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우물만 파는 시대가 끝났다기 보다 한 우물만 안파도 되는 시대가 온거 아닐까요. 한 분야의 장인,경지에 오르기 위해서 한 우물만 파는것은 필요하다고 봅니다. 다만 정말 자신이 우물을 파고있는건지 우물위에 있기만 하는건지는 인지해야할듯. ps -이해 못하시는 분들 위해 말하자면 현재위치에 안주하는건지 아니면 어느정도 위치에도 불구하고 그 분야의 발전을 위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노력하고 있나를 인지하라는 말입니다. 현실 90프로 이상은 어느정도 위치 올라가면 그 자리에 안주해버리니까요.
4살때부터 클래식 피아노 전공하다가 집안사정으로 그만두게 되고나서 운 좋게 기획사에서 연습생 생활 도중 계약 문제로 회사를 나온 뒤 , 어쩌다보니 재즈보컬로 활동, 지금은 유튜브를 개설하고 영상편집, 미디,믹싱공부를 하며 자작곡 발매를 앞두고 있습니다. 참 인생이 정신없이 흘러간다 싶어서 스스로 혼란스러웠는데 이 영상을 보고 위로가 되었습니다👏🏻 제가 이 모든 것을 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바로 호기심이었어요! 앞으로도 계속 질문을 멈추지 않고 도전하며 살거예요❣️
이야~~ 이 타입은 딱 나같은 타입인데? 난 뭔가 한가지만 있으면 불편한 성격이라서 그런지.. 책도 여러가지분야들을 보유하고 있고 볼때마다 뭔가 든든하던데 천재만 호기심이 있다? 말도 안되죠 호기심은 누구나 가질수있고 다재다능한것도 누구나 할수있어요 단지, 지금까지 웬만한사람들이 한분야만 파서 전문가가 되기위해 고군분투했던 시대였기때문에 창의력에 대해 무지했던거 뿐이지 이젠 이런건 필수지 필수!
폴리매스의 전제는 아는만큼 실천하는 삶을 사는 것이다. 이때 안다는 것은 형식과 내용을 익히는 것인데 우선 형식을 익히면 내용은 다양하게 채울 수 있다는 것이다. 폴리매스는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라 동서양을 막론하고 선구자들이 하나 같이 얘기 했던 것이다. 형식을 익히기에는 철학만큼 좋은게 없다. 이 책 한권으로 해결하려 하지말고 철학 서적부터 구입하라. 더 이상도 더 이하도 없다. 딱!! 거기서부터 당신의 삶은 결정된다.
영어전공으로 대학을 졸업하고 이후에 정보통신공학 학위를 하나 더 따서 지금은 보안 엔지니어로 일하면서 최근에 보험설계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입니다. 누군가에게 이렇게 말하면 대다수의 반응이 "그래서 어쩌라고?" "참 잘나셨네요" 같은 거였고 하나의 일에 집중하지 못하는 어중이 떠중이 취급을 받은 적이 많았는데, 폴리매스라는 개념을 보니까 참 잘 살아왔다는 생각이 드네요. 말씀처럼 모든 일의 중심에는 "호기심과 궁금증"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좋은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전 아직 28살인데 신박사님의 추천으로 지금 읽고 있습니다 근데 아직 뭐 하나를 제대로 이루지 못한 상태에서 이렇게 다방면으로 이룬 사람들의 이야기에 와닿음이 어렵습니다.. 계속 노력해야겠죠 저도 신박사님처럼 그정도 레벨이 됐을때 다시 읽어보겠습니다 최근 완공은 재밌게 읽었습니다 졸꾸!!☺️
30년전에 고 김우중씨가 '세계는 넓고 할 일은 많다'에서 '깊게 파려면 넓게 파야한다'고 하셨습니다. 해석은 상황에 따라 저마다 다르겠지만, 제 생각에는 어떤 한 분야에서라도 인공지능이 범접할 수 없는 상위 몇%에 들기위해서는 기존의 교과과정의 틀을 넘어선 자신만의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 같습니다. 직장이나 직업은 자연히 따라 오리라 생각됩니다.
폴리매스 ~ 그거 창의성의 끝판왕이지^^ 나는 늘 폴리매스였다~ ㅋㅋㅋ 유럽친구들이 올림픽 수영선수이자 선생님이고, 작가인게 이거 아니가요? 학교에서 안가르쳐주면 그냥 내가 찾아 배우자 그렇게 삽니다. 전 간호사이자 영양컨설턴트, 헬스가이드 ㅋㅋ 라이프 코칭 뭐 그런 폴리매스 공부중입니다
유튜브 이용하면서 처음으로 구독을 하는 채널입니다. 제 자신에게 무엇이 부족하고 알 수도 없고 그토록 찾고자 했었지만 찾지 못했던 스스로를 인지하고 찾을 수 있게 도와준 신영준박사님 감사합니다. 정작 제 자신에게 부족한 것이 무엇인지? 제 자신이 무엇을 하면서 살아야 하는지? 내가 어디로 가야 실패할 확률이 적은지? 이 모든 생각들을 정리해주는 조언들... 정말 인상깊게 잘 보고 들었습니다. 늦었지만 이제부터 지금부터 작은 일들 부터 시작해보려 합니다.
박지성 김연아 이런 사람들은 한우물만 팠는데요? 정말 내가 하고자 하는일에 재능있으면 한우물 파면됩니다 그리고 한우물파도 안될 사람은 이것저것 해도 잘 안됩니다 골목식당에서 솔루션받는집들 보면 메뉴많고 이것저것해서 망하는경우가 많습니다 그이유는 한가지 메뉴에 집중을 못하기 때문에 맛도 제대로 못살리고 그렇다보면 메뉴는 많아지기만 하고 식재료는 쌓이고 상하기 때문에 오히려 더 관리가 안되기 때문이죠
@jcoachj 238
2020년 10월 01일 13:06여러분 일단 한 우물'은' 파세요 그리고 깊이 뿐만 아니라 폭도 확장시키세요 우물이 바다가 되는 과정이 자기 계발입니다!
@unknownch3699 98
2020년 10월 01일 12:44한 우물만 파는 시대가 끝났다기 보다 한 우물만 안파도 되는 시대가 온거 아닐까요. 한 분야의 장인,경지에 오르기 위해서 한 우물만 파는것은 필요하다고 봅니다. 다만 정말 자신이 우물을 파고있는건지 우물위에 있기만 하는건지는 인지해야할듯.
ps -이해 못하시는 분들 위해 말하자면 현재위치에 안주하는건지 아니면 어느정도 위치에도 불구하고 그 분야의 발전을 위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노력하고 있나를 인지하라는 말입니다. 현실 90프로 이상은 어느정도 위치 올라가면 그 자리에 안주해버리니까요.
SJ96 96
2020년 10월 01일 16:28한 개만 잘하는 건 위험하지만 먼저 한 개라도 잘해야 폴리매스가 된다
@user-ue5is2jo3o 86
2020년 10월 01일 14:14기성세대에게 늘 들었던 말이. "너는 왜 이거하나 오래못하니. 남들은 다 참고하는데. 끈기있게 이것만하면 평생 먹고산다." 다양한 지식들이 설레이고 융합하는 과정이 즐거웠던 저에겐 늘 자존감이 떨어지고 움크리게 만들었어요.
@CLodyM 77
2020년 10월 01일 17:094살때부터 클래식 피아노 전공하다가 집안사정으로 그만두게 되고나서 운 좋게 기획사에서 연습생 생활 도중 계약 문제로 회사를 나온 뒤 , 어쩌다보니 재즈보컬로 활동, 지금은 유튜브를 개설하고 영상편집, 미디,믹싱공부를 하며 자작곡 발매를 앞두고 있습니다. 참 인생이 정신없이 흘러간다 싶어서 스스로 혼란스러웠는데 이 영상을 보고 위로가 되었습니다👏🏻 제가 이 모든 것을 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바로 호기심이었어요! 앞으로도 계속 질문을 멈추지 않고 도전하며 살거예요❣️
@mingtaeng 76
2020년 10월 01일 14:41자신의 지적영역에 선을긋지않고 다양한분야에 관심을갖고 연구, 모든건 연결되어있음을 인지하고 사는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 많이 봤어요, 본인이 아는만큼 보이는것 같습니다.
@mook3134 30
2020년 10월 03일 11:57근데 일단 한 우물이라도 물 나올때까진 파야죠.
@rh-le3pt 23
2020년 10월 13일 03:13한국인들은 제발 한가지 우물이라도 제대로 파세요들. 일본처럼 장인정신까지는 안바라는데 한국인들은 돈된다 싶으면 이것저것 건드리고 주변 사람들이나 인터넷에서 누구 한명이 뭘로 성공하면 우르르 다 똑같이 따라하는 경향이 심함.
@Panda_Do_It 20
2020년 10월 01일 12:5740대가 되고부턴 폴리매스적 성향을 애써 누르고 살아왔었는데. 이젠 잠을 줄여서라도 제 뜻대로 살아봐야겠습니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남풍목장 Nampoong 18
2020년 10월 04일 00:06한 분야를 깊게 연구하는 것은, 그 분야에 전문성을 갖게 되는 것만을 뜻하지 않습니다.
자기 자신과 피터지는 싸움을 해 가며 '나' 에 대해 깊이 알아 나가는 과정입니다.
또한 그를 통해 타분야, 타인을 진정으로 존중하게 됩니다.
이런 경험 없이 오직 다양함을 추구하는 사람들 중에
진중한 사람을 저는 한번도 보지 못했습니다.
백부나 15
2020년 10월 01일 15:58헷갈려요
다른 영상에선 한우물만 파라고 하는데
@realspongeman 14
2020년 10월 02일 09:58좋은 점을 취하고 참고를 해야지 .. 영상 하나 보고 가치관이 바로 바뀌어버리는 건 위험할 수 있다고 본다..
@BrotherHo98 12
2020년 10월 03일 00:30어떠한 분야에서도 깊이 없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사람과
어떠한 한 분야에서 깊이가 있으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사람은 구분이 되는것 같습니다
@bk3634 11
2020년 10월 13일 15:31한가지를 일단 파되 먹고 살만해지면 또 파라... 계속 파라... 이정도가 현실적이라고 생각합니다
@namu_c 10
2020년 10월 01일 12:53적당히 잘하는 게 많아서 이거 저거 하다 보면 남보다 나은 경쟁력이 생기기 거의 불가능
여러 개 해서 성공하는 건 하나만 해도 성공할 사람
송민환 9
2020년 10월 01일 23:56한우물 파는 끈기없는이는 위험
몽떼 9
2020년 10월 13일 18:10한우물만 판 사람을 인정하지 못하는 사회가 된거지! 구글링만 해도 전문지식이 그냥 뜨는데. 열심히 한우물판 사람 잘되는꼴 못보는 한국인 못된 심보도 한 몫 하고! 그리고 한우물 파는 전문직 대부분 국개들이 도입한 음서제로 대체됬잖아!
@user-vj9oc1zm4r 8
2020년 10월 14일 02:35이거 정말맞는말임. 구덩이를 열개쯤 판사람은 그중에 적어도 한두개는 물이나오는 곳을 발견할 확률이 그만큼높기때문에 그때부터 그곳만 파면되지만, 평생 한우물만 죽어라 팠는데 나중에보니 물이 없는 엄한곳을 팠다고 생각해봐라. 굶어죽는거지뭐.
@dneltprem5826 7
2020년 10월 13일 15:15한우물도 안파면 죽도 밥도 안된다.
@studian365 7
2020년 10월 01일 12:34[읽기 전으로 절대 돌아갈 수 없다] 원본영상 보러가기 ☞ https://youtu.be/7oWaQALy5TY
@jumintschoe8286 6
2020년 10월 01일 13:44바로 아마존에서 챕터1 읽고 구매했습니다. 얕게 여러개 파둔 구멍들 이제 제대로 다 파서 모두 우물로 만들고 싶네요
@davidshin8665 6
2020년 10월 01일 16:27혁신이란, 서로 다른 두 가지 영역을 서로 혼합하는 것이다. 그로스 아이큐에서 읽은 것 같아요.
4차 산업혁명의 혁신은 두 가지 학문을 잘 융합하는 자 입니다.
주영튜브 (Juyoungtube) 5
2020년 10월 01일 14:36이야~~ 이 타입은 딱 나같은 타입인데? 난 뭔가 한가지만 있으면 불편한 성격이라서 그런지..
책도 여러가지분야들을 보유하고 있고 볼때마다 뭔가 든든하던데
천재만 호기심이 있다? 말도 안되죠 호기심은 누구나 가질수있고
다재다능한것도 누구나 할수있어요 단지, 지금까지 웬만한사람들이 한분야만 파서 전문가가 되기위해 고군분투했던 시대였기때문에 창의력에 대해 무지했던거 뿐이지 이젠 이런건 필수지 필수!
공공이 4
2020년 10월 11일 07:15한우물 파서 의사 변호사 된건 뭐임
@user-re8re9qj9j 4
2020년 10월 01일 13:35폴리매스!!!
@bravo8881 4
2020년 10월 01일 15:47이 책은 무조건 읽어라. 두분 권유로 그제 바로 주문했습니다 ^^
어서 빨리 보고싶네요 ~*
@ableto8120 4
2020년 10월 01일 14:56폴리메스 모임 하나 만드세요. 폴리메스 성장 곡선 알려드릴께요
@user-vi9zq1rx6d 4
2020년 10월 03일 13:01와..심장터저버릴것 같아요!!!
주문했는데 빨리 읽고싶어요!!
@user-ec2mg3or8e 3
2020년 10월 01일 12:49진짜 다른곳에 호기심이 많았는데
제가 이상한게 아니었군요!!!
더 도전해 보겠습니다.
@big_brightiron 3
2020년 10월 01일 19:58폴리매스 읽고 폴리매스가 되겠습니다
@user-xk4pb2ho8m 3
2020년 10월 03일 04:06좋은 영상과 책 감사합니다!! 신박사님께서 70대가 인생의 절정기가 되겠구나 하신 부분 인상 깊었습니다! 괜한 걱정이겠지만 그럴 수 있게 신박사님 건강챙겨주시길 바래요...!!
'반복되는 후회' 영상이 기억에 남아 댓글 남깁니다!
@lucushong92 3
2020년 10월 01일 13:05오늘도 좋은영상과 책 소개 감사합니다.
@user-he5qr2ih7l 3
2020년 10월 02일 00:00와... 저는 요즘따라 하고싶은게 너무 많아서 지금 내가 해야할 거에 집중하지 못하는게 잘못된 것처럼 느껴졌는데 아니네요 오히려 다 잘해낼 수 있다는 욕심이 생겼어요
@user-fo1fw4zs2u 3
2020년 10월 05일 00:27폴리매스의 전제는 아는만큼 실천하는 삶을 사는 것이다. 이때 안다는 것은 형식과 내용을 익히는 것인데 우선 형식을 익히면 내용은 다양하게 채울 수 있다는 것이다. 폴리매스는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라 동서양을 막론하고 선구자들이 하나 같이 얘기 했던 것이다. 형식을 익히기에는 철학만큼 좋은게 없다. 이 책 한권으로 해결하려 하지말고 철학 서적부터 구입하라. 더 이상도 더 이하도 없다. 딱!! 거기서부터 당신의 삶은 결정된다.
@cozyeveningCH 2
2020년 10월 01일 13:12엄청난 정보 감사합니다 책 구매결정
로스고 2
2020년 10월 01일 12:49간학문적 관점과 학술적 연구가 점점 더 가치를 인정 받겠군요. 긍정적이라 봅니다.
@skytvnatural5045 2
2020년 10월 01일 17:28또 한권의 책을
사게 만드는 힘..
@lakenriver 2
2020년 10월 04일 07:32Only 한 우물만 파는 것과 다르게 분야를 확장하는 길이 소수의 길이라는 점에서 보면 애덤 그랜트의 <오리지널스>와 겹치는 이야기도 있네요
(+기존의 것을 새롭게 조합하는 것도 그렇고요)
@user-lt9vu9zw1u 1
2020년 11월 29일 01:16영어전공으로 대학을 졸업하고 이후에 정보통신공학 학위를 하나 더 따서 지금은 보안 엔지니어로 일하면서 최근에 보험설계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입니다. 누군가에게 이렇게 말하면 대다수의 반응이 "그래서 어쩌라고?" "참 잘나셨네요" 같은 거였고 하나의 일에 집중하지 못하는 어중이 떠중이 취급을 받은 적이 많았는데, 폴리매스라는 개념을 보니까 참 잘 살아왔다는 생각이 드네요. 말씀처럼 모든 일의 중심에는 "호기심과 궁금증"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좋은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visual2743 1
2022년 4월 10일 12:32전 아직 28살인데 신박사님의 추천으로 지금 읽고 있습니다 근데 아직 뭐 하나를 제대로 이루지 못한 상태에서 이렇게 다방면으로 이룬 사람들의 이야기에 와닿음이 어렵습니다..
계속 노력해야겠죠
저도 신박사님처럼 그정도 레벨이 됐을때 다시 읽어보겠습니다 최근 완공은 재밌게 읽었습니다 졸꾸!!☺️
@user-pw7iw3jh7t 1
2020년 10월 05일 18:15기냥 ㅋㅋㅋㅋ 똑똑 하면 한우물을 파며 익히는 시간이 짧아지잖아요? ㅋㅋㅋ 딱 그 천재의 느낌인데요 핳..
여행가고싶다 1
2020년 10월 15일 20:43한 우물만 파도 충분히 먹고 삽니다.
그 우물이 남에게 인정 받을 수 있는거라면.
건설현장 옹벽만 잘 만들어줘도 인정해줍니다.
관정기술만 잘 배워도 여기저기서 콜 엄청 들어옵니다.
그럴만한 열정을 가지고 계십니까? 아직도 난 공부가 답이다라고 생각하십니까?
이제 공부, 사무직이 최고인 시대는 꺾이고 기술을 가진 사람이 더 대접 받는 시대가 올겁니다.
교육도 바뀌어야하며, 사람들의 마인드도 바뀌어야겠지요.
내가 공부할 머리가 도무지 아니면 일찌감치 사람들이 인정할 우물을 찾으시길 바랍니다. 그 우물은 생각보다 주위에 많습니다. 사람들의 자존심이 문제죠.
@alwaysmarine2091 1
2020년 10월 02일 21:3430년전에 고 김우중씨가 '세계는 넓고 할 일은 많다'에서 '깊게 파려면 넓게 파야한다'고 하셨습니다. 해석은 상황에 따라 저마다 다르겠지만, 제 생각에는 어떤 한 분야에서라도 인공지능이 범접할 수 없는 상위 몇%에 들기위해서는 기존의 교과과정의 틀을 넘어선 자신만의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 같습니다. 직장이나 직업은 자연히 따라 오리라 생각됩니다.
@CHOAIN 1
2020년 10월 02일 01:30그 누구라도 #폴리매스 가 될 수 있고 돼야만 한다
인공지능의 등장으로 전문가의 생존은 불리해졌다
한 우물만 파던 전문가들은 앞으로 생존하기 힘들다
우리는 모두 #폴리매스 가 되어야 한다 폴리매스란
연관이 없어 보이는 #다양한영역 을 관통하는
#사고전환 를 통해 방법론을 #제시 하는 사람이다
폴리매스가 되려면 #호기심 이 정말 중요하다
폴리매스는 자신의 호기심을 풀며#자아실현 을 한다
인류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 하면 대부분 폴리매스다
그런데 이런 괴짜,별종,천재 는 누구나 될 수 있다
우리는 호기심이 많던 아이들로 다시 돌아가야 한다
아이들의 호기심 어린 눈으로 30대 40대 50대를
살아갈 수만 있다면 당신의 60대는 찬란할 것이다
어떤 분야든 최소 3~5년을 투자해 준 전문가가 돼라
그런 것들이 3개 이상 쌓이면 #동반상승 효과를 얻게
되고 기하급수적 성장이 쉬워지며 #대처불가능 한
#인재 가 될 확률이 급격하게 오르기 시작할 것이다
이런 #개인버프 를 받은 사람이 모여#소통 할 수만
있다면 엄청난#단체버프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리고 앞으론 이런 버프 효과 없인 생존할 수 없다
다양한 관점을 하나의 맥락을 관통하는#초연결시대!
시공간의 #초월 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 되었으니
#누구나 폴리매스가 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였다
Jieun Baek 1
2020년 10월 02일 01:04폴리매스 ~ 그거 창의성의 끝판왕이지^^
나는 늘 폴리매스였다~ ㅋㅋㅋ
유럽친구들이 올림픽 수영선수이자 선생님이고, 작가인게 이거 아니가요?
학교에서 안가르쳐주면 그냥 내가 찾아 배우자 그렇게 삽니다. 전 간호사이자 영양컨설턴트, 헬스가이드 ㅋㅋ 라이프 코칭 뭐 그런 폴리매스 공부중입니다
8585 Happy 1
2020년 10월 01일 16:05와우 잘들었습니다.
@likewind194 1
2020년 10월 13일 23:10일단 한 우물만 파는 것 자체도 힘들어요~ 그래도 일단 한 우물을 파서 전문가 수준이 되면 관련 연구분야로도 넓혀갈수 있어요~ 책은 참조만 하시고~
@user-ic6bq6mc9y 1
2020년 10월 01일 12:36좋은 영상이네요
@user-bi1cv4vx6t 1
2020년 10월 09일 10:23어떤 일을 하던 내일처럼 열심히 하면 결과는 항상 좋음! 열심히 하기 이전에 머리를 먼저 굴리니 결과도 애매할뿐
Jingyeong Yu
2021년 1월 22일 04:22한우물만 파야됩니다 최고에 오를때까지하세요 그경지에오르면 다른것에 도전하는겁니나
Chance:D
2020년 10월 13일 16:33이런분들 면접가면 매번 듣는말 : 쉽게 질려하나 보네요? 끝을 본게 없구만?
런던고양이
2021년 3월 23일 11:19이 영상을 브걸과 그 팬들이 비웃는다 ㅋㅋ
맹자강tv
2021년 2월 08일 17:38한우물만 파도 그분야의 전문가가 되기힘든데 이것저것 파다 아무것도 안됩니다
@studian365
2024년 2월 28일 19:47매일 작은 성장을 이끌어 주는 🗓하루공부 365 만년형 달력
👉https://bit.ly/49GaY4Z
sj
2020년 10월 02일 18:15N잡러?
정말?
2020년 10월 14일 18:40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대표적인 예시인가
@Jin-bw6nt
2020년 10월 02일 23:33오케이. 낼아침 교보문고 출격. 🔥
@TV-xw4ge
2020년 10월 04일 04:44감사합니다. 바로 구매해서 읽겠습니다.~♡♡♡
@user-uo4cp1mk1w
2020년 10월 02일 07:47신박사님 영준님 항상 응원합니다
@user-kg1kh1wo8z
2020년 10월 04일 11:20감사합니다. 책 제목 _ 폴리메스
@yongwoonim6190
2020년 10월 01일 16:04유튜브 이용하면서 처음으로 구독을 하는 채널입니다.
제 자신에게 무엇이 부족하고 알 수도 없고 그토록 찾고자 했었지만 찾지 못했던 스스로를 인지하고 찾을 수 있게 도와준 신영준박사님 감사합니다.
정작 제 자신에게 부족한 것이 무엇인지?
제 자신이 무엇을 하면서 살아야 하는지?
내가 어디로 가야 실패할 확률이 적은지?
이 모든 생각들을 정리해주는 조언들...
정말 인상깊게 잘 보고 들었습니다.
늦었지만 이제부터 지금부터 작은 일들 부터 시작해보려 합니다.
이선후
2020년 10월 02일 19:26체인지 그라운드가 추천하는거라 걍 바로 샀습니다.
송준엽
2020년 10월 13일 11:06찍먹충 어서오고
@andontstop
2020년 10월 12일 09:14한우물 죽어라 파야죠 ㅎㅎ 그래도 안되는게 성공입니다. 나머지는 운의 영역입니다.
lilhb
2020년 10월 02일 21:138:25
블러디메리
2020년 10월 07일 02:21그렇다면 호기심을 키우기 위해선 무엇을 하면 되나요?
@dongjinlee2139
2020년 12월 25일 20:10결국 모든 학문은 철학으로 모인다고, 한가지를 한우물을파야 거기서 깨닫는것이 다른것으로도 통한다, 그러니 한가지분야에서라도 프로가되세요,
@finishline6914
2020년 10월 01일 21:55폴리매스ᆢ폴리매스ᆢ폴리매스!
@letshaveanotherone3522
2020년 10월 09일 17:04모든 분야에는 어떤 뿌리 절대적 가치관이 있다
모든 사람이 그것을 이해하는 순간
인류는 엄청나게 발전하겠지.
@user-ou3dc6tb9k
2020년 10월 13일 15:28박지성 김연아 이런 사람들은 한우물만 팠는데요?
정말 내가 하고자 하는일에 재능있으면 한우물 파면됩니다
그리고 한우물파도 안될 사람은 이것저것 해도 잘 안됩니다
골목식당에서 솔루션받는집들 보면 메뉴많고 이것저것해서 망하는경우가 많습니다
그이유는 한가지 메뉴에 집중을 못하기 때문에 맛도 제대로 못살리고 그렇다보면 메뉴는 많아지기만 하고 식재료는 쌓이고 상하기 때문에 오히려 더 관리가 안되기 때문이죠
여러가지 다양하게 해야지 하는 사람들치고 한가지도 제대로 못하는 경우가 사실 훨씬 많아요
@user-nb2gg4fn4r
2020년 10월 01일 17:34너무 사고싶당
부티항
2020년 10월 13일 17:19패턴한명연예인난지금밥먹고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