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 중에 특히 호흡명상을 하면서 에너지에 대한 부분을 집중해 보면 참 재밌는 현상들이 많이 일어나더군요.^^ 명상 초기에는 온갖 잡념들이 올라와 명상에 집중하기가 쉽지 않죠.^^ 조금 익숙해져서 안정화가 되면 생각과 감정들이 다소 가라앉으면서 잔잔하게 흐르는 기에너지를 느낄 수 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이게 조금씩 증폭되면 몸 상태가 좋은 날에는 척추를 타고 짜릿한 상승작용을 일으키기도 하더군요.^^ 그러면 몸이 가뿐해지면서 개운하고 시원한 느낌이 든다는...^^
근데 여기서 조심해야 하는 점이 이 기의 상승작용은 중독성이 강해서 이 느낌에만 너무 사로잡혀버리면 명상에 있어서 오히려 길을 잃기 쉽더군요.^^ (기에너지가 도파민, 세로토닌 같은 뇌 호르몬과 관련이 있을 수도...) 제가 그래서 한동안 부작용이 생겨 방황을 했다는...^^ 하여튼 에너지에 대한 과도한 집중 역시 여러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니 의식과의 조화와 균형을 잘 잡아나가는 게 중요한 듯해요.^^
우와🤩 얼마전부터 혼자 백팔배 시작했는데 이렇게 방가운 영상이 올라왔네여! 🙏🏻🤗✨ 백팔배 하시는 분들은 다 극찬하시고 여러방면으로 완벽한 수행이자 운동이 된다구 하는데 확실히 안할때보다 일상의 활력이 돌고 운동도 많이 되어 꾸준히 하려고 합니다 법상스님의 절운동 관련한 영상도 보고 시작했어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써니즈님🙇🏻♀️😊👍🏻💜
절이 전신 혈액순환에 그렇게 좋다고 들었어요~ 보통 108배를 할 때 빠른 호흡으로 하면 20여 분 정도가 걸리고, 정성 들여 하면 25여 분 정도가 걸리는 것 같던데 온몸에 골고루 상쾌한(?) 느낌의 땀이 나서 좋아요. 절에 가서 할 땐 그곳에 있는 방석을 이용할 수 있겠지만, 집에서 할 땐 요가 매트를 반으로 접어서 쿠션감을 조금 만들어서 사용하면 바닥에 밀리지도 않고 좋더라구요.
법상 스님께서 절을 할 때 있는 그대로를 보는 것의 의미를 설명해주시는 부분을 들으면서 비이원성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어요.
절을 하던 중에 새소리가 들리면 새소리가 나는 것을 있는 그대로 허용해주고, 한쪽 다리에 간지러움이 느껴지면 그 간지러움의 느낌과 하나가 되는 것...
즉 관찰하고 느껴지는 대상에 대해 '저건 저거고, 이건 이거다.' 라는 생각이느 판단을 뒤~~로 유보한 채, 저것이든 이것이든 그것 자체와 하나가 되는 걸 경험해보라는 말씀을 하신 것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현대인은 보통 몸은 이곳에 있어도 정신은 몸과 따로 노는 경우가 많죠. 눈 앞의 대상과 대화를 나누고 있어도 대화나 상대방에게 순수하게 집중해 있는 경우는 별로 없을 거예요.
개인적으론 비이원성을 일시적이나마 체험해볼 수 있는 경험을, 자연 속에 고요히 머물러 있을 때에 느낄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자연은 소란스러운 분위기가 덜 하고 자극적인 요소가 없다 보니 자연스럽게 모든 감각(오감)이 차분해져서 정신을 명쾌한 상태로 만들기가 비교적 수월한 것 같아요. 그래서 스님이 말씀해두신 주의점 '있는 그대로를 바라보기'를 지키기가 쉬운 것 같고, 이상하게도 자연 안에선 그 정경 속에 동화되는 것 또한 쉽게 이뤄지는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
제가 스님의 말씀에 대해 이해한 게 맞고, 이것을 비이원성과 연결지어 생각하는 것 또한 맞다면 절이나 명상 외에도 우리가 시도해볼 수 있는 것들은 생각보다 다양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단! 언제나 모든 행위는 나와 타인 그리고 세상에게 이롭고 건강한 방식이어야 하겠죠.
그나저나 천주교에서도 성당 안에서 가운데에 있는 통로를 지나가야 할 땐 예수님상/감실을 향해 고개 숙여 기도를 한번 하고 지나가는데 불교에서도 그렇군요. 흥미롭네요 @_@~
108배와 꼰대. ㅡ 꼰대는 108배에 의미를 두려 하지만 안 꼰대는 그냥 108배 하는 모습으로 변한 자신을 보여줍니다. 꼰대는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말하고 가르치려 하지만 안 꼰대는 그냥 들어주며 속이 편안해 질 때까지 기다려 줍니다. 꼰대와 안 꼰대의 차이는 간단 합니다. 나를 들어 내려 하는 나와 편안한 침묵이 상대로 하여금 마음을 열게하는 차이 그것 뿐입니다. ㅡ 꼰대짓은 자신에게만 하고 다른 이들에게는 하지 말고 삽시다.ㅎㅎㅎ
@chamchambird 17
2020년 10월 29일 18:56- 정문에서 합장 반배
- 대웅전 앞에서 합장 반배
- 대웅전 들어갈때 중앙문이 아닌
양옆 문으로 들어가서
- 부처님 행해 합장 반배하고
- (향, 초 사르고 또는 그냥)
- 적당한 자리에 방석을 놓고 삼배
- 그 다음 108배...
그 뜰에 들어가기도 약간 어색했었는데..
이제 절에 가도 덜 어색할꺼 같아요 ㅎ
오늘도 마니마니 감사합니다~♡♡
@user-vr5pw9pg9f 15
2020년 10월 29일 17:53수승화강 백팔배의 효과
감사드려요 스님🙏
건강생각해서 매일 해야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무분별심 습을 기르자
@realmelab 14
2020년 10월 29일 19:30명상 중에 특히 호흡명상을 하면서
에너지에 대한 부분을 집중해 보면
참 재밌는 현상들이 많이 일어나더군요.^^
명상 초기에는 온갖 잡념들이 올라와
명상에 집중하기가 쉽지 않죠.^^
조금 익숙해져서 안정화가 되면
생각과 감정들이 다소 가라앉으면서
잔잔하게 흐르는 기에너지를 느낄 수 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이게 조금씩 증폭되면
몸 상태가 좋은 날에는 척추를 타고
짜릿한 상승작용을 일으키기도 하더군요.^^
그러면 몸이 가뿐해지면서
개운하고 시원한 느낌이 든다는...^^
근데 여기서 조심해야 하는 점이
이 기의 상승작용은 중독성이 강해서
이 느낌에만 너무 사로잡혀버리면
명상에 있어서 오히려 길을 잃기 쉽더군요.^^
(기에너지가 도파민, 세로토닌 같은
뇌 호르몬과 관련이 있을 수도...)
제가 그래서 한동안 부작용이 생겨 방황을 했다는...^^
하여튼 에너지에 대한 과도한 집중 역시
여러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니
의식과의 조화와 균형을 잘 잡아나가는 게 중요한 듯해요.^^
@twospot1873 13
2020년 10월 29일 18:11오늘도 당신이 최고입니다 👍
@user-tt8gb2lu1j 12
2020년 10월 29일 17:55감사합니다 💚💚
사랑합니다 💜💜
@user-bs6oc1re2b 12
2020년 10월 29일 18:31108배를 포함한 절 수행은
내 몸의 움직임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며 위빠사나 수행을 하는
신념처(身念處) 명상수행의
한 방법이라고 하십니다.
몸과 마음을 고요히 한채
절을 할 때의 몸의 움직임을 관찰하며
생각과 분별을 멈추고 실상을
있는 그대로 지관하기 위한 수행법이지요^^
어느 정도의 예절법은 있으나
그것이 꼭 중요한 것은 아니므로~
써니즈님께서도 꼭 한번
일일108배 절 수행 정진에
도전해 보시길 강추드립니다(^^;;)
이렇게 질문하고 공부하시며
저희들 또한 제대로 공부시켜 주시니~
우리 스님께 그리고 써니즈님께
많이 감사합니다 🙏
바른 안목을 지니신 멋진 써니즈님의
공부와 성장과 채널의 발전을 응원하며~
팬심 마구 발동입니다~~!!♡
@user-vr5pw9pg9f 11
2020년 10월 29일 17:50스님께 합장합니다
써니즈님께도 감사드립니다
스님
늘
평원하십시요.
나무 석가모니불
나무 석가모니불
나무시아본사 석가모니불
@universebymyside_ 11
2020년 10월 29일 19:14우와🤩 얼마전부터 혼자 백팔배 시작했는데 이렇게 방가운 영상이 올라왔네여! 🙏🏻🤗✨
백팔배 하시는 분들은 다 극찬하시고 여러방면으로 완벽한 수행이자 운동이 된다구 하는데
확실히 안할때보다 일상의 활력이 돌고 운동도 많이 되어 꾸준히 하려고 합니다
법상스님의 절운동 관련한 영상도 보고 시작했어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써니즈님🙇🏻♀️😊👍🏻💜
@vera8612v 9
2020년 10월 29일 18:38절이 전신 혈액순환에 그렇게 좋다고 들었어요~
보통 108배를 할 때 빠른 호흡으로 하면 20여 분 정도가 걸리고, 정성 들여 하면 25여 분 정도가 걸리는 것 같던데 온몸에 골고루 상쾌한(?) 느낌의 땀이 나서 좋아요.
절에 가서 할 땐 그곳에 있는 방석을 이용할 수 있겠지만, 집에서 할 땐 요가 매트를 반으로 접어서 쿠션감을 조금 만들어서 사용하면 바닥에 밀리지도 않고 좋더라구요.
법상 스님께서 절을 할 때 있는 그대로를 보는 것의 의미를 설명해주시는 부분을 들으면서 비이원성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어요.
절을 하던 중에 새소리가 들리면 새소리가 나는 것을 있는 그대로 허용해주고, 한쪽 다리에 간지러움이 느껴지면 그 간지러움의 느낌과 하나가 되는 것...
즉 관찰하고 느껴지는 대상에 대해 '저건 저거고, 이건 이거다.' 라는 생각이느 판단을 뒤~~로 유보한 채, 저것이든 이것이든 그것 자체와 하나가 되는 걸 경험해보라는 말씀을 하신 것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현대인은 보통 몸은 이곳에 있어도 정신은 몸과 따로 노는 경우가 많죠. 눈 앞의 대상과 대화를 나누고 있어도 대화나 상대방에게 순수하게 집중해 있는 경우는 별로 없을 거예요.
개인적으론 비이원성을 일시적이나마 체험해볼 수 있는 경험을, 자연 속에 고요히 머물러 있을 때에 느낄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자연은 소란스러운 분위기가 덜 하고 자극적인 요소가 없다 보니 자연스럽게 모든 감각(오감)이 차분해져서 정신을 명쾌한 상태로 만들기가 비교적 수월한 것 같아요.
그래서 스님이 말씀해두신 주의점 '있는 그대로를 바라보기'를 지키기가 쉬운 것 같고, 이상하게도 자연 안에선 그 정경 속에 동화되는 것 또한 쉽게 이뤄지는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
제가 스님의 말씀에 대해 이해한 게 맞고, 이것을 비이원성과 연결지어 생각하는 것 또한 맞다면 절이나 명상 외에도 우리가 시도해볼 수 있는 것들은 생각보다 다양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단! 언제나 모든 행위는 나와 타인 그리고 세상에게 이롭고 건강한 방식이어야 하겠죠.
그나저나 천주교에서도 성당 안에서 가운데에 있는 통로를 지나가야 할 땐 예수님상/감실을 향해 고개 숙여 기도를 한번 하고 지나가는데 불교에서도 그렇군요. 흥미롭네요 @_@~
@user-sceptic 8
2020년 10월 29일 18:59위빠사나를 아주 쉽게 설명 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user-gk6rl4yu6i 8
2020년 10월 29일 17:49오우~~오늘부터 108배하려고 했는 영상감사합니다ㆍ솜결
@user-fx4dk7nr1v 8
2020년 10월 29일 19:05법상스님💖💖💖
써니즈님💖💖💖
오늘도 두분 최고 이십니다 🙏🙏🙏
감사합니다 법상스님 🙏
전 천주교 신자이지만 108배와
명상 특히 1000 배 도
몇번 도전 했어요 🙏🙏
오늘 108배와 명상 에 대해서 자세한
가르침 감사하고, 감사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8
2020년 10월 29일 20:27제가 극심한 우울증에 빠졌을때 108배 이거라도 해보자고 시작하면서 삶의 의욕이 조금씩 회복되었어요..
몇년전이지만 마플에서 저와같은 케이스가 많더라구요.
@orangesky8161 8
2020년 10월 29일 18:03절하다보면 마음도 맑아져요^^ 직관도 잘 튀어나오고요. 제 느낌인진 몰라도^^
@user-vh4jb9dm8o 7
2020년 10월 29일 18:13스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트리스탄 7
2020년 10월 29일 19:15그렇게 써니즈... 그는 108배를 통하여 😎
건강한 몸 70kg 을 결국 달성하고 마는데... 👏
@mocha8806 7
2020년 10월 29일 19:48백팔배 참회문 틀어놓고 하면 진짜 정화되는거 같아요
감사합니다 🙏🏻
@neoqma3772 6
2020년 10월 29일 18:23지관,멈추고 ,있는 그대로를 보는 것...
@miraclevictory 6
2020년 10월 29일 18:36오늘도 욕심 부린 것에 반성합니다
주식을 함에 있어 엄청 땄을땐 그리 기쁘지 않다가 조금 잃으면 화낸 것을 반성합니다
자그마한 것에 만족하겠습니다
장투하겠습니다
인생에 있어서도 늘 길게 보는 시각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사사로운 것에 연연치 않겠습니다
나무 아미타 불 나무 관세음 보살
@SWEETSANDTV 6
2020년 11월 05일 18:55머리는 시원하게💙
손발은 따뜻하게❤
걷기로는 수승화강이 안 되었지만
절을 하니 수승화강이 되었다.
요가할 때도 자주 하던 동작인데
운동과 마음공부 둘 다 잡을 수 있는 수행이군요!
오늘부터 하겠습니다😄
@user-mr1un5zj9h 6
2020년 10월 29일 18:29써니즈님
법상스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존경합니다!👍💜🙏
@user-tt8gb2lu1j 6
2020년 10월 29일 21:53써니즈님^^
이렇게 좋은 채널을 알게 되어
참 감사합니다💛❤💚
써니즈님의 바른 성장을 위한
바른 공부를 응원하며
함께 열심히 하겠습니다
파이팅 입니다!!👍👍👍
@user-qe7mh2ig6e 5
2020년 10월 29일 20:24스님말씀 한 단어 놓치셯네용ㅋㅋㅋㅋ
남의 실수는 늘 즐거워라아아아~🎶🎵
@user-jr6rt2ng1y 5
2020년 10월 29일 22:51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user-kr4fi9uz7d 5
2020년 10월 29일 18:39감사합니다 ^^
사랑합니다 💙💙
@user-up8wz7bj1r 5
2020년 10월 29일 18:54스님 감사합니다💕
@user-dq3pz6ue7h 4
2020년 10월 29일 20:13지금 이 순간과 온전히 함께 하기..
진리와 하나되기..♡
@user-pv9qi9bl8t 4
2020년 10월 29일 21:58제가 좋아하는 두분~♡
늘 감사합니다🙏
@user-hg4ex4fm8x 4
2020년 10월 30일 00:13108배와 꼰대. ㅡ 꼰대는 108배에 의미를 두려 하지만 안 꼰대는 그냥 108배 하는 모습으로 변한 자신을 보여줍니다. 꼰대는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말하고 가르치려 하지만 안 꼰대는 그냥 들어주며 속이 편안해 질 때까지 기다려 줍니다. 꼰대와 안 꼰대의 차이는 간단 합니다. 나를 들어 내려 하는 나와 편안한 침묵이 상대로 하여금 마음을 열게하는 차이 그것 뿐입니다. ㅡ 꼰대짓은 자신에게만 하고 다른 이들에게는 하지 말고 삽시다.ㅎㅎㅎ
@haileykim9764 4
2020년 10월 29일 20:50스님! 오늘
더 젊어보이네요
써니즈의강연은 법당에서의 법문보다 보다간결하고 명쾌해 쏙쏙 잘 들어오는거 같고
편안합니다
@user-ow2qn3qy4d 4
2020년 10월 29일 23:08감사합니다 ~^^!🤗🤗🤗
@user-bookclea 4
2021년 9월 15일 11:52감사합니다😍
@eq6356 3
2020년 10월 29일 22:45오늘도 법상스님의 귀한 말씀이 소멸되지 않고 온전히 영상으로 기록될 수 있음에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user-fi8dr9km9e 3
2020년 10월 30일 09:47두분 모두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
😍💝🧡💖💜💛💚💛💜💖🧡💝
@TV-dj2nv 3
2020년 10월 29일 22:34써니즈님, 멋있습니다.
응원합니다. 🙏
@user-cr8ds6tu9e 3
2020년 10월 29일 21:50백팔대참회문을 틀어놓고 합니다 많은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ccmm9868 3
2023년 5월 05일 09:09절할 때 무슨 생각을 해야 하나, 기원을 말해야 하나, 궁금해서 왔어요. 잘 보고 갑니다. 전 법당에 가면 생각이 사라지는 느낌이 늘 들어요. 합장!
@Blessyou-vj1qv 3
2023년 3월 09일 16:06감사합니다.
@user-cq3mo2us5v 3
2020년 10월 30일 01:16감사합니다~
@annechoi3378 3
2020년 10월 29일 21:48스님
감사합니다!
@user-xl9gn2rd3s 3
2020년 10월 29일 19:32법상스님
써니즈님
감사합니다..^^
@user-zb2oz5bf2g 3
2020년 10월 30일 18:17감사합니다!~🙏
@user-mf3mu3qd3f 3
2020년 11월 03일 17:48항상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user-yq3uu1hz2r 2
2020년 10월 30일 07:14수승하강. 지관.
도구없이. 간단하고. 작은 장소로. 적당한 시간. 마음만 생기면 절하기 참 좋아요. 오늘도 귀한 영상 감사합니다~
@user-bh2oo7xf8c 2
2021년 8월 31일 17:13멈추고 보는게 어렵습니다.
매번 108배 할 때마다 제일 어려운 부분인것 같아요..
@unitedhanxrp5029 2
2022년 8월 20일 17:25감사합니다
@loie6657 2
2020년 10월 29일 23:28생각을 멈추고 있는 그대로를 본다
108배는 명상이네요
저도 생각을 비우는게 좋아요
@_hellena_6706 2
2020년 10월 30일 19:00스님 써니즈님 👍감사합니다 🙏🤎
Anandi 2
2020년 10월 29일 20:20마음공부의 기본자세로 생각합니다.
도움되신다면 ‘행복을 찾는 108배’링크 공유합니다. 몸과 마음 건강하시길 바래요~ https://youtu.be/VSXg0fmsJTE
@user-bc8pm5hd3d 2
2020년 10월 30일 00:51써니즈님은 법상스님과, 책추남님은 책한민국님과 ᆢ 콜라보? ^^
좋은 신선한 변화로 보입니다
다들 이미 좋은 스승들이시고 ᆢ
중생제도에 힘쓰심에 감사합니다
@user-fu2yo2if9c 1
2022년 10월 06일 18:48감사합니다🌷🌷🌷
@user-ez9ie3nb9m 1
2023년 8월 21일 11:52절할때눈을감고하나요이제불교에귀의했는데아무것도몰라서답답하네요
cho co 1
2020년 12월 17일 22:03감사합니다 .
@user-dh8dr8hn5n 1
2022년 10월 13일 10:15좋은말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