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요약] (요약하는 이유는 내용을 보시고 잊어버리는 분들도 계실수 있다고 생각되어 복습하는 의미로 활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영상은 꼭 시청해주세요 ^_^) 1. ETF에 대해서 설명해 주신다면? --> ETF = 상장지수펀드, 특정자산이나 특정지수의 가격에 연동해서 수익률이 책정되는 상품임, 특정자산 & 특정지수 = 인덱스 --> 분산투자가 된다는 것임 2. ETF 자산 총액이 어느 정도 늘었났는지? --> 2016년에 35억 달러에서 2020년 추정치가 76억 달러임 --> 지수가 올라가게 되면 ETF의 순자산 총액도 늘어남 --> ETF 상장 종목들이 많아짐 3. 코스피 지수가 올라가면 코스피 지수에 투자하는 ETF의 순자산 총액도 늘어남 4. 요즘 ETF가 인기인 이유? --> ETF 투자를 통해 개별 기업의 리스크를 피할 수 있음 --> ETF는 상장폐지가 없음 5. ETF의 다양함 : 채권 ETF, 지수 ETF, 통화선물 ETF, 원자재 ETF, 파생상품 ETF, 국내주식형 ETF, 섹터에 투자하는 ETF 6. ETF에 포함된 주식이 상장폐지되면 ? --> 대부분 시가총액 순으로 가중치를 설정함 --> 혹시 잘못되어도 순자산 가치가 크게 줄어드는 부분은 덜함 7. 개별기업보다 산업을 보고 투자, 시장에 대한 방향성을 볼 수 있음 8. ETF가 저성장, 저금리, 고령화 시대에 매력적인 상품인 이유? (1) 저성장 시기에 어떤 투자처를 찾아야 되는가? --> 저성장 국면에서 주식의 대체재는 채권 ETF임, 달러 ETF와 금ETF (2) 고령화 사회의 투자 상품은 무엇인가? --> 연금저축 펀드, IRP(개인형 퇴직연금) 9. 모든 투자 상품에는 원금 손실에 대한 리스크가 존재함 --> 개별 주식의 변동성보다 ETF의 변동성이 낮음, 단점은 그렇기에 기대 수익률은 낮을 수 밖에 없음 10. 펀드와 ETF의 차이점은 ? --> 펀드는 펀드매니저가 벤치마크를 설정(펀드매니저의 역량이 중요함) - 액티브 성격 --> ETF는 펀드매니저의 역량이 중요하지 않음, ETF는 지수를 추정하기 때문임 - 패시브 성격 --> 펀드는 환매를 하면 3~4일 걸리지만, ETF는 펀드와 다르게 실시간 매매가능 --> ETF는 증권거래세가 없음, 펀드는 환매에 대한 비용 발생함, ETF는 거래세 절감의 장점이 있음 11. ETF의 세금, 수수료에 대하여? --> 매매차익, 배당소득, 금융소득종합과세 --> 국내에 상장한 주식형 ETF는 매매차익에 대해서 비과세임, 현재시점에서 --> ETF의 구성종목 중에 배당받은 것을 분배금으로 지급함, 분배금의 15.4%를 배당소득세로 과세, 일반주식의 배당금과 소득세는 똑같음, 금융소득 종합과세 2천만원까지 비과세 --> 레버리지, 인버스, 원자재, 채권ETF 매매차익의 15.4%를 배당소득세로 과세함
12. 해외 상장 ETF에 투자했을때는 250만원을 공제하고 남은 부분에 대하여 22%의 양도소득세를 과세함 13. 세금적인 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건 국내 주식형 ETF임 14. ETF 거래시 수수료에 대해서? --> 거래세는 없는데 운용보수는 0.5% 이내(연간으로), 일반펀드에 비해서 운용보수는 저렴한 편임
[개인생각] 1. ETF에 대해서 공부할수 있어서 좋았음 2. 개인적으로는 해외 ETF가 더 매력적이라고 생각함
내면&경제적자유 나오TV[재테크&행복&북튜버] 25
2020년 10월 05일 20:56[오늘요약]
(요약하는 이유는 내용을 보시고 잊어버리는 분들도 계실수 있다고 생각되어 복습하는 의미로 활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영상은 꼭 시청해주세요 ^_^)
1. ETF에 대해서 설명해 주신다면?
--> ETF = 상장지수펀드, 특정자산이나 특정지수의 가격에 연동해서 수익률이 책정되는 상품임, 특정자산 & 특정지수 = 인덱스
--> 분산투자가 된다는 것임
2. ETF 자산 총액이 어느 정도 늘었났는지?
--> 2016년에 35억 달러에서 2020년 추정치가 76억 달러임
--> 지수가 올라가게 되면 ETF의 순자산 총액도 늘어남
--> ETF 상장 종목들이 많아짐
3. 코스피 지수가 올라가면 코스피 지수에 투자하는 ETF의 순자산 총액도 늘어남
4. 요즘 ETF가 인기인 이유?
--> ETF 투자를 통해 개별 기업의 리스크를 피할 수 있음
--> ETF는 상장폐지가 없음
5. ETF의 다양함 : 채권 ETF, 지수 ETF, 통화선물 ETF, 원자재 ETF, 파생상품 ETF, 국내주식형 ETF, 섹터에 투자하는 ETF
6. ETF에 포함된 주식이 상장폐지되면 ?
--> 대부분 시가총액 순으로 가중치를 설정함
--> 혹시 잘못되어도 순자산 가치가 크게 줄어드는 부분은 덜함
7. 개별기업보다 산업을 보고 투자, 시장에 대한 방향성을 볼 수 있음
8. ETF가 저성장, 저금리, 고령화 시대에 매력적인 상품인 이유?
(1) 저성장 시기에 어떤 투자처를 찾아야 되는가?
--> 저성장 국면에서 주식의 대체재는 채권 ETF임, 달러 ETF와 금ETF
(2) 고령화 사회의 투자 상품은 무엇인가?
--> 연금저축 펀드, IRP(개인형 퇴직연금)
9. 모든 투자 상품에는 원금 손실에 대한 리스크가 존재함
--> 개별 주식의 변동성보다 ETF의 변동성이 낮음, 단점은 그렇기에 기대 수익률은 낮을 수 밖에 없음
10. 펀드와 ETF의 차이점은 ?
--> 펀드는 펀드매니저가 벤치마크를 설정(펀드매니저의 역량이 중요함) - 액티브 성격
--> ETF는 펀드매니저의 역량이 중요하지 않음, ETF는 지수를 추정하기 때문임 - 패시브 성격
--> 펀드는 환매를 하면 3~4일 걸리지만, ETF는 펀드와 다르게 실시간 매매가능
--> ETF는 증권거래세가 없음, 펀드는 환매에 대한 비용 발생함, ETF는 거래세 절감의 장점이 있음
11. ETF의 세금, 수수료에 대하여?
--> 매매차익, 배당소득, 금융소득종합과세
--> 국내에 상장한 주식형 ETF는 매매차익에 대해서 비과세임, 현재시점에서
--> ETF의 구성종목 중에 배당받은 것을 분배금으로 지급함, 분배금의 15.4%를 배당소득세로 과세, 일반주식의 배당금과 소득세는 똑같음, 금융소득 종합과세 2천만원까지 비과세
--> 레버리지, 인버스, 원자재, 채권ETF 매매차익의 15.4%를 배당소득세로 과세함
12. 해외 상장 ETF에 투자했을때는 250만원을 공제하고 남은 부분에 대하여 22%의 양도소득세를 과세함
13. 세금적인 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건 국내 주식형 ETF임
14. ETF 거래시 수수료에 대해서?
--> 거래세는 없는데 운용보수는 0.5% 이내(연간으로), 일반펀드에 비해서 운용보수는 저렴한 편임
[개인생각]
1. ETF에 대해서 공부할수 있어서 좋았음
2. 개인적으로는 해외 ETF가 더 매력적이라고 생각함
김작가님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_^
편안한 밤 되세요.
@user-gq3xq7hh7p 9
2020년 10월 05일 23:561초간 천영록 대표로 착각했습니다.
@lucky_tv 9
2020년 10월 05일 20:00영상에 소개된 이재준 저자님의 신간입니다.
📚 『따라하면 수익이 따라오는 ETF 투자』 도서 구매 📚
👉 https://bit.ly/3iDvgkC
@deankim9996 6
2020년 10월 05일 20:44Etf는 괴리율 체크를 해야함. 괴리율은 실제가치와 현재시가가치의 차이
@user-ch9dk7rg6q 6
2020년 10월 05일 20:12etf 운용보수 좀 경쟁시켜서 낮췄으면 좋겠네.. 또 분배금도 제대로 좀 주고..
@deankim9996 5
2020년 10월 05일 20:40Etf의 장점은 얼마까지는 세금이 없다는거도 장점 !
@ieunakim 5
2020년 10월 05일 20:26ETF에 관심을 가지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TV-dd2vb 4
2020년 10월 05일 21:05형 이건 망했어
@user-ff4se9tp5q 4
2020년 10월 05일 20:28상장폐지를 걱정하는건 오바인듯 합니다. ^^;;
@OneDay-ep8xf 3
2020년 10월 05일 20:031빠
@shinsangyoun 3
2020년 10월 05일 20:31오늘 18시 공지예정이던 결과는 언제 하시는지요
@user-ol1gp5oz6h 3
2020년 10월 05일 22:18오늘도 잘봤습니다. 유익한정보감사해요~~
삼척 지금은ing 3
2020년 10월 05일 20:12주식으로 망한다
@user-re4rk5ef8w 2
2020년 10월 05일 20:102빠
@nello9785 1
2020년 10월 06일 00:3518:53 250만원까지 면세해 준다면 예를 들어서 249만원씩 계속 매도를 하면 합법적으로 절세를 할 수 있는 건가요? 아니면 그냥 1년에 250만원까지 면세를 해주는 건가요??
@user-yt4qk6ib1r 1
2020년 10월 06일 01:52etf 포트구성하기 귀찮을때 씀 ㅋㅋ
@Michelle-jj6xv 1
2020년 10월 06일 01:19김작가tv 여러모로 도움 많이 받고 있어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Yuri ASMR 유리 1
2020년 10월 05일 21:16오늘도 잘배우고 갑니다 김작가님 영상 주말까지 반복해서 하루에 4개씩은 꼭 보고있어요 ㅎㅎ 두번 세번 봐야 더 이해가 잘되더라구요 좋은 정보들 늘 감사합니다 재테크 영상은 김작가님이랑 개형 김정환님꺼 두개 보고 있어용 ~ ㅎㅎㅎ
@user-qj5bz7li6e
2020년 10월 06일 20:10감사합니다
@user-lx2xf2hu4e
2021년 1월 01일 21:11Etf는 연금저축에만 투자할 수 있나요?
@mgs9950
2020년 10월 07일 20:47이번 화면이 좀 안좋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