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 본인을 너무 자책하지 마세요 하지만 앞으로 계속 그래도 된다는 것은 아니에요 계속 실패할 것이지만 계속 시도하겠다는 마음만 가지면” 고2학생인데요. 며칠전에 급성 공항장애로 응급실에 실려갔어요. 응급 대원분이 저에게 스트레스 받는 일이 있었냐고 물어봤으나 저는 전혀 몰랐어요. 근데 오늘 이 영상을 보니 코로나로 한달 동안 공부를 회피하고 번아웃에 걸리며 사실은 쉬고 있지만 무의식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던 것같아요. 오늘 이 영상에서 이 말씀을 듣고 갑자기 울컥했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저는 다른 친구들이 다 뛰고있고 나만 멈춰서 길을 잃은 줄 알았어요. 실패해도 다시 일어나는 마음 가짐을 가질게요.
알파세대 아이를 키우는 부모로서 정말 유용하게 시청했습니다. 동시대에 삶에 가장 밀접한 모바일 기기의 문제점과 동시에 해결책도 제안을 해주셨는데 여전히 많은 부모들이 힘들어 하고 실행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 현실인 것 같아요. 아이, 어른 할 것 없이 누구나 힘들지 않은 사람이 없기에 부모들 역시 스스로 양육에 대한 공부를 하고 해결방안을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 않을까 싶어요. 다른 학문들처럼 양육 또한 이론 통해 힘을 얻는 것 같아요. 정말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보통 공부잘하는 아이는 자기가 어느 과목이 부족하고 어느 과목은 잘하는지 알잖아요. 스스로 오늘 어느과목을 이만큼 하면 되겠다 공부계획도 세우고. 부모님이 처음부터 다 짜주기만 하다보면 아이들 공부에 대한 깊은 성찰도 없고 엄마가 시켜서 한다는 생각에 의욕을 못 느낍니다. 제 경험상 중등교육 들어가서부터는 공부하는 태도자체에 칭찬을 해주고 아들 딸 믿어주면 자신감 생겨서 공부의욕도 올라가고 그러면 학교생활도 잘하고 성적향상은 부차적으로 따라오는거더라구요. 대체로 집안분위기 안좋은 애들이 학교적응도 못하고 공부도 못함ㅜ
김누리 교수의 책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 읽어 보세요. 한국은 너무 과보호 시키고 공부하는 기계로 만드는 교육 입니다. 그 책에서 한국의 교육은 청소년들이 성에 대해 죄책감 심어주는 교육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독일 청소년은 성에 대해 죄책감 갔는 사람이 전혀 없다고 합니다. 이게 왜 중요 하냐면 책에도 나와 있는데 민주주의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성 억압만 하니까 Oecd 나라 중에 18세 선거권 으로 낮춘걸 가장 늦게 했고 , 국회의원 중에 20대 , 30대 의원은 세계 최저 이죠. 늙은이들의 나라 입니다. 문제는 이렇게 젊은 사람들은 억제 하고 늙은이들의 나라 만들면 나라 자체가 늙어서 곧 소멸 합니다. 국회의원 중 20,30대가 가장 적은 것과 저출산은 밀접한 관계가 있고 이런 것들의 시작은 한국 교육 입니다. 얼마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 하자 학부모가 항의 해서 성교육 취소 되었습니다, 청소년 성 억압->독립성,주체성 억제->민주주의 억제 ->20,30 대 국회의원수->저출산->늙은 나라-> 국가 소멸 세계에서 전국민 평균 나이로 가장 늙은 나라 한국.,
한국은 남여가 너무 눈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다양성이 없고 ,다양성을 인정해 주지도 않고, 한가지 기준만 있고, 획일적이고 또한 그 획일적인 기준을 지인에게 까지 적용해서 "너가 손해다. 그런 사람 만나지 마라." 라고 간섭,종용 하고. 한국은 이렇게 집단적으로 약자,소수자,소외자가 계속 도태되서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소멸 될 나라 한국은 동거 하면 큰일 나는줄 알고 결혼 이외의 사랑은 막장으로 보죠. 동거 비율 세계 최저 . 비혼출산 oecd 평균 39% , 한국은 1%. 결혼의 막중한 부담감 책임감을 안고 이성을 사귀어야 하니까 조건만 엄청 따지고 조건에 맞는 사람 만나기도 어렵고 ... 결국 노처녀 노총각 됩니다. 한국은 나이 엄청 따짐. ebs 방송에서 4~7세 아이들 어떻게 노나 관찰 했더니 나이 물어보고 같은 나이 끼리만 놀음. 세계 유일한 현상 한국은 이렇게 많은 조건 요구와 만남의 폭이 매우 좁고 옹졸, 편협해서 세계에서 가장 빨리 소멸될 나라 한국은 외국인 사귀어야 국가 소멸을 면할수 있습니다
자본주의사회에서 사회주의 사상을 스며들게 하면 아이들이 세상을 오히려 부정적으로 보게 됩니다. 능력 차이를 부정적으로 보기 보다 자기 발전에 초점을 맞추도록 부모님 자체가 시각을 바꾸셔야 합니다. 성공욕심보다는 독립심과 살아나가는 책임감을 가르치세요. 알아서 자본주의에 잘 적응하고 살아나가게 됩니다. 공짜 바라거나 꼼수같은 거 안 부리고 잘 자라납니다.
내 딸은 내가 부르는 노래를 따라 부르고 영어 원서 읽는데 내가 먼저 읽어주고 딸 아이가 혼자 읽게한다 딸 아이가 궁금한건 본인이 찾아서 단어를 찾는다 집에서는 영어로 간단한 대화할때 같히 대화 해주고 하는데 책 엄청 안 읽는데 진짜 독서가 중요 하다는 생각이든다 지금 이라도 읽게 해야겠다
오 저희 교육과 비슷한 커리큘럼을 영상으로 만나니 반갑습니다. 5-11세 논술 학원인데 특이하게 책을 읽고, 대화하고, 활동하고, 글을 적으며 수업하고 있어요. 책을 읽기만 하기보다 경험하고 나의 생각을 정리해서 적을 때 진짜 내 것이 됩니다.
특히 포스트 코로나 시대, 아이들에게 필요한 교육을 주고 싶어 이야기를 만들어 유튜브로 만들고 있습니다. 이 영상을 온라인으로 보고 오프라인으로 수업하며 생각하는 힘을 키우고 있죠. 앞으로는 생각의 깊이와 마음이 크기가 살아가며 가장 큰 영향을 줄 것 입니다. 정답을 맞추며 교육하는 시대가 지났습니다. 이제는 진짜 아이들에게 도움이 되는 교육이 필요한 때입니다.
@jihyunkim1443 86
2020년 10월 03일 22:11제목은 알파세대 부모인데 강의에선 "엄마","엄마","엄마"네요.
@jjongcom. 52
2020년 10월 16일 02:00우리집 애는 집이 너무 재밌다고 밖에 너무 안나가서 힘드네요ㅠ 너무 나가도 힘들지만 너무 안나가도 힘들어요.....
@jeehyun27 49
2020년 10월 06일 10:40교수님 엄마만 아이를 양육합니까. 지성을 갖추신분답게 부모라는 말로 강의를 이어주시죠. 양육과 교육은 부모 공동의 책임이자, 무게 아닙니까. 언어사용에 신중을 기해주시기를.
김은아 43
2020년 10월 12일 20:14“그런 본인을 너무 자책하지 마세요
하지만 앞으로 계속 그래도 된다는 것은 아니에요
계속 실패할 것이지만 계속 시도하겠다는 마음만 가지면”
고2학생인데요. 며칠전에 급성 공항장애로 응급실에 실려갔어요. 응급 대원분이 저에게 스트레스 받는 일이 있었냐고 물어봤으나 저는 전혀 몰랐어요. 근데 오늘 이 영상을 보니 코로나로 한달 동안 공부를 회피하고 번아웃에 걸리며 사실은 쉬고 있지만 무의식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던 것같아요. 오늘 이 영상에서 이 말씀을 듣고 갑자기 울컥했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저는 다른 친구들이 다 뛰고있고 나만 멈춰서 길을 잃은 줄 알았어요.
실패해도 다시 일어나는 마음 가짐을 가질게요.
@user-tc7ll5kp2x 27
2020년 9월 29일 05:41알파세대 아이를 키우는 부모로서 정말 유용하게 시청했습니다. 동시대에 삶에 가장 밀접한 모바일 기기의 문제점과 동시에 해결책도 제안을 해주셨는데 여전히 많은 부모들이 힘들어 하고 실행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 현실인 것 같아요. 아이, 어른 할 것 없이 누구나 힘들지 않은 사람이 없기에 부모들 역시 스스로 양육에 대한 공부를 하고 해결방안을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 않을까 싶어요. 다른 학문들처럼 양육 또한 이론 통해 힘을 얻는 것 같아요. 정말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violettea6273 26
2020년 10월 02일 11:58보통 공부잘하는 아이는 자기가 어느 과목이 부족하고 어느 과목은 잘하는지 알잖아요. 스스로 오늘 어느과목을 이만큼 하면 되겠다 공부계획도 세우고. 부모님이 처음부터 다 짜주기만 하다보면 아이들 공부에 대한 깊은 성찰도 없고 엄마가 시켜서 한다는 생각에 의욕을 못 느낍니다. 제 경험상 중등교육 들어가서부터는 공부하는 태도자체에 칭찬을 해주고 아들 딸 믿어주면 자신감 생겨서 공부의욕도 올라가고 그러면 학교생활도 잘하고 성적향상은 부차적으로 따라오는거더라구요. 대체로 집안분위기 안좋은 애들이 학교적응도 못하고 공부도 못함ㅜ
@user-pv7qf5hs3s 22
2020년 10월 13일 17:35왜 엄마만 거론하면서 강의하시냐 하는데......
엄마만 노력하라는게 아니죠~
강의의 본질을 이해하셔야죠... 진짜 어른들도 문해력을 키워야 합니다~!!
무튼 전 노규식 박사님은 존경합니다!!
@user-cb4ws7ek5u 14
2020년 9월 30일 13:47풀영상 업로드 부탁드립니다!
랑블 13
2020년 10월 04일 14:58두살전에는 스마트폰을 보고있는
엄마를 보겠지
애랑 눈 안 마주침
@user-bw9jz2pl6u 12
2020년 10월 01일 12:24맞아요.모든걸 포기했을땐 반항 하고싶은 생각조차도 안하게되죠.아무리 말해봤자 내 이야기를 존중해주지 않으니까. . 반항한다는건 내가 하고자하는게 있기때문인거같아요
@user-sb2cp5vm5h 10
2020년 10월 14일 14:37코로나터져서 일다니는 엄마들 엄청힘듬..특히 초등학생 직장 그만둬야 케어됨...학원뺑뺑이로도 안됨...
맞벌이 직장부부들 혜택즘 나라에서 주기를
@vldksh316 7
2020년 10월 09일 17:25아이가...기생충을 좋아해서...책읽고 모르는 단어를 수첩에 정리하거나 좋아하는 기생충정리하는것도 독서와 글쓰기에 해당이되는걸까요?...동화책.소설책.역사책은 안읽고...늘 기생충만봐서...ㅠㅠ
@user-tm6vg7te3y 7
2020년 10월 10일 20:33코로라시대 일하는 엄마는 어떻게 해야 되는지 대안은 없으면서 이런 강의가
@yunyoung3008 6
2020년 9월 24일 04:41부모님들 모두 화이팅 <3
@user-ic1dj5tf7r 5
2020년 10월 23일 11:09김누리 교수의 책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 읽어 보세요. 한국은 너무 과보호 시키고 공부하는 기계로 만드는 교육 입니다.
그 책에서 한국의 교육은 청소년들이 성에 대해 죄책감 심어주는 교육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독일 청소년은 성에 대해 죄책감 갔는 사람이 전혀 없다고 합니다. 이게 왜 중요 하냐면 책에도 나와 있는데 민주주의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성 억압만 하니까
Oecd 나라 중에 18세 선거권 으로 낮춘걸 가장 늦게 했고 , 국회의원 중에 20대 , 30대 의원은 세계 최저 이죠. 늙은이들의 나라 입니다.
문제는 이렇게 젊은 사람들은 억제 하고 늙은이들의 나라 만들면 나라 자체가 늙어서 곧 소멸 합니다.
국회의원 중 20,30대가 가장 적은 것과 저출산은 밀접한 관계가 있고 이런 것들의 시작은 한국 교육 입니다.
얼마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 하자 학부모가 항의 해서 성교육 취소 되었습니다,
청소년 성 억압->독립성,주체성 억제->민주주의 억제 ->20,30 대 국회의원수->저출산->늙은 나라-> 국가 소멸
세계에서 전국민 평균 나이로 가장 늙은 나라 한국.,
한국은 남여가 너무 눈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다양성이 없고 ,다양성을 인정해 주지도 않고, 한가지 기준만 있고,
획일적이고 또한 그 획일적인 기준을 지인에게 까지 적용해서 "너가 손해다. 그런 사람 만나지 마라." 라고 간섭,종용 하고.
한국은 이렇게 집단적으로 약자,소수자,소외자가 계속 도태되서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소멸 될 나라
한국은 동거 하면 큰일 나는줄 알고 결혼 이외의 사랑은 막장으로 보죠. 동거 비율 세계 최저 . 비혼출산 oecd 평균 39% , 한국은 1%.
결혼의 막중한 부담감 책임감을 안고 이성을 사귀어야 하니까 조건만 엄청 따지고 조건에 맞는 사람 만나기도 어렵고 ... 결국 노처녀 노총각 됩니다.
한국은 나이 엄청 따짐. ebs 방송에서 4~7세 아이들 어떻게 노나 관찰 했더니 나이 물어보고 같은 나이 끼리만 놀음. 세계 유일한 현상
한국은 이렇게 많은 조건 요구와 만남의 폭이 매우 좁고 옹졸, 편협해서 세계에서 가장 빨리 소멸될 나라
한국은 외국인 사귀어야 국가 소멸을 면할수 있습니다
@user-xv1mu4tt7q 5
2020년 10월 17일 02:50제가 노래 불러주면 초등제딸이 부끄럽다고 하지말래요ㅜㅜ
음치라고ㅡㅡ
김용화 5
2020년 10월 06일 07:29스마트폰에 정법앱,유튜브에 "정법강의"가 1~10,400강 이상 있습니다 최신강의가10,001강~10,400강이상있습니다모든 어려움 궁금증 검색 가능합니다 점검해보시고 좋으시면 주위 가족 지인분들과 공유하세요.
@lee7625 3
2020년 11월 15일 19:58손가락운동..
미술, 음악은 어린아이때부터 뇌발달과 창의력을 기르는데 아주 좋은 학습입니다.
너무 공부에만 몰두시키지말고 예체능도 어릴때부터 같이 시키면 좋을거같습니다.
@mkkang6081 3
2020년 11월 28일 23:13다시 겨울이 오고,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져서 디지털 기기에 대한 유혹이 강했는데, 강의를 듣고 다시 마음을 잡아야 겠네요. 부모도 힘든데, 아이는 얼마나 힘이 들까요. 우리 모두 힘내요 ! 미래수업 너무 감사하네요 !
@user-wz2ut4mr6y 3
2020년 9월 29일 20:141:19 홍석천님 조시는거 아니죠?!
@SuperJoy4you 3
2020년 10월 01일 23:15영어발음 아이가 지적합니다 ^^;;;
@user-tf8fu8pp3g 2
2020년 10월 24일 23:40자본주의사회에서 사회주의 사상을 스며들게 하면 아이들이 세상을 오히려 부정적으로 보게 됩니다. 능력 차이를 부정적으로 보기 보다 자기 발전에 초점을 맞추도록 부모님 자체가 시각을 바꾸셔야 합니다. 성공욕심보다는 독립심과 살아나가는 책임감을 가르치세요. 알아서 자본주의에 잘 적응하고 살아나가게 됩니다. 공짜 바라거나 꼼수같은 거 안 부리고 잘 자라납니다.
@user-gk8mi1wy2j 2
2020년 10월 16일 19:24부모님의 지나친 간섭과 감독에 대해 알려주셨네요.
알파세대의 아이들 양육하는 부모님의 양육과 코로나 라는 특이한 상태에서 노출된 현 시점에서 부모님들에게 위로가 되고 가이드가 되는 강연 감사히 들었습니다.
@kikang7199 2
2020년 11월 02일 08:27아~부모가 된다는게 이렇게도 힘든거구나.ㅜㅜ
@kirimsin7557 2
2020년 10월 10일 04:17정말 감사합니다!!두번 봤습니다.
@user-ic4rm8qm1t 2
2020년 10월 20일 19:19이런 정보를 스마트기기를 통해보고있다는 함정.....
@user-pm5yg5hq9w 1
2021년 2월 02일 19:29독일에서는 생각하는 힘을 초등학교부터 배운다.
@user-xd2cp2lg1i 1
2022년 3월 02일 19:51제가 연구하고 있는 소논문 내용이랑 비슷하네요.
@sy-cr8xs 1
2020년 10월 18일 11:27내 딸은 내가 부르는 노래를 따라 부르고
영어 원서 읽는데 내가 먼저 읽어주고
딸 아이가 혼자 읽게한다 딸 아이가 궁금한건 본인이 찾아서 단어를 찾는다
집에서는 영어로 간단한 대화할때 같히
대화 해주고 하는데 책 엄청 안 읽는데
진짜 독서가 중요 하다는 생각이든다
지금 이라도 읽게 해야겠다
@user-fn5ov1zi8u 1
2020년 10월 14일 17:26감사합니다.
초등고학년이나 중학생은 글쓰기를
어떻게연결하면 좋을까요
@semmuseo
2020년 10월 01일 02:36하99년생 이제22인데 노화시작이군
@user-gk6ex7ck1u
2021년 4월 20일 14:16어떻해 ㅠ 너무 공감되요
@user-fi9mq5zw1p
2022년 4월 28일 09:17유익하고 재밌는 강의 감사합니다. 아이들 스마트기기 통제 정말 힘들어요.ㅠ 학교에서도 지속적으로 적절히 사용해야 하는 이유와 바른 사용법에 대해 교육해주셨으면 좋겠어요. 사춘기가 오면 아무리 좋은 얘기를 해주려 해도 안듣는 아이들이거든요.
@jjkkhh9600
2020년 11월 24일 17:36궁금한게 스마트폰으로 공부하는것도 안 좋은것인지요..
@user-fm4fq5cp2w
2020년 10월 22일 11:33만돌 지나서 주라그렇지 27개월 지나서 부터는 넘무 안말려도 덴다
@user-sn3jt8od1u
2021년 7월 05일 23:21엄마엄마엄마라고 강조하는게아니라ㅡㅡ
주양육자를 얘기하는거죠
양육은 부모가하지만
주양육은 엄마니까요..
그렇게..까지... 의아할필요가있나싶은데
부모지만 보통아이랑 엄마가 더친밀하니
어머니, 엄마얘기가
나오는거죠
@user-je9vk1cl7w
2021년 7월 04일 01:30★공부못하는 부모가 공부잘하는 자녀를 강요하는건 정신병초기증세다
@rwchinese
2021년 5월 04일 08:118:29 생각하는 힘
@_yt1951
2020년 10월 13일 12:10???? 코러?!
@_yt1951
2020년 10월 13일 12:10너 러시아 사람
@_yt1951
2020년 10월 13일 12:11나 *
@ttwinon
2020년 10월 28일 00:53오 저희 교육과 비슷한 커리큘럼을 영상으로 만나니 반갑습니다.
5-11세 논술 학원인데 특이하게 책을 읽고, 대화하고, 활동하고, 글을 적으며 수업하고 있어요.
책을 읽기만 하기보다 경험하고 나의 생각을 정리해서 적을 때 진짜 내 것이 됩니다.
특히 포스트 코로나 시대, 아이들에게 필요한 교육을 주고 싶어 이야기를 만들어 유튜브로 만들고 있습니다.
이 영상을 온라인으로 보고 오프라인으로 수업하며 생각하는 힘을 키우고 있죠.
앞으로는 생각의 깊이와 마음이 크기가 살아가며 가장 큰 영향을 줄 것 입니다.
정답을 맞추며 교육하는 시대가 지났습니다. 이제는 진짜 아이들에게 도움이 되는 교육이 필요한 때입니다.
@user-sk5un3hf4s
2020년 9월 28일 17:30ㅁㅁㅁㅁ
@user-mf3lv8jj9x
2020년 10월 06일 21:15지능이라는건 생각해보면 기억력 아니야 그리고 2가지가 있다면서 왜 가기싫어하는 사람들은 외면 하는거야 밖에서 놀고싶은거면 공원이나 자전거 타러가는 여유를 즐길수도 있는거지 코로나를 왜 다 싫어할거라 일반화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