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용해서 자신의 행동지침으로 사용하는 것 동정심과 다름 유니버셜 디자인-현재의 나와 미래의 내가 사용하는것 공감 후천적으로 일상적으로 키울수 있다. 1.눈맞춤-바라보지 않는건 대화가 아니다 2.경청할 것 3.예술,문학,영화와 같은 간접경험을 충분히 하는 것-때때로 직접 경험을 수반하라 4.짧게 말할 것-설교하지 말 것 5.자유롭게 대답할수 있는 질문을 할것 6.모르면 모른다고 말할 것-약함이 들어날때 유대감
동정심과 차이: 공감은 동정심과는 다른 것. 저극적으로 이해하여 나의것으로 행동 하는 것. 예제) 페트리샤 무어, 디자이너. 26세때 분장해서 3년간 85세 노파의 삶을 살아봄. 그리하여 노인을 위한 디자인을 연구. 몸소 경험해봄. 이런게 공감 능력. 그리하여 양손잡이 가위, 소리나는 주전자 등. 노인들을 위한 과거,, 미래가 모두 사용하는 유니버셜 디자인을 만들어냄.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당연히 인간관계 좋아지고! 좋아짐
공감능력은 배우고 가르치고 키울 수 있다: 작은 습관으로만도 가능하다 6가지 실제
1.눈맞춤: 가장 기본중 기본. 바라보지 않는건 대화가 아니다. 2.경청할것: 듣는것 보다 말하능걸 좋아하는 사람의 본성이지만... 3.예술문학소설영화 같은 간접경험을 많이 하는것. 반응하는영역 4. 짧게 말하기. 5. 자유롭게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던지자. 오픈엔디드 퀘스천! 예스 올 노 6.모르면 모른다고 말할것.
패트리샤 무어 26세에 노인을 위한 디자인을 하기 위해 80세 분장을 하고 체험. 공감능력을 발휘 양송잡이 가위.소리 나는 주전자. 유니버셜 디자인을 탄생. 성공확률 높이는 공감능력. 후천적으로 키울 수 있다. 눈 맞추기 경청하기 예술문학소설영화등의 간접체험을 많이 하는것 짧게 말하기 촌철살인이 중요 자유롭게 대답할 수 있는 열린 질문을 해야 한다. 모르면 모른다고 하기. 좋은 책소개 말씀 고맙습니다♡
김유리님의 논리를 복사하여 게재하였습니다................. 김유리 2년 전(수정됨) 활용해서 자신의 행동지침으로 사용하는 것 동정심과 다름 유니버셜 디자인-현재의 나와 미래의 내가 사용하는것 공감 후천적으로 일상적으로 키울수 있다. 1.눈맞춤-바라보지 않는건 대화가 아니다 2.경청할 것 3.예술,문학,영화와 같은 간접경험을 충분히 하는 것-때때로 직접 경험을 수반하라 4.짧게 말할 것-설교하지 말 것 5.자유롭게 대답할수 있는 질문을 할것 6.모르면 모른다고 말할 것-약함이 들어날때 유대감
@놀새-j8o 45
2019년 12월 06일 00:17아이컨택
경청
직간접경험 많이
말은 짧게
단답대답유도질문 피하기
모르면 모른다고 말할 것
@승규-g1y 18
2019년 12월 05일 21:2506:32
@김유리-s3k4h 16
2019년 12월 06일 00:51활용해서 자신의 행동지침으로 사용하는 것
동정심과 다름
유니버셜 디자인-현재의 나와 미래의 내가 사용하는것
공감 후천적으로 일상적으로 키울수 있다.
1.눈맞춤-바라보지 않는건 대화가 아니다
2.경청할 것
3.예술,문학,영화와 같은 간접경험을 충분히 하는 것-때때로 직접 경험을 수반하라
4.짧게 말할 것-설교하지 말 것
5.자유롭게 대답할수 있는 질문을 할것
6.모르면 모른다고 말할 것-약함이 들어날때 유대감
Tae You Kim 8
2019년 12월 07일 09:13공감하는 능력; 인공지능과 구분되는 인간만의 독창적인 능력.
공감의 정의: 그렇게 이해한 내용을 활용해서 자신의 행동지침으로 삼는 기술.
기업들에세도 공감도가 높다는 말을 할 수 있다. 제품과 서비스로 이어질 수 있다.
동정심과 차이: 공감은 동정심과는 다른 것. 저극적으로 이해하여 나의것으로 행동 하는 것.
예제) 페트리샤 무어, 디자이너. 26세때 분장해서 3년간 85세 노파의 삶을 살아봄. 그리하여 노인을 위한 디자인을 연구. 몸소 경험해봄. 이런게 공감 능력.
그리하여 양손잡이 가위, 소리나는 주전자 등. 노인들을 위한 과거,, 미래가 모두 사용하는 유니버셜 디자인을 만들어냄.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당연히 인간관계 좋아지고! 좋아짐
공감능력은 배우고 가르치고 키울 수 있다: 작은 습관으로만도 가능하다 6가지 실제
1.눈맞춤: 가장 기본중 기본. 바라보지 않는건 대화가 아니다.
2.경청할것: 듣는것 보다 말하능걸 좋아하는 사람의 본성이지만...
3.예술문학소설영화 같은 간접경험을 많이 하는것.
반응하는영역
4. 짧게 말하기.
5. 자유롭게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던지자. 오픈엔디드 퀘스천! 예스 올 노
6.모르면 모른다고 말할것.
@hipji887 5
2019년 12월 05일 21:16공감능력 향상 방법 이해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유튭 라이브 강의도 하시면 좋읗듯요~
@원시인나라 4
2019년 12월 06일 07:59패트리샤 무어
26세에 노인을 위한 디자인을 하기 위해 80세 분장을 하고 체험.
공감능력을 발휘
양송잡이 가위.소리 나는 주전자.
유니버셜 디자인을 탄생.
성공확률 높이는 공감능력.
후천적으로 키울 수 있다.
눈 맞추기
경청하기
예술문학소설영화등의 간접체험을 많이 하는것
짧게 말하기
촌철살인이 중요
자유롭게 대답할 수 있는 열린 질문을 해야 한다.
모르면 모른다고 하기.
좋은 책소개 말씀 고맙습니다♡
@junyoungyoo3588 3
2019년 12월 05일 23:26명확한 정리 정말 감사합니다.
이해해서 자신의 행동의 '지침'으로 삼는 것
그냥 불쌍하다 하고 끝내는 동정심과는 다르다.
@tv-lh6dd 2
2019년 12월 06일 00:26와 좋네요~~ 공감능력이 향상되었습니다^^
@winwinlawkim6708 2
2020년 5월 02일 19:12감사합니다❤
@universalhealthcommunityTV 2
2019년 12월 05일 21:02감사합니다 덕분입니다
대구중심교회 2
2020년 5월 19일 09:40목차소개
한국어판 서문
인간성의 정수이자 인간관계의 핵심, 공감
여는 글 공감의 위력
인간관계의 혁명
공감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의 6가지 습관
공감 결핍에 도전하다
‘내성’에서 ‘외성’으로
공감에 대한 이의
첫 번째 습관 :
두뇌의 공감회로를 작동시킨다
공감: 공상과학소설인가, 과학적 사실인가?
인간 본성이 다 그런 거지, 뭘
아동심리학과 호모 엠파티쿠스의 발견
우리 안의 영장류와 만나다
공감하는 두뇌를 해부하다
더 많이 공감하도록 배울 수 있을까?
마음의 틀을 다시 짜다
두 번째 습관 :
‘상상력을 발휘해 도약’한다
공감이 그토록 좋은 것이라면서, 왜 더 많이 공감하지 않는가?
편견
권위
거리
부인
‘타자’에서 다시 ‘사람’으로
당신이 공유하는 것과 공유하지 않는 것을 알아내라
적과의 공감
박쥐가 되면 어떤 기분일까?
세 번째 습관 :
새로운 체험에 뛰어든다
대니얼 데이루이스 되기
몰입하기, 또는 공감주의자들의 잠입취재
@parkerwyatt5568 1
2019년 12월 06일 00:02자기 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successcode_motivation 1
2019년 12월 06일 02:08오늘도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privatepsychology 1
2021년 2월 24일 15:17공감과 동정심의 차이 잘 배우고갑니다^^
@머래는거여 1
2020년 9월 15일 14:00눈을 마주치고 경청은합니다. 상대방의 감정이 어떤지 대화의 핵심이 이해가 안되면 어떡하죠..? 그래도 모르면 물어봐야하는거죠? 이해력의문제인지 공감능력의 문제인지.. 가끔 대화중에 혼자 딴소리합니다..ㅠㅠㅠㅠ
@junyoungyoo3588 1
2019년 12월 05일 22:57영상정말 감사합니다~~!!
@해적사냥꾼 1
2021년 1월 16일 23:53감사합니다 항상 노력해야겠어요!
@jh6454 1
2020년 10월 23일 00:38조금만 정리 부분을 화면에 서 크게 해주세요 감사합니다
쿠새뉴스
2021년 9월 21일 05:37상대가 정말 논리적으로 잘못된 길을 가고 있고, 그것이 치명적인 결과를 불러 일으키며 나에게 소중한 사람이라면 "근데"라는 말로 바로 잡아야 한다.
그걸 듣기 싫어하는 사람들은 오히려 그러한 상대방의 깊은 뜻을 모르고 자기 감정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공감능력을 주장하는 사람 대부분이 내로남불이며 단적인 사고를 가지며 진정으로 공감능력이 없다.
왜냐하면 불안정한 상황 판단 능력과 낮은 지성으로 인하여 상대가 아무리 득이 되는 충고를 해도 자신의 감정만 감싸고 돌기 때문에
공감능력을 운운하며 문제를 피하기 바쁘다.
진짜 공감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은 오히려 논리적으로 자신의 처지와 타인의 처지 그리고 손익과 감정 모두 저울질 하여 진심어린 충고를 해주는 사람들이다.
스스로가 공감능력이 좋다고 떠벌리고 다니거나 혹은 타인의 공감능력의 높고 낮음을 평가하는 사람들은 논리적 사고가 부족하고 인과관계 분석에 게으르고 타인과의 갈등을 극단적으로 기피하기 때문에 보통 방관자이며 문제해결 의지나 능력이 없고 비겁하게 옆으로 빠진다.
자신의 주장을 잘 다듬어서 상대방의 주장을 논파하기 보다는 상대방의 공감능력이나 이해력을 탓하며 깎아내리기 바쁘다.
공감능력이란 단어는 침팬치나 인간의 차이정도가 있을때에나 과학적으로 유의미한 것이지,
사실은 좌파 사상을 가진 pc주의자들이나 페미니스트들이 동정여론이나 비과학적 여론몰이를 위해서 선동수단으로 가지고 나온 정치적인 단어이다.
특히 아이큐나 각종 지각능력은 어느정도 산술화 하거나 수치를 젤 수 있지만
공감능력은 전혀 그렇게 할 수 없기 때문에 코에 붙이면 코걸이 귀에 붙이면 귀걸이이기 때문에 이런 쓸데 없는 정보는 배울 필요도 없고 배워서 써먹을 때도 없다.
그저 정확하고 냉철한 판단을 했지만 왠지 그게 사실이라 기분 나쁘고 할말 없을 때 방어기제로 얼버부리는 비겁한 것일 뿐이다.
@miho5917
2022년 12월 14일 01:49참고로 아이컨택은 잠시잠시 피해도 괜찮습니다.오히려 상대방을 부담을 줌.참고들하세요.
분단극복
2022년 5월 01일 09:36김유리님의 논리를 복사하여 게재하였습니다.................
김유리
2년 전(수정됨)
활용해서 자신의 행동지침으로 사용하는 것
동정심과 다름
유니버셜 디자인-현재의 나와 미래의 내가 사용하는것
공감 후천적으로 일상적으로 키울수 있다.
1.눈맞춤-바라보지 않는건 대화가 아니다
2.경청할 것
3.예술,문학,영화와 같은 간접경험을 충분히 하는 것-때때로 직접 경험을 수반하라
4.짧게 말할 것-설교하지 말 것
5.자유롭게 대답할수 있는 질문을 할것
6.모르면 모른다고 말할 것-약함이 들어날때 유대감