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작가 TV 구독자 여러분, 제가 공교롭게도 김작가 TV 촬영일에 존리대표님을 뵙고 왔습니다. 제 이야기 잠시 드리겠습니다. 전 2009년부터 6년간은 거의 투기를 하였습니다. 회사가 좋든 안좋든 단기투자와 단기수익에 집착한 매매, 여유자금이 아닌 투기성 매매는 결국 실패를 안기고, 마음이 급해져서 급등주에 손을 대고, 회사 공부는 안하고. 엄청난 수업료를 내었습니다.
전 2015년 정도부터 스스로 공부하고 책을 보고 인사이트를 얻고, 기준을 정립하였는데 그 인사이트를 주신 한분이 존리대표님입니다. 여러분, 제가 그리하여 주주 배당금만 4년전엔 100만원 3년전엔 200만원 2년전엔 300만원 1년전엔 500만원 올해는 1,000만원 내년엔 2,000만원 정도를 받게 되고, 중간중간 적정가격으로 올라 수익실현한것 까지 더하면 꽤 큰 금액을 "안정적으로" 5년째 벌고 있습니다. 여러분, 철학이 강력하신 분에게는 그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일부분 자신과 안맞는 부분가지고 욕을 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 존리대표님은 일반직장인, 노후준비가 안된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노후준비차원의 마인드 강의를 하시는 겁니다. 욕을 많이 하시는 장기투자부분은 존리대표께서 '무조건' 장기투자를 해라고 하시는게 아니죠. 기업의 변화, 산업의 변화에 따라 더 나은 회사가 있으면 후퇴하거나 성장성이 답보되는 기존회사를 팔고 다른 회사에 투자를 해야한다고 말씀 하십니다. 그건 장기투자의 연속성이라고 말씀하시니깐요. ^^ 전 올해 사업상 코로나로 2월부터 지금까지 수입이 0였습니다. 하지만 안정적인 배당금과 투자해둔 수익실현금으로 위기를 무사히 넘길수 있었습니다.
여러분! 제가 이렇게 긴 말을 쓸 필요는 사실 없습니다. ^^ 저는 안정적이고 건전하고 길게보는 투자에 대한 중요성을 올해 너무 느꼈기때문에 김작가TV구독자 여러분도 존리대표님 뿐만아니라 주요 인사이트를 주시는 분들의 좋은점을 자기걸로 만들어가시면 좋겠습니다. 제가 김작가 TV를 시청하는 이유도 여러 의견을 가지신 분들이 나오지만 그런 의견들을 듣는걸 좋아하고 열린마음으로 듣다보면 반드시 좋은점과 나의것으로 만들것이 들리는거 아니겠습니까? ^^ 존리대표님을 직접 뵙고 난 이후 간증영상을 하나 올렸습니다. 성장해나가는 컨텐츠를 가끔 올릴 계획입니다. 같이 소통하실 분은 보셔도 됩니다. https://youtu.be/oR2JkMllPkM
안녕하세요 메리츠자산운용 존리대표입니다. 이 영상을 보시고 많은 분들이 Financial Freedom 경제적으로 독립하시길 바랍니다. 도움이 필요하신 분은 http://pf.kakao.com/_epRUj/chat 카카오 채팅 또는 contactus@meritz.co.kr으로 언제든지 문의하세요.
[오늘요약] (요약하는 이유는 내용을 보시고 잊어버리는 분들도 계실수 있다고 생각되어 복습하는 의미로 활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영상은 꼭 시청해주세요 ^_^) 1. 밀레니얼 세대들이 잘하는 것과 못하는 것은? --> 미국과 한국의 결정적인 차이는 한국은 아직도 수동적인 교육을 많이 받음 --> 창의적인 생각을 제안하는 사람들이 별로 없음 --> 당신이 주인이라고 생각해라 2. 장기투자 할때 현금 비중을 안남겨두시는지 궁금합니다? --> 그럼요 --> stay invsted(마켓타이밍 하지마라), 주식투자는 여유자금으로, 월급의 10%씩 하는 것임 --> 100만원 월급에서 10만원씩 매수하다가 100만원이 되었는데, 어느 전문가가 나와서 현금의 비중을 높이라고 하여 100만원 투자하던 거를 다 팔고 20만 원만 남겨두는 것은 절대로 하는 것이 아님 --> 돈은 일을 시켜야 되는데 쉬게 하면 안됨 3. 많은 펀드들이 시장수익률을 못 따라가는데 펀드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는? --> 선호도의 차이임, S&P 500에 투자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임 --> 결국은 액티브냐 패시브냐의 차이임(액티브펀드 : 지수 상승률 이상의 수익 추구, 패시브펀드 : 지수 상승률만큼의 수익을 추구) --> 한 구간을 보고 판단하면 안됨, 패시브펀드의 단점은 시가 총액이 큰 종목 중심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소외된 종목들을 놓치기 쉬움 --> 소외된 종목을 본다면 펀드가 낫다고 생각함 --> 5년을 놓고 보면 인덱스보다 10%더 벌었음 --> 그래서 인덱스나 ETF가 반드시 유리하다고 볼 수 없음 4. 메리츠 펀드 가입한 사람들은 5년 이상 제자리라고 하는데요? --> 2014년에 만든 메리츠펀드, 2014~2016년까지 시장대비 50% 초과수익, 많은 사람들이 수익률을 보고 투자했는데 그때 투자했던 주식들이 많이 내려감 --> 지금은 다시 회복을 하고 있음 --> 그래서 꾸준하게 투자해야 하는데 그때 투자한 뒤로 투자를 안 함 5. 세계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올렸던 마젤란 펀드가 있는데 실제로 그 펀드로 돈을 번 사람은 30%가 안된다고 하는데? --> 샀다 팔았다 했기 때문임 6. 펀드가 못했다기 보다는 장기투자를 하면 그렇지 않음 --> 기간을 넓힐수록 진짜 실력이 나오는 건데 딱 일정 시점만 비교하니까 그렇게 되는 것임 --> 회사에 대한 심증이 없으면 투자를 못하는 것임 --> 성적이 좋을때도 있고 나쁠때도 있음 [개인생각] 오늘도 장기투자의 중요성을 배울수 있었습니다. 김작가님, 존리대표님 감사합니다. 편안하고 행복한 하루 되세요. ^_^
멀티수익파이프라인이 중요합니다. 근로소득, 투자소득(주식, 부동산) 여기에 유튜브, 강연, 책 수입까지 추가적으로 벌 수 있다면 (단기적으로 주식 실적이 안좋을 때에도)부가적인 소득을 다시 '우량주식'에 계속 적립해나가면(장이 안좋을때 평단가를 낮추면서 존버) 장기적으로는 주식에서도 수익을 얻을 수 밖에 없습니다.
이게 어떻게 보면 대형 펀드의 문제점임... 한명 한명의 계좌를 관리해 주는 시스템이면 고점이라 판단되면 매수를 진행하지 않는데 대형펀드이다보니 자금이 들어오면 일괄적으로 베팅에 들어가다보니 단기 고점 부근에 주식이 물리는경우가 나타나는거임..펀드최고의 매수시점은 주식최고의 매수시점과 같음.. 우선 실력이 검증된 펀드매니저라고 판단되면 그 매니저가 운용하는 펀드수익률이 형편없다고 판단될때 매수 진입하면 좋은 결과가 나옴..시장이 우상향 한다 하더라도 언제나 시장 가격은 위아래로 출렁출렁하면서 움직일수 밖에 없음.. 저 펀드 매니저 수익률 좋다하는 소리듣고 몰려들면 십중팔구 고점임
펀드에서 장기투자를 한다는게 정말 힘든일인데 ... 지금 기관의수익율이 매스컴에서보면 10%가넘지못한다 하던데 국민연금이 20190년도수익율이 5.6% 라고 본거같은데 ... 그리고 두달전 에 주식매매비율이 개인이 일년에 300회정도 기관이 30회정도 라고 나온걸본적이 있는데... 거기에 비하면 메리츠는 그나마 정도를 걷고있다고생각되네요 장기투자하라 마켓타임 을 하지마라 감사합니다
존리 대표님이 회사에 이익만 생각했으면 자기 회사 펀드만 팔았겠지 뭐하러 주식을 사라고 홍보를하고 교육을 하고 그러겠냐? 주식 거래를 메리츠에서 해야되는 것도 아닌데? 심지어 존리 대표님 철학은 할 수 있으면 주식을 가지고 있는게 1순위 혹은 연금저축펀드를 들고 있으라는 거다. 국가가 대놓고 연금저축은 혜택을 주는데 왜 안하냐는거고 주식이 싫으면 평생 적금을 부어라 평생 원금만 보존된 거 보면서 행복해 하면 된다.
대주주 양도세는 왜 부당하고 어떤 파장이 있는가 ? 1) 개인, 외국인, 기관과 조세 공정성이 않맞음 2) 민폐가 엄청난 부동산 과세와 대비해도 과다함, 부동산은 9억이상 양도세에 장기 보유 세제혜택 있음 3) 대주주 양도세 원 취지는 대주주 전횡을 막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이 제도로 인해 개인 큰손들 지분 하락으로 대주주 전횡에 오히려 힘을 실어주는 꼴이 되며, 증세가 목적이라면 거래세를 올리거나 낮은 양도세율에서 점진적으로 세율을 올리는 방식의 도입이 정당함, 이 과정에서 타종목 손실비용, 5년간 누적 손실과 이자비용 공제는 필히 반영되야 함 4) 연말 기준 과세 결정으로 절세 회피가 너무 쉽고 이로인한 금융시장 혼란이 너무 큼 5) 원천징수가 아닌 납세자 신고형태여서 세율계산 난이도가 너무 높아서 본인도 모르게 범법자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계삼을 좀 잘못해도 국세청에서 잡아내기 힘든 구조임 6) 주식시장 메리트 감소로 이탈한 잉여 유동자금은 해외증시와 부동산으로 옮겨 붙어서 달러화 과잉 유출, 부동산 투기 재현 후 향후 금리 인상시 국가 부도사태 등 국가재난 사태로 이어질 가능성도 아주 커 보임. 7) 전세계적으로 대주주 양도세 명목으로 증세하는 나라는 대한민국이 유일함 8) 미국, 유로, 일본 등 기축 통화국과 달리 신흥국에서 양도세 도입 사례가 거의 없으며 대만의 경우 과거 양도세 도입 실패로 증시 폭락 및 해당 장관이 물러나고 이후결국 정권교체의 촉매제가 되었음.
다양한 스타일의 투자방식이 있지만 제 가치관과 가장 맞아 떨어진 분이 존리대표님이었습니다. 제 나름대로 분석하여 선택한 종목들을 매달 적금대신 꾸준히 매수하고 잇습니다. 순간적인 이슈나 분위기에 따라 30~50% 흔들려도 전혀 신경 안쓰이구요 ㅋㅋ 그저 10년뒤 20년뒤 내가 옳다고 느낄 순간만 기대하고 기다리고 있습니다. 지금 비상금 빼고는 전재산 다 주식에 투자하고 있는데 여유비상금도 얼른 분할매수해서 다 투자 해버려야 겠네요^^ 존리 대표님과 그의 철학에 영향 받는 투자자 분들 모두 화이팅 입니다
존리님이 말씀하시는 적립식투자 방식은 괜찮은 투자방법입니다 단 이 방법을 어느 시장에서 해야할지가 중요. 미국 시장은 점진적 우상향을 보여줬기 때문에 적립식투자 방법에 대한 스트레스가 적은 편이지만 한국 시장은 자체적으로 주변 변동성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어서 점진적 우상향 특성보다는 낙폭과대 특징에 박스피에 갇혀 버리는 특징이 강해서 스트레스가 너무 강해요
연금보험 대신 연금펀드 추천하는 영상보고 연1% 보험 올해 5월 메리츠펀드로 갈아탔고 마침 이 영상에서 수익율 좋다는 차이나와 헬스케어 두 상품에 넣었는데 현재 차이나27% 헬스케어는 오르락내리락하다 3%지만 합14%로 보험 10년치 수익달성해서 만족합니다. 간접투자도 한번씩 전망과 점검으로 리밸런싱 각자 하면 좋아요
메리츠증권 , 차이나, 샐러리맨, 코리아증권 올 초부터 펀드 가입해서 꾸준히 투자하고 있어요~ 처음엔 수익율이 잘 안났는데 마이너스 나도 그냥 넣고 하다보니 현재는 증시가 좋아서 그런지 15퍼센트 정도 수익중입니다~ 예전엔 펀드의 개념을 잘몰라서 다른펀드가입했을때는 마이너스나면 중단했다가 수익나면 다시 넣고 반복했었는데 그냥 없는 돈이라고 생각하고 꾸준히 하라고 하신말씀 잘새겨듣고 꾸준히 투자하려구요~
Magnificent 84
2020년 10월 11일 11:52꼭 메리츠펀드 하라는 말이 아니니까
개인이 공부해서 수익률좋은 거 선택하면되는거고 저분의 강의는 훌륭하고 주식에대해서 시야를 넗혀주는 등대 역할을 하시는분이죠
밥구스 75
2020년 10월 11일 12:11이분은 결국 주식해서 부자되는 방법을 알려주는게 아니라
30년 40년 노후자금 준비에 주식을 조금씩 사모으는게 예적금보다 훨씬 낫다는걸 설명하시는거 같음
굳이 하나하나 발언들 반박하면서 열올릴 필요는 없을듯
@user-qu3gw6om3r 67
2020년 10월 11일 13:31존리대표님 말씀의 핵심은 직접투자든 펀드투자든 매월 꾸준하게 적립식으로 하라는겁니다. 그래야 주식가격의 파고를 넘어 성공 투자하게 됩니다. 적립식으로 우량주 투자해서 실패했다는 유투버 없었습니다. 조급함이 문제고 목돈 집어넣고 일확천금 바라는 것이 실패의 지름길이라는 겁니다.
@jeffkimtv 61
2020년 10월 11일 12:23김작가 TV 구독자 여러분, 제가 공교롭게도 김작가 TV 촬영일에 존리대표님을 뵙고 왔습니다. 제 이야기 잠시 드리겠습니다.
전 2009년부터 6년간은 거의 투기를 하였습니다. 회사가 좋든 안좋든 단기투자와 단기수익에 집착한 매매, 여유자금이 아닌 투기성 매매는 결국 실패를 안기고, 마음이 급해져서 급등주에 손을 대고, 회사 공부는 안하고. 엄청난 수업료를 내었습니다.
전 2015년 정도부터 스스로 공부하고 책을 보고 인사이트를 얻고, 기준을 정립하였는데 그 인사이트를 주신 한분이 존리대표님입니다. 여러분, 제가 그리하여 주주 배당금만 4년전엔 100만원 3년전엔 200만원 2년전엔 300만원 1년전엔 500만원 올해는 1,000만원 내년엔 2,000만원 정도를 받게 되고, 중간중간 적정가격으로 올라 수익실현한것 까지 더하면 꽤 큰 금액을 "안정적으로" 5년째 벌고 있습니다. 여러분, 철학이 강력하신 분에게는 그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일부분 자신과 안맞는 부분가지고 욕을 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 존리대표님은 일반직장인, 노후준비가 안된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노후준비차원의 마인드 강의를 하시는 겁니다. 욕을 많이 하시는 장기투자부분은 존리대표께서 '무조건' 장기투자를 해라고 하시는게 아니죠. 기업의 변화, 산업의 변화에 따라 더 나은 회사가 있으면 후퇴하거나 성장성이 답보되는 기존회사를 팔고 다른 회사에 투자를 해야한다고 말씀 하십니다. 그건 장기투자의 연속성이라고 말씀하시니깐요. ^^ 전 올해 사업상 코로나로 2월부터 지금까지 수입이 0였습니다. 하지만 안정적인 배당금과 투자해둔 수익실현금으로 위기를 무사히 넘길수 있었습니다.
여러분! 제가 이렇게 긴 말을 쓸 필요는 사실 없습니다. ^^ 저는 안정적이고 건전하고 길게보는 투자에 대한 중요성을 올해 너무 느꼈기때문에 김작가TV구독자 여러분도 존리대표님 뿐만아니라 주요 인사이트를 주시는 분들의 좋은점을 자기걸로 만들어가시면 좋겠습니다. 제가 김작가 TV를 시청하는 이유도 여러 의견을 가지신 분들이 나오지만 그런 의견들을 듣는걸 좋아하고 열린마음으로 듣다보면 반드시 좋은점과 나의것으로 만들것이 들리는거 아니겠습니까? ^^ 존리대표님을 직접 뵙고 난 이후 간증영상을 하나 올렸습니다. 성장해나가는 컨텐츠를 가끔 올릴 계획입니다. 같이 소통하실 분은 보셔도 됩니다. https://youtu.be/oR2JkMllPkM
즐거운 일요일 되시구요~ 감사합니다. 김작가TV화이팅!
kj yoo 38
2020년 10월 11일 12:46부정적인 댓글이 많을걸 보고 또 한번 느낀다. 내가 더 앞서갈 수 있겠구나
유진 32
2020년 10월 11일 13:52김작가님 인터뷰 진짜👍👍
조심스러워서 얘기하기 힘든
부분.구독자가 진짜 의문을 갖고
궁금해하는 부분을 짚어주시네요♡
김작가님 영상 계속 볼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아닌가 해요
존리 대표님 말씀처럼 꾸준히 투자하는게 중요한것 같아요
주가는 늘 오르지만은 않는데
어떻게 플러스만 될 수 있나요
경제상황이나 기업상황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건데요;;
대상포진은 다 나으셨나요
그때보다는 안색이 좀 나으신듯한데
무리하지는 마시고 건강 잘챙기세요♡
@johnleeschool 31
2020년 10월 12일 16:05안녕하세요 메리츠자산운용 존리대표입니다. 이 영상을 보시고 많은 분들이 Financial Freedom 경제적으로 독립하시길 바랍니다. 도움이 필요하신 분은 http://pf.kakao.com/_epRUj/chat 카카오 채팅 또는 contactus@meritz.co.kr으로 언제든지 문의하세요.
내면&경제적자유 나오TV[재테크&행복&북튜버] 28
2020년 10월 11일 11:18[오늘요약]
(요약하는 이유는 내용을 보시고 잊어버리는 분들도 계실수 있다고 생각되어 복습하는 의미로 활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영상은 꼭 시청해주세요 ^_^)
1. 밀레니얼 세대들이 잘하는 것과 못하는 것은?
--> 미국과 한국의 결정적인 차이는 한국은 아직도 수동적인 교육을 많이 받음
--> 창의적인 생각을 제안하는 사람들이 별로 없음
--> 당신이 주인이라고 생각해라
2. 장기투자 할때 현금 비중을 안남겨두시는지 궁금합니다?
--> 그럼요
--> stay invsted(마켓타이밍 하지마라), 주식투자는 여유자금으로, 월급의 10%씩 하는 것임
--> 100만원 월급에서 10만원씩 매수하다가 100만원이 되었는데, 어느 전문가가 나와서 현금의 비중을 높이라고 하여 100만원 투자하던 거를 다 팔고 20만 원만 남겨두는 것은 절대로 하는 것이 아님
--> 돈은 일을 시켜야 되는데 쉬게 하면 안됨
3. 많은 펀드들이 시장수익률을 못 따라가는데 펀드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는?
--> 선호도의 차이임, S&P 500에 투자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임
--> 결국은 액티브냐 패시브냐의 차이임(액티브펀드 : 지수 상승률 이상의 수익 추구, 패시브펀드 : 지수 상승률만큼의 수익을 추구)
--> 한 구간을 보고 판단하면 안됨, 패시브펀드의 단점은 시가 총액이 큰 종목 중심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소외된 종목들을 놓치기 쉬움
--> 소외된 종목을 본다면 펀드가 낫다고 생각함
--> 5년을 놓고 보면 인덱스보다 10%더 벌었음
--> 그래서 인덱스나 ETF가 반드시 유리하다고 볼 수 없음
4. 메리츠 펀드 가입한 사람들은 5년 이상 제자리라고 하는데요?
--> 2014년에 만든 메리츠펀드, 2014~2016년까지 시장대비 50% 초과수익, 많은 사람들이 수익률을 보고 투자했는데 그때 투자했던 주식들이 많이 내려감
--> 지금은 다시 회복을 하고 있음
--> 그래서 꾸준하게 투자해야 하는데 그때 투자한 뒤로 투자를 안 함
5. 세계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올렸던 마젤란 펀드가 있는데 실제로 그 펀드로 돈을 번 사람은 30%가 안된다고 하는데?
--> 샀다 팔았다 했기 때문임
6. 펀드가 못했다기 보다는 장기투자를 하면 그렇지 않음
--> 기간을 넓힐수록 진짜 실력이 나오는 건데 딱 일정 시점만 비교하니까 그렇게 되는 것임
--> 회사에 대한 심증이 없으면 투자를 못하는 것임
--> 성적이 좋을때도 있고 나쁠때도 있음
[개인생각]
오늘도 장기투자의 중요성을 배울수 있었습니다.
김작가님, 존리대표님 감사합니다.
편안하고 행복한 하루 되세요. ^_^
@ZZJUBU 25
2020년 10월 11일 11:28김작가님 어려운 질문도 해주시고~~최고십니다👍
@user-nu9jq2do7h 25
2020년 10월 11일 11:45대박...궁금한 질문이었는데 김작가님이 속시원히 물어봐주셨네요ㅎㅎ 감사합니다
정마담 17
2020년 10월 11일 13:04멀티수익파이프라인이 중요합니다.
근로소득, 투자소득(주식, 부동산) 여기에 유튜브, 강연, 책 수입까지 추가적으로 벌 수 있다면 (단기적으로 주식 실적이 안좋을 때에도)부가적인 소득을 다시 '우량주식'에 계속 적립해나가면(장이 안좋을때 평단가를 낮추면서 존버) 장기적으로는 주식에서도 수익을 얻을 수 밖에 없습니다.
@coin1 17
2020년 10월 11일 13:42작가님 팬 주식 유튜버입니다.
꼭 메리츠펀드 하라는 말이 아니니까
개인이 공부해서 수익률좋은 거 선택하면되는거고
저분의 강의는 훌륭하고 주식에대해서
시야를 넗혀주는 등대 역할을 하시는분이죠
@user-fg9rj7nn6n 16
2020년 10월 11일 12:43이게 어떻게 보면 대형 펀드의 문제점임... 한명 한명의 계좌를 관리해 주는 시스템이면 고점이라 판단되면 매수를 진행하지 않는데 대형펀드이다보니 자금이 들어오면 일괄적으로 베팅에 들어가다보니 단기 고점 부근에 주식이 물리는경우가 나타나는거임..펀드최고의 매수시점은 주식최고의 매수시점과 같음.. 우선 실력이 검증된 펀드매니저라고 판단되면 그 매니저가 운용하는 펀드수익률이 형편없다고 판단될때 매수 진입하면 좋은 결과가 나옴..시장이 우상향 한다 하더라도 언제나 시장 가격은 위아래로 출렁출렁하면서 움직일수 밖에 없음.. 저 펀드 매니저 수익률 좋다하는 소리듣고 몰려들면 십중팔구 고점임
ᄏ. 15
2020년 10월 11일 18:49이희진, 박철상 주식전문가들이라 방송 나오던 인간들 실체를 봐라,,
이희진, 박철상도 맹목적인 추종자들이 많았지,,
@yunkim4436 14
2020년 10월 11일 16:08주식을 하라는 마인드에는 정말 큰 공감을 하지만 결국 주식은 오직 수익률만이 정답이라고 생각하는데 그 측면에서 존리 대표님보다 뛰어난 분들이 훨씬 많다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솔직하게 말씀해주신 모습이 보기 좋았습니다!
@jaderabbitt 14
2020년 10월 11일 12:52김일구 상무님이 말씀하시는거 보면 10명에 9명은 주식해서 다 손해 봤다고 하시는데 이거보면 존리대표님이 장기 투자가 답이라고 말씀하시는게 납득이 됩니다.
@hyeon2992 13
2020년 10월 11일 13:20저에게 주식을 알게해주신 존리대표님 정말 감사합니다
매일 좋은 인터뷰와 영상올려주시는 김작가님도 감사합니다😊
@user-cx7fo4ji5x 13
2020년 10월 11일 20:352019년초부터 메리츠코리아펀드 투자중인데 오르내림은 있으나 20% 이상 수익중입니다~~존리대표님 말씀대로 오르내림에 일희일비하지않고 꾸준히 장기투자할 생각입니다.
김호성 11
2020년 10월 11일 12:43여기참 삐딱한 사람들 생각보다 많네 나오신분들중 대부분이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지라고하시던데 허허
@kwlt7061 11
2020년 10월 11일 12:26존리 대표님 간만에 하고싶은 말씀 하시는 듯합니다. 김 작가님 역량인 듯. 좋아요! ^^
냠냠 10
2020년 10월 11일 13:13존리는 호불호가 좀 갈리는게 보이네요 나만 의문갖는게 아니네. 모든 내용에 있어 대표님의 말만 진리인듯 얘기하는것 같음. 신뢰가 갈만한 자료를 예시를 들어 설명해주시면 더 좋을것 같습니다
낙타 9
2020년 10월 11일 14:19근로자들은 절대 주인의식 불가입니다.
근무시간에라도 근무해주길 바랄뿐이죠~
이항상 8
2020년 10월 11일 18:29펀드에서 장기투자를 한다는게 정말 힘든일인데 ... 지금 기관의수익율이 매스컴에서보면 10%가넘지못한다 하던데 국민연금이 20190년도수익율이 5.6% 라고 본거같은데 ...
그리고 두달전 에 주식매매비율이 개인이 일년에 300회정도 기관이 30회정도 라고 나온걸본적이 있는데...
거기에 비하면 메리츠는 그나마 정도를 걷고있다고생각되네요
장기투자하라 마켓타임 을 하지마라
감사합니다
J 7
2020년 10월 11일 18:11존리 대표님 개인 수익공개나 지분공시 한거 있으시나요?
@nhh2774 6
2020년 10월 11일 17:28ㅋ .....김작가TV 보고 존리 책을 한권 구입했는데...페이지가 안넘어가네요...시간이 없나, 게으르나..ㅠㅠ 부자 될려면 부지런히 읽어봐야 하는데 . . .ㅠㅠ
H.K C 6
2020년 10월 11일 22:49존리 대표님이 회사에 이익만 생각했으면 자기 회사 펀드만 팔았겠지 뭐하러 주식을 사라고 홍보를하고 교육을 하고
그러겠냐? 주식 거래를 메리츠에서 해야되는 것도 아닌데? 심지어 존리 대표님 철학은 할 수 있으면 주식을 가지고 있는게 1순위
혹은 연금저축펀드를 들고 있으라는 거다. 국가가 대놓고 연금저축은 혜택을 주는데 왜 안하냐는거고
주식이 싫으면 평생 적금을 부어라 평생 원금만 보존된 거 보면서 행복해 하면 된다.
박영숙 6
2020년 10월 11일 14:12존리대표님 팬이예요
퇴직연금은 올5월달에 가입해서 메리츠펀드로 수익률 20프로 넘었어요
30프로 넘을 때도 있고~
결국 오르는데 맞아요
카이엔쿱 6
2020년 10월 11일 14:01대주주 양도세는 왜 부당하고 어떤 파장이 있는가 ?
1) 개인, 외국인, 기관과 조세 공정성이 않맞음
2) 민폐가 엄청난 부동산 과세와 대비해도 과다함,
부동산은 9억이상 양도세에 장기 보유 세제혜택 있음
3) 대주주 양도세 원 취지는 대주주 전횡을 막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나 이 제도로 인해 개인 큰손들
지분 하락으로 대주주 전횡에 오히려 힘을 실어주는
꼴이 되며, 증세가 목적이라면 거래세를 올리거나
낮은 양도세율에서 점진적으로 세율을 올리는 방식의
도입이 정당함, 이 과정에서 타종목 손실비용,
5년간 누적 손실과 이자비용 공제는 필히 반영되야 함
4) 연말 기준 과세 결정으로 절세 회피가 너무 쉽고
이로인한 금융시장 혼란이 너무 큼
5) 원천징수가 아닌 납세자 신고형태여서 세율계산
난이도가 너무 높아서 본인도 모르게 범법자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계삼을 좀 잘못해도 국세청에서
잡아내기 힘든 구조임
6) 주식시장 메리트 감소로 이탈한 잉여 유동자금은
해외증시와 부동산으로 옮겨 붙어서 달러화 과잉 유출,
부동산 투기 재현 후 향후 금리 인상시 국가 부도사태 등
국가재난 사태로 이어질 가능성도 아주 커 보임.
7) 전세계적으로 대주주 양도세 명목으로 증세하는
나라는 대한민국이 유일함
8) 미국, 유로, 일본 등 기축 통화국과 달리 신흥국에서
양도세 도입 사례가 거의 없으며 대만의 경우 과거
양도세 도입 실패로 증시 폭락 및 해당 장관이 물러나고
이후결국 정권교체의 촉매제가 되었음.
안녕하루 6
2020년 10월 11일 15:08존리 대표님을 일찍 알았어야 됐는데 아쉽습니다.
유투브 보다가 우연히 금년 2월 강연 동영상 봤는데 너무 감동을 했습니다. 제가 십수년 주식 투자를 하면서 부자가 안된 이유를 딱 집어 주시더라구요. 항상 존경 합니다.
민요박진선 5
2020년 10월 11일 11:40꾸준한 투자로 길게 봐야한다
4부도 기대할께요
@user-ph5ok7qp6n 5
2020년 10월 13일 15:35김작가님 너무 재밌어요.ㅋ
딴데서는 격식차린다고 못물어 보는것도 잘물어보고ㅋㅋㅋ
정말 주린이들이 궁금한걸 잘 긁어주심
@user-bm4hv2ue2d 5
2020년 10월 11일 13:58꾸준하게 장기적으로가 정답~^^
문집사TV 5
2020년 10월 11일 15:26하나 또 배워가네요
최근 연금저축펀드를 들려는데 질문드리고 싶은게 있습니다.
주식투자도 분산투자를 하는데 연금저축펀드도 마찬가지로 분산을 해야할까요?? 펀드는 이미 그안에서 여러종목으로 분산이 되어있는데 펀드를 2~4개 골라서 투자를 해야할지...
그렇게되는지도 모르겠고 질문하면서도 부끄럽네요
@bifagirl 4
2020년 10월 13일 14:33저도 메리츠헬스케어펀드 4월쯤투자해서 지금20프로 수익입니다
다수몽키 4
2020년 10월 11일 16:56잘못된거 바로 잡읍시다
양도세 반대 청원
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593227
@islee3794 4
2020년 10월 11일 11:52인터뷰 잘하신다~~^^
@kdr.4939 4
2020년 10월 13일 12:46김작가님 박수 크게 드리고 갑니다~! 가려웠던 부분을 속시원하게 긁어주시네요. 계속 이렇게 해주세요~!
@user-pq3pt3or2j 4
2020년 10월 11일 15:06다양한 스타일의 투자방식이 있지만 제 가치관과 가장 맞아 떨어진 분이 존리대표님이었습니다. 제 나름대로 분석하여 선택한 종목들을 매달 적금대신 꾸준히 매수하고 잇습니다.
순간적인 이슈나 분위기에 따라 30~50% 흔들려도 전혀 신경 안쓰이구요 ㅋㅋ
그저 10년뒤 20년뒤 내가 옳다고 느낄 순간만 기대하고 기다리고 있습니다.
지금 비상금 빼고는 전재산 다 주식에 투자하고 있는데
여유비상금도 얼른 분할매수해서 다 투자 해버려야 겠네요^^
존리 대표님과 그의 철학에 영향 받는 투자자 분들 모두 화이팅 입니다
@user-rm4sl1rg7j 4
2020년 10월 11일 11:50작가님, 진짜 인터뷰 최고신 것 같아요! 👏🏻👏🏻
@siriusgrn 3
2020년 10월 12일 21:00국내펀드비교하는 사이트보면 막 3개월수익률, 잘 나와야 3년 수익률 이러니깐 장기투자를 기준으로 펀드고르기가 쉽지않은듯; 그래서 더 그런 오해가 생기기 쉬운거같고
휘파람 3
2020년 10월 12일 22:24전설적인 펀드인 마젤란 펀드도 마찬가지~그렇게 어마어마한 수익률을 내었지만 그 수익률을 맛본 사람들은 얼마 안됨~다 조금 먹고 나오거나 손실 보고 펀드 매도했거나~
서리힐 3
2020년 10월 11일 13:47김작가님 질문 질이 좋네요!. 우리가 묻고 싶은 질문들 시원하네요
yoyoyoyo 3
2020년 10월 11일 15:49존리님이 말씀하시는 적립식투자 방식은 괜찮은 투자방법입니다 단 이 방법을 어느 시장에서 해야할지가 중요.
미국 시장은 점진적 우상향을 보여줬기 때문에 적립식투자 방법에 대한 스트레스가 적은 편이지만
한국 시장은 자체적으로 주변 변동성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어서 점진적 우상향 특성보다는 낙폭과대 특징에 박스피에 갇혀 버리는 특징이 강해서 스트레스가 너무 강해요
@user-oi1oz4ho7m 3
2020년 10월 11일 14:0111:22
마지막에 웃으시는거 뭐냐 ㅋㅋㅋ보는 사람이 더 웃기넼ㅋㅋ 잘보고 갑니다!
@today1212 2
2020년 10월 11일 11:57ㅎㅎ 두분 정말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lion kim 2
2020년 10월 16일 12:07좋은 컨톈츠 감사합니다
갠적으론 한국주식은 현금을 남겨두고 미국주식은 현금 모두 몰빵하고 있습니다 배당도 월마다 받을 수 있으니 미국주식은 현금을 아낌없이 쏟지 않으면 손해 같아요
Alex Kim 2
2020년 10월 13일 11:30역사적으로 s&p 500 평균 연 12%였읍니다 장기투자 하시는분들 그 이상 욕심 내시지 마시길....
강송희(22_01) 아침향기 2
2020년 10월 11일 13:32마지막 장면 완전 재밌어요 ㅎㅎㅎ 존리님도 힘드시대요 ㅋㅋ
@user-ku9bq4nw1k 2
2020년 10월 11일 22:5910년정도 그이상 투자하다보면 수익이 난다는거군요 ~존리님 의견을 이해가되고있네요
우린 엄청난 고수익을 바래서 그런건가봐요
@user-fj2jz7vv7b 2
2020년 10월 11일 13:07제가볼땐 펀드는 꾸준히 사야 수익이 나는것같아요.
멀더 2
2020년 10월 11일 17:02장기로 평가해야 한다
@user-nf7fc5zk1x 2
2020년 10월 11일 15:56개인적으로 좋아하는분이네요~
자신만의 철학을 가지고 투자를 한다면 좋은 결과가 있지을겁니다
@mjhan869 2
2020년 10월 14일 12:38제가 돈공부를 막 시작했을 때 존리대표님을 만나서 얼마나 다행인지 모릅니다.. 말씀 하나하나에 크게 공감하면서 공부 시작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고 있고.. 부자되기 공부하는 과정이 정말 즐겁습니다
@user-fj7dw8yb1h 2
2020년 10월 12일 22:11존리님이 말씀하시는 적립식 투자법은 결국은 수익입니다!!!!
@user-bl2qi3ov5z 2
2020년 10월 11일 20:57김작가님, 그 전에 볼때는 그냥저냥 봤는데, 일반 방송에서 못하는 송곳질문들 날리시는걸 보니 속 시원합니다! 대박이군요 앞으로 승승장구하시기 바랍니다
@bryansong3995 2
2020년 10월 11일 19:14아주 좋은 질문과 속이 시원한 답변 감사합니다 😊
@coolove111 1
2020년 10월 15일 06:34영상 감사합니다
김인후 1
2020년 10월 11일 15:21가치투자는 무작정 기다리는 것이 아니다.
조윤희 1
2020년 10월 18일 19:26수익률 마이너스는 바겐세일을 의미합니다. 주가가 떨어졌을 때도 꾸준히 투자한다면 장기투자자에게는 더 큰 수익으로 돌아옵니다. 저는 연금개시까지 아직 30년이 남아서 수익률이 마이너스가 되면 오히려 기쁜 마음으로 더 투자하고 있습니다.
훗후후 1
2020년 10월 12일 20:47메리츠 투자성적이 낮은가에 대한 답변은 월가의영웅 읽으면됌
@user-eu1sd3tc3r 1
2020년 10월 11일 11:111번 기다리고있을께요
@jenifferb1784 1
2020년 10월 15일 10:42존리 대표님 오래도록 건강 하세요! 건강 하셔야 저희가 오래도록 존리 대표님 이야기 들을 수 있을것 같습니다^^ 대표님 존경합니다.
@user-oc8kr8ig7b 1
2020년 10월 11일 16:41김작가님 너무 좋아요 ~~~ 존리 대표님 존경합니다.
방창환 1
2020년 10월 11일 22:46헬스케어 펀드가 다른 펀드들에 비해서 별로 맘에 안 들던 참이었는데 좀 참아볼께요. ^^;
News Alpha 1
2020년 10월 12일 15:22메일확인부탁드립니다
@seo1807 1
2020년 10월 17일 16:49존리님과 김작가님의 인터뷰 볼수록 잼나고 또 존리님의 책을 읽어주시는 듯 한 화법 듣기편해서 좋코 정말 유익해요
전 나이가 60대지만 젊은 사람들이 40년후의 경제적 자유를 위해 많이 보고 공부하면 좋켔습니다 저도 열심히 노력할껍니다 두분 감사합니다~♡♡
jingis khan 1
2020년 10월 12일 14:05창의적인 아이디어 내면 윗사람에게 오히려 찍혀서 오래 못다녀요.ㅠㅠ
@yeonjincho5195 1
2020년 10월 14일 15:42오늘 이영상보고 진짜 존 리님이 얼마나 멋진분인지 알게됬습니다!!
@_englishlab5259 1
2020년 10월 12일 14:37역시 김작가님이여서 물어볼수 있는 질문들이네요 ㅎㅎ 영상 잘 보고 가용
@choigominsoo 1
2020년 10월 11일 21:22좋은 내용 감사드립니다
@hwaeunlee1797 1
2020년 10월 14일 12:58몇번째 계속 보고 있네요 ㅎㅎ
게임더티 1
2020년 10월 13일 14:581:24 네가 회사의 주인이라고 생각하고 일을 해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회사의 주인이 최저임금에 맞는 월급을 받을 수 있을까요?
@user-yunahyoung 1
2020년 10월 11일 13:17역시 존리 대표님!
@sunnyj1370 1
2020년 10월 12일 15:42존리 대표님 건강염려하는 댓글 많았는데 요즘 운동하시나봐요 건강해 보이시네요 ㅎㅎ
@user-funpact1004 1
2020년 10월 11일 17:10직원얘기는 극공감이네요.
@icekang 1
2020년 10월 11일 14:05작가님이 아주 중요한 질문을 해주시네요 ! 이럴수록 과대평가된 인물들의 대답에서 어느정도 거품이 빠지거든요. 멋져요 !
인생을 공유하는 남자 1
2020년 10월 11일 16:32이건 진짜 맞는말이다. 고점에 산사람들은 욕할꺼고
@seanoh1174 1
2020년 10월 11일 17:36존리대표님 감사합니다
ss ss 1
2020년 10월 12일 20:13정말이분 여기저기 넘 많이 나오시는데 굉장하시네요..거의 연예인급이신듯..ㅋㅋ
권용환 1
2020년 10월 11일 11:16안녕하세요:)
m jin 1
2020년 10월 11일 19:58반갑습니다 존리대표님
@user-iz8qo4vq4o 1
2020년 10월 11일 11:16전 2번이네요ㅋ
@kinam9301 1
2020년 10월 11일 23:42대표님 오늘도 감사합니다!
@dlsxo0910 1
2020년 10월 12일 00:05김작가님 질문 감사합니다!
@user-gk6rl4yu6i 1
2020년 10월 12일 18:24감사합니다ㆍ솜결
Jerome Yun
2020년 10월 11일 13:33연금보험 대신 연금펀드 추천하는 영상보고 연1% 보험 올해 5월 메리츠펀드로 갈아탔고 마침 이 영상에서 수익율 좋다는 차이나와 헬스케어 두 상품에 넣었는데 현재 차이나27% 헬스케어는 오르락내리락하다 3%지만 합14%로 보험 10년치 수익달성해서 만족합니다. 간접투자도 한번씩 전망과 점검으로 리밸런싱 각자 하면 좋아요
SoYoung Yoon
2020년 10월 15일 12:51메리츠증권 , 차이나, 샐러리맨, 코리아증권 올 초부터 펀드 가입해서 꾸준히 투자하고 있어요~ 처음엔 수익율이 잘 안났는데 마이너스 나도 그냥 넣고 하다보니 현재는 증시가 좋아서 그런지 15퍼센트 정도 수익중입니다~ 예전엔 펀드의 개념을 잘몰라서 다른펀드가입했을때는 마이너스나면 중단했다가 수익나면 다시 넣고 반복했었는데 그냥 없는 돈이라고 생각하고 꾸준히 하라고 하신말씀 잘새겨듣고 꾸준히 투자하려구요~
@user-lr5rl9vu1p
2020년 10월 11일 23:050번방- 감사합니다.
여보게저기저게보여
2020년 10월 12일 11:13펀드도 포트관리 납입타이밍 조절 해야합니다
관종월드
2020년 10월 12일 01:04우키키킼ㅋㅋㅋㅋ 힘들닼ㅋㅋㅋㅋㅋㅋㅋ
@Ahmolrang3990
2020년 10월 11일 15:35John LEE You are Right
That 's best of the best.
이헤밀
2020년 10월 11일 19:49당장 수익안나면 거품물고 달려드는게 이 나라 특징.....
하이바이블러
2020년 10월 11일 16:31존리횽이 말한 기업발굴과 가치확인하고 장기 분산투자하면 연평균 10프로는 나옵니다 안나온다는건 기업발굴이 제대로 안된거고요
양선숙
2020년 10월 11일 16:55늘 존리대표님은 일관성 있게 말씀하시는데 듣는 사람들이 자기마음대로 해석하는 것이 안타깝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