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올해 초까지는 지금까지 계속 해 오던 일에만 몰두 했는데, 코로나때문에 직장을 잃고나니 그게 다가 아니였는데 왜 그렇게 내 인생의 전부인것처럼 살았을까 조금 후회되더라구요. 그래서 다른 직종을 공부 중입니다. 그랬더니 직장을 잃은 슬픔도 싹 사라지고 오히려 더 큰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남들은 걱정했지만, 저에게는 제 인생의 터닝포인트를 만들어준 시간이였었습니다. 영상이 매우 공감가네요:)
대한민국 사람들이 반드시 깨달아야 할 중요한 개념.. 이미 다양하게 잡식으로 살아온사람들은 오랫동안 적응해왔지만 대부분은 아마 코알라고 나같은경우는 너구리 성향이다. 그런데 부모든.. 친구든.. 가족이든.. 학교든.. 정부든.. 대부분은 시대가 변한줄도 모르고 아직까지도 전문적인 한길만 고집한다. 그래서 그런사람들은 멸종위기에 처할지도 모른다. 앞으로 세상은 다양성있게 폭넓은 배경지식과 맥락을 가지고 변화에 생존할수있도록 대비하며 맥락에 맞는 전략으로 살아남는자만 존재할것이다. 쉽게 말해서 한가지만 편식하는 사람은 그만큼 그 음식에 중독되어 살것이고.. 음식을 골고루 먹는사람은 그만큼 든든하게 먹게 된다는거네요
그래서 요즘은 융합전공이든 복수전공이든 많이 나오나봐여. 영상과는 조금 논점을 벗어나지만 다양한 분야를 가더라도 주 분야를 나무뿌리로 관련성 있는 세부분야로 자라나듯이 가야 안전한 것 같아요. 자아실현이다 뭐디 하며 무작정 다 건드려볼게 아니라 자신의 주전공에서 파생된 분야를 개척해 나가는 방식으로여. 그게 아니라면 잡식으로 살아도 뚜렷한 목적이 없게되니까여
저기에 결정적 오류가 있습니다. 모든분야에 뛰어날 수는 있지만 최고가.될 수 없습니다. 그 결정적 이유는 모든 사람은 24시간을 살아가기 때문입니다. 나혼자 하루를 48시간을 살수 없기에 인생이 한정적이라 모든 분야에 최고가 될 수 없습니다. 조금씩 잘하거나 한분야에 최고가 되거나 누구에게나 주어지는 시간은 똑같습니다.축구게임에서 능력이 배분을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껍니다.
@Gdghjkbcsagikhvnkg 27
2020년 10월 21일 19:25저도 올해 초까지는 지금까지 계속 해 오던 일에만 몰두 했는데, 코로나때문에 직장을 잃고나니 그게 다가 아니였는데 왜 그렇게 내 인생의 전부인것처럼 살았을까 조금 후회되더라구요. 그래서 다른 직종을 공부 중입니다. 그랬더니 직장을 잃은 슬픔도 싹 사라지고 오히려 더 큰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남들은 걱정했지만, 저에게는 제 인생의 터닝포인트를 만들어준 시간이였었습니다. 영상이 매우 공감가네요:)
@jepp9703 24
2020년 10월 21일 19:03한우물만 파는 것은 내 무덤을 파는 것일 수도 있는 시대군요.
@castle009019 17
2020년 10월 21일 17:35근데 제목이 지금 이 세상에 맞는 말이에요. 하나의 직업이 기초가 되고 토대가 되겠지만 그것만이 전부가 아닌 세상이 된거죠
@user-lh2sf1ml5o 12
2020년 10월 21일 17:02감사합니다
@forestlee 10
2020년 10월 21일 17:30현실을 살아가다보니 잊고 있었네요..
다시 시야가 넓어지게 되었습니다🙏
꽥꽥이 8
2020년 10월 21일 18:28대한민국 사람들이 반드시 깨달아야 할 중요한 개념..
이미 다양하게 잡식으로 살아온사람들은 오랫동안 적응해왔지만
대부분은 아마 코알라고 나같은경우는 너구리 성향이다.
그런데 부모든.. 친구든.. 가족이든.. 학교든.. 정부든..
대부분은 시대가 변한줄도 모르고 아직까지도 전문적인 한길만 고집한다.
그래서 그런사람들은 멸종위기에 처할지도 모른다.
앞으로 세상은 다양성있게 폭넓은 배경지식과 맥락을 가지고 변화에 생존할수있도록 대비하며 맥락에 맞는 전략으로 살아남는자만 존재할것이다.
쉽게 말해서 한가지만 편식하는 사람은 그만큼 그 음식에 중독되어 살것이고.. 음식을 골고루 먹는사람은 그만큼 든든하게 먹게 된다는거네요
@user-ix7xy5vo8b 7
2020년 10월 21일 17:37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user-sm5py9wg8v 7
2020년 10월 21일 19:36폴리매스 책읽고 복습차원에서 들으니 이해가 되구 참 좋아요
특히 코알라 너구리를 예를 들어서 더 깊이 와닿아요
목소리도 힘이있구 정갈해서 듣기에도 좋구 쏙쏙들어 옵니다. 감사합니다
운동하자 7
2020년 10월 21일 20:13그래서 요즘은 융합전공이든 복수전공이든 많이 나오나봐여. 영상과는 조금 논점을 벗어나지만 다양한 분야를 가더라도 주 분야를 나무뿌리로 관련성 있는 세부분야로 자라나듯이 가야 안전한 것 같아요. 자아실현이다 뭐디 하며 무작정 다 건드려볼게 아니라 자신의 주전공에서 파생된 분야를 개척해 나가는 방식으로여. 그게 아니라면 잡식으로 살아도 뚜렷한 목적이 없게되니까여
@user-lh2sf1ml5o 7
2020년 10월 21일 17:02항상 잘 보고 있어요
@user-hg7ui7el4m 7
2020년 10월 21일 17:16폴리매스 듣기만해도 설레는 단어가 되었습니다.
@eiqiq 6
2020년 10월 21일 18:16전 인생을 걸고 싶습니다, 왜냐하면 제가 사랑하고 좋아하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분들도 꿈이 있다면 포기하지마세요, 인생을 걸 정도로 지독하게 사랑해보세요
@SixChicken 6
2020년 10월 21일 17:307:37 저는 지금까지 잘하는 분야 하나없이 폴리매스이자 제너럴리스트의 삶을 살았는데..
그게 빠르게변화하는 현재 상황에서 나쁘지않았다는 생각이드네요
@user-jc2ph1kz2j 5
2020년 10월 22일 01:06제너럴리스트를 원하면서 직장을 구하려면 스페셜리스트여야한다는 이상한 세상
@satxsa 5
2020년 10월 21일 18:45한 분야의 전문가는 앞으로도 필요하지만 변화의 시대에
그 분야가 사라지면 나가리가 될 수 밖에 없으니...
@big_brightiron 4
2020년 10월 21일 18:16윤PD님 목소리네요 ㅎㅎ 반갑네요
@j-2728 4
2020년 10월 22일 09:50폴라매스 추가키워드 그리고 다시 내 우물을 돌아볼 수 있었습니다~
@Numi-J 3
2020년 10월 21일 19:08오늘 완독했어요. 기득권이 그들만이 누리고 지키려는 그들만의 꼭대기에 오르는 길을 닦는것이 결국 폴리매스들.
@kimkim_s2 3
2020년 10월 21일 18:56제너럴리스트..
지난폴리매스영상에 이어 2번째로 영상보는데 영상마다의 키워드가 있어서 좋네요
@MoonTarot-wt1xn 2
2020년 10월 21일 19:27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rv7jh6nk7q 2
2020년 10월 21일 18:21뭔가 웨케 집중이 안되지
@user-jhp86 2
2020년 10월 21일 19:27감사합니다👍👍👍
@user-im4jm3lf4k 1
2020년 10월 21일 23:15저 박사과정 곧 들어가는데...ㅠㅠㅠㅠㅠ
@hyukjaechoi4315 1
2020년 10월 27일 17:23저기에 결정적 오류가 있습니다. 모든분야에 뛰어날 수는 있지만 최고가.될 수 없습니다.
그 결정적 이유는 모든 사람은 24시간을 살아가기 때문입니다. 나혼자 하루를 48시간을 살수 없기에 인생이 한정적이라 모든 분야에 최고가 될 수 없습니다. 조금씩 잘하거나 한분야에 최고가 되거나 누구에게나 주어지는 시간은 똑같습니다.축구게임에서 능력이 배분을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껍니다.
@jeehwanahn807 1
2020년 10월 22일 07:22진짜 뭔가 머리를 세게 맞은 느낌이다 이걸 한 단어로 유레카라고 칭하고 싶다
@user-jf6se5bc7t 1
2020년 10월 21일 23:14코로나때문이 아니다.
사실 이미 시대가 요구하고있었다.
코알라의 전문력보다는 너구리의 넓은 적응력을 갖자. 폴리매스의 본질은 그 유연함에 있다.
@eunsucho9837 1
2020년 10월 22일 07:05한 우물을 파면 장인이 되고, 여러 우물을 파 관리하면 리더가 되며, 여러우물을 파고 방치하면 도둑(배운게 도둑질)이 된다.
@emiyaoutlaw9019 1
2020년 10월 21일 21:07오랜만에 영상을 보고 소름이 돌았습니다!!! 감사합니다.
yw
2020년 10월 21일 20:12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항상 듣고 있어요
@user-cf9iz4ek4d
2020년 10월 22일 01:35전 설계, it, 증권, 예술, 마케팅을 공부했어요 전문성은 떨어지지만 전문가 흉내정도는 낼수 있을거 같습니다(근자감).사실 기업은 많지만 수요와 공급이 변하기 때문에 다방면으로 지식을 가지는게 좋은거 같아요
@user-bw2vm9et2e
2020년 10월 21일 18:49현재의교육제도는 역량이없는데 그 구조화된삶이아직도이어지고있다는게 참모순적이네요;
@user-qk6kt6nx9k
2020년 10월 22일 12:50이소룡의 절권도가 생각나네요 무술의 각분야를 서로 융합하는게 절권도이며
딱 절권도라는 유파하나로 생각하면 그건 본질을 이해못한거라 말한 샌새....
@object.8748
2020년 10월 22일 08:45이도저도 아닌 방향성=이도저도 아닌 결과
@user-cf9iz4ek4d
2020년 10월 22일 02:50전문지식 밖에 해답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wonseoksong7736
2020년 10월 21일 23:51하나의 직업...전문직, 국회의원 등 이런 전문직은 한가지 직업으로 평생 먹고 산다. 하지만 그 이외의 직업들은 저 말이 맞다.
@user-tx7rb6lh9y
2020년 10월 22일 10:18한가지라도 잘 다니고 잘하고 싶음 하유ㅜ
@TV-br5qs
2020년 10월 24일 16:48오잉?
@_englishlab5259
2020년 10월 22일 00:39한가지 일에 인생을 걸지 않으려고 유튜브 시작했어요!!
@musemountain59
2020년 10월 21일 23:37좋은 메세지 감사합니다
@No-dq7ww
2020년 10월 21일 22:24저도 이부분에 공감하고있었는데 이해가 확실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