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공간 | 유현준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 미래 디자인 학교 공원 | 세바시 1245회
세바시 의 '듣기'에서 당신의 '쓰기'로 세상이 바뀝니다 이곳에서 '인생질문 100'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하세요 https://tum.bg/pPvtbB ✻ 이 강연은 통계청의 ......
세바시 의 '듣기'에서 당신의 '쓰기'로 세상이 바뀝니다 이곳에서 '인생질문 100'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하세요 https://tum.bg/pPvtbB ✻ 이 강연은 통계청의 ......
@ABC-bf8ru 582
2020년 10월 14일 17:38유현준 교수님의 강의를 들으면 인간은 의지로 변하는 게 아니라 환경으로 변한다는 걸 실감하게 됩니다 공간이 주는 영향성을 생각하게 됩니다 교양 수업으로 모든 과 학생들이 들었으면 하는 강의네요
@jpjollybean1183 524
2020년 9월 28일 21:31이분은 참 시각이 독특하고 참신하고 그리고 동시에 나름 객관적이고 보다 더 정확한 것 같아요. 전부터 유현준 교수님의 강연을 많이 봤는데, 굉장히 위트가 있으셔서 지루하지도 않고 참신하고 다른 시각으로 설명해주기 때문에 정말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강연자인 것 같네요. 유현준 교수님 덕분에 건강한 사회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CHOAIN 351
2020년 9월 29일 04:33전 개인적으로 유현준님 같은 지식인들이 우리 사회에 나와 목소리를 높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야 수많은 교양인이 진실을 깨닫고 움직일 수 있는 동기를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까지 큰 노력을 해주신 건 알지만 앞으로도 대중과의 활발한 소통 활동을 이어가 주시면 좋겠습니다
아직은 미약하지만 언젠가 능력을 키워 꼭 찾아뵙겠습니다 지식을 나눠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user-wq9ve7kx9w 350
2020년 9월 28일 18:55학생 때 건축만큼 인간 생활의 큰 영향을 주는건 없다는 자부심으로 공부했지만 어느새 그런 열정은 없이 기계적으로 일을 하고 건축을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교수님 이야기를 들을 때 마다 학부생 때의 열정이 살아나네요 감사합니다 매번 새로운 감동을 느끼게 해주셔서요
이현주 239
2020년 9월 28일 22:14유교수님은 열씸히, 끊임없이, 솔직하게 말씀하신다. 작업할 때 유툽에서 유현준, 한달 이내로 검색해서 쭉 듣는다. 그런데, 거의 매일 새로운 영상이 올라온다. 이 짓을 거의 매일 하다 보면, 종종 같은말씀을 이곳에서 하시고 저곳에서도 하시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시선이 권력"이라든지 "코로나 시대에는 발코니가 필요하고 침대가 사라질 것이다", "AI 자율주행을 기반으로 한 지하에서의 물류이동도 가능하지 않겠냐" 등등, 이제는 내가 듣다가 속으로 딴지를 걸기도 한다. "진짜 그럴까요? 드론도 마냥 씨끄럽진 않을껄요?"하면서.
그렇게 귀딱지 앉을때까지 들어놓고도 끊임없이 유교수님 강연을 찾아 듣는 이유는, 첫째로는 교수님의 지식을 내 뇌에 동기화하기 위함이 가장 크지만,
다른 많은 사람들도 들어줬으면 하는 바람에서, 들었던 것 또 듣고, 광고도 안 넘기고, 끝까지 보는 거다. 알고리즘이 유교수님을 택하는 그날까지...
교수님 영상에는 항상 "교수님같은 분이 ~장관이 되셔야합니다"같은 댓글이 달리지만, 사실 그러려면 범국민적으로 건축과 도시에 대한 이해가 깔려야 한다. 그걸 위해 교수님도 거의 매일같이 새로운 매체에 나와서 거의 호소를 하시는 거다. (내가 느끼기엔 그렇게 보인다.) 미래에 우리 잘 살아봐야하지 않겠냐고. 지금처럼 학교가 교도소같아서 되겠느냐고, 아파트에 발코니가 없어서 되겠냐고. 집값 이렇게 올라서 개인이 집을 소유하지 못하는 사회가 돌아오면 어쩔꺼냐고. 끊임없이 호소하신다. 그런데 항상 영상 보면 댓글도 적고 조회수도 많이 안나온다.
이번엔 시사에 관심있는 유툽 유저들이 많은 시사자키나 경제에 관심이 많은 한국경제가 아니라 [세바시]에도 나오셨으니까, 조금 더 소통이 되길 바래본다.
교수님껜, 여러 플랫폼(?)에 열씸히 나와주셔서 강연해주셔서 감사하고, 다양한 시각으로 도시와 건축을 바라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변하지 않는 것을 탐구하고, 미래를 같이 상상하고 만들어가기를 함께 꿈꿔주셔서 감사합니다.
xerossxify 202
2020년 9월 28일 17:58이게 가능하려면 학부모부터 바뀌어야합니다. 학교에서 뛰어놀다 무릎만 살짝 까져도 담임선생님 탓합니다
lovely kim 143
2020년 9월 28일 22:13이런분이 국토부장관을 해야함
@knowhowlife 143
2020년 9월 29일 08:07거짓 선지자의 말이 너무 달콤하네요. 공간으로 다양한 분야를 해석하셨는데 넘 설득되네요. 교수님 통찰력에 엄지척입니다.
@user-lp8ow1sw3s 129
2020년 9월 29일 08:06비대면 업무에 의한 프리랜서화. 고용주 입장에서 이 사람을 정규직으로 둬야할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들면서 보호장치가 많이 없어질 거란 말이 정말 인상적이네요..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wsb7166 128
2020년 11월 08일 11:54강의가 너무 좋음..... 마치 한 세대는 앞서 나가시는 분 같다....
@user-pl2vc9qq9y 126
2020년 9월 30일 15:351.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가장 영향을 받을 공간
1) 종교: 공간을 이용해서 권력을 만드는 체계라서
예) 흑사병 왔을때 중세시대에서 르네상스 시대로 전환
2) 집: 집에서 보내는 시간 많아져 1인당 필요 공간 증가, 발코니 수요 증가
-> 1인 가구도 증가하여 다양한 가구들의 라이프스타일 수용할 수 있는 기둥식 구조가 선호될 것
3) 직장: 유연/재택근무 증가로 장점은 출퇴근 시간 감소 -> 나를 위한 시간 증가, 단점은 공동체 의식 낮아져 고용 안정률 낮아질수도 (프리랜서의 증가)
4) 학교: 특정학교 소속이 아닌 유연한 지역 & 커리큘럼을 선택하면서 학교의 기능(지식 전달, 탁아소, 사회조직력 배양)을 수행하는 서비스로 갈 것
예) 위성학교, 전교 일등이 없는 학교
5) 공원: 익명으로 소셜 믹스와 공동의 추억을 만들 수 있는 공간으로서 필요성 증가할 것
- 선형형 공원으로 디자인 하는 것이 선호될 것
2. 결론: 건축은 관계를 디자인 하는 것이며, 새로운 공간 디자인 통해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 창출
- 눈에 안보일 수 있는 것은 지하화(물류 체계 등) 통해 공간 확보 및 지상 공원 디자인 가능
- 지금은 앞으로의 세대, 앞으로의 라이프 스타일을 위해 공간 디자인을 창조할 수 있는 중요한 포인트에 서 있음
@osj-bt2bw 94
2020년 10월 20일 11:29"강연"이라고 느껴집니다. 세바시에서 이런 분들 많이 봤으면 좋겠어요.
@sebasi15 90
2020년 9월 28일 18:13[책이벤트] 유현준 강연자에게 질문 또는 시청소감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추첨을 통해 유현준 강연자의 '공간이 만든 공간'을 선물로 보내드립니다. (참여기간 9/28~10/6, 당첨발표 10/7)
여유림 89
2020년 9월 28일 19:11안녕하세요? 저는 건축에 관심 많은 고등학생입니다. 건축은 관계를 디자인하는 것이라는 것에 공감하고, 그 관계의 형성 방식에 따라 우리 사회의 모습이 들어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살면서 가장 뼈져리게 느낀 문제점은 기후위기 입니다. 기후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고, 몸으로 직접 체득하며 살아가는 중입니다. 코로나 시대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 교수님의 말처럼 '미래는 오는 것이 아니라, 창조해나가는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즘 실천하고 있는것은 '플라스틱 방앗간' 프로젝트를 하고 있습니다. 매일 점심시간에 학교 1층 분리수거장에서 폐트병 병뚜경을 모으고 있습니다. 이 일을 하면서 느낀 것은 스스로 지구를 살릴수 있다는 희망을 가진 것이었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하기전에는 기후우울증이 있어서 많이 힘들었는데, 하면서 제 삶이 멋있어진것 같아요. 교수님말처럼 미래를 창조해나가고 있습니다. 좋은 강연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mb4er8sk8l 77
2020년 10월 04일 09:50강의를 듣고 나니 마당이 넓~~~은주택으로 이사가고 싶어요. 층간소음 스트레스도 없고!
아파트건설업체에서도 똑같은 아파트말고 테라스가 있는 아파트 설계등 다양하게 해서 선택해서 구매할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user-vf4vw4qp4g 76
2020년 9월 28일 21:19건축은 관계를 디자인 하는 것이다~~팩트있는 강의 잘들었습니다~~~♡
@user-ux4on1pf2h 73
2020년 9월 28일 19:33우리 아이들이 선생님 말씀처럼 창의적이고 자연과 함께 공부하는 환경에서 키워지는 세상이 빨리 왔으면 좋겠습니다.귀한말씀 감사합니다.^^
@user-vb6er4xx7n 70
2020년 9월 29일 08:46거짓선지자들ㅎㅎ
교수님은 영감을 주시는 분인듯요.
실현가능한 부분을 구체적으로 적용해나가는 일이 관건인것 같습니다. 코로나로 빈부격차가 더 극심해지고 대량실업으로 생활기반이 흔들리며 전체주의적인 지배구조가 발현될 가능성이 더 커지는데 대한 대책도 절실한듯요.
connie Kim 65
2020년 9월 28일 18:12<알쓸신잡2>으로 유교수님을 알게 되면서 여러 강의들을 찾아보았습니다. 저 같은 경우 한 공간에 오래 못 있는 이유를 잘 몰랐느데 유현준 교수님의 <어디서 살 것인가> 책을 읽으면서 그 이유를 알게 되었습니다. 인간에게 공간이 얼마나 중요한지 그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공간으로 인해 사람이 변화하는 것도 여러 통계와 실제 자료를 파악하니 객관성과 신빙성이 있어 좋았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공간이 대대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지금, 유교수님의 분석이 앞으로 어떤 일과 직무를 하면 좋으지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곧 사회인이 되는 저에게 공간과 관련된 일도 한 번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사회적 변화가 큰 만큼 교수님의 강의와 조언이 저뿐 아니라 여러 사람들에게 좋은 영향이 있길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양질의 강의를 무료로 제공해주는 <세바시>에게 감사합니다. :-)!
@user-ajs321 58
2020년 10월 06일 00:02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발상의 전환" 이라는 것이 이런 것이구나 싶네요.
어려운 이론이나 단어, 개념은 하나도 없는데 대단한 지식을 배운 느낌입니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대비하라는 말 많이 듣는데 이런 새로운 시각의 강의에 감명 받고 갑니다.
유현준 교수님을 잘 몰랐는데 정말 명석한 분이신 것 같아서 다른 영상 찾아보겠습니다.
@jjonge0709 58
2020년 9월 28일 19:25공간의 혁신에 대해서 생각해 본적이 없는데 많은 생각을 갖게한 강의였네요. 유현준 교수님의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SeunghakYu 57
2020년 10월 17일 21:07서구학계의 아류가 아니라, 자유롭게 사고하는 능력이 정말 탁월하시네요.
@user-do8fe1bp1g 55
2020년 10월 04일 18:19교수님께서 세상을 보시는 눈이 참 매력적으로 다가오는 강연이었습니다.
Minha Yoo 53
2020년 9월 28일 22:24짧은 15분 안에 정말 큰 시야 확장을 하고 가는 것 같아요.
유현준 교수님의 말씀들 항상 정말 감탄하고 또 감사하며 듣고 있습니당
타인의 마음에 열정을 불러일으키는 정말 대단하구 멋진 분인 것 같아요.
세바시채널도 항상 좋은 강의들을 많이 생성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대한민국 참 멋진 나라인 것 같아요~~
@user-vs9do2gk1j 51
2020년 9월 28일 23:13빈부의 격차를 느낄수 없고 모두의 삶이 유익한 공간에서 살아갈 수 있으면 매우 좋을것같아요 ㅎㅎ 우리모두 후손들을 위해서 협력하여 아름다운 사회를 만들어 나가도록 노력 합시다 감사합니다 🙏 😊 💕 😍 💛 😘
영 51
2020년 9월 29일 08:56-집을 지을때 폭이 넓은 발코니, 기둥식구조로 짖기
-나의 커리큘럼은 내가 만든다!
교사는 쌍방향 교육
-도로줄여 공원만들기/경의선 공원같은 공원이 많이 늘어났으면 좋겠네요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unicoop u 49
2020년 9월 28일 20:11유현준 국토교통부장관 임명 국민청원 합니다.
김누리교수 교육장관 임명 국민청원
@joanlee2089 49
2021년 1월 01일 12:10공간은 관계를 만든다는 말씀에 공감합니다. 앞으로의 100년을 위해 이런 분들과 힘을 모아야한다고 생각해요. 다음 세대를 위해 책임을 다할 수 있는 세대가 되어야합니다. 좋은 강연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kim jisun 40
2020년 9월 29일 09:10우리 사회에 가장 시급한 것이 교육혁명 이라고 생각하는데 공간의 혁명으로 교육혁명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이 이 강의를 보고나서 드네요 유교수님 생각은 어떠신지 그리고 말씀하신 것들 특히 학교 공간과 교육제도의 변화를 위해 필요한 것은 어떤것일지 궁금합니다~!!
@user-oo8ds4bq8v 40
2020년 9월 28일 19:28교육에 대한 얘기하실때마다 진짜 극공감합니다. 생각의 깊이가 정말 남다르신 분 같아요. 존경합니다.
조희정 38
2020년 9월 28일 21:47아이들이 성장하면서 공간이 좁아져서
이사를 해야겠다는 생각중이네요
코로나로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불편함도 감수해야 하는거 같아요
시대가 바뀌면서 많은게 변화하는데
올해는 더 많은 일들이 많이 변화된거
같아요 이해와 공감되는 강연 잘 들었습니다
이한나 35
2020년 9월 28일 23:45이분이 하고자 하는것을 고위공직자가 막지만 않는다면.. 개혁을 이루려면 노인네 같은 마인드 가진 분들을 어서 내쫏아야..
@user-bq3lf9ed4g 32
2020년 10월 04일 09:05유현준교수님!
오늘 강연은 넘 유익하고, 놀라워서 큰 교훈이 되었습니다.
이런 깊은 혜안과 성찰과 지혜에 감동을 받았습니다.
이 강연의 내용을 국가정책에 꼭 쓰이고, 교육정책에도 쓰여서 가장 이상적인 미래를 준비했으면 좋겠습니다.
우리들은 늘 알면서도 소 잃은 후에 외양간을 고치는 어리석음과 사후 약처방 같은 실수를 되풀이하고 있을때가 많았습니다. 이 강연은 국가의 미래발전에 잘 적용하여 효율적이고 지혜로운 정책으로 쓰임 받기를 강력이 추천합니다!
넘 좋은 강연을 해주신 유현준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수고많으셨습니다!!~^^
Sausage Party 27
2020년 10월 03일 01:50요즘 유튜브 댓글을 보면 건축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몇년전에 비해 정말 천지개벽 수준으로 바뀐것같음. 거기엔 유현준 건축가분의 영향이 크다고 생각함..
@sebasi15 27
2020년 11월 17일 19:29⭐️ 세바시 대학에 입학하세요.
내일을 바꾸는 배움은 물론, 여러분도 스피치의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 👉🏻 https://bit.ly/3gAQXT6
July moon달 25
2020년 9월 29일 02:27와...저 소름 돋았습니다. 공간. 예쁘게 그리고 합리적으로 잘 ‘꾸미는’ 인테리어적 시선으로만 바라봤는데, 공간이 인간에게 주는 범우주적 영향과 변화가 이정도 일 줄은 몰랐습니다. 인류의 과거와 미래의 라이프가 예측될줄이야! 마치 신의 눈으로 세상을 다시 보는 기분입니다. 꼭 교수님의 지식을 더 많이 보고듣고 배우고 싶습니다.
@vera731204 24
2020년 9월 30일 19:07미래는 다가오는 것이 아니라 창조하는 것이다.. 라는 말씀에 동감합니다.
전 지역의 교육이 연계되어 어디서든 크레딧을 받을 수 있다면 정말 좋을것 같습니다.
하지만 누구나 다 재택을 할수 있는 직업을 가지고 있는것이 아니라
이또한 코로나 이후 빈부격차가 아이들의 교육의 질, 지금보다 훨씬더 심하게 벌어지지 않을까 걱정됩니다.
@user-zl3zf8qr3p 24
2020년 9월 29일 08:49그냥 수압쎄고 해 들어오면 그만이라고 생각했던 저인데 공간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보는 강의였습니다 감사해요.
재웅 22
2020년 9월 29일 07:14좋은 방법이라 생각하지만 한편으로는 너무 쓸쓸하네요 어릴땐 학교 가기싫지만 친구들과 같이 다니면서 함께 뛰어놀고 하면서 나중에 커서는 오랜만에 친구들만나서 술한잔하며 그땐 그랬었지 추억할텐데 추억거리가 줄어드는 느낌.. 내인생을 같이 공감하고 나눌수있는 사람이 줄어드는 느낌이네요..
이스 mutal 21
2020년 9월 28일 19:24교수님 강의 너무 흥미롭게 잘 들었습니다!
강의를 듣다 타대학생인 제가 교수님의 강연을
교수님 강의하시는 학교가 아닌
집에서 듣고 있는것을 인지하면서
정말 시대적으로 상황이 많이 변했고
변화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우리 사회를 위한 더 긍정적인 공간의 변화에 있어
3가지를 우선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면
어떤 부분들을 선택하실지 궁금합니다
김영숙 19
2020년 10월 01일 12:34위성학교라는 말씀에
깜짝 놀랍니다
앞으로 학교의 변화‥
이말씀이 맞습니다
오랜 세월이 흐른 후
우리 후손들이
그당시 조상들이
코로나를 지혜롭게
대처했기에 우리들이
지금 이 좋은세상을 누린다는
말을 꼭 듣고 싶습니다
좋은강의 고맙습니다
@user-ui8ob8gr9s 19
2020년 9월 28일 23:0730년 전의 고민을 지금도 하는 현실입니다.
교수님의 진정한 목소리가 들리는 사람들이 많아져야 사회가 변하겠지요.
그래도 시작은 되었으니 기대해 봅니다.
🤗
진진이 19
2020년 9월 29일 12:14공간 디자인을 공부하는 대학원생 입니다! 교수님의 앞선 세바시 강의를 듣고 많은 생각을 하게되어 논문까지 쓰고 있습니다 ㅎㅎ 교수님의 이번 강의도 많은 생각을 할 수 있었고 관객과 교수님께서 만나는 방식이 또 다른 생각을 하게 되네요😢 교수님을 직접 뵙는게 제 소원인데 하루 빨리 교수님의 강연을 직접 들으러 갈 수 있는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yk-jo7hh 18
2020년 10월 01일 16:08특히.학교의 변화에 대한 제안이.너므 좋았습니다. 중고등학교 통합시스템이 미래의 학교가 되어 스스로 선택하고 학습하고.. 선생님은 그 선택에 도움을 주고 피드백을 해주는 보언자가 죄면 되겠습니다. 너무 좋습미다. 그런 미래 학교에 손주를 보내고 싶습니다.
@kkkkk3928 18
2020년 10월 01일 13:15건축에 대해서 무지했던 사람이라 마냥 어렵게 느껴졌었는데 교수님의 책을 읽고 다양한 활동을 보면서 '건축이 매력있구나, 공간이라는게 많은 뜻을 담고 있구나! 재밌다' 생각하게 되었어요 ㅎㅎ 오늘 강연도 흥미진진하게 보았어요! 당연하게만 느껴졌던 주위의 모든 것들이 신비롭게 보이고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soulik17 17
2020년 10월 02일 22:57“미래는 오는 것이 아니라 창조하는 것”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은 코로나로 인해 많은 것이 바뀌고 있습니다.
이처럼 세상이란 것은 그 당시 시대 상황에 따라 변합니다.
그리고 어떤 상황이 오든, 그 이후는 이전 것이 그대로 이어질 수 없습니다.
우리가 어떻게 그 상황에 대처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는 거죠.
포스트 코로나 시대도 마찬가지입니다.
코로나 시대를 맞은 우리가 미래를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면 세상은 변화하지 않을 겁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며 미래를 ‘창조해나가야’ 합니다.
지금 우리가 미래를 창조할 수 있는 방법, 세상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인구주택총조사에 성실히 참여하는 게 아닐까요? ㅎㅎ
@seung-heelee314 17
2020년 10월 01일 02:27왕성하게 활동하는 유건축가님 멋지네요, 건축으로 삶을 풀어나가는 혜안을 존경합니다
hyung sky 15
2020년 9월 29일 14:41코로나 이후도 희망은 있어보이네요.
ilike beatles 14
2020년 9월 30일 10:30일본에 살고있는 세아이의엄마입니다
더 발전에서 외국에서 살고 있더라도 한국의 온라인수업을 선택해서 수업하는 날도 왔으면 좋겠네요
이 13
2020년 10월 16일 01:03이런 분이 세상에 많아야해 ㅠㅠㅠ
@hanskim33 13
2020년 10월 01일 06:59유교수님의 강의를 들으면서 제주변의 다양한 현재상황과 대비해 비교해보게 됩니다. 일반 직장인으로 더이상 직장이 나를 보호해주는 울타리가 되지 않는다는 걸 통감하고요. 4인가정이라는 공간이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테라스외 다른 현실적인 솔루션은 어떤게 있을까요?
아이들 교육 경우 빈익빈 부익부차이가 더 생기는 것 같습니다. 언텍트 선생님을 손쉽게 만날수도 있지만 지식을 습득하는 방법도 변화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집이라는 공간이 높이개념의 아파트보다는 열린공간이 많은 집들이 다양하게 생겼으면 하는 바랍니다.
공원이 주는 심리적 정서적 관계적 개선을 준다는 건 꼭 필요한다고 생각합니다. 아파트내 사유공간이 아닌 공공의 안전한 공간이 더 많이 생기면 하는 바랍입니다. 간결하지만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user-nc5fc2jm2o 13
2020년 10월 16일 12:22유익한정보 잘들었습니다.
교수님덕분에 미처 인지하지 못한부분도 다시한번 생각하는 계기가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lucyyang654 13
2020년 9월 28일 19:40교육분야가 교수님 말씀대로~ 비슷하게라도 변했으면 좋겠어요.
방치되는 아이들이 없도록~~
@ahreumahn5050 12
2020년 9월 28일 19:12유현준 교수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SOO JUN 12
2020년 9월 29일 10:41너무 좋은 강연이었습니다.
현재 대학생입장에서 교육에 대해 고민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ej park 12
2020년 9월 28일 20:21쉼과 식사하는 공간보다는,
재택근무 등 일하는 공간이 있는
집 구조에 대해서 멋진 설계가 있으면 좋겠어요~
jae K 11
2020년 9월 28일 21:10학교 하나에 소속되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지역에서 원하는 수업을 신청해서 듣고, 새로운 동문의 개념이 생길 수 있다는 내용이 아주 흥미로웠습니다. 대학교 학점 교류 시스템과 비슷하게 초중고도 수업을 원하는 학교에서 교과목을 선택하여 들을 수 있다면, 교육의 질 또한 상승할 수 있는 효과가 나겠네요. 영상 잘보았습니다~!
day de 11
2020년 9월 29일 23:15유현준 교수님이 같은 건물을 봐도 그 공간이 가지는 의미나 몰랐던 것을 말해주시는게 참 유용하고 재밌다고 생각합니다. 아무 생각없이 바라보던 시선들도 교수님이 하신 말들을 떠올리면서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교수님 책 너무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책 많이 써주세요!!
@user-pw1wv6ys9u 10
2020년 10월 01일 19:28강연들을때마다 우리사회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해주시고 새로운관점을 보여주시는 분입니다~나오실때마다 느끼는건데 할말씀에 비해 시간이 부족한 느낌입니다~이 분은 시간을 두배로 늘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jessica park 10
2020년 10월 05일 22:07코로나가 빚어내는 삶은...그닥이네요..
빈부격차만 커질 거 같아요..
있는자들만 위한 삶이 될 거 같네요..
Vivian Park 9
2020년 9월 28일 18:52정말 명강의 입니다 많이 배우고 갑니다
P2PS PowerPraise 9
2021년 1월 20일 11:06국토부장관을 이분이 하면 좋을듯
희 9
2020년 9월 28일 19:36유 유현준 교수님
현 현실을 잘 파악해야 맞는 정책이 나온다는 말에 공감합니다
준 준나 흥미로운 강의 잘 들었습니다
고목 9
2020년 9월 30일 10:34건축은 관계를 디자인하는 것이라는 말이 참 와닿네요.
유현준건축가님을 여러 프로그램에서 뵈면서 느끼는 점은 그동안 그저 디자인의 한 부분이라고 생각했던 건축이 얼마나 우리의 삶에 깊이 관여하고 있었는지를 깨닫게 되는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정말 존경하는 분이신데 이렇게 세바시에서 귀한 강연을 만들어주어 감사하네요.
안노랑 8
2020년 9월 28일 19:09다양한 변화들에 맞는 공간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사실이 흥미롭네요. 교수님 강연 잘 들었습니다. 책도 읽어보고 싶어요!
음악상점 8
2020년 10월 01일 13:18유현준 교수님의 말씀은 항상 재미있네요:) 공간에 대해 몰랐던 부분들을 알게 되고 또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뿌니태경 8
2021년 1월 11일 22:42진짜진짜 생각을 바꿔주고 세상을 바꿀 수 있는 강의네요👍
헤르메르 8
2020년 10월 03일 00:35선형형 공원이 많이 생겨야 하는 이유가 있었네요~~~
아기 키우니 정말 집근처에 공원이나 도서관이 있었음 좋겠더라구요~~
코로나 이후 새롭게 변해갈 라이프 시대를 상상하니 편할 것 같기도하고 한편으론 씁쓸하네요 ..
공동체 생활이 없어지면 아이들이 학교에서 친구들과 어울리면서 밝은 웃음을 보기 힘들 것 같아요
그리고 배달 시스템도 자동화된다면 일자리도 더욱더 감소하겠죠ㅠ
급변하는 세상에 같이 맞춰 바뀌어 가야하는데 조바심이 납니다 ~~ㅠ
@limmikyung803 8
2020년 10월 01일 13:19전자기기의 발전, 사회의 변화가 이렇게나 많은 공간의 변화를 가져오는지 몰랐습니다. 앞으로 우리의 사회가 어떻게 변화할 지 그럴 수록 어떤 가치에 중심을 주어야하는지에 대해 고민하게 되는 강의였습니다. 뭐에 맞은 것 같은 느낌이네요. 얼얼합니다. 미래 학교와 삶의 반경을 예측하면서 투자하는 안목도 기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건축이라는게 사실은 관계를 디자인 하는 것이다' 라는 말이 마음에 남습니다. 세바시에 딱맞는 그야말로 정말로 도움이 되는 강의였습니다
@Kimhayounglove 8
2020년 9월 29일 13:54제 눈높이에만 집중하느라 코로나로 달라진 다양한 연령층, 다양한 계층, 다양한 직업군의 상황들을 들을 수 없었는데
유현준 교수님 덕분에 한번에 정리가 되었습니다
급변하는 세상 코로나까지 더해지니 몸은 집에 박혀있지만 오감을 한껏 열어놓은 채로 변화를 인지해야겠네요
공간이 시대 상황과 환경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끼치고 또 영향 받는지 유현준 교수님 덕분에 알게 되었습니다
교수님 강의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번 책도 꼭 읽어봐야겠습니다
@sam_373 8
2021년 3월 01일 16:02와.. 건축에 관심없던 사람인데도 이 교수님 강의 한 두개만 들으면 관심이 확 생겨버리네요
가란Choi 7
2020년 9월 29일 13:55항상 유현준교수님의 수업은 유익하네요. 잘 배우고 갑니다.
@boha752 7
2020년 10월 06일 23:04듣고 상상만해도 좋을거 같은 설계입니다. 실현되면 좋겠어요. 응원합니다.
공미선 7
2021년 1월 10일 16:38건축학이 매력적인 학문으로 느껴지네요
러브미 7
2020년 9월 28일 18:46강의가 너무 좋아서 다 찾아 듣고 있어요!! 꼭 한번 만나뵈고 싶네요... 나중에 코로나가 끝나고 나면 꼭 강연에 가봐야겠어요!
Hellen 6
2020년 9월 29일 07:58불광천 안양천처럼 하천을 이용한 공원들을 보면 선형으로 많은 가구들에게 자연을 제공한다. 각 지역에 뭍힌 하천들을 이용해보는것도 좋을듯
@419jinny 6
2020년 10월 01일 12:29교수님 통찰력에 박수를 보냅니다 너무공감됩니다👏👏
cs월리 6
2020년 10월 01일 13:06유교수님 강좌 중의 최곱니다.!!!!
@user-st4th7vf6i 6
2020년 9월 30일 23:13유현준 교수님의 혜안은 언제나 감동입니다! 우리의 삶에 가장 밀접한 도시와 건축의 발전방향을 명확하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Zoey Lee 6
2020년 9월 28일 19:12정말 궁금했던 부분을 다각도로 접근하여 설명해 주시니 머리에 쏙쏙 들어옵니다! 환경이 인간에게 주는 영향이 큰 만큼 이번 일을 계기로 모두의 인식이 바뀌어, 국가의 정체성이 잘 드러나면서도 살기 좋은 나라로 변화해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sm kim 6
2021년 1월 29일 17:35말이 빠르시네요 ㅎㅎ두뇌 회전이 빠르신듯 ㅎㅎㅎ빨리듣는거로 듣다가 껐네요 ㅋㅋㅋ
지규어 6
2020년 11월 17일 15:132달만에 유튜브들어와서 처음 보는 영상인데 내용이 너무 좋아서 순식간에 지나간 느낌이네요. 너무 집중해서 눈이 건조해졌어요.
효정hyojung 6
2020년 9월 29일 01:13왜 우리학교 교수가 강의할 때는 잠이 쏟아지는데 선생님의 강의는 눈이 말똥해지고 귀가 쫑긋할까요 ㅎ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0o0 6
2021년 4월 19일 18:12유현준 교수님 영상은 ㄹㅇ 3~4시간이더라도 앉은자리에서 다 볼것같다.. 이번에도 생각의 폭이 넓어지는 강의 감사합니다!
양윤정 6
2020년 9월 29일 02:04어떠한 모습, 어떠한 형태로든 우리는 살아 내어야 하는 공간과 사람을 상상하고 고민하게하는
멋진 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a_night_letter 5
2020년 10월 09일 10:01유현준교수님 강의는 믿고 들어요~
박보민 5
2020년 10월 29일 00:041000명을 위한 1개의 교육은 말이 안된다는 것일수도 있다. 1000명은 1000의 생각을 가지고 있기때문이다.
명언화가쌤 5
2020년 10월 05일 18:39새롭게 다가올 미래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할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생각하지 못했던 많은 것들을 교수님의 강의 덕분에 깨닫게 되었어요.
@tv-en5bj 5
2020년 12월 23일 01:08이 강연을 들으면서 소망이 생기네요~~
너무 좋아요~~
전문가들에게 자문을 구하면서
정치와 정책을 추진해야하는 이유를
교수님이 강연으료 보여주시네요~~~
신은애 5
2020년 9월 28일 21:13강의너무좋아요!ㅎㅎ 예전부터 계속 보고있는데 정말 맞는말만하시는것 같아요! 코로나이후에는 공간이 변화되야한다고 생각해요ㅠㅠ
판라 5
2020년 10월 09일 19:36역시 유교수님은 건축을 넘어 큰 통찰을 전하는 훌륭한 리더이십니다!!
@samuelsong3143 5
2020년 9월 29일 22:51멋진강연 너무 감사합니다! 정말 인사이트가 많았어요🙏 건축은 관계를 디자인하는 것이다, 지금하는 우리의 선택이 100년의 미래를 결정한다. 우리의 선택이 중요하다👍 정말귀한 강연 감사합니다교수님!!!
VIP V 5
2020년 12월 31일 06:41청계천 복구는 최고의 환경개발 아이디어
Beautiful Jackson 5
2021년 1월 13일 01:32끝날때쯤보니 말세가 아니라
신세계가 열리네요
아주 맘에 들어요 👍
Mei 4
2020년 9월 30일 20:34공간에 관한 건축 이야기가 관계를 디자인 하는것이라니,,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있어서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하는거란 생각이 드네요. 진짜 무릎을 치게 만드는 명강의였습니다!!
강Handi 4
2020년 9월 28일 20:34앞으로 다가오는 미래에 대해 건설적인 방향을 제안해주신 것에 감사합니다. 미래는 오는 것이 아니라 창조하는 것.. 마음이 웅장해지네요.
강연 내용 중에서 주거단지의 경우 테라스와 같은 공간이 마련될 필요가 있을 것이라 하셨는데, 이미 지어진 벽식구조의 아파트는 사적인 외부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어떤 해결책을 구할 수 있을까요?
@oceanwoo26 4
2020년 10월 11일 17:45이벤트는 끝났지만 들려주신 멋진 말씀에 잠시 넋이 나가있는 느낌,,
너무 기분 좋습니다... 교수님 말씀과 더불어 공간이 정말 인간에게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이 세상을 바꾼다는 건 어렵겠으나, 세상이 바뀌면 인간은 자연스레, 무서운 속도로 변화될 수 있겠지요.
그래서 우리가 놓여 있는 환경, 공간, 또한 우리의 행동을 지배하는 사고방식 등이 더욱 중요시 되어가는 것이겠지요.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이후, 다시 한번 스스로와 나의 공간, 나의 삶을 되돌아보며,
인간과 자연, 어른과 아이, 남녀, 자식과 부모 모두가 이러한 공간이 선물해주는 아름다움을 바탕으로
생기있고 건강한 인생을 살아가는 전환점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다시 한번 멋진 강연해주신 유현준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하루에하나 4
2020년 10월 03일 11:01강연을 보면서 현재의 삶의 정확한 분석과 다가올 미래를 위한 삶의 자세까지 배울 수 있었습니다. 정말 뜻깊은 영상이네요~* 유현준님께서 책까지 출판 하셨다니 축하드립니다 ♥
더 깊이 있는 내용을 알고 싶습니다. 꼭 당첨되어 책을 읽어보고 싶습니다 ! !
영상에서 인상깊었던 부분은 코로나 이후의 사람들의 삶의 태도와 공간의 변화로 다가오지 않은 미래 후손의 삶에 커다란 변화를 일으킨다는 부분입니다.
현재 자녀를 키우면서 장래희망이 단순히 공부잘하는 것이 아닌 진짜 자신의 커리큐럼을 가지는 인재가 되도록 도와야 겠다고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됩니다. 공간의 변화와 그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들의 긍정적인 변화가 미래에도 좋은 영향을 많이 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minilife00 4
2020년 10월 01일 13:07이번에 두번째 강연을 준비해주신 유현준 교수님 감사합니다. 항상 교수님의 강연을 들으면 저의 생각이 바뀌게 되는 계기가 됩니다. 특히 학교를 바라보는 시각등등 건축에 대해 배우고 싶은 열망이 솟구칩니다. 좋은 강연을 기획해주신 세바시 제작진분들께도 감사를 표합니다!!
@user-xb8no8mp5f 4
2020년 10월 06일 16:15완전 동의합니다. 좋은 아이디어, 멋지시네요
sunny 1 4
2020년 9월 28일 18:24코로나 이후 공간의 변화. 큰 변화속 각자의 커리큘럼을 만들어가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야겠습니다.
퇴근길 유현준 교수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예현 4
2020년 9월 30일 11:03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빈 공간들을 잘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스타일의 도시형 라이프가 탄생할 수 있다는 것을 강연을 통해 잘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단순히 코로나가 끝나기를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지금 살아가는 시대에 맞추어 변화를 이끌어낸다면 더 나은 라이프스타일을 꿈꿀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빠른 시일에 공간의 혁신을 통해 코로나라는 큰 장애물이 있어도 웃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내는 시대가 되었으면 합니다!
아이깨끗해 4
2020년 9월 30일 18:48교수님 알쓸신잡 컴백 해주세요~~
bo Bo 4
2020년 9월 28일 22:31매번 말씀 들을 때 마다.. 이런 생각은 어떻게 하신걸까. 감탄하고 갑니다. ㅠㅠ 알려주시고 깨우쳐주시는 유현준 선생님 최고!!!
Yunmi Hwang 4
2020년 9월 29일 11:09전업주부이기에 더욱 미래가 불안하기도 하고 자녀들을 생각하면 답답합니다. 그럼에도 이런 좋은 강연을 통해서 미래를 알고 준비할 수 있는 마음과 태도를 가질 수 있어 감사합니다. 멋진 디자인으로 우리 사회가 서로 연결되고 많은 이들이 쉼을 누릴 수 있는 사회가 되어지길 기대해 봅니다. 그런 사회를 위해 앞장서서 좋은 어른으로 일하고 계신 유현준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Yunny Sunny 4
2020년 9월 30일 14:00제발 학교에 테라스좀 만들라고... 교수님 무슨 미래예측가같아요
저번에 세바시 강의하신거 본 이후로 다른 영상들도 찾아봤는데 여러 방면으로 깨닫는게 많아서 더 많이 들어보고 싶습니다
볼수록 왠지모르게 저랑 성향이 너무 비슷하셔서 더 배우려고 경청하게 됩니다
홍대 건축과학생들 부럽내여,, 저런분이 교수님이라니
Jay asome 4
2020년 10월 02일 11:19지방분권에 영향을 미칠거라는 생각은 못해봤네요 좋은 통찰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kwonbeom1 3
2021년 1월 22일 18:15물류가 지하로 간다라 미래의 치킨 배달이 기대되는 군요.
신나는농부 3
2021년 1월 13일 23:01마이웨이~자기만의 커리큘럼 음..
이명숙 3
2020년 10월 01일 02:42지난 여름 교수님 강의를 우연히 들은 이후로 건축에만 국한되지않는 재미있는 강의에 매료되어 한동안 교수님 강의 열심히 찾아들었습니다.
아이들의 교육에 관한 내용이나 학교건물에 관한 내용은 완전 공감합니다. "길이 열리는 대로 가다보면, 돌아서 가더라도 길이 보인다." 고 하신 교수님 말씀은 특히나 공감되는 말씀입니다. 앞으로도 좋은 강의 부탁드립니다.
Izakka 3
2020년 10월 06일 14:44유현준 교수님, 이런 말 많이 해 주세요. 미래가 바뀔 수 있게!
@goodluck3269 3
2021년 11월 24일 04:00제 삶을 바꾸는 교수님 강의 🙇♀️ 어디에서도 들을수 없는 명품 강의 ~ 🙌감사합니다 강의 또 기다리겠습니다 존경합니다
요트윕실론 3
2020년 9월 29일 00:01학교에서 융합교양으로 건축학 수업을 듣고 있습니다. 가볍게 건축에 대해 배우고 있어서 이 강연에 흥미를 가지고 보았습니다. 건축을 정말 지식으로만이 아닌 삶과 연결지어서 와닿게 잘 설명해주셨네요. 예배당 모습이나 학교 모습들이 권력을 가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테라스도 정말 필요할 것 같아요. 확장된 아파트들에서 살때는 뭔가 모르게 답답했던 기억들이 납니다. 학교에서도 교실 밖으로 얼마나 뛰쳐나가고 싶던지 ㅎㅎ 매일같이 창문을 내다봤어요. 기둥형식으로 건축을 한다면 각 방들의 소음에는 취약하겠지만(이어폰으로 하니 상관 없을 것 같습니다) 집이 정말 넓어보이고 실제로도 넓어질 것 같아요. 거실이 있는 집에서 익숙하게 살다가 외국에 거실이 없이 방만 있는 집에서 살아봤는데 벽으로 가득차있어서 심리적으로 뭔가모르게 답답한 느낌에 자꾸 밖에 나가서 산책을 꼭 해야했던 기억이 납니다. 지방 균형발전에 대해서는 오히려 코로나 시대여서 국내여행도 많이 하면서 에어비앤비 같은 숙박은 더 잘 되었을 것 같네요. 각 지자체별로 그런 사업을 추진해야 할까봐요. 조형물이나 무슨 거리 이런 것보다요. 공원모양이 선형이면 더 좋다는 말에 처음 들은 것이라 신기하고 공감도 많이 되었어요. 공원들이 많으면 굳이 카페에 들어가서 이야기를 나누지 않을 것이라는 말을 어디서 들었는데, 그만큼 공원이 중요하다는 것이죠. 더 많은 사람들이 공원을 누릴 수 있게 해주는 건축(공원설계)의 순기능이네요. 쭉 강연을 듣고나니 자연을 정말로 좋아하시는 것 같아요 ㅎㅎ 후대에 자손들이 좋은 공기마시며 자연을 보고 안정감도 느끼고 하나님께서 만드신 이 세상을 누리며 살면 좋겠습니다. 강연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Jessica Ahn 3
2020년 12월 26일 13:36명강의 감사합니다♥
AIECO에이코 3
2020년 10월 09일 23:20밀라노에 갔을 때 나무가 심어진 발코니를 봤었는데 정말 신기했어요 ㅎ 앞으로 우리나라도 그런 아파트들이 나오겠네요
@user-hg8pg2tw1d 3
2021년 1월 09일 13:10유현준교수님에 말씀이 현실로 이어지길 바라며 응원합니다
구에스더 3
2020년 10월 02일 17:21자본 많고 머리 좋아 고소득자들만 살기 쉬운 시대가 되는 구나...
categori zation 2
2020년 10월 02일 09:32공간의 대한 시각을 보다 깊고 넓게 이해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신거 같아 감사합니다 앞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꼭 필요한 점이라 보고 모두 힘을 합쳐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거 같습니다 교수님의 책을 서점가서 언뜻언뜻 봐서 호기심이 있었지만 아직 구매는 못했는데 조만간 한번 읽어봐야 겠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namusaem 2
2020년 10월 05일 14:46선형 공원이라는 아이디어가 참 참신하고 좋네요. 공원에서 누릴 수 있는 사회적 관계와 정신적 풍요로움을 많은 사람이 느낄 수 있는 방향으로의 변화가 일어나게 되기를 바라게 되네요. 교수님의 책에서 권력이 어떻게 공간으로 형상화 되는지를 배웠고 무릎을 탁 치기도 했는데, 역시나 이번에도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좋은 책 읽을 기회 주시면 잘 읽고 소화시켜 배움을 주변에 잘 나누겠습니다~
삼슨살 2
2020년 9월 30일 18:04공간에 대한 교수님의 말씀들에 항상 깨달음을 얻습니다.... 포스트 코로나로 인한 불편함도 분명 있겠지만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마음에 한편으론 기대되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 공원의 중요성을 심히 공감하기 때문에 말씀하신 공원의 증가도 정말 실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언텍트 시대에 퍼블릭공간이 과연 가능할까 싶었는데 말씀하신 것 처럼 공원이 늘어나고 주거와 밀접해져서 세분화가 가능하다면 해는 없을 것 같단 생각이 드네요. 강연 잘 봤습니다 -^^
에리 2
2020년 9월 29일 01:33교수님 말씀을 듣고 코로나라는 인류의 큰 사건을 만난 우리가 우리와 미래 세대를 위해 "공간"이라는 것에 대한 최선의 정의를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생각을 하게 하는 좋은 강의를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류G.Y 2
2020년 12월 24일 12:37교수님 강의는 언제나 창의적이시고 많은 생각을 하게 합니다. 트렌드 전문 교수님보다도 더 잘 트렌드를 짚어내시는 것 같고요. 교수님의 건승을 빕니다.
Rachel Kim 2
2020년 9월 30일 08:16진짜 달콤하네요. 코로나가 불러온 사회의 변화가 정말 더 큰 건 미국 같아요. 엄청나게 많은 잡이 지금 언택트 잡으로 바뀌었는데 내년에 코로나가 잡힌다고해서 다 돌아갈 것 같지는 않다는 생각이 들어요. 막상 해보니 우려와 달리 괜찮은 부분도 많았으니까요. 이 모든 변화들이 보면볼수록 너무 놀라운 것 같아요
@kimkihyung2007 2
2020년 10월 01일 10:10유현준교수님 코로나19 시대
공간 이야기 소식.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반갑습니다.
당연하게되지 2
2020년 10월 03일 00:00공간의 이해를 통해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통찰하는 시각을 생각해보게 하는 좋은 강의였습니다. 사실 건축, 공간이라고 하면 다가가기 어려운 개념이였는데 다양한 사례를 통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좋았어요. 우리 생활 속에서도 다양한 공간과 건축물을 통해 앞을 내다보는 제 나름의 시각을 찾아보려고 합니다.
@user-jb8zf8sr1k 2
2021년 3월 13일 16:18대~~~~~~박!
역시 교수님
탁월하신 생각에 감탄하고 가요~♡
JOA 2
2021년 2월 14일 12:42믿고보는 교수님 영상.. 이거 하나로 나는 오늘 충분히 알찬 하루를 보냈ㄷㅏ..
이재윤 2
2020년 10월 01일 17:23세상이 너무 빨리 변해서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렇게 한발 빠르게 분석해서 말씀해주시는 분들이 정말 신기하네요 ㅎㅎㅎ 잘 들었습니다!!
언제나 파랑새 2
2020년 10월 01일 12:35그동안 '공간'과 관련 유교수님 강의를 온오프라인으로 재미있게 들었습니다. 공간이라는게 단순 면적이 아니라 사회문화적으로 역사적으로 심지어는 개인의 생각에까지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는 작은 영감도 가지게 되었습니다.
한편으론, 지금 나에게 주어진 공간을 좀더 깊은 의미를 부여하고 잘(?) 사용하려면 어찌해야할까 고민도 하게 되었어요!
Jeonghoon Yu 2
2021년 3월 20일 23:35끊임없이 우리의 건강한 상상력을 자극해주시는 멋진분이네요
hjoon 2
2020년 9월 30일 14:28공간에 관해서는 알면 알수록 고민할 게 많아지네요! 건축에 대해서도 교수님 덕분에 관심을 갖게 됐습니다. 여행을 가도 건물 구조부터 살피게 됐답니다!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메시길가 2
2021년 1월 07일 00:09물류가 지하로 들어가면 국민 개개인이 짊어져야할 세금은 어마어마 해질 겁니다. 저소음 드론이나 특정지역만 드론의 착륙장소로 지정하면 현재의 운송수단 소음보다 가성비 높게 개선될 꺼에요.
chor8dona 2
2020년 10월 02일 13:46유현준 교수님께서 전달하는 지식에 늘 좋은 영감 받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살기 좋은 도시로 발전할 수 있도록 세상이 변화하는 이런 시기에 더욱 영향력 있는 분이 되기를 바랍니다.
myeongju cheon 1
2021년 3월 27일 11:32학교가 쪼개져야 한다~동감합니다.
장문섭 1
2020년 10월 04일 20:49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변화는 시작된듯 합니다. 적응력을 높이는 것이 우리에게 남은 과제네요.
씨유 1
2020년 10월 10일 07:25와 정말 좋은 인사이트를 얻었습니다!! 유현준님 책도 구매해서 읽어볼게요 너무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병호 1
2020년 9월 28일 22:069:50 현우진tㅋㅋ
finding NEm06 1
2020년 11월 23일 18:16멋있으시다.. 저희 학교 중앙도서관 설계하셨다고 하셔서 궁금해서 찾아보다가
책도 사서 읽고 알쓸신잡도 정주행했어요 :)
김헤더 1
2020년 11월 27일 13:22유현준 교수님의 도시계획으로 도시를 설계 하면 진짜 좋겠습니다...!😍😍
S 1
2021년 3월 14일 00:21교육 예능에서만 보다가 말씀이 좋아서 찾아본 영상인데 내용이 정말 미래지향적이고 공부를 많이 하신 것 같아서 존경스러워요. 강연으로 직접 만나고 싶을정도.. 전공 관련하여 도시학개론 책도 여러개 읽어봐야겠어요. 관심사를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봄로이맘 1
2020년 9월 29일 09:09정말 정말 잘 들었습니다👏🏻👏🏻👏🏻 공간이 주는 힘이 큰 것 같아요. 이제는 아이들이 획일화된 교육이 아닌 관계를 맺으며 저마다의 고유성을 인정받으며 자라나기를. 부모로써 지금 이 시대에 좋은 선택들을 해나갈수있길🙏🏻❤️
Call Me 1
2020년 9월 30일 14:09건축과 권력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해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바뀌어야 할 점들을 혁신적으로 짚어주신 것 같습니다. 특히 교육에 있어 지금까지와는 매우 다른 놀랄 정도로 새로운 접근이었는데 실제로 이런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공원에 대한 분석이나 지하도로 물류 이송을 하는 것도 신선한 생각이었던 것 같습니다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LEE Angela 1
2020년 9월 29일 11:41세바시 애청자인데 교수님의 강의는 처음 들어봤네요~ 공간이 권력, 권위를 만들고 라이프스타일을 완전히 새롭게 한다는 것 잘 들었습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서로 더 멀어지는 것이 아니라 더욱 가까워지고 공감할 수 있는 공간이 창출되면 참 좋겠습니다. 가족간에도 이웃간에도 서로 더 여유있게 교제할 수 있는 그런 공간을 많이 만들어주세요♡ 감사합니다~!!
oopsy1225 1
2021년 1월 08일 00:05프리랜서가 마치 공동체 의식이 없다는, 공동체에 속하지 않았다는 표현을 하시는 것 같습니다. 많은 프리랜서들이 새롭게 조직된, 신념과 가치관에 공감하고 있는 공동체에 속해서 소속감을 가지고 공동체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정정해주실 부분이네요.....
랄라수니 1
2020년 9월 29일 08:40공간에 대해 새로운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발코니에서 자연을 두게 되면 도시에서의 삶도 더 풍요롭게 될 것 같습니다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
Rogan Kim 1
2020년 9월 28일 20:43건축 교수님으로서 다양한 면으로 사회가 추구해야하는 방향을 제시한다는 것이 멋있는것 같아요 :) 이번 대학을 준비하고 있는 고3 학생인데, 건축이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을 사고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게 하네요 :) 감사합니다!
Korea Bachata Collection • 코리아 바차타 컬렉션 1
2020년 10월 04일 00:03아이디어 정말 좋네요!!! 와~~~ 감사합니다!!! ^^
Hyundae Messenger 1
2021년 3월 26일 11:24신천지가
그래서 교주가 신격화 되는군요
신천지가 공간활용을 머리써서 할 줄이야 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