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평생 사이버 강의를 하게 된다면? 오프라인 교육이 사라질 시 생기는 충격적인 문제 | #미래수업 #Diggle
tvN 인사이트 뉴노멀 강연쇼 미래수업 / tvN 월간 기획 Let's giggle, :Diggle! 방송국놈들이 덕질하는 채널 디글 구독하기! :Diggle ☞ http://bit.ly/2Urls34 기획/제작 땡주 ......
tvN 인사이트 뉴노멀 강연쇼 미래수업 / tvN 월간 기획 Let's giggle, :Diggle! 방송국놈들이 덕질하는 채널 디글 구독하기! :Diggle ☞ http://bit.ly/2Urls34 기획/제작 땡주 ......
@user-sx2kt6jo4r 256
2020년 10월 14일 12:57한국 교육은 지금이 적기입니다. 바뀌지않으면 앞으로 새로운시대에서 도태될것입니다. 하지만 별로 희망은 안보임.
@user-xo3wo9zq2v 237
2020년 10월 07일 08:31쓸데없는 헬조선 입시 사라질 기회임 ㄹㅇ
@kdshero 158
2020년 10월 06일 14:55핵심을 잘 짚어 주셨네요..우리나라 아이들은 각종 IT기기를 수동적으로 잘 쓰는데 세계 최고였지 그것을 창조할 역량을 키우는 교육은 꼴찌수준이었습니다. 우리 아이들 상위 소수를 제외하곤 IT 의존자, 중독자로 전락시킬 위기입니다. 부모와 교육계가 각성하는 계기가 되어 좋은 방향으로 다시 나가길 바랍니다
@user-ti3oq8iu1h 153
2020년 10월 06일 14:56청소년기에는 친구들 사귀고 그들과 함께 놀고 지내는 것 자체가 제일 큰 교육임.
@jbkim7812 112
2020년 10월 12일 06:50초 3 엄마예요. 코로나로 학교가 참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는 걸 알았어요.. 얼른 우리 아이들이 학교에서 뛰어놀기를 오늘도 간절히 바래봅니다.
Jinny hai 104
2020년 10월 06일 18:23한국에선 학교가 가장 고지식한 곳이지 대학교만봐도 걍 시대역행
@hrl5437 99
2020년 10월 21일 16:50애들도 학교 가는 거 좋아한다.
아무리 동영상 보는 걸 좋아한다 해도
또래친구들하고 뛰어노는 재미에 비교할수있겠나.
@KimsannoTV 96
2020년 10월 21일 12:14부모의 경제력과 교육능력으로 인해
어린 학생들의 학습능력의 격차가 확실히 갈라지겠네.....
@user-bt1eb6dr6b 76
2020년 10월 15일 23:51인터넷세상이 생각보다 좋더라... 재택근무 괜찮더라...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정말 운이 좋은 사람이죠. 사회생활이 최소화되면서 아이들이 가장 큰 피해를 보고 있어요. 코로나 시대 출산율은 0.6이라고 합니다. 모두가 알고 있어요. 아이를 키우기에 적합하지 않은 환경이라는 것을요. 사람은 사회적동물입니다. 언택트는 인류에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것입니다. 너무나 슬픈시대에 태어난 우리아이들이 어떻게 하면 행복할 수 있을지... 해맑은 아이의 장난을 받아주며 서글픈 마음을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x0x645 76
2020년 10월 25일 01:11대학 교육의 민낯이 드러날 아주 좋은 기회라 생각함. 초1 아이들이 너무 안쓰럽다 ㅠㅠ
@popupu 74
2020년 10월 06일 14:04직접 보고거나 경험에 의한 배움이 실종된다는게 아이들의 창의성이 많이 걱정됩니다. 부모가 공부를 지도 해주는데는 한계가 있더라고요. 규칙적인 생활이나 꾸준한 인내심이 필요한 학습 등은 부모가 시킨다고 하지도 않고ㅠㅠ
@user-gm5oo5gj4m 69
2020년 11월 01일 15:42코로나가 우리보고 잘못된 교육 방식을 재수정하라고 말하는 거 같습니다.
가장 잔인한 병입니다.
@user-yn2en1yi9j 62
2020년 10월 16일 10:0315년전 미국에서 온 박사가 학벌이 머시 중요해,학교가 머시 중요해라고 했지만 지금도 엄청 중요하고 대부분 고액연봉자는 다 명문대출신이고 지금도 고액직업신입은 박사,석사출신이 많다. 이렇게 교육이 바뀌어야 한다는 사람들도 자식은 명문대 가고 외국 유학 가있다.그리고 아무도 이문제를 지적 안하는데 코로나로 심각해 전국민이 스톱할때도 전국단위 자사고,외고,과학.영재고는 모두 학교 다녔다. 300인 재수기숙학원도 폐쇄될때조차 그런 학교는 모두 정상적으로 운영되었지
@ydbae333 60
2020년 10월 28일 10:53학교가 없어지는것이 아니라 학교에서의 배움의 방법이 바뀌어야 한다고 봅니다 주입식이 아니라 토론식 ,창의적 수업으로요,, 그래도 옛날보다 지금은 애들보니까 바뀌긴 했더라구요,,, 더 바뀌어 나가야 한다고 봅니다 서로 만나서 부딪히는 교육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jmlove5556 52
2020년 10월 15일 13:17이분 강의에 정말 공감. 한국교육은 정말 후진국이라 이번 코로나때도 여실히 드러나는듯.. 호주경우 교육수준은 한국보단 떨어지지만 교육질은 월등히 뛰어나서 코로나때도 정말 놀랄만큼 잘 진행되고 아이들도 IT 정보 처리나 활용능력도 뛰어남.. 교육을 바꿔야 함..
@jaewoo6363 52
2020년 10월 13일 21:12근데 대학보다... 인강이 더 질이 좋음....대학은 그냥 종이장따러가는건데....애초에 교수가....회계사며 로스쿨공부며 프로그래밍이며 다른 친구들 하는 거보면 다 인강으로 공부하던데....
김민재 42
2020년 10월 16일 16:57ㅋㅋㅋㅋㅋㅋㅋㅋ코로나19로 걱정되는1순위가 성적인나라 역시~
@jangabel543 36
2020년 10월 06일 16:37현재 대한민국의 학교가 관계형성의 장으로서의 역할한 다고? 글쎄... 저 교수님 말대로 그 관계형성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말 많은 것이 변해야한다. 정말 많은 것들이 말이지.
@james77861 34
2020년 10월 25일 00:14대학 줄세우기 성적별 평생 꼬리표 없애자
@iloveclassicbooks 33
2020년 10월 06일 09:43‘감성’만이 살아남는 AI 시대에 언택트로 인해 사람간의 관계와 감성을 잃어버릴 수 있는 알파 세대...정말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 할 세대인 듯요!!
@pofpof-lo4kj 31
2020년 12월 12일 12:01난 오히려 이게 기회같은데. 이미 공부에 소질없고 흥미없는 애들은 교실에 가둬놔봐야 아무 의미 없음. 집에 있으면 온갖 물건에 시선을 둘 기회가 생기지. 교실에 있었다면 보지 못했을, 만지지 못했을 무언가를 더 느껴보고 보는 것만으로도 공부가 길이 아닌 사람은 훨씬 더 유익한 거다. 초등까지는 글을 읽을줄 알아야하고 사람으로서 기본을 배우니 몰라도 중학교부터는 이게 낫다고 본다.
@TheSickerp 31
2020년 10월 08일 07:59위기는 또 누군가에게 기회
man god 31
2020년 10월 06일 12:17위기는 기회
소소한TV 30
2020년 10월 06일 09:37시간이 지날수록 철저히 개인주의화되겠네요ㅠㅠ
@user-on5mg8uw3i 30
2020년 10월 07일 23:273학년은 두자리수 곱도 어렵고
3-2학기 배운 분수는 4-1학기를 지나며 다 까먹고 4-2학기에 분수계산을 만나니 너무어려워 수학응 어렵다고 입력중인 교육현실
@k79730815 30
2020년 11월 28일 23:51저는 이기회를 빌어 교육의 다양성을 추구해야 된다고 봅니다. 타고나는 재능이 다른데 다 같은 공부를 하는건 옳지 않습니다. 흥미검사 및 적성검사를 통해 자기한테 맞는 공부를 해서 재능을 키우는게 낫다고 봅니다.
Joy Smile 29
2020년 10월 16일 00:02온라인 수업 재미없어요...
교육부가 제발 들었으면 좋겠다!!!
brightttiger Fransesc 27
2020년 10월 06일 10:02학교 현장에 낡은 법들로 인해 와이파이(무선AP기기) 설치조차 안 되는 학교가 부지기수 입니다. 학교현장을 옥죄고 있는 법개정이 필요합니다.
@user-up5dc1mk4f 26
2020년 10월 24일 09:22학교 다녀도 기초 잡기는 힘들던데요.
jh Song 25
2020년 10월 21일 08:43뭔 놈의 IT강국이라는 거야
10년 전 얘기지.
허생 24
2020년 10월 26일 11:53강연보다 댓글 수준이 더 높음^^ 대학이 사양길이라는 건 확실함. 유튜브가 더 대학스럽다.
Alyssa Fabulous 23
2020년 10월 06일 22:27중국은 돈도 많은데 각국에 보상금 지불해라. 양심도 없냐?
@user-hy2kr8bc9f 21
2020년 10월 26일 19:38관계형성에 대해서 꼭 학교라는 울타리가 필요한가요? 그거부터 묻고 싶습니다. 종래의 학교체제가 과연 청소년들의 인성과 사회성에 얼마나 합리적이고 도움이 되었나요? 진정으로 그렇게 도움이 되었다면 왜 문제학생과 각종 청소년비행문제가 만연할까요?
@user-tk5st8dl8t 19
2020년 10월 20일 08:23시대착오적인 교육사라졌으면 좋겠어요
@tvNSTORY_official 18
2020년 10월 10일 15:19(7회) 코로나 시대, 가족끼리 왜 이래? - 배우 신애라, 김경일 교수
▶10월 20일 (화) 저녁 7시 45분 tvN
홈튼튼TV아빠와함께놀기 17
2020년 10월 30일 08:27중국이 짝퉁은 대충만들더니 코로나는 명품으로 만들었어
인서이 17
2020년 10월 07일 01:07학교는 그냥 와이파이못다는게아니라 안다는거아닌가?
@flyfan87 17
2020년 10월 06일 11:54학교에서 이분 재택강의 들었었음 ㅋㅋㅋㅋ반갑네요 ㅋㅋㅋㅋㅋ4차산업혁명이었나..
정재성 15
2020년 10월 26일 19:36학교를 다녀야 정상적인 성장발달이고 사회화라는 발상은 이제 치워야 합니다. 그런 사고방식은 산업사회나 맞는 논리이지 21세기에는 더 이상 통용될 사안이 아니죠.
시대에 따라 학교제도가 개편되어야 하지만 그와 만물려 인간의 성장발달과정 즉 미성년기 아동 청소년에서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정 생애주기체제가 완전 츨갈이 해야 한다.
무상시범영재교육. sky. Ivy 14
2020년 11월 03일 07:33사라질 백년의 반복 입시교육 .. 초인류 미래 창조 인간 개편 기회?
지코 14
2020년 10월 06일 17:03아불쌍하다애들ㅜㅜ
@jae8897 13
2020년 10월 25일 19:49내셔널리즘 최고의 발명품인 학교가 드디어 쇠퇴하는 기회가 생긴거지 그동안 19세기에 멈춘 교육을 바꿔야 한다 목소리 높였지만 어디 바꿀 동력이 있었던가 이참에 학교 밖에서 더 많은 교육을 찾을 좋은 수단이 생긴거다 종래의 교육이 돌아오지 못한다면 미래의 교육을 찾는 것은 나라가 아니라 개인의 몫
Joy Smile 13
2020년 10월 16일 00:07학교의 본연의 역할?
언제부터 우리나라가 학교 본연의 역할을 생각했지?
공교육은 사라진지 오래고
교육 공무원들은 계속 국민들 세금을 조용히 코로나 핑계로 쉽게 주머니에 넣으려고 하겠지. 언제까지 코로나를 핑계삼아 인강을 강요하는지 두고 봐야겠네.
mjkofev 12
2020년 10월 12일 00:03취업공장 대학에 대한 효용은 오래전부터 의심받아왔습니다.
한뼘실천가 (HandSpanner) 12
2020년 10월 14일 14:55소통없이 너무 끔찍하다. 걸어다니는 식물인간. ㅜ
Party gooksu 11
2020년 11월 02일 15:10학교폭력이나 왕따 없는 세대
오현주 11
2020년 11월 02일 13:19대학교가 큰 문제에영 실력없는교수들및낫이 들어나기때문이져 실력파온라인강의로 더많은정보와 지식을더 얻어내고있으니 대학교등록금이 아까울것입니다
김순순 11
2020년 10월 06일 23:47교육방식부터 바꿔야죠~
@user-xl4we2ou1q 10
2020년 10월 09일 02:47아이구.. 너무나도 예쁜 아이들이네요. 근데 마음이 너무 짠해요..ㅠㅠ
곽로얄 10
2020년 11월 06일 21:05자기들은 방송국에서 마스크도 안하고모여있으면서 국민들만 집에 혼자 있으라고하네
@gugrowingup5293 9
2020년 10월 13일 11:37초1자녀를 둔 부모로 영상을 통해서 부모로써 많이 공감하고 도전 받게 됩니다!
과거 교육이 부모세대인 저의 교육이 아니라 현재도 과거 교육에 포함이 된다는게 슬픈 현실이지만
위기의 순간이 기회가 되도록! 배움에 배제되는 아이들이 없도록!
교육계에서 노력해 주시길 바랍니다! 응원합니다!
Chu*Chu 9
2020년 10월 16일 13:41온라인 수업의 장점이 있다면 학폭 왕따가 줄어든 것일까요? 온라인 상에서도 왕따가 있나요?
@user-cg1wp4hz4k 8
2020년 10월 25일 19:38꼭 영상만큼 아이들이 학교에서 거리두며 학교생활하지 않습니다. 사실 아이들은 마스크착용은 학교내에서 할수있지만 거리두기는 거의 불가능하게 이루어지고있습니다. 영국에서 preschool에서 일하고 있어서 현실상황 잘 알고있습니다. 아이들은 여전히 친구들과 즐겁게 생활하고, 학습도 여전히 진행되고있습니다. 다만 선생님들이 학교교재들과 교실환경의 안전관리와 아이들 손씻기 강조하죠.
김가은 8
2020년 10월 16일 23:49양육비미지급자 신상공개 는 교육부에서해냈다 !
여가부도 못한것 법무부는 안한것! 교육부에서해냄!!
양육비미지급이 늘어날수록 지자체에서 부담할 한부모지원금 그것도세금인데 아이들친부모가 당연히부담해야 양육비를 왜 세금으로? 선진국중유일하게 양육비미지급을 형사처벌하지 않는나라 대한민국 . 미혼모가 홀로양육하는 아이들을위한 양육비법 히트앤런 방지법청원도 청와대에서 무시 .그지원금액은 다름아닌
국고에서 지급하는 아이러니. 알뜰하게 나라살림하는건 먼이야기
교육부가 가장 합리적이네요
@ydbae333 8
2020년 10월 28일 10:50학교에서 친구들과의 놀이는 꼭 필요합니다 지식만 얻는다면 온라인 수업도 가능하지만 서로 대화하고 토론하고 운동하고 어려움도 부딪혀보고 여러가지 학교교육이 참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3자녀들이 고등,대학교 학생인데 온라인교육만 하니 인생의 재미가 없다고 합니다 친구들과 같은 배움으로 서로 소통하는 때가 더 좋다고 얘기합니다
김용관 7
2020년 10월 18일 19:52이분의견에 공감하지만 진짜 유럽이나 미국 와이파이 등 현실에 대해선 잘모르시는 듯
대한민국 와이파이 안 되는 학교랑 선진국 비교해도 대한민국이 최고 수준인데 비교기준없이 그냥 단순 사실만 전달.
OECD기준 어떻게 과학기술수준이 떨어지는지도 객관적자료 없이 일반적 사회현상만 나열.
그런부분들은 더 팩트체크나 자료제시가 필요해 보이네요.
에드영 6
2020년 10월 25일 08:02이번 코로나는 분명히 이겨낼거고 곧 다시 예전의 일상으로 돌아가리라믿지만.. 몇년에한번씩 이런 전염병사태가 올것같고.. 결국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세상으로 갈수밖에없고 그에맞는 기술들이 가속화될것같네요..
Jiny Lee 6
2020년 10월 13일 08:18중앙대학교 송해덕 교수님이세요~!!
키니Kini 6
2020년 11월 07일 09:58우리딸 아들 대학2학년 1년동안 사이버강의중 내년도 이렇다면 차라리 휴학한다고합니다 등록금너무아까움
남기권 6
2020년 10월 31일 05:47친구들이랑 노니까 좋은 거지, 실질적으로 창의교육이 도입되었다고 해도 학교에 가면 대부분 열심히 하고자 하는 열망보단 뛰어 놀고 싶은 열망이 더 높아질 겁니다.
논다는 개념이 중요한 게, 자연스럽게 흡수율이 빠르고 만족이 잘 되는 쪽으로 학습이 잘 이루어집니다. 그렇지 않은 과목은 장난감처럼 갖고 놀 수가 없어요. 그리고 관계가 되는 것에는 어떻게든 채우고자 하는 열망이 생깁니다. 자연스럽게 진로 교육에 활용할 지표가 형성되는 거죠. 성향을 테스트로만 파악하니, 뭐가 되겠습니까. 정보의 제한된 시간 내 처리 속도만 신경쓰는 쪽으로 운영되는데요. 교육 표어이기도 한 홍익인간弘益人間의 인간을 한 단어로 인식하고 합쳐버리니 지금까지 엉뚱한 곳으로 달리게 된 것입니다. 개개인의 지나온 발자국을 살펴보는, 탐정 같은 자세가 교육계 전반에 깔려야 합니다. '살펴보다'라는 뜻이 間에 있으니까요.
온라인 수업이 원격으로 진행되거나 전자 교과서로 진행된다고 해도, 결과적으로 계속 개괄만 다루는 초중등교육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학교라는 공간 안에서만 진행하는 정규 외 수업도 마찬가지입니다.
바뀌려는 노력은 해왔으되, 그 노력이 효과적으로 구성된 합리적인 방안인가 하면, 의문 부호를 떠올릴 수밖에 없어요. 창의경영학교는 4개 하위 사업에 포함되는 방식이 겹치는 게 있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 면에서 연계되는 게 꽤 있었음에도 따로 분류해 3차까지만 하고 끝났습니다.
나이스로만 통합한 교육 행정 시스템은 학생을 타자화 시켰고, 부산지방교육청의 경력 관리용 서비스였던 나래로방은 모범의 대상과 기간을 잘못 설정한 끝에 2008년이 끝나고 몇 년 안 지나서 사라졌습니다.
아직도 물을 대주는 것에 대한 감각이 없어서, 그냥 냅다 가득 가득 채워줍니다. 그러니 죽지요. 평균의 함정에 빠져 숫자로만 개인을 판단하니, 개성 상실도 빨리 일어나고, 꿈이 없는 아이들이 많이 생기는 거라고 봅니다.
고등교육인 대학은요? Expert는 Professional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겸비하고 이에 숙달된 사람이죠. 그러나 학부는 얼마나 전문화가 되어 있던가요? 교양과 전공을 제대로 연결지을 수 있는 상태인가요? Special list를 키운다는 건 곧 Elite를 길러내겠다는 건데, 저게 안 되니 학과 통폐합 같은 쓰레기 정책이 취업률 경쟁을 붙여 대학 모델은 고치지 못하고 선택권만 빼앗는 헛짓거리를 하게 만들었습니다. 저런 구조에선 될 성 부른 떡잎을 찾아내 개화시켜줄 방도가 없어, 감각이 뛰어난 극소수만 알아서 크게 됩니다. 인위적인 고독을 낳아요.
이런 게 비일비재한 것이 교육당국과 교육현장을 포함하는 교육계의 현실입니다.
잃어버린 세대요? 인간관계 측면에서는 그렇습니다만, 나머지는 잃어버릴 것도 없는 세대가 몇 세대 째인데도 알파세대에 국한된 것처럼 이야기되어서는 안 되겠죠.
일대 전환을 위해서 다른 시각으로 재점검하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이 코로나가요.
Howard Kim 6
2020년 10월 24일 16:19우리아이들의 미래가 흔들린다고?
그말이 맞다. 교수들의 실직으로
교수들 아이들의 미래가 흔들릴거다
원지호 6
2020년 11월 16일 15:55나는 정규교육 중학교까지 받은 사람으로써
아이들의 미래를 갖고 불안감 조성하는 사람 참 꼴보기 싫더라.
그들이 불안한건 유튜브와 코로나의 출현으로 대학과 정규교육이 사교육과 진정으로 경쟁해야하며 교육의 획일화가 사라지고 다양성이 출현하여 이것을 통제하고싶은 그들만의 불안감이지 아이들의 불안감이 아니다 .
이제는 나도 한 아이의 아빠가 되었지만
세상 살아가는데는
사람 마음에 대한 이해
돈에 대한 이해
그리고 몸에 대한 이해
이 3가지면 충분하다
나머지는 설렁설렁해도 나중에 필요하면 자기가 다 찾아서 공부한다.
원지호 6
2020년 11월 16일 15:55나는 정규교육 중학교까지 받은 사람으로써
아이들의 미래를 갖고 불안감 조성하는 사람 참 꼴보기 싫더라.
그들이 불안한건 유튜브와 코로나의 출현으로 대학과 정규교육이 사교육과 진정으로 경쟁해야하며 교육의 획일화가 사라지고 다양성이 출현하여 이것을 통제하고싶은 그들만의 불안감이지 아이들의 불안감이 아니다 .
이제는 나도 한 아이의 아빠가 되었지만
세상 살아가는데는
사람 마음에 대한 이해
돈에 대한 이해
그리고 몸에 대한 이해
이 3가지면 충분하다
나머지는 설렁설렁해도 나중에 필요하면 자기가 다 찾아서 공부한다.
Dreamer 5
2020년 11월 12일 08:24불안 조장하지 마세요. 한국은 그동안 투머치였어요. 공부 조금 줄인다고 잃어버린 세대 안됩니다. 애들 좀 그만 잡아요. 그냥 쉬게 좀 둘 줄도 알아야죠.
프리미엄 4
2020년 10월 07일 09:05저렇게 거리두는게 맞지만 진짜 볼때마다 안타깝다. 중국 우한폐렴 ㅅㅂ
정재성 4
2020년 10월 26일 19:41정보기기를 사용한 학습효과가 우리나라가 뒤처지는 것과 연관되는 것이 스마트폰중독입니다. 즉 이 말은 무어냐 하면 우리나라 사람들 특히 청소년등 젊은세대들은 스마트폰을 무슨 게임이나 하는등 인스탄트적으로 즐기는 도구로만 생각하고 효과적으로 정보를 습득하여 자기개발하는 면에서는 꽝이었다라는 것입니다.
ᄀAあᄀAあ 3
2020년 10월 13일 07:07일본은 초등생들은 거의 등교중.
허브향기 3
2020년 10월 24일 22:13인간애를 없애버리려는듯...
네잎클로버 3
2020년 11월 02일 21:55동영상으로 하는 교육은 머릿속에 남는게 별로 없던데
사람 육성을 실제로 듣는 게 머리속에 더 잘 들어오던데
하루종일 폰만 바라보고 사람들과 소통이 안되는 지금
이런 교육은 별로인거같다
진아jumma 3
2020년 10월 16일 14:30외계인이 침공해서 한밤중 아무도없을때 학교좀 폭파 시켰음 좋겠네 <ㅡ 꼬꼬마때 어린시절 상상
Jiniy Yoon 3
2020년 10월 14일 01:08도서관 ㅜㅜ
정재성 2
2020년 10월 26일 19:39학교나 교육의 개념과 방식이 새롭게 개편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준비된닝겐 2
2021년 5월 24일 22:23저 교수님은 미래 교육정책의 방향에 대해 열심히 설파하셨지만 교육정책 당국자들, 법을 제정하는 국회의원들은 관심도 없을거임ㅇㅇ
그런고로 내가봤을때 언제나 그랬듯이 헬조선 교육은 바뀌지 않을거야... 별로 희망이 없음
성이름 2
2020년 12월 09일 02:28교육은 인강이나 학원으로 사회성 교육은 동아리나 모임으로 했으면
준비된닝겐 2
2021년 5월 24일 22:23저 교수님은 미래 교육정책의 방향에 대해 열심히 설파하셨지만 교육정책 당국자들, 법을 제정하는 국회의원들은 관심도 없을거임ㅇㅇ
그런고로 내가봤을때 언제나 그랬듯이 헬조선 교육은 바뀌지 않을거야... 별로 희망이 없음
이민규 2
2021년 3월 15일 14:51나오는 자원도 없고 믿을건 머리밖에 없는 나라에서
교육이 이렇게 되버리면 어떻게 하냐 진짜 걱정되네 ㄷㄷ
unistartv 유니스타TV 2
2020년 11월 18일 16:30요즘 영국 친구들과 잘 놀아요. 저건 사진쁀이죠
jaehyouk lee 2
2020년 11월 22일 08:45어림없지 학원보내기발동~
김제니 2
2020년 10월 26일 16:11입시제도 바꿔라 자사고 없애라
TimelessTruths 1
2020년 10월 20일 22:24논문을 읽고 이해하고 질문하고 생각하는대 도움이 될만한 영상 만들고 있는데 우리나라 교육 미래 발전에 도움이 되고싶네요... 채널에 오셔서 보시고 생각 나누어 주세요!
딱규김 1
2020년 12월 02일 21:28사교육 떡칠된 멍청한 기계들만 들어가는 대학 ㅋㅋㅋㅋㅋㅋㅋㅋ 아무리 입시제도로 비교과를 늘리고 정시에도 내신까지 모든 스펙 다 보고 뽑는다고 해도 그만큼 더 돈 더 써서 생기부 만들어서 의미없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cosmonaut 1
2020년 12월 19일 23:44외국 명문대강의도 인터넷으로 쉽게 볼수 있는 시댄데 취업만을 위한 불필요한 대학진학은 없어져야함
@shinHMsu 1
2020년 11월 11일 15:57정말 미래교육에 대한 대안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Matt Kim 1
2020년 10월 31일 23:44잘난 교육학자님들 그 교육이라는게 도대체 학문적으로 무슨 뜻이요?
@Jay-nl8sk 1
2020년 11월 17일 11:34교육의 본질..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배움은 계속되어야 한다 너무 맞는 말씀 해주셨네요
위기를 맞이할 수 밖에 없는 현실에.. 가장 필요한 것 중 하나는 능동적인 태도겠죠 그저 외우고 답을 하는 세뇌교육이 아니라..
강샘 기자 노트
2020년 12월 27일 09:45미래의 한국 교육을 위해 꼭 공유해 주세요.
@
브록스Brox
2021년 2월 06일 08:46인류는 급진적인 변화, 티핑포인트 이후부터 진화했습니다. 페스트, 산업혁명도 마찬가지였어요. 코로나를 원망만 할건지 극복할건지 잘 생각해봐야합니다. 아이들의 미래가 달린 문제입니다. 과거에 이랫는데 그때가 좋앗어 이런말들 보다 한 발 더 나아가서 어떻게하면 우리 아이들이 새로운 시대에 변화하여 살아갈지를 우리 부모들이 생각해봐야 해요. 교육의 시작은 학교나 국가가 아니라 부모입니다.
강샘 기자 노트
2020년 12월 27일 09:57미래의 한국 교육을 위해 꼭 공유해 주세요.
@
강샘 기자 노트
2020년 12월 27일 09:45미래의 한국 교육을 위해 꼭 공유해 주세요.
@
교수엄마 Professor Mommy
2020년 11월 07일 23:09IT강국 한국 선생님들 힘내요! 우리 알파세대 아이들에게 맞는 교육으로 빨리 변해야해요. 강의 감사합니당~
je ti
2020년 11월 26일 09:36경쟁 위주 교육이 인간적인 방식으로 바뀌길 바랍니다. 교수님,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rokmcmartialarts
2021년 2월 16일 20:07방학때, 공휴일에 학생들이 공부하는 나라는 한국밖에 없다. 후진국일수록 공부에 매달린다. 공부를 안해도 잘 사는 나라가 선진 복지국가다!
rokmcmartialarts
2021년 2월 16일 20:07방학때, 공휴일에 학생들이 공부하는 나라는 한국밖에 없다. 후진국일수록 공부에 매달린다. 공부를 안해도 잘 사는 나라가 선진 복지국가다!
정재성
2020년 11월 12일 23:32제 생각에는 온라인과 오픈라인 학습체제를 조화스럽게 연결한방향으로 공교육이 개편되어야 하는데 오픈라인라고 해도 종래의 획일적인 집체형 전일제방식의 교실수업체제는 타파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그에 따라 기존의 연령별로짜여진 학년개념을 폐지한 무학년제형태로 나가야 하고 기본힌트를 제시하면 확장할수있는 능력을 갖추는데 주안점을 두어야 합니다.
그리되면 초중고교육기간 구태여 12년제 필요없습니다. 획일적인 집체형수업체제가 효율성을 방해하고 학습흥미를 떨어뜨리는 요인입니다. 사람이 기계톱니바퀴가 아닌이상 각자 감정과 개성이 있는데 현재의 학교체제는 그것을 완전 무시한 획일적인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정재성
2020년 11월 12일 23:32제 생각에는 온라인과 오픈라인 학습체제를 조화스럽게 연결한방향으로 공교육이 개편되어야 하는데 오픈라인라고 해도 종래의 획일적인 집체형 전일제방식의 교실수업체제는 타파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그에 따라 기존의 연령별로짜여진 학년개념을 폐지한 무학년제형태로 나가야 하고 기본힌트를 제시하면 확장할수있는 능력을 갖추는데 주안점을 두어야 합니다.
그리되면 초중고교육기간 구태여 12년제 필요없습니다. 획일적인 집체형수업체제가 효율성을 방해하고 학습흥미를 떨어뜨리는 요인입니다. 사람이 기계톱니바퀴가 아닌이상 각자 감정과 개성이 있는데 현재의 학교체제는 그것을 완전 무시한 획일적인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자녀교육최경선
2021년 3월 10일 18:08교육의 방식과 방향이 코로나 이전과는 많이 달라질 것 같아요. 교육의 질에 대해 점검하고 소통하는 교육이 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래봅니다.
한뼘실천가 (HandSpanner)
2020년 11월 26일 11:35학교는 학습 이상의 것을 일깨운다. 적절하게 조합하기를.. 뭐든 100%는 없다. 아이들이 영유아시기에 부모등 스퀸십과 아껴주는 마음등이 인격형성에 매우 중요하다. 언택트는 사람이 진정한 사람으로서의 성장에 걸림돌이 되면 안될것이다.
Hong astro
2021년 5월 23일 13:332개월이 8개월, 8개월이 지금 1년이 훨씬 넘어가고 있음. 년단위로 넘어가면 학교는 어떻게 될까?
John
2020년 11월 23일 09:11예전과 예전 것을 그리워하거나 이전으로 돌아가길 원하는 시대는 이미 도래한 듯합니다. AI나 IT는 이젠 배움이 필요없을 정도로 교육은 기성세대가 후대에게 물려주어야 할 보수적 산물이 될 것이란 생각입니다.
deeep blue
2021년 4월 03일 17:120:52 무야호
수학귀신
2021년 2월 18일 23:30애들이 근데 왜케 다 예쁘고 잘생겼냐 하나같이 ㅋㅋㅋㅋ 첨에 다 연기자인줄 ㅋㅋㅋ 일부러 그런애들 대상으로 인터뷰한건가?
시아랩의 슬기로운 반려생활
2021년 1월 29일 18:27영상 좋네요 ^^ 잘보고갑ㄴ디ㅏ.........
Frost Moon
2020년 11월 13일 01:08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YP Hong
2021년 2월 08일 22:13분석해서 하는 이야기가 아니라 썰에 썰을 더한 것. 예측을 위해 불가피한 정도를 넘어서 소설을 자연스럽게 강의함.
대성대
2020년 11월 05일 13:02교육체제 변화하고 공무원 정치인까지 영향을 줘야 하며 세금 낭비의 절대적 요소는 불필요한 공무원의 숫자입니다. 사회에 거품은. 사라질 것입니다.
국민이감시한다
2020년 11월 07일 00:55학교다닐때보면 저학년때 수학못하던애들이 중고등학교때 잘하던데 어릴때 학교못가서 아이큐에 문제생긴다는건 못믿겠네요
김정우
2020년 12월 02일 10:21이런 강연 백날 하고 들어봤자 안바꿀걸 ,,
Ans Lee
2020년 10월 31일 06:066:47 왜 내 시리가 반응함?
박굴레
2020년 10월 20일 15:251:03 씨발 학생들 죽은 것 같잖아ㅋㄱ ㅋㅋㄱㅋㄱㄱㅋㅋㄱㄱ 학생들 있단 느낌 주고싶단건 알겠는데 무서워ㅋㅋㅈㄱㄱㄱ ㅋㄱ
@user-cs8df8lh3y
2020년 12월 24일 14:25아이고...아이들 친구들과 추억을 쌓아야할 시기인데 안타깝네요 ㅜㅜ
노아
2021년 1월 10일 00:16ㅋㅋㅋㅋㅋ코로나 걸릴까봐 등교 중지는 안하고 수학 점수 떨어질까봐 걱정하는 얘기를 먼저하고있으니 참... 한국의 교육이 가장 문제인거 같다...
엘상산시리즈
2020년 11월 18일 21:35자연을 철저히 파괴해왔던 우리 50년 현대교육... 교육의 주류들아 책임져라.....
강샘 기자 노트
2020년 12월 27일 09:57미래의 한국 교육을 위해 꼭 공유해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