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의 시대, 인생을 바꾸는 소통 전략 | 유현재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 콘텐츠 방송 언론 예능 | 세바시 1251회
이 강연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 강연자의 강연 소개 : 자극적이고 폭력적인, 선정적인 콘텐츠. 누구나 한번 클릭은 해봤을 겁니다. 그러나 ......
이 강연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 강연자의 강연 소개 : 자극적이고 폭력적인, 선정적인 콘텐츠. 누구나 한번 클릭은 해봤을 겁니다. 그러나 ......
@3linediary 12
2020년 10월 09일 06:16[소통 감수성을 높이는 방법]
1. 소통의 중심은 당신이 아니라, 상대다.
2. 한국어를 아는 것과 소통하는 것은 다르다.
3. 상대는 설득과 지시 대상이 아닌 파트너.
@user-bn8kg6pz5d 9
2020년 10월 09일 06:52소통 감수성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상대에게 기분 좋아지게 하는 이야기
소통과 이해는 쉬운 일인듯 하면서
쉽지 않은거 같아요
소통의 좋은 방법을 쉽게 이해할수 있는
좋은 강연이었습니다
@minhoson3883 9
2020년 10월 08일 21:37[소통 감수성]
'상대가 명쾌하고,건전하고,기분 좋은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전략적 사고와 진정성 있는 실행력을 활용하는 것'
강연 감사합니다 ^^
@user-ct5sf1cl1y 9
2020년 10월 08일 20:00강의 잘 봤습니다. 영상을 보니 TBWA에서 제작한 금연본능 광고가 생각나네요. 길에서 흡연하는 사람이 어린아이를 발견하고 담배를 든 손을 서둘러 치우는 모습 등을 담은 광고였죠. 담배는 나쁘다 라고 위협을 하던 기존의 금연 광고와는 다르게, 우리에게는 다른 사람을 위하려는 마음이 있다는 걸 말해서 좋았습니다. 자극적이지 않았음에도 더 선명하게 다가왔던 기억이 있습니다.
@seonk-kj2kl 8
2020년 10월 10일 00:30이 강연의 포인트
1. 상대에 대한 존중과 존경이 소통의 전략.
2. 셔츠가 아닌 셔츠같이 생긴 티에 넥타이를 맨 듯한 느낌.
3. 소통감수성은 선택이 아닌 필수.
4. 유명한 노래를 부르시는 데 하나도 못 알아듣겠는 듯한 느낌. ㅎㅎ
@user-yj2fe4gk5p 8
2020년 10월 09일 11:46월마트가 망한것이 우리네 소통감수성이 없어서 망했다는 실례가 마음에 와닿습니다!
마트내 시식이 없으면 무슨 재미로 마트에 가나요? 소통감수성 정말로 꼭 필요한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 하루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수고많으셨어요!
@pippilongstocking8092 7
2020년 10월 08일 21:59오 놀라워라,, 만두냄새,, 소통 감수성,, 기억에 남네요,,
성은 7
2020년 10월 09일 03:06안녕하세요 저는 문화와 콘텐츠에 대해 배우는 대학생입니다😃
요즘 학교에서 컨텐츠 기획에 대해서 배우고 있는데 만두🥟유교수님의 소통감수성에 대한 강연이 공부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지금껏 자극적인 컨텐츠만이 수용자가 많을 것이라 오만하게 생각한 제 태도도 반성하게 되고 공익광고처럼 딱딱하고 일방적인 컨텐츠만 생각해온 제 기획력에 대해 반성하기도 했습니다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앞으로는 좀 더 소통 감수성에 집중한 컨텐츠를 기획해서 진정한 컨텐츠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생각하며 공부하려합니다❗️
🥟만두 유교수님🥟너무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chloejazzy6971 6
2020년 10월 12일 09:26‘수용자는 우둔하지 않다. 자극적이고 폭력적인 언어는 한번의 클릭을 얻어 낼 순 있어도 장기적인 선호나 애정을 얻을 순 없다’는 말씀이 마음에 남습니다. 콘텐츠 제작자로서 자세를 가다듬게 만드는 강연이었습니다. 교수님 감사합니다:)
<소통 감수성을 높이는 방법>
1.소통의 중심은 내가 아닌 상대방이다
2.한국어를 잘 아는 것과 잘 하는 것은 다르다
-전달되는 의미에 집중하자
-새로운 조합을 시도해라
-채널 맞춤형 언어를 사용해라
3.상대는 설득 지시의 대상이 아닌 파트너다
@kooster91 6
2020년 10월 08일 21:54소통감수성! 정말 중요하죠! 유교수님이 정말 재미나게 잘 이야기해주셨네요! 노래까지 ㅋㅋㅋ
Celine Park 4
2020년 10월 08일 18:47소통과 공감, 그리고 약속, 모른다의 인정...
참 어려운 주제를 간략하게 요약해주셔서 감사합니다.
@lemonlemon489 4
2020년 10월 11일 16:021. 상대를 생각하며 말할 것.
2. 상대의 상황을 고려하여 진실됨을 전할 것.
3. 상대는 설득과 지시의 대상이 아닌 함께하는 사람.
4. 폭력 ,혐오, 차별, 선정, 말초 등의 자극적인 것들은 최악
5. 감동을 주지 못한다면 상처라도 주지 말 것.
같은 말을 하더라도 말이 맛있는 사람이 있다.
선을 잘 지키는 농담부터 대화의 구성까지
' 이 사람과 이야기 하면 참 기분이 좋다'라는 생각을 만들게 하는 사람들.
다름아닌 상대방과의 대화에 소통감수성을 지키는 사람들이다.
'내'가 아닌 '상대'의 입장에서 한 번 더 생각하고 진실되게 자신의 생각을 전하는 사람.
소통감수성이란 결국 배려다.
말은 결코 주워담을 수 없다.
자극적인 말로 순간의 관심과 웃음을 살 수 있을지 모르더라도,
결국 그 말의 실수로 인해 많은 것을 잃을지 모른다.
내가 말하면 재미없어서 다들 외면한다고 고민하는 분이 있다면 이 강의를 추천하고 싶다.
존중과 존경으로 상대를 대할 것.
자극적인 말로 흥한 자들은 어느새 사라지고 '진실된 사람'으로 남아있을 것이다.
세상을 바꾸는 시간 #005 It was great to have him as company.
미디어의 시대, 인생을 바꾸는 소통 전략
@fall6809 3
2020년 10월 08일 17:31좋은 강연 항상 감사합니다🙏!
@user-rg9rq8cq5y 3
2020년 10월 08일 18:38소통 정말 중요하죠
@user-zd1ni4bp8o 3
2020년 10월 08일 22:39예전에 모 로맨스 영화에서 사랑한다는 표현을 '방울방울해'라고 표현했던 것이 떠오르네요. 소통감수성 중요합니다
@user-vf4vw4qp4g 3
2020년 10월 16일 10:19소통감수성 선택이 아니라 필수~~!!훌륭한 말씀 고맙습니다~♡
@user-pu2zn1ms7y 3
2020년 10월 08일 18:32미디어의 존재감이 큰 시대를 살아가는 방식을 파악할 수 있는 좋은 강연이었습니다!
@daldal5142 2
2020년 10월 16일 12:36라떼는 말이야~ 로 시작되는 꼰대의 가장 큰 특징은 교수님이 말씀하시는 소통 감수성이 없다는 것 같아요 근데 회사 내 나이드신 기성세대의 꼰대뿐 아니라 젊은 꼰대들도 참 많은 시대죠ㅜ 우리 사회가 여러모로 힘들어져서 점점 공감력 떨어지는 사람이 늘어나는가보다 했는데 어쩌면 소통 감수성이 결여된 사람들로 가득찬 사회라 그런 걸 수도 있겠네요! 권위의식이라곤 1도 찾아볼 수 없고 마치 옆에서 그 장면에 와있는 것 처럼 생생하게 옛날 이야기 들려주시는 할머니마냥 재미있고도 유익한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진정한 스토리텔러는 소통감수성으로부터...★ 감사합니다:)
@user-lh1fc8yj8o 2
2020년 10월 08일 18:18제게 꼭 필요한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음식의맛에 비유해 본다는말씀 아주 멋져요
@hoggoong1092 2
2020년 10월 08일 18:48오늘하루에 깊은 공감을 이끌어내는 강연이었습니다 진정한 소통감수성 이었습니다 :)
@lujanelee 1
2020년 10월 10일 11:58강의를 들으면서 스스로 상대와 어떤 방식으로 소통하는지 돌아보게 되었어요! 내가 자주쓰는 어휘, 말투는 상대방이 듣기에 기분 나쁘거나 상처가 되지 않을까? 어떻게 하면 상대방이 기분 안나쁘게 받아들일 수 있을까 등등이요!
요즘같이 ‘성인지 감수성’, ‘환경 감수성’ 등 감수성이 적극적으로 필요하고 중요하게 인식되는 시대 속에서 ‘소통 감수성’ 또한 우리에게 꼭 필요한 능력이라 생각합니다! 제 머릿속 한칸에 전구불을 ‘깜박’ 키게 한 멋진 강의! 제공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
HzL 1
2020년 10월 10일 04:1615분이 어떻게 갔는지 모를만큼 재밌고 유익한 강의였습니다! 상대와 교감할 수 있는 소통은 어떻게 해야하는건지 궁금하고 배우고 싶었는데 교수님께서 설명하시는 내용과 톡톡 꽂히는 사례들이 '소통 감수성'을 배우면 된다고 확신을 주네요.
생각해보니 이번 강연 자체가 소통 감수성이 철철 흐르는 느낌인 것 같아요 ㅋㅋ 수용자 입장에서 아주 담백하면서도 감칠맛나는 강연이었습니다!
@lemongingertea23 1
2020년 10월 10일 11:04와 진짜 좋은강연이네요.소통감수성 없이는 요즘엔 뭘해도 안먹히죠!
@user-do8fe1bp1g 1
2020년 10월 14일 13:03우리나라의 소통감수성을 위해 교수님 필터를 거친 미디어만 접하고 싶네요^^ 좋은 강연 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nk1sm9dz5w 1
2020년 10월 08일 21:18감사합니다 ~
@user-iu2vv1be5x 1
2022년 8월 01일 14:17자극적이고 선정적인 콘텐츠가 확실히 첫 눈에 먼저 들어오는 것은 맞는 것 같습니다.
항상 처음을 장식하고 사람들을 모으지만 나중에 보면 남아있는 사람들이 얼마 없었던 것 같습니다.
강사님 말씀대로 소통의 중요성을 아는 사람들이 콘텐츠가 자극적이지 않아도 꾸준히 성장하고 오래갔던 것 같습니다.
콘텐츠에서 소통에 대해 한번 더 생각해보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해요.
@user-ik5pr1xg6x 1
2020년 10월 10일 01:01소통 감수성에 관한 유현재 교수님의 강연 인상깊게 잘 보았습니다.
강연을 들으면서 기업이나 공공기관은 분명 거대한 조직 단위이지만, 수용자를 고려했을 때는 개인과 개인이 대화하는 것처럼 따뜻하게 소통해야 한다는 점을 느꼈습니다.
강연을 들으면서 다양한 예시 중에 정은경 본부장님과 월마트의 사례를 말씀해주셨는데, 공공기관과 기업의 소통 전략은 분명 차이가 있을 것 같습니다. 기업은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통하지만, 공공기관은 국민을 대상으로 소통하는 점이 한 가지 차이가 될 수 있을 것 같은데 또다른 차이점이 있는지, 이에 따른 소통 전략은 어떻게 수립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jeiwagoldblum3787 1
2020년 10월 09일 07:43상대는 설득과 지시 대상이 아닌 파트너. 상대를 설득하면 소통했다고 이해 시켰다 라고 생각했던 무지함. 존중과 배려가 있는 소통을 배웁니다.
@woodlibez
2020년 10월 12일 23:18월마트와 이마트 홈플 등을 이용해서 느낀 게, 월마트가 망한 것은 제 경험으로는 당시 월마트는 초창기에 넓은데 물건이 어딨는지 대형마트 사용이 익숙지 않은데 직원이 없어서 불편한 게 많은 게 첫째이고(이마트도 중간에 없앴다가 다시 중간중간 직원들 뒀음 그러다 조금씩 사라졌지만요) 그리고 월마트가 우리나라를 만만하게 보고 물건이 싸지 않아서 공격적인 이마트, 홈플에 진 거라고 보여집니다. 시식이 없어서라면 코스트코 이런 건 왜 성공하나요? 시식(베이크 이런 게 대체되긴 함)과 아주머니가 없더라도 가전은 어디, 식품은 어디 물건세팅도 맞고 싸고 하니 이용하는 것이라 생각듭니다.
@songcherry125
2020년 10월 23일 12:24파트너: 육아에도 해당하는 부분인거 같아요 강의 감사합니다
@user-uk2wn5zj6k
2020년 10월 15일 00:16처음으로 댓글을 남겨보네요..
이번 강연을 통하여 소통 감수성의 중요성에 대해 알게되었습니다. 이번 강연자님께서 너무 저의 마음에 와닿게 말씀해주셔서 끝까지 보게되었던 것 같습니다.
@user-qd2gb7qd7b
2020년 10월 15일 11:31소통감수성이 무엇인지 알게된 시간이었습니다. 정말 중요하군요. 저의 소통감수성도 향상시키고싶네요. 우선 가까운 저의 남편을 존경.존중하며 소통 시작해보겠습니다ㅎㅎ
@user-kookart
2022년 9월 14일 06:23별론데
@user-gn4dx1kq1d
2020년 10월 10일 19:23정은경씨 ㅠㅠ 좋은 예가 아닌데요.
@gamzagamza_dori
2023년 5월 24일 14:28너무 멋저요
@dodobird_0409
2023년 9월 16일 21:43한국어 자막 수정해주세요. 서울대가 아닌 서강대 입니다.
S_S
2020년 12월 05일 18:40소통 감수성은 제대로된 소통을 하는 방법인데 상대의 기분을 좋아지게 하는 소통과 이해는 쉬운것 같지만 쉽지 않다.
@taebonge
2020년 10월 14일 14:01소통감수성을 잘 여념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user-ri7fw2ug4g
2021년 3월 11일 14:30ㅡ
@syij9972
2020년 11월 18일 10:31소통 감수성의 중요성을 새롭게 배웠네요!! 접하기 쉬운 노래 가사로 설명해주시니까 더 확 와닿는 것 같아요. 말과 언어의 매력과 중요성을 알고 갑니다!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zzgun
2021년 9월 12일 04:12많이 알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알리느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