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미래를 책임지는 나만의 콘텐츠를 만드는 방법 | 서민규 ‘회사 말고 내 콘텐츠’저자 | 퇴사 커리어 취업 미래 꿈 | 창의세미나
이 강연은 경기콘텐츠코리아랩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 강연자의 강연 소개 : 저는 다양한 분야의 인턴과 비정규직으로만 일하다가 결국 전문성을 쌓지 못한채 ......
이 강연은 경기콘텐츠코리아랩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 강연자의 강연 소개 : 저는 다양한 분야의 인턴과 비정규직으로만 일하다가 결국 전문성을 쌓지 못한채 ......
@jovia1382 14
2020년 10월 15일 18:19작가님이 초반에 하신 말씀 중에 '자신을 향한 특별한 시선을 가진 사람만이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는 말.
다시 해석하면 모든 사람이 자신만의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는 말이죠. 공감합니다! 콘텐츠 가드닝에 대한 이야기도 재미있네요~!
@Routine_winner 10
2020년 10월 15일 18:39평생직장이 없는 오늘의 시대에 언제든지 독립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합니다.
당장은 쉽지 않지만, 2000일간 꾸준히 자신만의 콘텐츠를 쌓아오는 서민규 저자님처럼 저 또한 이렇게 노력한번 해보겠다는 결심을 세워준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시작을 두려워하지않고, 작은 씨앗을 틔운다는 마음가짐으로 가꾸고 가꾸겠습니다.
@minhoson3883 7
2020년 10월 15일 20:50'자신을 향한 특별한 시선을 가진 사람만이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
멋진 강연 응원합니다🍀
@handagam12 6
2020년 10월 20일 12:09취직을 한창 준비중인 취준생입니다. 서류 불합격을 계속 보면서우울한 상태였는데 어떤 길을 가야할 지 막막합니다. 취업 이후에 콘텐츠에 대해 생각해봐야지 했던 것들을 이제는 다시 생각을 해봐야하는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user-mx8ol5rk5c 5
2020년 10월 15일 20:13눈물흘리며 감격하고 있습니다
제게 씨앗을 뿌리라고 하는 것 같습니다
많은 이야기거리를 가지고 있는데
주무럭거리고만 있어서 속이 상했는데
해 봐야겠습니다
아니 이미 조금씩 끄적여 보고 있습니다
스케치하듯
감사 감사합니다
정말 천기누설 하고 있습니다
@philous_official 5
2020년 10월 15일 19:40꾸준히 하나의 주제로 다양한 컨텐츠를 만드는게 중요하다 생각이 드네요! 어떤 키워드를 하나 선점하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아요.
@user-du2pk5rq8t 5
2020년 10월 16일 00:56나만의 컨텐츠를 만들자☆ 항해일지 작성이라는 말이 참 와닿습니다. 고난은 내 ❤ 을 뛰게한다는 니체말처럼 좌절앞에서도 굴하지않고 그 역경을 경력으로 만드신 강연자님 대단하십니다.
변수가 닥쳐와도 늘 지금에서 최선을 다하는 제가 되려 노력해야겠습니다
@user-hs1ew8gk1v 5
2020년 10월 15일 23:239:02 콘텐츠 가드닝.. 굉장히 중요한 지식을 배워가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qk6kt6nx9k 4
2020년 10월 16일 12:03모든것이 기회가 될수있네요 지금은 별거아닌 씨앗일수있지만요
@user-hc8pw5cx7m 4
2020년 10월 18일 20:32'절박한 사람에게는 좋은 청력이 주어지는 것 같다.
그것은 세상의 많은 소음 가운데서 내게 정말로 필요한 신호 하나를 발견할 수 있는 능력같은 거 말이다. '
너무 공감하고 저에게 와닿는 표현이었습니다. 절박한 심정으로 하루하루를 보내는 요즘 제게 필요한 신호를 찾아내서 리부트하고 있습니다.
@graceoh2434 4
2020년 10월 16일 07:56콘텐츠는 각자의 삶의 자서전 같은거 같아요.자기삶에서 해왔던 노하우들을 공유하는거 처음 시작은 보이지 않고 특별하지 않는거 같고 아마츄어같지만.ㅡ그리고 결론이 난 콘텐츠도 아니지만 시작하고 나아가면 길과 여정이 보이는건 내 삶의 전문가가 되어있고 그길은 실제 아무도 흉내낼수 없는 영역의 창조인것이기에~ 새로운 도전 콘텐츠를 개발하고 시작하라고 말하고 싶어요~ 좋은강연덕분에 길이 보이고 길을 찾았고 계속할 동기도 찾았어요.감사드립니다.함께해요~^^♡
@user-vf4vw4qp4g 4
2020년 10월 16일 09:53통찰력이 좋은 분이세요~~~♡
@minapple 4
2020년 10월 16일 11:32서민규님 화이팅!!
@user-pu2zn1ms7y 3
2020년 10월 15일 18:58콘텐츠를 통해 제 자신이 새로운 발전의 길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는 의미있는 강연이었습니다!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book_many 3
2020년 10월 22일 01:48목소리가 넘 좋으시네요~^^
절박함이 성공을 이끄는 큰 요소인 것 같아요
보잘것 없는 나의 이야기부터 시작해 보아야겠어요~
씨앗을 뿌리겠습니다!!
@user-qd2gb7qd7b 2
2020년 10월 19일 17:10용기를 내기가 참 어렵네요. 나자신을 믿고 나자신을 향한 특별한 시선을 가져봐야겠어요. 앞으로의 세상은 취업이 중요한건 아닌거같아요. 나만의 콘텐츠를 가지는게 정말 더 중요한것같아요. 저도 저의 신호에 집중해볼께요^^강의 잘들었습니다~
@Aristra 2
2020년 10월 15일 23:16컨텐츠가드닝 잘해서 저도 저만의 컨텐츠를 만들고 싶습니다 ㅎㅎ 😂
@janehana2726 2
2020년 10월 16일 16:22무엇보다 작은 실천부터 시작한 작가님의 용기에 박수를 보내고 싶습니다. 도서관에서 홀로 고독하셨을텐데 컨텐츠를 커리어로 만드시는데 성공하셨네요! 멋지고 응원합니다!
@user-hh6og1sw1f 2
2021년 1월 12일 01:05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저는 '쌓이는' 컨텐츠를 만들 수 있다면 어렵지 않게 경제적인 자립이 가능하다고 생각해요.
같은 주제나 글감을 통해 글을 쓴다고 하더라도, 누군가는 타 블로그와의 차별화를 만들지 못하지만
다른 누군가는 본인만의 시각이나 색을 입혀서 방문자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긴다고 생각해요.
전자의 경우에는 방문자수는 올라도, 쌓이는 사람은 몇 안되겠지만 후자는 점점 쌓여 나가며 격차가 벌어지더라구요.
사람을 설득하는 글쓰기를 연재하면서, '쌓이지 않아서 고민이다'라고 말하는 분들을 많이 만났거든요.
저는 '취약점을 찌르는 기획법'에서 이를 다루었습니다.
@studykoreanart 2
2020년 10월 17일 10:05본인만의 콘텐츠가 확실하다면 이분처럼 회사에 몸담지 않더라도 먹고살 수 있는 시대가 되었네요. 본인의 콘텐츠를 키우는 작업은 앞으로 필수가 되겠네요
@meipark 2
2020년 10월 15일 18:56작가님! 정말 차근차근 조리있게 말씀을
잘 하시네요.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jaun1275 1
2020년 10월 24일 15:43콘텐츠를 만드는 것에 대해 많이 생각하던 차에 영상을 보게 되었어요. 어떻게해야 뭘 잘 만들 수 있을까 생각보다는 어떤 마음가짐으로 해야할지 되돌아보게 된 것 같아요.
@sntorn7035 1
2020년 10월 15일 20:16조근조근한 작가님의 이미지와 맞닿아 작가님의 이야기를 편하게 들을 수 있었어요! 저도 컨텐츠를 쑥쑥 길러 봐야겠네용: )
@hyungjinkim6570 1
2020년 10월 15일 18:52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자기 자신을 잘 아는 게 차별화된 콘텐츠를 만든 시작인 것 같네요ㅎㅎ콘텐츠 가드닝 참신해요 좀더 알고싶어요~
@psycsh 1
2020년 10월 15일 18:212000일 간의 꾸준한 열정이 빛을 보기 시작하는거 같아 보기 좋네요~다음 책도 빨리 내주세요^^
@pengnyang 1
2020년 10월 19일 18:33자신의 이야기를 스토리텔링할 수 있어야겠네요 저는 지금 대기업 계약직 다니면서 대학 공부하고 있습니다! 잘보고 갑니다!
@user-er1cx9fs1j 1
2020년 10월 16일 00:16저도 지금 북튜버로 나만의 콘텐츠를 만들고 있습니다
물론 직장인입니다
현실에 안주하지 않는 삶을 살기 위해
내 이야기와 책을 담은 콘텐츠를 만들고 있는데 비록 인기유튜버는 아니지만
책을 읽고 콘텐츠를 만드는 과정에서 새로운 삶의 목표가 생겼고
현재 자기성장을 이루고 있다는 것이 느껴지고 너무 기쁩니다
정말 나만의 콘텐츠를 만들어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거기서 느끼고 깨닫게 되는 것이 정말 많습니다
누구나 콘텐츠를 만들수 있지만 아무나 콘텐츠를 만들 수는 없습니다
@user-km3qx8mw1m 1
2020년 10월 22일 14:32강연 너무 잘 들었습니다. 세상에 컨텐츠를 내놓고 싶은 마음은 있는데, 컨텐츠를 내놓으려면 그에 상당하는 커리어패스가 있어야 될 것 같고, 내 커리어패스는 보잘 것 없는 것 같고...
이런 생각이 쳇바퀴 돌 듯, 마음을 무겁게 하던 때가 있었습니다. 너무 큰 열매를 당장 바라지 말고, 아주 작은 씨앗을 심듯 한 걸음 시작해보라는 말이 기억에 남습니다. 그리고 다산 정약용에게서 신호를 발견했다는 개인적인 이야기도 와 닿네요.
서민규 님의 다음 이야기가 궁금해지는 강연이었습니다.
@future_mind 1
2020년 10월 16일 13:54나는 특별하다.
내가 나를 특별하게 바라보아야겠다.
@sypark2012
2020년 10월 15일 18:04화이팅입니다!!
@user-nk1sm9dz5w
2020년 10월 15일 20:03감사합니다 ~
@user-di1es5xg5z
2020년 10월 15일 18:00응원합니다!!
@hannibak3223
2020년 10월 16일 16:50말도 잘하고 내용도 좋네요. 많이 배우고 갑니다
@mondayafterwork
2020년 10월 18일 10:03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얼른 작가님의 책 읽어보고 싶네요! 커리어에 대한 고민이 많은 사회 초년생인 만큼 더 관심이 가요. 저도 제 콘텐츠를 세상에 보이고 싶습니다.
@Salpil-flowergarden
2020년 10월 17일 09:35저 저자는 책~ 윌라로 들었어요~
그래서 ㅎㅎ
가족채널을 만들었네요!
채널만들고도 커리어가 없어 복직합니다 ^.~
@pilgoon1
2020년 10월 15일 18:20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user-iu2vv1be5x
2022년 8월 01일 13:30남들이 다 하는 것을 못 이뤄냈을 때 그 상실감은 어마무시할텐데 신경쓰지 않고 묵묵히 자신의 일을 해내신 강사님이 너무 멋지고 존경스럽습니다.
저는 남들의 시선을 신경써 지금도 정해진 길을 걸어가는 중인 것 같습니다.
인생에 정답은 없겠지만 강사님처럼 자신의 것을 갖는 것이 제 꿈이기에 더 열심히 노력해보겠습니다.
좋은 강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li1id6oj7e
2020년 10월 15일 22:28처음엔 누구나 생각했던 시나리오가 있죠 너무 막연하기만 한 과정이었을텐데 너무 대단하시다고 느껴집니다 저도 변해야겠네요
@alma720513
2020년 10월 16일 04:56매일 새벽 네시에 기상하여 유투브 구독을 펼치고 스트레칭하며 그날의 첫 말!을 듣는 습관을 만들고 있는 중인데요.오늘은 여기!!였습니다
아들이 곧 전역할텐데 무엇을 해야할까 막연하게고민하는 요즘이라..임팩트 있게 다가와준 작가님의 강연 감사하네요.
실용음악 한다고 막연하게 한학기 다니고 방황하다 군대갔으니 공부에 대한 지식도 없고,책과는 거리가 있고, pc방 게임에만 익숙한 그런 신인류들(아들비롯 친구들..ㅜㅜ)을 위한 동기부여 콘텐츠가 많아지길 바래봅니다!!!
감사합니다
투데이 가드닝을 시작하며 몇자 적었습니다.49짤 직장인 아줌마
@user-qi8iu7nt9p
2020년 10월 15일 18:21강의 잘 들었습니다
@user-fk8ny2fj7p
2020년 10월 15일 20:30퇴근하면서 들었는데 정말 작가님의 고뇌한 많은 시간이 느껴지네요.
그리고 정말 멋진 생각의 결실을 만드셨어요. 컨텐츠와 컨테이너 .... 무엇이 컨텐츠일지는 많은 경험에서 오는거 같아요
마지막으로 작가님은 정말 목소리가 좋으세요
강의 내용이 귀에 쏙쏙 들어 왔어요 ~^^
@jobstudio2167
2020년 10월 28일 14:52사물을 어떻게 보고 어떤 생각을 갖는가??
이것이 정말 중요한 것 같아요!
사물뿐만 아니라 자신이 경험했던 것들도...
성공으로 배운 것과 실패해서 배운 것 등
저 같은 경우는 콘텐츠가 떠오르네요
예를 들어서
Ex. 인생게임 찾았습니다.(썸네일)
인생은 게임이다. (제목)
(내용은 이제 현실의 나를 키워보려구요.
하루하루 성장하는 모습을 만들기)
여러분들 하루하루가 콘텐츠라 생각하시고
천천히 주변을 둘러보면은 많을거에요~
너무 조급하게 생각하지마시고 여유를 가지고
같이 콘텐츠 구상했으면 좋겠네요!
화이팅!!!
Chungeui Lee
2020년 10월 15일 19:47'~데요, 데요, 데요 '는 잘못된 어법의 습관어 입니다.
'~데요 '는 문장을 비틀어 문맥을 어지럽힙니다.
대신 '~데, 입니다. 습니다. '로 바꿔보세요.
작가가 책을 쓸때도 '~데요, 데요 ,데요 '라고 하지는 않겠죠.
@suhthing_nara132
2020년 10월 16일 08:26차분하고 진지하게 말씀을 잘해주시네요~콘텐츠가 커리어가 될겁니다~나만의 콘텐츠를 찾아야합니다~역쉬 다산이 답을 주셨네요~^^
@rabi_tv
2020년 10월 15일 18:06멋지십니다!! 제목이 마음에 들어요~ 강의 기대됩니다♥
@hzy5722
2020년 10월 15일 15:30일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