겠지만 이게 ㄹㅇ 팩트고 또한가지 팩트는 누군가는 평생 시련과 고통만 받다가 인생하직하는경우도 많다는것 시련과 고통을 받아들이되 그것을 긍정적인 자세로 받아들여야 할듯 ㅅ박 그게 정말 쉽진 않겠지만... 모두 파이팅!!
@sallyvery5339 2
2020년 9월 24일 18:57졸꾸!! 항상 감사합니다^^
미래소년 2
2020년 10월 04일 22:15BGM이 뭐죠ㅜ
@mnemonic_design 2
2020년 11월 20일 13:29좋은영상 감사합니다...어느 분야든 최고가 되야 이 사회에에서 살아 남을 수 있습니다.
근육을위해 관절을 포기한다 2
2020년 10월 07일 01:38운동이 공부보다 어렵다고 하는 것은 공부는 힘들면 5분 10분 잠깐 쉬었다 해도 되지만 운동은 힘들고 죽을거같은 순간부터가 시작이고 그 순간부터 하나 하나 더 해야 늘기때문이다 물론 엘리트 기준
곽준영 1
2021년 3월 19일 00:01불광불급. 미쳐야 미친다.
김만망 1
2020년 10월 30일 17:01보통 노력하는자가 즐기는 자를 이기지 못한다는 말에서의 즐긴다 라는 뜻은
'즐거울정도로 가볍게만 한다'는 뜻이 아니라
그 분야에서
전에는 못하던 일을 할수 있게 되고
전에는 이해하지 못한것을 이해하고
전에는 알지못했던 지식을 습득하는
그 성장의 과정에서 느껴지는 즐거움이 고통보다 큰 상태를 말하는게 아닐까요?
1.노력은 단기간의 하드코어함보다는 오랜기간의 꾸준함이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하고,
2.인간은 단 한번 받는 100의 보상보다는 열번으로 나누어 받는 10의보상에서 더
동기부여를 느끼고 행복감을 느낀다고해요
3.인간은 결과를 통제할 방법이 없어요
하지만 그 과정은 일부,나의 성장척도는 어느정도는 통제할 수 있죠
그래서 어제보다 오늘, 내가 이 분야에서 1%만큼 성장했다는 사실이이 진정 보상으로 다가올때
언제가 될지 모르는 성공을 향해 인고의 노력을하는 사람보다
눈에 보이는 보상 없이 더 오랜기간, 더 많은 노력을 쌓을 수 있다고 생각해요
노력하는 자가 즐기는 자를 이기지 못한다는 말에는
본인에게 있어서 어떤 분야의 기술과 지식이 내것이 될때 가장 기쁠까
남들이 볼때는 보잘것 없는 성장에 진심으로 기뻐할 수 있는 분야가 무엇일까
그 분야를 찾으라는 뜻이 담겨있는건 아닐까요?
물방울 1
2020년 9월 30일 22:21정말 정말 좋은 영상..... 이제 언택트 시대라... 많은 직종이 꼭 사무실에 출근하지 않아도 되는 시대가 오기 때문에 출근해서 자리만 지키고 있던 월급루팡 꼰대스타일들은 다 도태 될것입니다.
쀼류띠요 1
2020년 10월 05일 01:36관심이나 흥미없이 억지로하면 절대 못즐김 관심이나 흥미라도 잇어야 즐길까말깐데ㅋㅋ
@sookjunglee7886 1
2020년 9월 26일 08:02"즐기는 자"를 통해 말하려는 의도는 동일한 업무라도 직업이라는 의무감을 넘어서 즐기는 마음으로 해치우는 걸 말하려는 거아닐까요? 프로그램밍을 하다가 버그나 난제를 만났을 때, 게임처럼 달려드는 사람들을 이길 수 가 없지요. 그렇게 즐길 수 있는 마음은 그렇게 하려는 자세를 갖으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또는 신박사님의 말씀처럼 어려운 과정을 극복하는 단계에서 얻어지는 선물같은 기분이겠지요.
@user-cg5yi7rz2r 1
2020년 11월 14일 04:16이런 극현실적인거 좋아😂
@user-we2oz9ni5k 1
2020년 9월 24일 18:01원래 댓글 잘안다는데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pg5 1
2020년 11월 28일 20:47즐기면 다 됩니다
@mingtaeng 1
2020년 9월 24일 17:23오늘도 감사합니다 정말루 ㅎ
송우연 1
2020년 11월 04일 20:46이것도 자유민주주의일때 가치있지..
이런 얘기해서 죄성하지만 요즘 걱정입니다
@user-it9mf3ky3d 1
2020년 11월 09일 14:42실력 , 실천 × 이해력 감사합니다.
DUCK GYU CHOI 1
2020년 9월 26일 13:38실레지만 온라인에서도 신박사 라는 닉네임을 사용하시나요??
@user-rw1bz9ni2c 1
2021년 6월 14일 18:25혹시 4분 14초 즈음에 나오는 실천이라는 것의 의미에 대해서 아시는 분이 계신가요? 이해도는 해당 분야에 대해서 이해하는 정도라고 해석이 되는데
실천은 해당분야에 대해서 실천을 한다? 실천을 하는 정도? 인걸까요?
무엇을 실천하는 걸까요? 알고 있는 지식을 실무에 적용하는 것을 말하는 것일까요????
양념치킨 1
2020년 11월 02일 21:11동네 뒷산 올라가는 것하고 에베레스트산 올라가는 것이 같겠나? 동네 뒷산이야 룰루랄라 즐기면서 올라갈 수 있겠지만 에베레스트에서 그랬다간 뒤지는거다.
꽥꽥이 1
2020년 9월 25일 12:34이건 팩트다 팩트!! 낮은목표는 누구나 즐길수있지만 어려운목표와 그 과정은 절대 즐길수있는것이아니다! 그걸 즐기라고 말하는것은 그 사람의 노력을 짓밟는거나 다름없는 발언이다! 실력=실천X이해가 없으면 택도없는일이다.
@Howwuwwww 1
2020년 11월 28일 18:43세상에 80:20법칙이 존재하는 이유. 자극적이고 재밌는 영상은 많은 사람이 보지만 반드시 봐야할 영상은 소수만 보고 그중에 소수만 실현하기때문에.
코드 Code 1
2020년 11월 18일 00:32성공을 하려면 다들 공부를 하라고 하죠?
공부가 왜 안되는지 아세요? 끝이 없기 때문입니다 언제까지 이 지옥같은 인생을 살아야 하나 라는 생각이 수십번 들겠죠
@kimjd0809 1
2020년 9월 24일 22:40생각의 틀을 부수네요 반복해서 들어야겠습니다.
ฅ ʕ •ɷ•ʔ 1
2020년 10월 21일 11:11노력한 사람이 전부 다 성공할 수는 없지만, 성공한 사람은 모두 노력을 했고 , 만약 쉬운 성공을 이룬 사람이 있다면 쉽게 몰락할 것일지니 그것은 진정한 성공이 아니다.
@user-wd1wj6pi8o 1
2021년 1월 17일 16:18실력을 기하급수적으로 오르면서 포화 상태에서 버티며 급여를 기하급수적으로 늘릴 수 있게 하기 위해선 이해보다 실천이 중요하다.
@user-jr3tv9kg4s 1
2020년 9월 26일 04:03노력 <즐기면 다된다 <미친놈 < 또라이 윗단계 2개가 있기때문에 알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나요누구 1
2020년 10월 07일 15:56성공의 의미가 뭐에요?
@jwjshafueg149
2020년 11월 17일 16:27벽을 깨고 자신의 한계점을 깨는 것이 가장중요하구나...
그래서 사이타마가 그렇게 쌘거였음 ㄷㄷ
고로
2020년 11월 17일 23:24아프니까 청춘이다는 희대의 망언이다
@srhmzr8607
2020년 11월 08일 00:18항상 감사합니다 하루하루 덕분에 많이 깨닫고 행동할 에너지를 얻고있습니다
지구인
2020년 9월 29일 21:59승자독식의 사회
이시누
2020년 11월 26일 22:00맞는 말인데, 말투가 싸가지가 없어서 건방지게 들려요ㅎㅎㅎㅎ
카멜낙타
2020년 11월 15일 23:49아오 경쟁사회 진짜 우리세대에는 끝날려나?
@Korean0704
2020년 10월 06일 12:34아는 만큼 보이는 영상이군...
장하늘
2020년 9월 24일 17:41안모셔간대ㅋㅋㅋㅋ
미식가
2020년 10월 24일 16:22솔직히 저한테는 어려운느낌..
이해가 잘 안되는느낌..
혜혜💠
2020년 9월 27일 13:54체인지그라운드 영상으로 정말.. 많이 무력함을 극복하고 갑니다.감사합니다 .. 🐺
리슼
2020년 9월 24일 17:170099
Byzantium 2995
2020년 11월 30일 18:38이영상 처음에 나오는 노래뭐에요???
김나현
2020년 11월 29일 12:52대박
하늘바다
2020년 11월 13일 17:33와. 피가 되고 살이 되는 영상입니다. 좋아요 백개가 모자랍니다.
@kunkab1586
2020년 9월 25일 10:19잘듣고가요
고형석
2020년 11월 20일 19:39인내를 해야만 성장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절대적 실력이 성취가 된다.
J E
2020년 10월 02일 18:08와 감사합니다
최연
2021년 4월 06일 03:20부딪혀봅시다. 내가 죽는지 안 죽는지
오성영
2020년 10월 20일 14:25이제 더이상 즐길 생각 없음 이제부터 재대로져 누구도 같은 조건에 제 성장속도 따라오는 사람 본적이 없음
리프팅하는고등학생
2021년 4월 02일 22:04노력하고 있으면 옆에서 아버지가 적당히하고 쉬라고 합니다. 계속 듣다보니 놀리는 것 같아서 난 힘들다고 쉬어버리는 나약한 사람이 아니라고 증명하고 싶어서 더 악에 받쳐서 하고 있습니다.
@lucushong92
2020년 9월 24일 17:21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tm3mk2kg7u
2021년 6월 23일 13:15감사 합니다
@user-ym9dx8fz3f
2020년 11월 30일 01:18이게 진짜 좋은 영상인 이유가 겉으로 깨작 배운사람들이 자기보다 잘나가고 잘버는사람 보다 대단한양 시기질투하면서 훈수두고
정작 자신은 제자리인데 그 백지장 조금 차이나는게 얼마나 차이가 나고 금같은 노력의 차이인지를 모르고 뒤에서 대단한척들 하는사람들이 있죠..! 영상 너무좋아요
@user-nz7pr3lc9j
2021년 12월 08일 14:42저에게 절실한 메세지 였습니다.
고니TV
2021년 2월 28일 10:174:44 내 인생 모토
책 100권 읽고 실천 안하는 것보다 하루에 한 목록이라도 읽고 실천 하는게 중요
성이름
2021년 1월 17일 16:15시간에 따른 실력과 급여 그래프.. 실력이 기하급수적으로 오르고, 포화상태에서 버텨야 급여가 기하급수적으로 오른다.
@dirtysexy6681
2020년 11월 28일 17:24즐긴다는게 현재에 충실한다는 얘기죠 ~ focus on the problem , not the distraction
김동환
2021년 5월 23일 21:24지속성 어느슌간 좋아하는것도
하기싫어진다 하지만 그 한계점
지속성을 유지해야 성공한더
garros
2020년 11월 22일 16:12즐기려는 생각하지말고 목숨걸고 피토하면서 해라. 제가 제일 싫어하는 말입니다. 제 생각에 그런사람들은 사회적으로 성공할 수는 있어도 행복하기는 어렵지 않을까합니다. 가장 좋은건 노력하는 것, 성과를 이뤄내는것 자체를 즐기면서 몰두하는것이 아닐까 합니다. 하기싫은것들을 참으면서 하는게 아니라 그런 일들을 해내는것이 점점 익숙해지고 즐거워지게 만들어야 건강한 것이 아닐까 합니다. 신념이란 바뀔수도 있는거지만..저는 그렇게 당분간 그렇게 믿고 살아보려고 합니다.
진서준
2020년 12월 16일 12:43실력=실천+이해도 공식입력 되었습니다.
메모리
2020년 11월 22일 23:45학교에서 이런걸 보여줘야 친구들이 정신차릴텐데
전준형
2020년 9월 24일 20:03좋은 영상이었구, 앞으로 더 힘들어질것 같네요...^^.
@user-qe1fi8zz2n
2021년 3월 14일 21:18인생은 즐기거나, 질기게 하거나 둘 중 하나
@user-uj2qg5es4z
2021년 1월 24일 00:48진심으로 영상 제작해시주고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greenmint.
2021년 5월 01일 21:54체인지 그라운드 사랑해요 ㅠㅠ
@TV-xw4ge
2020년 9월 27일 17:54역시.
실력을 길러라!!! 뼈 때립니다.
@user-vn2ug3bz2x
2023년 1월 22일 10:06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user-sp1pw2um1k
2020년 9월 25일 10:50맞는 말이예요. 과정은 즐기기가 힘들어요. 그저 인내하며 노력하고 그러면서 버티다 다시 노력하고, 그것이 과정으로 잘 가꾸어지면 실력이 되지만, 그저 내가 하는 일을 반복하며 삶에 치여 매너리즘에 빠지게 되면, 그냥 그것 뿐이더군요.
서장훈님의 말에 공감합니다.
@blackcollarworker1460
2020년 9월 24일 22:57체인지그라운드 답다. 내가 좋아하는 이유.
@user-ow1io3js1q
2020년 10월 21일 21:48알겠습니다 딱 한번만 포기하고 끝까지라겠습니다
@user-cj9jt5dh1y
2020년 9월 24일 19:18목표의 정도(기준)와 절실감의 차이가 성취감을 결정하는것 같습니다
사람에 따라 다르고 답은 없다
나는 실천중이고 나는 할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