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리해서 영끌하지 말자. 재무적으로 부담이 없는 아파트를 사자. 절대 뺏기지 말아야 한다. 내가 아파트를 제값을 받고 팔 때까지 이자를 내면서 견딜 수 있는지. 주어진 범위 내에서 미리 선을 그어 놓고 여유롭게 안전하게 가자.
■ 내가 들어가서 당장 살기 괜찮은 아파트를 사자. 미래가치 보다 현재가치에 집중하자 전세가율 20%의 재건축만 바라보는 그런 아파트, 사지 말자.
[아파트, 어떻게 살 것인가?]
■ 젊었을 때 미리 돈을 모으자. 1인가구는 소비를 줄이기도 쉽다.
■ 종잣돈이라는 애매모호한 말을 버려라. 대신 ‘아파트 구매를 위한 최소한의 자금’, 예를 들어 2억의 30%인 6,000만원. 이렇게 정해 놓고 최대한 소비를 줄여라. 목표가 현실적으로 와닿지 않으면 버티기 힘들다.
[부동산 정책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자] 정부는 너무 내리면 올리려 하고, 너무 오르면 내리려 한다. 그것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자. 자신의 주관을 세우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가격 등락으로부터 자유로워지자] "마인드 세팅법" ○ 아파트는 오를 때도 있고 내릴 때도 있다. ○ 10년을 기준으로 한 번 이상의 경제 위기에 부동산 가격의 급등락이 있을 수 있다. ○ 세ㅇ금 문제도 있고 나는 8~10년 갖고 있겠다. ○ 미래가치에 대한 기대가 굉장히 큰 아파트는 그것이 틀어지면 안 좋아질 수 있다. 가격 및 이자비용 부담이 없고, 당장 살기 좋은 아파트를 사자.
"세ㅇ금"이 유튜브 댓글 차단 키워드군요 ㅠㅠ
[1인가구, 지금 아파트를 사도 좋은가?] 개인적으로 말리고 싶다. 특히 서울, 수도권 쪽이라면
앞으로는 부익부빈인빅 심화현상이 가속화 되면서 1인 가구의 급격한 증가가 기정사실입니다. 혼자 남게되는 사람들은 자산을 불리고 소비를 줄이면서 생존을 도모하고 고민해야 하는 시점입니다.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 되고 포스트코로나 시대가 도래하면서 많은 실직자가 양산될 겁니다....
나중에 싸지면 사자...어느분 이야기가 떠오르네요 어느 딸의 아버지가 90년도부터 나중에 싸지면사자고 했던 이야기....지금 연세가 76세 이신데 지금도 여전히 전월세에서 벗어나지 못하셨다는 이야기 생각나네요...3년후에는...글쎄요.. 제가 점쟁이도 전문가도 아니지만 최소 지금보다 3배정도는 올라 잇을것같네요 돈의 가치는 점점 휴지 조각이 되잔아요 그냥 변두리 빌라만 살더라도 땅값은 매년 오릅니다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속도도 코로나로 인해 속도가 더빨라지고 부동산과 주식같은 자산은 그속도를 더해 더빨리 올라갈것 같아요
싱글일수록 비혼주의자일수록 경제적으로 탄탄하게 준비해야하고 살집은마련해야합니다 결혼의 목적이 누군가에게 기대기 위함은 아니지만 솔직히배우자가 있고 자식이 있는분은 혹시라도 미래에본인육체가 뜻하지않게 일하고 소득창출을 할수없을때 기댈수 있는 가능성이라도 있지 혼자는오롯이 혼자라 최소한 경제적으로 갑자기 소득을 창출할수없는상황이 닥치더라도 살아갈수있는 경제력을 갖춰야합니다 비혼주의자라고 싱글이라고 욜로찾고 즐기지만 마세요 비혼주의자 와 기혼자의 차이는 누군가를 경제적으로 책임질대상의 무게가 다를뿐이지 기본은 같습니다
전 지방 주택삽니다. 아파트 아닌 다른 선택지도 생각해보세요~ 혼자 살지만 안 위험해요. 제 옆집도 앞집도 배우자 먼저 보내신 분들 혼자 사세요. 물론 재태크 수단이 되긴 어렵지만 몇천에 샀고.. 주택 불편한것도 있지만 제 취향엔 맞아요. 뭐 심어서 먹를 수도 있고 조금 나가면 산있고.. 차 있음 편하긴 한데 폐차하고 걸어 다니니 건강도 좋아지고 돈도 절약되요. 돈을 버는 것만 재태크가 아니고 덜 나가는 구조로 만드는 것도 백수일때 부담이 적어요. 전 백수 거의 일년째 입니다. 무너져가도 집 있는거랑 여유자금 있으면 스트레스 덜 받고 다른 직장 구하는 것도 여유가 있어요. 전 좀 더 시골로 이사하는게 목표예요.
최근 전세가 문제되고 있는데 아래는 서울 직주근접성 아주 높은 분양권의 전세매물 리스트입니다.
어제자 네이버 매물기준입니다. 요즘 기사대로라면 전세물건 자체가 없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것 같네요. 물론 아직 호가수준은 높지만 그 근처 구축들과도 견줘서 높지않은 수준의 전세금액인데다가 금년말 내년초까지 잔금을 쳐야하는 아래 분양권 소유자 분들이 과연 가격을 고수할 수 있을지도 의문입니다.
공부후기 226
2020년 10월 22일 22:27[618] 한정연 작가 / 1인가구 & 아파트 의견정리
[1인가구, 어떤 아파트를 살까?]
■ 1인가구도 아파트를 사자
■ 무리해서 영끌하지 말자. 재무적으로 부담이 없는 아파트를 사자.
절대 뺏기지 말아야 한다.
내가 아파트를 제값을 받고 팔 때까지 이자를 내면서 견딜 수 있는지.
주어진 범위 내에서 미리 선을 그어 놓고 여유롭게 안전하게 가자.
■ 내가 들어가서 당장 살기 괜찮은 아파트를 사자.
미래가치 보다 현재가치에 집중하자
전세가율 20%의 재건축만 바라보는 그런 아파트, 사지 말자.
[아파트, 어떻게 살 것인가?]
■ 젊었을 때 미리 돈을 모으자.
1인가구는 소비를 줄이기도 쉽다.
■ 종잣돈이라는 애매모호한 말을 버려라.
대신 ‘아파트 구매를 위한 최소한의 자금’,
예를 들어 2억의 30%인 6,000만원.
이렇게 정해 놓고 최대한 소비를 줄여라.
목표가 현실적으로 와닿지 않으면 버티기 힘들다.
[부동산 정책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자]
정부는 너무 내리면 올리려 하고, 너무 오르면 내리려 한다.
그것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자.
자신의 주관을 세우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가격 등락으로부터 자유로워지자] "마인드 세팅법"
○ 아파트는 오를 때도 있고 내릴 때도 있다.
○ 10년을 기준으로 한 번 이상의 경제 위기에 부동산 가격의 급등락이 있을 수 있다.
○ 세ㅇ금 문제도 있고 나는 8~10년 갖고 있겠다.
○ 미래가치에 대한 기대가 굉장히 큰 아파트는 그것이 틀어지면 안 좋아질 수 있다.
가격 및 이자비용 부담이 없고, 당장 살기 좋은 아파트를 사자.
"세ㅇ금"이 유튜브 댓글 차단 키워드군요 ㅠㅠ
[1인가구, 지금 아파트를 사도 좋은가?]
개인적으로 말리고 싶다.
특히 서울, 수도권 쪽이라면
그러면 3개월 6개월 후에 사느냐가 아니라
4년 후에 다시 볼까 하는 마인드를 권한다.
혼자 사는 사람은 집을 언제 사도 된다.
1인가구는 선택의 폭이 넓다.
끝.
신사임당님, 한정연 작가님께 감사드립니다.
건강과 행복 기원드리겠습니다.
부족한 부분, 놓친 부분 짚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user-fg3on6zn3p 141
2020년 10월 22일 20:18솔로도 무조건 자산을 많이 가져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user-ng3jl6ti5u 119
2020년 10월 23일 12:43젊었을때 돈모으기 쉬우니 이때 알차게 모아야한다는 말씀이 마음에 너무 와닿네요 .. 오늘도 좋은영상 감사드립니다 😊
@zzanboo 103
2020년 10월 22일 20:09목적 없이 안 쓰는 건 힘들다는 거 완전 찐공감...목적이 정확할수록 돈이 잘 모이는 것 같아요😎
@user-bi2hp4uu9v 84
2020년 10월 23일 13:54제소견은 개개인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혼자라도 30대 중반이되면 내집마련 해야합니다.
최소 사회생활이 가능하고 건강할때 ltv한도내. 대출받아 안정적으로 살아가는게 맞아요.
늦어질수록 정년은 더 빨리오거든요~
매매가 30~40% 종잣돈있으면 좋고, 50%있음 더좋고~ 젊었을때 허리띠 졸라매는거 맞아요.
저는 재테크 못해서 후회하고 있는 1인 ㅠ
1인가구분들 같이 힘내요.
@haeyongHwang 62
2020년 10월 24일 15:061:51 1인가구 - 아파트 구입 vs 세들어 살기?
13:55 어떤 아파트를 사야할까?
18:55 개인이 '지금' 집을 사도될까?
김지은 50
2020년 10월 23일 00:41혼자 살면 더더욱 자산이 든든하셔야 합니다!나이들면 누구든 불쌍하고 누추해지는데..자산이라도 많으면 자존감도,외양면 에서도 덜 기웁니다 그중에서도 서울,경기의 누구든 인정하는 핫 플레이스 아파트 한채정도는 자신의 존재가치에 한줌 더 영향력 미치죠^^
정표 43
2020년 10월 22일 21:27무심코 지나가는 길에 제 댓글을 보셧다면
당신은 천운이 함께 할 것 입니다.
구독 좋아요 누르시고 이제 행복만 가득하세요
당신의 2021년은 최고의 한해가 될것입니다
@user-ox1vw2ho6l 40
2020년 10월 24일 09:33아파트1채
재개발 2채
재건축 구역 지정 전 1채
분양권 1개
갖고 있는 미혼인 30중반입니다.
어떤 이들에겐 적폐인 사람이죠.
집은 거래량이 늘어날때 집값이 떨어지면 사라는 김ㅁㄱ 선생님의 채널에서 이ㄱㅅ 연구원의 영상도 봣는데 코미디 같더군요.
왜냐하면 거래량이 늘든 줄든 집값 떨어지면 더 떨어질줄 알고 못사는게 무주택자입니다...
1주택은 결국 오르든 떨어지든 물가상승에 대한 헷지라고 생각해야하죠.
결국 목적이 있어야 돈은 안쓰게 되는게 맞고, 무엇보다 부동산은 우리 삶의 큰 부분을 차지하기에 한채는 가져보는 경험이 중요하다고 느끼네요...
결국 부동산에 대한 경험을 일찍할수록 세상에 대해 보는 시야도 달라지네요.
투자로 인한 미래에 대한 계획도 세워지네요.
경험해보세요 경험은 그 어떤 생각과 고민보다 값지네요.
@user-zz3th4be3o 40
2020년 10월 23일 16:25여기 댓글 왜이리 순진무구해요.
안사는 사람은 지옥으로 가는겁니다.
인플레이션돠면 돈의 가치는 휴지디요.
집값떨어지는거는 나라가 망한다는 동의어입니다.
집값떨어지면 좋아할서럄 아무도 없게되는겁니다.
배아파하디말고 위안 받지말고
경험을 토대로 부동산을 접근하세요.
pionar lesmordo 39
2020년 10월 24일 18:19혼자 살아도 대부분 아파트 원함
서울 아파트 가격이 안 떨어지는 이유
@user-cq4ds1gl9n 36
2020년 10월 22일 19:41신사임당 본 영상중 가장 현실적이고 직접적 도움이 되는 최고의 영상이라 생각
@user-dj8op5ip5s 36
2020년 10월 25일 12:36혼자 살수록 더 돈이 있어야한다.
@addie_choi 36
2020년 10월 23일 13:27서울은 살 능력이 있다면 사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vorzug_ 35
2020년 10월 22일 19:43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자막이 있으면 정말 유용할것 같다는 작은 희망이..ㅎㅎㅎㅎ
@user-lu6xx3hk7k 34
2020년 10월 22일 20:091:51 1인가구 - 아파트 구입 vs 세들어 살기?
13:55 어떤 아파트를 사야할까?
18:55 개인이 '지금' 집을 사도될까?
확실하게 직접적인 조언 감사드립니다! 지금은 집을 사기보단 조금 두고보는게 좋겠네요 😊
@user-zd4sm2mj6k 34
2020년 10월 22일 19:32아파트 갖고 싶네요.
항상 감사합니다.
@user-ss3kz8xv4e 32
2020년 10월 23일 12:31앞으로는 부익부빈인빅 심화현상이 가속화 되면서 1인 가구의 급격한 증가가 기정사실입니다.
혼자 남게되는 사람들은 자산을 불리고 소비를 줄이면서 생존을 도모하고 고민해야 하는 시점입니다.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 되고 포스트코로나 시대가 도래하면서 많은 실직자가 양산될 겁니다....
@user-od6gb3ne5n 29
2020년 10월 24일 08:37확실히 돈이 많이드는데도
혼자 사는 가구보다 배우자
자식있는 가구가 더 재산을 열심히 모으더라구요
젊을때 돈에 관심갖고 모아놓으면 부자될 확률이
더 높아지겠죠
@user-zg9ub9bx5o 29
2020년 10월 22일 21:033년4년후에 집값은 또 엄청 올라가있을거라는게 문제죠 ㅠㅠ
@user-po2mk9bh4c 26
2020년 10월 22일 20:22모닥불족 ㅋㅋ 이 부서에서 할 일은 아닌 것 같은데요? ㅋㅋㅋㅋㅋ
@rian4074 21
2020년 10월 22일 22:18미래가치보다 내 살 수 있는 쾌적한 환경의 아파트를 사라가 와닿았어요 남편이 미래가치만 보고 아파트를 사서 교통이 정말 불편한 곳에 살고있어여ㅠㅜ
@diorrr951 21
2020년 10월 23일 16:30서울 아파트랑 미국 주식이랑 성격이 유사한 것 같다. 지금 준비 안 되어 있는 사람들은 임대 주택 들어가서 조용히 씨드 모으고 있는 게 제일 좋은 수인듯
@kayhahn5439 20
2020년 10월 22일 21:29뜬구름같지 않은
두분의 생활밀착형 토크..ㅎㅎ
재밌게 봤네요~
@user-cl7xu1xh1p 19
2020년 10월 23일 15:35내집장만에 관심갖기 시작한 이십대후반 사회초년생 입니다. 어디서부터 접근해야할지 막막하기만 했는데 두분이 편한분위기로 풀어설명해주셔서 많은 도움 받고갑니다
@terryjinsuk9699 18
2020년 10월 23일 09:32나중에 싸지면 사자...어느분 이야기가 떠오르네요 어느 딸의 아버지가 90년도부터 나중에 싸지면사자고 했던 이야기....지금 연세가 76세 이신데 지금도 여전히 전월세에서 벗어나지 못하셨다는 이야기 생각나네요...3년후에는...글쎄요.. 제가 점쟁이도 전문가도 아니지만 최소 지금보다 3배정도는 올라 잇을것같네요 돈의 가치는 점점 휴지 조각이 되잔아요 그냥 변두리 빌라만 살더라도 땅값은 매년 오릅니다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속도도 코로나로 인해 속도가 더빨라지고 부동산과 주식같은 자산은 그속도를 더해 더빨리 올라갈것 같아요
@ladyyoon 18
2021년 2월 26일 08:05결혼은 안하더라도 집은 꼭 사야합니다...특히 여성 1인가구 일수록 안전한 아파트..
Erika Jo 18
2020년 11월 15일 17:16싱글일수록 비혼주의자일수록 경제적으로 탄탄하게 준비해야하고 살집은마련해야합니다
결혼의 목적이 누군가에게 기대기 위함은 아니지만 솔직히배우자가 있고 자식이 있는분은 혹시라도 미래에본인육체가 뜻하지않게 일하고 소득창출을 할수없을때 기댈수 있는 가능성이라도 있지 혼자는오롯이 혼자라 최소한 경제적으로 갑자기 소득을 창출할수없는상황이 닥치더라도 살아갈수있는 경제력을 갖춰야합니다
비혼주의자라고 싱글이라고 욜로찾고 즐기지만 마세요
비혼주의자 와 기혼자의 차이는 누군가를 경제적으로 책임질대상의 무게가 다를뿐이지 기본은 같습니다
@shindongseok304 17
2020년 11월 12일 05:02혼자서 집 사보시면 유부남들이 왜 용돈받고 사는지 알게됩니다.
@RRJ_RICH 15
2020년 10월 23일 16:2220대에게 특히 부동산이란 것은 진입장벽이 매우 높아보이죠. 결국엔 영상에 나온 이야기들 처럼, 대출도 받고 자금 여력이 닿는 선에서 매수해서 살면 분명 좋은 가치의 아파트는 좋은 가격을 나중에라도 받을 수 있는데 말이죠.
또한 정부의 시그널에 맞게 움직이라는 말이 많이 와닿았습니다. 지금 영끌투자나 매수자들이 너무 많아서 걱정이 되기도 합니다.
늘 좋은 영상 감사드리고, 항상 행복한 일만 가득하길 바랍니다.
@user-pi9gr2su7d 14
2020년 12월 10일 09:2541세 비혼가구 2년전 똘똘이아파트 25평으로 갈아탔음 그전에 집은 도시형생활주택120새대 그거도4년살고 3500정도 이익보고 팔았음
혼자살수록 작든크든 자가 하나는 있어야함 심신이 안정되고 듬직함
이왕이면 아파트로ㅋ 자산증식이 커짐
담보대출 다 갚고 빚이1도없음
행복함♡♡
@cafe99days 14
2020년 10월 25일 09:32매번 느끼지만 영상 바로 시작해서 너무 좋음 ㅋㅋ. 제게 필요한 컨텐츠 압니다. 1안가구는 늘어나는데. 저도 요즘 집을 사야하나 앞으로 어떻게 해야하나 고민였습니다.
@user-uz6rn8vc9g 14
2020년 10월 23일 17:43저는 지방러 이지만 영끌해서 집 사는건 저도 반대... 집을 사고 나서도 꾸준히 지금처럼 유지를 할 수 있는지 신중히 따져봐야하는게 맞는거 같아요ㅋ 집은 샀는데 내 하루하루가 부담되고 힘들다면 그건 집을 산게 아니라 빚을 산느낌일듯😥
@junkwon8816 9
2020년 10월 25일 00:56맞는 말씀이신데 부모님 도움 없이 힘듭니다 40에 자기 힘으로 아파트 괜찮은걸 산다는건 진짜 극소수 입니다.
전 부모님을 잘만난케이스 인데 직장 생활하면서 알았습니다
1억을 모은다는건 쉽지 않다라는 걸.... 전 용인 더샾프라임뷰 혼자 살고 있습니다.
대박 8
2020년 10월 24일 05:13자막도 있으면 좋겠어요~
@ny5338 8
2020년 11월 26일 13:55돌잔치 지표는 맞는거 같지만 돌잔치에 회사사람 초대하는 사람은 좀 아닌거 같아요... 가족행사는 가족끼리~~~
@ovoan 7
2020년 10월 25일 07:04모닥물족 얘기하실때 너무 우리 부장님 느낌이라서😂😂 부가 축적되셔서 그런거신가봐요
@merry277 7
2020년 10월 25일 00:05근데 사람들이 부동산이 떨어질걸 기대하지만 실제로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면 나라망한다는거 아닌가요.. 그렇게 알고있는데...
개념장착 6
2020년 10월 25일 12:36혼자 살수록 더 돈이 있어야한다.
@psybrother 6
2020년 10월 22일 23:14저에게 유용한 주제네요.. 영상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gamereveiw1357 6
2020년 10월 24일 10:26서울은 오늘이 가잘 싸다...했는데 지방도 지금 불장..지방이 어느정도 오르면 횡보하던 서울수도권 또 오름..풀린돈을 보고 현금을 처분해서 실물자산을 사놔야함.내년 자산인플레옴. 파주운정 슬금슬금오르는데 김포규제되면??수도권역세권이라도 잡아야함.23년까지 금리낮음.70프로나오는 서울출퇴근가능한 수도권역세권을 잡아야지요.
James Mohenz 6
2020년 10월 22일 22:19지방은.폭등장
오늘이.가장 쌈
@SUABANANA 5
2020년 10월 22일 19:33Today's take away from this interview
Wait wait wait
@user-mk7nx7tr1p 5
2020년 10월 22일 19:54두 분 티키타카가 너무 재밌어요 ㅠ ㅋㅋㅋ
Yu Jin Kim 5
2020년 10월 22일 20:42신사임당님 웃으시니까 좋네요~:):)
@hohey7147 4
2020년 10월 22일 19:33선댓 합니다~!
@7month989 3
2020년 10월 27일 01:29현재 부동산 정책은 4차산업과 연관지어서 보아야된다고 판단됩니다. 그 이유는 4차산업은 많은 일자리를 없어지게 만들며 그에 따라 지원금을 지급하는 형태로 바뀌기에 극심한 빈부격차가 발생되기에 4차산업과 연관지어 생각하는 것이 맞지 않을까 생각듭니다.
@user-hk9it7yg3j 3
2020년 10월 22일 19:56ㅎㅎ
방창환 3
2020년 10월 22일 23:13고치는 것 보다 새로 확~ 만드는 게 속편할 때가 많아요. 재건축도 그걸 노리는 것도 있죠.
@user-pu6ru9tx8d 3
2021년 10월 10일 20:07지금 아파트 사면 개같이 벌어서 투기꾼 버러지들 배때지 채워주고 정책 실패한 정부에 세금 채워주는 꼴밖에 안됩니다
방한칸 원룸에 살더라도 관망하십쇼 급하면 집니다
@user-xw6ln8li7q 2
2021년 4월 12일 21:18전 지방 주택삽니다. 아파트 아닌 다른 선택지도 생각해보세요~ 혼자 살지만 안 위험해요. 제 옆집도 앞집도 배우자 먼저 보내신 분들 혼자 사세요. 물론 재태크 수단이 되긴 어렵지만 몇천에 샀고.. 주택 불편한것도 있지만 제 취향엔 맞아요. 뭐 심어서 먹를 수도 있고 조금 나가면 산있고.. 차 있음 편하긴 한데 폐차하고 걸어 다니니 건강도 좋아지고 돈도 절약되요. 돈을 버는 것만 재태크가 아니고 덜 나가는 구조로 만드는 것도 백수일때 부담이 적어요. 전 백수 거의 일년째 입니다. 무너져가도 집 있는거랑 여유자금 있으면 스트레스 덜 받고 다른 직장 구하는 것도 여유가 있어요. 전 좀 더 시골로 이사하는게 목표예요.
@pkkim888 2
2020년 10월 27일 21:46잼있어요 ㅎㅎ
자라나라머리머리 2
2020년 12월 02일 02:04그놈의 아파트 아파트 지긋지긋하다..
wk g 2
2020년 10월 29일 11:38ㅋㅋㅋ 몸이 커져서 벽에 부딪힌대..ㅋㅋㅋㅋㅋㅋ
@choigominsoo 2
2020년 10월 23일 07:52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chan2u 2
2020년 10월 22일 19:27선댓 후감상
@secretboxkevin 1
2020년 12월 02일 01:25관리를 안해야.. 재건축 시작일이 앞당겨 지니까.. 아파트 앞 상가의 철물점만 노남.. 전기 고장나 수도 고장나 계속 고장나는데.. 철물점 아저씨는 고치는비용은 부르는게 값이 되어버림..
비월B:wall 1
2020년 10월 25일 17:15최근 전세가 문제되고 있는데 아래는 서울 직주근접성 아주 높은 분양권의 전세매물 리스트입니다.
어제자 네이버 매물기준입니다. 요즘 기사대로라면 전세물건 자체가 없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것 같네요. 물론 아직 호가수준은 높지만 그 근처 구축들과도 견줘서 높지않은 수준의 전세금액인데다가 금년말 내년초까지 잔금을 쳐야하는 아래 분양권 소유자 분들이 과연 가격을 고수할 수 있을지도 의문입니다.
강남은 개포래미안포레스트 749건, 강남래미안 리더스원 297건, 서초센트럴아이파크 105건입니다.
동북쪽 장위동 꿈의숲 아이파크는 전세매물이 378개입니다. 특히 여기는 최저호가 전세매물이 벌써 2천내렸구요.
다음으로 동남쪽 하남 포웰시티 222건, 고덕센트럴 푸르지오 218건, 고덕자이 410건 동남쪽은 대체로 세입자를 구할 의지를 잃어버린 전세매물들만 가득합니다.
서북쪽 고양향동지구 A-3블럭 205건, 삼송역 현대헤리엇 69건,
마지막으로 서남권 힐스테이트 클래시안 245건, 래미안목동 아델리체 145건, 신길파크자이 114건입니다.
더군다나 이건 입주가 올해말 내년초 단지들인데 아직 전세 소화가 안되고 있어요. 이 상황은 어떻게 봐야하는걸까요?
전세매물이 대단지에 1,2건이라고 하는데 최근 그 물량들이 쌓이고 있고 아실이라는 앱보면 전세가 9월 20일 허위매물 계도기간 종료 이후인 10월초대비 현재기준 전세등록매물 서울 26%, 경기 18%늘어난 걸로 보입니다.
제 개인적 추측으로는 갱신청구권으로 전세공급만큼 전세수요도 엄청나게 감소했기 때문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더군다나 저 매물들 근처 부동산에서 들은 얘긴데 21년 2월이후부터는 실거주요건이 생겨서 어떻게든 전세 못구하면 안 되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이게 전세가 하락의 트리거가 될 가능성도 있지 않을까요?
지금 시기에 민감도가 있지만 한번 다루어봐주실 수 있는지 싶어서 댓글남깁니다.
@miraclesooah 1
2020년 10월 22일 19:28😀
강아지집 크리에이터 PITTA 1
2020년 10월 22일 19:27아파트 언제 갈 수 있을까요 :)
Jeenie 1
2020년 10월 23일 19:48상황에 따라서 다르죠~
Chang Woo Lee 1
2020년 10월 23일 21:02지금은~~^^
5쵝 1
2020년 10월 22일 19:271빠
여름단풍나무 1
2021년 1월 11일 20:018년 전에는 아파트 폭망론이 대세 였는데
@user-qw7yg5vq5x 1
2020년 11월 27일 14:25현실적인 이야기
@user-jt1cb5ir4o 1
2020년 10월 22일 20:06😘🥰😆👍👍👍
Hmd sert
2022년 3월 03일 11:25소 배 액팅은 워낙 유명해서 앞전부터 핫했는데 이게 지금 뜨네요 ㅎㅎ
Oyunun Kralı1
2022년 3월 03일 11:25주식하기엔 너무 까막눈이라 찾던와중에 저도 소 베 액 팅 추천받아서 쳐봤는데 너무좋네요 ^^
tago remix official
2022년 3월 03일 11:25소배 액팅 알고나서부턴 왜 내가 직장다니면서 뼈빠지게 일했을까 생각이 듭니다 일찍시작할껄 ㅠㅋㅋ
Mutlu ÇOCUKLAR
2022년 3월 03일 11:25당일날 바로 소액으로 용돈벌고 당일환젼 해주던데 소 배액 팅 진짜 좋네요
voon raymn
2022년 3월 03일 11:25시간만 있으면 넉넉하게 재테크 할수있는게 소베 액 팅 이죠 ㅇㅈ
DefendYourSeLf
2022년 3월 03일 11:25어제 소소하게 소배 액팅 쳐보고 들어가서 3만원으로 10만원만 벌고 나왔어요 시간없어서 ㅠ
okan alkan
2022년 3월 03일 11:25아 소 배 액팅 들어봤어요 초보자들도 쉽게 접목할수 있다던데
Crownless King
2022년 3월 03일 11:25주식좀 해볼까하고 찾아보는데 너무어려워서 포기.. 그런와중에 소 베액 팅 은 진짜 혜자 인정;;
@user-jd1tg5yu5g
2021년 3월 26일 10:251인가구가 문제인가요??
tv almaarifa
2022년 3월 03일 11:25요즘 소배 액 팅 이라고 주식,코인보다 좋다고 하던데요?
정기준
2020년 10월 22일 19:29호
@user-go7rb6rb4h
2021년 6월 30일 18:05♥
olo
2022년 3월 03일 11:25펀드니 주식이니 코인이니 다필요없는거같음 어렵기만하고 ㅠ 소 배 액 팅 은 어려운게없음
jay h
2020년 12월 06일 15:531인가구는 아파트안사고 빌라사도 문제없을텐데.. 빌라는 쌈.. 굳이혼자사는데 아파트를 사야할까 투기목적이아니면..
G .
2021년 9월 29일 19:001인가구 오피스텔실거주위해 구입하는건 위험한생각일까요ㅜㅜ 아파트살 여건이 안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